KR20220119218A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음향 액자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9218A KR20220119218A KR1020210022532A KR20210022532A KR20220119218A KR 20220119218 A KR20220119218 A KR 20220119218A KR 1020210022532 A KR1020210022532 A KR 1020210022532A KR 20210022532 A KR20210022532 A KR 20210022532A KR 20220119218 A KR20220119218 A KR 20220119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device
- acoustic
- installation
- sound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일면이 상기 설치물이 대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음향 진동 모듈,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전시용 액자가 제조되고 있다.
전시용 액자는 적어도 일 영역에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물, 예를들면 그림이나 사진을 배치하는 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치물을 액자 일면에 배치 후에 이러한 액자를 원하는 장소, 예를들면 벽에 걸어놓고 감상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액자 디바이스를 배치하여 일종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기술 발달과 사용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다양한 음향 제공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와 음향 제공의 측면의 기술에 대한 여러 활용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하고 음향 특징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일면이 상기 설치물이 대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음향 진동 모듈,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외부 고정물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설치물에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일면이 상기 설치물이 대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를 가지는 제1 구조물과, 상기 전면부의 타면을 향하는 배면부를 가지는 제2 구조물과,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음향 진동 모듈, 및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1 조인트 부재와, 상기 제2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2 구조물에 조립되면, 상기 제1 조인트 부재와 상기 제2 조인트 부재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설치물에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음향 특징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B의 확대도의 예시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ⅩⅩⅢ-Ⅹ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조인트 유닛의 조립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B의 확대도의 예시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ⅩⅩⅢ-Ⅹ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조인트 유닛의 조립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설치물이 배치된 장치인 것으로 정의한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설치물과 함께 음향이 전달되어, 보는 사람에게 다양한 미적 감흥을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설치 장소,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치물은 특정 물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은 예술적인 감흥을 전달하는 그림 등의 예술품이거나, 정보 전달을 위한 정보 전달용 표식이나, 실내외 인테리어 부재, 사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설치물을 선택적으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음향 진동 모듈(110)과 제1 구조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전면부(FA), 측면부(SA) 및 연결 단부(EA)로 구분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FA)와 측면부(SA)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F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음향 진동 모듈(110)이 한 쌍으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출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110)은 구동 부재(111) 및 진동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전면부(F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112)은 전면부(FA)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FA)에 용이하게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또한 전면부(FA)와 대향하도록 설치될 설치물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FA) 및 설치물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전면부(FA)의 일면과 대향하고, 예를 들면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부재(111)는 진동판(1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진동판(112)에 연결되어 진동판(112)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1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1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에, 예를들면 전면부(FA)와 연결 단부(EA)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110)과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112)과 구동 부재(1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110)은 음향 유닛, 예를 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112)은 전면부(FA)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112)과 전면부(FA)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의 진동 시 전면부(1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FA)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전면부(FA)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설치물에도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틀을 형성한다. 제1 구조물(120)은 내부공간에 음향 진동 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0)은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조물(120)은 자체가 설치물이며, 예컨대 제1 구조물(120)의 전면부(FA)에 설치물이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구조물(120)의 전면부(FA)에 설치물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구조물(120)과 설치물은 각각 제작되고,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1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구조물(120)은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조물(120)은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구조물(120)은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구조물(120)은 전면부(FA), 측면부(SA) 및 연결 단부(EA)로 구분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일면에 설치물이 대향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물이 배치 시에 설치물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전면부(FA)는 외부에 보여지는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에는 설치물이 표현되며, 제2 면은 진동판(1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동판(112)은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면부(FA)가 플랫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나 설치물(PL)에 따라 굴곡진 영역이나 뾰족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FA)는 그 자체가 음향 진동 모듈(110)에서 생성된 진동을 음향으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음향 진동 모듈(110)과 전면부(FA)가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는 스피커의 기능을 구현한다. 음향 진동 모듈(1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설치물에 전달 될 수 있다.
측면부(SA)는 전면부(FA)와 연결되되,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SA)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전면부(FA)와 측면부(SA)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SA)는 전면부(FA)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FA)와 측면부(SA)는 하나의 바디를 가지고, 측면부(SA)는 전면부(FA)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측면부(SA)에서 연장되되, 전면부(F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측면부(SA)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FA)와 연결 단부(EA)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연결 단부(EA)는 측면부(SA)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외부 구조물(O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외부 구조물(OS)에 지지되고, 고정 부재(130)로 제1 구조물(120)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측면부(SA)에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내측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소정의 폭을 가지므로, 외부 구조물(OS)과 소정의 접촉 영역을 가진다. 연결 단부(EA)의 외측면은 외부 구조물(OS)과 지지하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구조물(OS)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121)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 개구(121)는 연결 단부(EA)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연결 단부(EA)에 장착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외부 구조물(OS)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삽입 개구(121)에 삽입되어, 제1 구조물(120)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특정한 부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구조물(120)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부재(130)는 볼트, 너트, 나사, 못, 리벳 등 일 수 있다.
