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91A - 수경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수경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91A
KR20220118691A KR1020210022421A KR20210022421A KR20220118691A KR 20220118691 A KR20220118691 A KR 20220118691A KR 1020210022421 A KR1020210022421 A KR 1020210022421A KR 20210022421 A KR20210022421 A KR 20210022421A KR 20220118691 A KR20220118691 A KR 2022011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ultivation
hydroponic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김경숙
Original Assignee
김용준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준, 김경숙 filed Critical 김용준
Priority to KR102021002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691A/ko
Publication of KR2022011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에너지만으로 식물의 성장에 최적 상태의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 재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를 지지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복수의 단위모듈이 수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식물을 수용하는 재배모듈;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재배모듈에 배치된 식물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고, 엘이디가 배치된 면의 반대면에 방열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모듈;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재배모듈의 상단으로 공급하는 순환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순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경 재배 장치{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재배 환경을 갖는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경 재배는 일반적으로 식물을 토양에 심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키우는 방법으로, 영양소 공급이 용이하고 청정하게 키울 수 있는 등의 장점이 많이 있으므로 다양한 재배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113913호에 개시된, 재배용액에 의해 부력을 받아 뜨도록 되어 있는 재배판을 구비하여 재배 식물로 재배용액을 공급하는 재배용액의 흐름에 의해 재배판을 재배베드 내에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된 수경 및 양액 재배를 위한 공장형 식물재배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224707호에 개시된, 사방이 폐쇄된 식물 재배용 하우스 내에서 물을 가둘 수 있는 수경재배조가 구비되고, 상기 수경재배조의 물 위에 플로팅 재배용 베드를 띄우고 이 플로팅 재배용 베드에 줄을 메달아 이동시키는 플로팅 수경재배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하우스 또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점에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나,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별도로 준비된 온실에 위치하거나, 하우스 내부의 온도 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난방 시스템과 난방 시스템 가동에 따라 난방비의 추가적인 부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적은 에너지만으로 식물의 성장에 최적 상태의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 재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를 지지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복수의 단위모듈이 수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식물을 수용하는 재배모듈;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재배모듈에 배치된 식물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고, 엘이디가 배치된 면의 반대면에 방열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모듈;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재배모듈의 상단으로 공급하는 순환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순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모듈은: 내부에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면에 형성되고, 몸체 내부의 재배 공간과 연통하며, 재배용 식물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 및 상기 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재배 공간의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관의 일단을 상기 몸체 바닥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바닥에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하단에는 초음파 발생 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중앙홀에 유입된 물을 초음파로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가 장착되는 하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는 상기 중앙홀에 부착되는 진동부와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안착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내부 상단에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셋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센서셋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하단에는 이웃하는 단위모듈의 몸체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부 하단에는 내부 공간을 온도 상승을 위한 가열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모듈에는 하단에 외기가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팬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하여 그 동작인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모듈 상단에는 내부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전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는 커버모듈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내부 공간에 식물이 배치되는 재배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재배모듈에 분무 형태의 물이 공급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지시키고, 또한 식물에 빛을 제공하는 역할과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성장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배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위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순화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명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3에 가열모듈이 장착된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3의 구체적인 구성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고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2)을 형성되는 커버모듈(20), 상기 커버모듈(20)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모듈(30), 상기 커버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모듈(40), 상기 커버모듈(20) 내부에 배치되어 재배용 식물(1)이 식재되는 재배모듈(50), 상기 재배모듈(50)에 물을 순환하는 순환모듈(80),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의 평판으로 구성되며, 상단에는 물을 저장을 위한 수조(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방수처리된 나무 또는 금속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11)는 식재되는 식물(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량과 규격에 따라 그 높이를 적절히 선택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모듈(20)이 결합하여 내부 공간(2)을 형성한다.
즉, 상기 내부 공간(2)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커버모듈(20)에 의하여 외부와 분리된다.
상기 커버모듈(20)은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투명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제조 및 안전 측면에서 유리하나, 필요한 경우 유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20)의 형상은 내부 공간(2)이 형성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나, 원통형상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제조나 설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20)은 빛의 외부 방사를 막기 위하여 원통부 측면 내부에는 거울면으로 포함하는 반사특성의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중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모듈(50)이 설치된다.
상기 재배모듈(50)은 수직의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재배용 식물(1)이 삽입되며, 상단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재배모듈(50)은 원형 단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모듈(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단위모듈(6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모듈(60)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재배 공간(3)이 형성되는 용기 형태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측면에서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재배 공간(3)과 연통하는 안착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62)는 식물(1)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식물(1)은 뿌리 부분이 상기 재배 공간(3)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외부의 내부 공간(2)에 배치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