측면부(SA)가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구조물(OS)에 설치되면, 전면부(FA)는 외부 구조물(OS)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설치하는 실시예를 설명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제1 측면 구조물(PT1), 제2 측면 구조물(PT2) 사이에 장착 될 수 있다. 측면부(SA)는 제1 측면 구조물(PT1) 및/또는 제2 측면 구조물(PT2)에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연결 단부(EA)는 저면의 외부 구조물(OS)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제1 측면 구조물(PT1)과 제2 측면 구조물(PT2)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측면 구조물(PT1), 제2 측면 구조물(PT2)과 함께 설치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이 대형인 경우에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설치물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 사이에는 측면 구조물과 같은 지지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이 벽체의 일부인 경우에도,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가 벽체에 삽입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설치자에 의해서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폭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측면부(SA)는 전면부(FA)의 탄성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따라서, 설치자가 제1 구조물(120)에 외력을 가하면, 전면부(FA)의 형상 변화에 의해서 측면부(SA)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면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제1 측면 구조물(PT1)과 제2 측면 구조물(PT2)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배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치자가 쉽게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연결 단부(EA)만 외부 구조물(OS)에 지지되고, 배면의 상당한 영역이 개방된다. 따라서, 외부 구조물(OS)의 표면의 평평하지 않거나, 다른 돌출 구조를 가지고 있더라도,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돌출 구조가 배치되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외부 구조물(OS)에 설치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는 설치자가 쉽게 설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연결 단부(EA)의 삽입 개구(121)가 고정 부재(130)에 삽입되도록 정렬되므로, 설치자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를 쉽게 설치 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진동판(112A)과 제1 구조물(120A)의 전면부(FA)의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합 부재(ADS)는 쿠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양한 예로서 접합 부재(미도시)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ADS)는 실리콘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 부재(ADS)는 진동판(112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A)과 전면부(FA)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감소하여 진동판(112A)으로부터 전면부(FA)로의 효과적 진동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A)의 진동 시 전면부(FA)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FA)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전면부(FA)와 대향할 설치물에도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B)는 음향 진동 모듈(110B)과 제1 구조물(120B)을 가질 수 있으며, 삽입 개구(121B)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130B)에 의해서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B)은 외부 구조물(OS)의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110B)의 구동 부재는 외부 구조물(OS)에서 이격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소정의 높이(H)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 구조물(OS)과 음향 진동 모듈(110B)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D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DA)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110B)의 진동 과정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110B)의 진동이 외부 구조물(OS)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FA)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이격 공간(DA)과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FA)와 외부 구조물(OS)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110B)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C)는 음향 진동 모듈(110C)과 제1 구조물(120C)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130C)에 의해서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C)의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외부에 표현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PL)은 전면부(F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FA)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FA) 및 측면부(SA)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구조물(120C)과 별도로 제작된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C)는 설치물(PL)을 제1 구조물(120C)에 장착한 뒤에, 제1 구조물(120C)이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교체가능하도록 제1 구조물(120C)에 장착될 수 있다. 이전의 설치물의 위에, 새로운 설치물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설치물을 제1 구조물(120C)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설치물을 제1 구조물(120C)에 장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1 구조물(120C)에 마그넷(미도시)이 설치되고, 설치물이 마그넷과 인력을 형성하는 재질로 제조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설치물을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PL)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 철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D)는 음향 진동 모듈(110D)과 제1 구조물(120D)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0D)의 전면부(FA)는 두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하나 이상의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 영역의 사이에 인접 영역(WLA)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 영역(WLA)의 상면과 상기 돌출 영역의 상면은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인접 영역(WLA)의 두께는 돌출 영역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설치물(PL)이 제1 구조물(120D)의 전방에 배치될 때, 인접 영역(WLA)을 통하여 설치물(PL)과 제1 구조물(120D)의 전면은 이격되고, 인접 영역(WLA)은 진동 또는 소리가 전파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인접 영역(WLA)은 빈 공간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영역의 표면은 설치물(PL)과 접하고, 인접 영역(WLA)의 표면은 설치물(PL)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인접 영역(WLA)은 음향 진동 모듈(110D)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접 영역(WLA)의 아래에 음향 진동 모듈(110D)의 진동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D)이 구동시에, 인접 영역(WLA)은 진동의 특성을 변화하여 음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인접 영역(WLA)이 음향 진동 모듈(110D)의 상부에 배치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개의 인접 영역(WLA)이 진동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접 영역은 전면부(FA)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인접 영역이 전면부(FA)의 전체에 분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설치물(PL)의 영역 중 돌출 영역과 중첩된 영역에서의 진동의 전달 특성과, 인접 영역(WLA)과 중첩된 영역에서의 음향 진동 모듈(110D)의 진동의 전달 특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 영역은 고음의 전달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고, 인접 영역(WLA)은 저음의 전달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D)에서 구현되는 음향과 소스 기기에서 제공하는 원음과의 음질 품질의 근접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E)는 음향 진동 모듈(110E)과 제1 구조물(120E)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0E)의 전면부(FA)는 두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하나 이상의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 영역의 사이에 인접 영역(WLA)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접 영역(WLA)의 상면과 상기 돌출 영역의 상면은 단차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인접 영역(WLA)의 두께는 돌출 영역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설치물(PL)이 제1 구조물(120E)의 전방에 배치될 때, 인접 영역(WLA)을 통하여 설치물(PL)과 제1 구조물(120E)의 전면은 이격되고, 인접 영역(WLA)은 진동 또는 소리가 전파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인접 영역(WLA)은 빈 공간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인접 영역(WLA)은 음향 진동 모듈(110E)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 영역의 아래에 음향 진동 모듈(110E)의 진동판이 배치되고, 그 외곽에 인접 영역(WLA)이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E)이 구동시에, 인접 영역(WLA)은 진동의 특성을 변화하여 음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설치물(PL)의 영역 중 돌출 영역과 중첩된 영역에서의 진동의 전달 특성과, 인접 영역(WLA)과 중첩된 영역에서의 음향 진동 모듈(110E)의 진동의 전달 특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 영역은 고음의 전달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고, 인접 영역(WLA)은 저음의 전달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E)에서 구현되는 음향과 소스 기기에서 제공하는 원음과의 음질 품질의 근접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F)는 연결 단부(EA)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1 구조물(120F)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130F)로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F)를 외부 구조물(O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 단부(EA)는 외부 구조물(OS)에 지지되고, 고정 부재(130F)로 제1 구조물(120F)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할 수 있다.
측면부(SA)는 전면부(FA)에서 절곡되며, 연결 단부(EA)는 측면부(SA)에서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전면부(FA)와 연결 단부(EA)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부(SA)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0F)는 연결 단부(EA)에 장착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100F)를 외부 구조물(OS)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F)는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제1 구조물(120)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배면에 배치된 연결 단부를 외부 구조물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는 쉽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외부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어, 다양한 설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배면은 개방된 구조이므로, 외부 구조물의 표면이 플랫하지 않고, 복잡한 돌출 또는 함몰 구조를 가지더라도,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전면부는 돌출 영역 및 인접 영역을 갖고, 설치물이 배치 시에 돌출 영역과 중첩된 영역 및 인접 영역과 중첩된 영역간의 진동 전달 특성이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 영역들 사이에 인접 영역을 복수 개로 형성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인접 영역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 영역을 통한 비교적 직접적이고 빠른 속도의 진동 영역과 이와 인접한 인접 영역에서의 부드럽고 간접적이고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의 진동 영역의 조화를 통하여 음향 품질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균형있게 구현하여 품질이 향상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는 음향 진동 모듈(210)과 제1 구조물(220)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230)에 의해서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는 전면부(F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물(PL)이 장착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22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설치물(PL)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전면부(FA)를 커버하거나, 전면부(FA)와 측면부(SA)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설치물(PL)이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전면부(FA)를 구성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음향 진동 모듈(210)과 비교하면, 음향 진동 모듈(210)은 설치 위치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진동 모듈(210)은 설치물(PL)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판은 설치물(PL)의 내측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판은 설치물(PL)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이 구동되면, 진동이 설치물(PL)로 직접 전달되어, 전면부(FA)에 해당하는 설치물(PL)을 통해서 음향이 외부로 전달 될 수 있다.
전면부(FA)는 그 자체가 음향 진동 모듈(210)에서 생성된 진동을 음향으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음향 진동 모듈(2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설치물(PL)에 전달 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과 설치물(PL)이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는 스피커의 기능을 구현한다.
외부 구조물(OS)과 음향 진동 모듈(21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D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DA)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 과정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이 외부 구조물(OS)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FA)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이격 공간(DA)과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FA)와 외부 구조물(OS)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2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은 설치물(PL)에 직접 부착되어, 생성된 진동이 설치물(PL)을 통해서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얇은 설치물(PL)에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판이 부착되므로, 생성된 진동은 설치물(PL)만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음향 전달 매커니즘이 간단하고, 전달 과정 중 손실을 없애거나 최소화 하므로, 음향 진동 모듈(210)에서 생성된 진동이 효과적으로 설치물(PL)을 통해서 배출되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1 구조물(22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기본 틀을 형성한다. 제1 구조물(22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제1 구조물(220)은 전방 단부(221), 측면 프레임(222), 연결 단부(223)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단부(221)는 전면부(FA)에 배치되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 단부(221)는 전면부(F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설치물(PL)의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22)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 단부(221)와 연결 단부(223)를 연결한다. 측면 프레임(222)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높이에 해당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다.
연결 단부(223)는 측면 프레임(222)에서 연장되며, 외부 구조물(OS)에 지지될 수 있다. 연결 단부(223)의 삽입 개구(225)에 고정 부재(230)가 삽입되어, 고정 부재(230)가 제1 구조물(220)을 외부 구조물(O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방 단부(221)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전방 단부(221)는 측면 프레임(222)에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내측으로 D1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단부(223)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단부(223)는 측면 프레임(222)에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의 내측으로 D2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D2의 길이는 D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연결 단부(223)의 폭(D2)이 전방 단부(221)의 폭(D1)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고정 부재(230)를 삽입 개구(225)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개구(225)는 연결 단부(223)에 배치되되, 전방 단부(221)와 마주 보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FA)에서 보면, 삽입 개구(225)가 전방 단부(221)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으므로, 설치자가 고정 부재(230)를 용이하게 삽입 개구(225)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배면에 배치된 연결 단부를 외부 구조물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는 쉽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외부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의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방에서 고정 부재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가 쉽게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음향 진동 모듈이 설치물에 직접 부착되므로, 음향 진동 모듈에서 생성된 진동이 직접 설치물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음향 전달 과정이 간단한 매커니즘에 따르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진동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제1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는 음향 진동 모듈(310)과 제1 구조물(320)을 가질 수 있으며, 삽입 개구(325)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330)에 의해서 외부 구조물(OS)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는 전면부(F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물(PL)이 장착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32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설치물(PL)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의 전면부(FA)를 커버하거나, 전면부(FA)와 측면부(SA)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설치물(PL)이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의 전면부(FA)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200)와 비교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는 제1 구조물(320)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구조물(320)은 전방 단부(321), 측면 프레임(322), 연결 단부(323) 및 지지 부재(324)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324)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의 전면부(FA)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4)는 설치물(PL)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24)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의 전면부(FA)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4)는 전방 단부(321)에서 연장되며, 제1 구조물(320)의 전방에 배치된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지지 부재(324)의 일면은 설치물(PL)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지지 부재(324)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 구조물(320)의 서로 마주 보는 장측을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앙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부재는 단수개로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장측을 연결하거나, 단측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장측과 단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는 장측을 연결하거나,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는 단측을 연결할 수 있다.
설치물(PL)이 지지 부재(324)에 지지되므로, 설치물(PL)이 음향 액자 디바이스(30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4)는 설치물(PL)의 자중에 의해서 설치물(PL)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지지 부재(324)와 설치물(PL) 사이에 접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합 부재는 쿠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양한 예로서 접합 부재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는 실리콘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배면에 배치된 연결 단부를 외부 구조물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는 쉽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외부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의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방에서 고정 부재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가 쉽게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음향 진동 모듈이 설치물에 직접 부착되므로, 음향 진동 모듈에서 생성된 진동이 직접 설치물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음향 전달 과정이 간단한 매커니즘에 따르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진동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지지 부재가 제1 구조물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물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설치물이 크고 자중에 의해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을 가질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는 음향 진동 모듈(410), 제1 구조물(420), 제2 구조물(430) 및 조인트 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420)은 제2 구조물(430)에 조립되고, 조립된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음향 진동 모듈(410)이 배치된다. 조인트 유닛(440)은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을 연결한다.
음향 진동 모듈(41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일 예로, 음향 진동 모듈(410)은 제1 구조물(420)의 전면부(42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의 기술적 특징 중에서 전술한 음향 진동 모듈(410)과 공통되는 내용은 약술 또는 생략 하기로 한다.
음향 진동 모듈(4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410)은 구동 부재 및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420)은 일면에 설치물이 대향하는 전면부(421)와, 전면부(421)와 연결되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422)를 가질 수 있다.
제1 구조물(420)은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조물(420)은 자체가 설치물이며, 예컨대 제1 구조물(420)의 전면부(421)에 설치물이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구조물(420)의 전면부(421)에 설치물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구조물(420)과 설치물은 각각 제작되고,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4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조물(42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구조물(420)은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조물(420)은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구조물(420)은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부(421)는 일면에 설치물이 대향될 수 있다. 전면부(421)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에 설치물이 배치 시에 설치물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면부(421)가 플랫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나 설치물(PL)에 따라 굴곡진 영역이나 뾰족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421)는 그 자체가 음향 진동 모듈(410)에서 생성된 진동을 음향으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음향 진동 모듈(410)과 전면부(421)가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는 스피커의 기능을 구현한다. 음향 진동 모듈(4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설치물에 전달 될 수 있다.
제1 측면부(422)는 전면부(421)와 연결되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면부(422)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는 전면부(421)와 제1 측면부(422)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부(422)는 전면부(42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421)와 제1 측면부(422)는 하나의 바디를 가지고, 제1 측면부(422)는 전면부(421)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조물(430)은 일면에 설치물이 대향하는 배면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배면부(431)는 전면부(421)의 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조물(43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구조물(430)은 외부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구조물(43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구조물(430)은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구조물(430)은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구조물(430)은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2 구조물(430)은 배면부(431)와 연결되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432)를 가질 수 있다.
제2 측면부(432)는 배면부(431)와 연결되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면부(432)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이 조립되면, 제2 측면부(432)는 제1 측면부(4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부(432)는 제1 측면부(42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 측면부(422)와 제2 측면부(432)가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는 측면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조인트 유닛(440)은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을 연결할 수 있다. 조인트 유닛(440)은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이 조립시에, 제1 구조물(420)을 제2 구조물(4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조인트 유닛(440)은 전면부(421)와 배면부(431)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전면부(421)와 배면부(431)를 연결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는 내부 공간을 유지하면서,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이 강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조인트 유닛(440)은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는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이 조립시에, 서로 만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41)는 제1 구조물(420)에 설치된다. 제1 커넥터(441)는 전면부(421)의 내측에서 배면부(431)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2 커넥터(442)는 제2 구조물(430)에 설치된다. 제2 커넥터(442)는 배면부(431)의 내측에서 전면부(421)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는 각각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가 정렬되면,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은 정확하게 조립된다. 설치자는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를 정렬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를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의 높이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내부 공간의 높이로 설정된다. 내부 공간의 높이가 T로 설정되면,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의 높이의 합도 T로 설정된다.
또한,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가 조립되면, 음향 진동 모듈(410)은 배면부(431)에서 H의 이격 높이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410)과 배면부(431) 사이에는 이격 공간(D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DA)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410)의 진동 과정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410)의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42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조인트 유닛(440)은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를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기 설정된 이격 공간(DA)이 형성된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의 설계자는 설계시에, 각각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에 최적의 이격 높이(H)를 설정하므로, 제1 구조물(420)과 제2 구조물(430)을 조립시에 최적의 이격 높이(H)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치자는 간단하게,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최적의 이격 높이(H)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는 설계자가 설계한 최적의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B의 확대도의 예시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7의 (A)를 보면,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합 부재(ADS)는 쿠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양한 예로서 접합 부재(미도시)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ADS)는 실리콘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가 접합되는 부분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되므로, 접합 부재(ADS)는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7의 (B)를 보면, 제1 커넥터(441")에 제2 커넥터(442")가 삽입되고,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의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41")의 절개된 부위에 제2 커넥터(442")의 돌출된 부위가 삽입되고, 그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제2 커넥터(442")의 절개된 부위에 제1 커넥터(441")의 돌출된 부위가 삽입되고, 그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는 서로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조립되고, 조립된 부분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되므로, 제1 커넥터(441")와 제2 커넥터(442")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조인트 유닛은 은향 액자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A)는 음향 진동 모듈(410A), 제1 구조물(420A), 제2 구조물(430A) 및 조인트 유닛(440A)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물(PL)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A)의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외부에 표현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420A)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 및 제1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구조물(420A)과 별도로 제작된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A)는 설치물(PL)을 제1 구조물(420A)에 장착한 뒤에, 제1 구조물(420A)이 제2 구조물(430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 및 도 9의 내용은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B)는 음향 진동 모듈(410B), 제1 구조물(420B), 제2 구조물(430B) 및 조인트 유닛(440B)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420B)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B)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420B)의 전면부를 커버하거나, 제1 구조물(420B)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설치물(PL)이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B)의 전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B)은 설치물(PL)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음향 진동 모듈(410B)의 진동판은 설치물(PL)의 내측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음향 진동 모듈(410B)의 진동판은 설치물(PL)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B)이 구동되면, 진동이 설치물(PL)로 직접 전달되어, 전면부에 해당하는 설치물(PL)을 통해서 음향이 외부로 전달 될 수 있다.
전면부에 배치된 설치물(PL)은 그 자체가 음향 진동 모듈(410B)에서 생성된 진동을 음향으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음향 진동 모듈(410B)에서 발생한 진동이 설치물(PL)에 전달 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B)과 설치물(PL)이 음향을 외부로 방출하는 스피커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3 및 도 14의 내용은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는 음향 진동 모듈(410C), 제1 구조물(420C), 제2 구조물(430C) 및 조인트 유닛(4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는 제1 구조물(420C)과 제2 구조물(430C)에 의해서 정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는 쿠션 부재(450C)가 배치될 수 있다.
쿠션 부재(450C)는 음향 진동 모듈(410C)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저감하거나,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에서 생성된 소리를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쿠션 부재(450C)는 다공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 부재(450C)는 스펀지, 솜 또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쿠션 부재(450C)는 음향 진동 모듈(410C)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C)이 진동판을 통해서 전방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고, 음향 진동 모듈(410C)의 측면으로 진동이 전달되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쿠션 부재(450C)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의 배면부 및/또는 측면부 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부재(450C)가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에서 생성된 음향이나 진동이, 배면이나 측면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므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는 전방부로 음향을 효과적으로 전달 시킬 수 있다. 즉, 배면이나 측면으로 전달되어 생성되는 노이즈를 없애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400C)의 음향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쿠션 부재(450C)는 음향 진동 모듈(410C)이 배치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피로 배치되어, 음향 진동 모듈(410C)에서 생성되는 진동이 노이즈로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을 조립하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는 쉽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유닛을 이용하여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조립되므로, 설치자가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을 쉽게 정렬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조립되면, 설계자의 설계에 따른 최적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조립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 높이가 설정된다. 이때, 음향 진동 모듈의 공간상의 위치가 정해져서, 설계자가 의도한 최적의 설계 포인트를 만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ⅩⅩⅢ - ⅩⅩⅢ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음향 진동 모듈(510), 제1 구조물(520), 제2 구조물(530) 및 조인트 유닛(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520)은 제2 구조물(530)에 조립되고, 조립된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음향 진동 모듈(510)이 배치된다. 조인트 유닛(540)은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을 연결한다.
음향 진동 모듈(51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일 예로, 음향 진동 모듈(510)은 제1 구조물(52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음향 진동 모듈(510)이 한 쌍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출력, 크기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의 기술적 특징 중에서 전술한 음향 진동 모듈(510)과 공통되는 내용은 약술 또는 생략 하기로 한다.
제1 구조물(52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전방에 배치되며, 기본 틀을 형성한다.
제1 구조물(52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가장 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구조물(520)은 전방을 향하는 면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에지가 배치될 수 있다. 에지에는 복수개의 제1 조립 파트(541)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외부에 표현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물(PL)은 제1 구조물(520)의 전면부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FA)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물(PL)은 전면부 및 제1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치물(PL)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구조물(520)과 별도로 제작된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설치물(PL)을 제1 구조물(520)에 장착한 뒤에, 제1 구조물(520)이 제2 구조물(530)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1 구조물(520)은 중앙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구조물(520)의 에지에 의해서 둘러싸인 부분은 개방되어 음향 진동 모듈(510)이 설치물(PL)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의 진동판이 설치물(PL)에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된 진동은 설치물(PL)에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 전달 매커니즘에 의해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진동 전달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2 구조물(53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후방에 배치되며, 기본 틀을 형성한다. 제2 구조물(530)은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어,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가 외부 구조물(OS)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구조물(530)에는 제1 조립 파트(541)에 대응하는 제2 조립 파트(542)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이 조립시에, 제1 조립 파트(541)는 제2 조립 파트(542)와 조립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2 구조물(530)의 배면에는 센터홀(530C)과 고정홀(530H)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조물(530)의 외부 구조물에 장착시에, 센터홀(530C)을 통해서 배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센터홀(530C)을 통해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를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고정홀(530H)은 제2 구조물(530)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홀(530H)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570)로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이 조립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기 설정된 부피의 내부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빈 공간에 음향 진동 모듈(510), 제어부(550), 전원부(560)가 설치될 수 있다.
조인트 유닛(54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이 방해없이 전방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전방부, 즉 설치물(PL)로 전달되어야 효과적으로 음향이 생성 및 전달 된다. 만약, 음향 진동 모듈(510)에 인접하게 조인트 유닛(540)이 제1 구조물(520)의 전방부와 제2 구조물(530)의 배면부를 연결하면, 생성된 진동이 조인트 유닛(540)을 따라 제2 구조물(53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진동 모듈(510)과 조인트 유닛(540)의 사이의 거리는 멀게 설정하여,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된 진동이 조인트 유닛(540)을 통해서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3의 조인트 유닛의 조립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조인트 유닛(540)은 제1 조립 파트(541)와 제2 조립 파트(5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조립 파트(541)는 제1 구조물(520)에 장착되고, 제2 조립 파트(542)는 제2 구조물(530)에 장착된다.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이 조립되면, 제1 조립 파트(541)는 제2 조립 파트(542)에 장착되어, 제1 구조물(520)이 견고하게 제2 구조물(530)에 연결된다.
조인트 유닛(540)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립 파트(541)는 제1 구조물(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제2 조립 파트(542)는 제2 구조물(5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립 파트(541)는 제1 락커(541B)를 구비하고, 제2 조립 파트(542)는 제2 락커(54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락커(541B)는 제2 락커(542B)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1 조립 파트(541)는 제1 서포터(541A)를 가지고, 제2 조립 파트(542)는 제2 서포터(542A)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포터(541A)는 제1 조립 부재(541C)로 제1 락커(541B)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제1 서포터(541A)는 제1 구조물(520)과 제1 락커(541B)를 연결한다. 음향 특성 저하 또는 노이즈 발생의 감소나 방지를 위하여, 제1 서포터(541A)는 제1 락커(541B)를 제1 구조물(520)에서 이격 시킬 수 있다.
제2 서포터(542A)는 제2 조립 부재(542C)로 제2 락커(542B)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제2 서포터(542A)는 제2 구조물(530)과 제2 락커(542B)를 연결한다. 음향 특성 저하 또는 노이즈 발생의 감소나 방지를 위하여, 제2 서포터(542A)는 제2 락커(542B)를 제2 구조물(530)에서 이격 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1 서포터(541A)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1 서포터(541A)는 서로 제1 락커(541B)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터(541A)는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흡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은 조인트 유닛(5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치물(PL)과 제1 구조물(520)을 통해서, 진동은 제1 조립 파트(54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서포터(541A)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진동이 제1 조립 파트(541)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제2 서포터(542A)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1 서포터(541A)는 서로 제1 락커(541B)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터(542A)는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흡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에서 생성되는 진동은 조인트 유닛(5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치물(PL)과 제1 구조물(520), 제1 조립 파트(541)를 통해서, 진동은 제2 조립 파트(5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서포터(542A)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진동이 제2 조립 파트(542)와 제2 구조물(530)의 배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조인트 유닛(540)은 제1 락커(541B)가 제2 락커(542B)에 삽입되거나, 제2 락커(542B)가 제1 락커(541B)에 삽입되는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보면, 제1 락커(541B)는 오목 홈(C1)을 가지고, 제2 락커(542B)는 볼록 돌기(C2)를 가질 수 있다.
오목 홈(C1)은 볼록 돌기(C2)에 대응되며, 제1 조립 파트(541)와 제2 조립 파트(542)가 서로 조립되면, 볼록 돌기(C2)는 오목 홈(C1)에 삽입된다. 제1 락커(541B)가 제2 락커(542B)에 삽입되면, 오목 홈(C1)은 미끄러지면서 볼록 돌기(C2)에 안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락커(541B)는 볼록 돌기(C2)를 가지고, 제2 락커(542B)는 오목 홈(C1)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조립 파트(541)와 제2 조립 파트(542)가 동시에 조립되므로,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2를 보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부(5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550)는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음향 진동 모듈(510)의 구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를 음향 진동 모듈(510)에 인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550)는 회로 기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550)는 외부의 기기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통신 모듈을 통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가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50)를 통한 음향 특성 저하 또는 노이즈 발생의 감소나 방지를 위하여, 제어부(550)는 제1 구조물(520) 또는 제2 구조물(530)과 이격될 수 있다.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부(56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원부(560)는 제1 구조물(520)과 제2 구조물(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560)는 음향 진동 모듈(510)의 구동을 위한 하나 전력을 인가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배터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형태를 가질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원부(560)를 통한 음향 특성 저하 또는 노이즈 발생의 감소나 방지를 위하여 전원부(560)는 제1 구조물(520) 또는 제2 구조물(530)과 이격될 수 있다.
제어부(550) 및 전원부(560)는 전술한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는 내부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FA)와 외부 구조물(OS)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5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의 내용은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5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을 조립하는 구조를 가지어, 설치자는 쉽고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유닛을 이용하여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조립되므로, 설치자가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을 쉽게 정렬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조립되면, 설계자의 설계에 따른 최적의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조립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 높이가 설정된다. 이때, 음향 진동 모듈의 공간상의 위치가 정해져서, 설계자가 의도한 최적의 설계 포인트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조인트 유닛이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조립되면, 조인트 유닛의 제1 조립 파트와 제2 조립 파트도 조립된다. 복수의 지점에서 제1 조립 파트와 제2 조립 파트가 조립되어, 제1 구조물과 제2 구조물이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와 음향 진동 모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음향 진동 모듈(610)을 지지하는 지지부(640)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640)는 음향 진동 모듈(610)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640)는 음향 진동 모듈(610)의 구동 부재(6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진동판(612)과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음향 진동 모듈(610)의 진동판(612)은 판형으로서 곡선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형과 유사한 가장자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부재(611)는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40)는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은 각각 구동 부재(61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은 각각 구동 부재(611)의 측면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된 절개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은 연결된 형태를 갖고 절개 영역(CA)에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개 영역(CA)을 통하여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의 내측에 구동 부재(611)를 배치할 수 있고, 구동 부재(61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640)는 연결 영역(64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 영역(640E)은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전면부의 일 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구조물(630)의 배면부 또는 측면부의 일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640E)에 대응되도록 전면부의 일면에 돌출된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 부재가 연결 영역(640E)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영역(640E)을 통하여 지지부(640)가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610)을 지지 시에 불필요한 진동 또는 노이즈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640E)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 영역(641)과 연결 영역(640E)의 사이에는 제1 중간 영역(641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중간 영역(641C)은 전면부 또는 제2 구조물(630)의 배면부와 이격될 수 있고, 전술한 것과 같이 연결 영역(640E)이 전면부의 돌출 영역에 연결되어 제1 지지 영역(641)은 전면부 또는 제2 구조물(630)의 배면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610)의 진동판(612)을 통한 진동에 대한 간섭이나 방해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중간 영역(641C)은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곡선 또는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6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지지부(640)의 제1 지지 영역(641)로부터 제1 중간 영역(641C)을 통하여 용이하게 분산되고 완충되어 연결 영역(640E)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610)의 진동판(612)을 통한 진동의 전방으로의 전달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 영역(642)과 연결 영역(640E)의 사이에는 제2 중간 영역(642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중간 영역(642C)은 전면부 또는 제2 구조물(630)의 배면부와 이격될 수 있고, 전술한 것과 같이 연결 영역(640E)이 전면부의 돌출 영역에 연결되어 제2 지지 영역(642)은 전면부 또는 제2 구조물(630)의 배면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610)의 진동판(612)을 통한 진동에 대한 간섭이나 방해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중간 영역(642C)은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곡선 또는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610)에서 발생한 진동이 지지부(640)의 제2 지지 영역(642)으로부터 제2 중간 영역(642C)을 통하여 용이하게 분산되고 완충되어 연결 영역(640E)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610)의 진동판(612)을 통한 진동의 전방으로의 전달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64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금속 또는 세라믹이나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640)와 구동 부재(611)의 측면의 사이에 삽입 부재(648)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648)를 통하여 지지부(640)와 구동 부재(611)간의 이탈이나 불필요한 이격 운동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삽입 부재(648)는 구동 부재(611)의 측면과 제1 지지 영역(641) 및 제2 지지 영역(6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구동 부재(61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 부재(648)는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648)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이 있는 재질 또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삽입 부재(648)는 고무 계열 재질, 실리콘 계열 재질 또는 기타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에 전달된 진동은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될 설치물에도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지지부가 음향 진동 모듈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이 진동 시 불규칙한 진동의 발생 또는 전달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의 진동 시 전면부 및 설치물에서의 진동으로 음향 발생 시 원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진동이 전면부나 배면부 등에서 발생하는 것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에 전달된 소스음의 주파수 특성 등 음향 특성과 음향 액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음향 특성 간의 근접도를 향상하여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느끼는 음향적 만족도를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음향 액자 디바이스
110, 210, 310, 410, 510: 음향 진동 모듈
120, 220, 320, 420, 520: 제1 구조물
430, 530: 제2 구조물
110, 210, 310, 410, 510: 음향 진동 모듈
120, 220, 320, 420, 520: 제1 구조물
430, 530: 제2 구조물
Claims (6)
-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일면이 상기 설치물이 대향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음향 진동 모듈;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를 외부 고정물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설치물에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 설치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액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는,
일면이 상기 설치물이 대향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음향 액자 디바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를 가지는 제1 구조물;
상기 전면부의 타면을 향하는 배면부를 가지는 제2 구조물;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음향 진동 모듈; 및
상기 제1 구조물과 상기 제2 구조물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제1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1 조인트 부재와, 상기 제2 구조물에 장착되는 제2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물이 상기 제2 구조물에 조립되면, 상기 제1 조인트 부재와 상기 제2 조인트 부재가 조립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설치물에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음향 액자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532A KR102530089B1 (ko) | 2021-02-19 | 2021-02-19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PCT/KR2021/011290 WO2022177084A1 (ko) | 2021-02-19 | 2021-08-24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532A KR102530089B1 (ko) | 2021-02-19 | 2021-02-19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9218A true KR20220119218A (ko) | 2022-08-29 |
KR102530089B1 KR102530089B1 (ko) | 2023-06-26 |
Family
ID=8311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532A KR102530089B1 (ko) | 2021-02-19 | 2021-02-19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008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3855A (ko) * | 2010-08-07 | 2012-02-15 | 윤양준 | 자력착탈식 액자 |
KR20150119644A (ko) * | 2014-04-16 | 2015-10-26 | 최병남 | 부착형 액자 앨범 |
KR102003457B1 (ko) * | 2018-04-18 | 2019-07-25 | 주식회사 나팔 | 액자 구조물 |
-
2021
- 2021-02-19 KR KR1020210022532A patent/KR1025300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3855A (ko) * | 2010-08-07 | 2012-02-15 | 윤양준 | 자력착탈식 액자 |
KR20150119644A (ko) * | 2014-04-16 | 2015-10-26 | 최병남 | 부착형 액자 앨범 |
KR102003457B1 (ko) * | 2018-04-18 | 2019-07-25 | 주식회사 나팔 | 액자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0089B1 (ko) | 2023-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31986S1 (en) | Loudspeaker housing | |
AU2007326143B2 (en) |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
US20050238189A1 (en) | Headphone device with surround sound effect | |
HK1008648A1 (en) | Loudspeakers with panel-form acoustic radiating elements | |
KR100882303B1 (ko) | 스피커장치 | |
EP4068804A1 (en) | Loudspeaker, loud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003457B1 (ko) | 액자 구조물 | |
WO2020134314A1 (zh) | 一种扬声器 | |
US20190075400A1 (en) | Membrane for a loud speaker | |
CN109511061A (zh) | 微型发声器件和电子产品 | |
KR20220119218A (ko)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
US6754362B2 (en) | Speaker and speaker system | |
CN214507326U (zh) | 发声单体封装结构、可发声镜腿结构和头戴式显示设备 | |
JP3063297U (ja) | スピ―カの取付構造 | |
US6243478B1 (en) | Flat speakers for personal computer | |
US11765491B2 (en) | Display device and speaker unit | |
US11317194B2 (en) | Speaker | |
JP2545050Y2 (ja) | 電子機器におけるスピーカの取付構造 | |
KR102571188B1 (ko)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
KR102526176B1 (ko) | 음향 액자 디바이스 | |
US20100232629A1 (en) | Sound vibrator having tuning fork | |
EP3644621A1 (en) | Active noise reduction loudspeaker component of headset | |
CN213126468U (zh) | 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 |
JP2024536948A (ja) | スピーカ装置 | |
CN217591028U (zh) | 非对称式音箱麦克风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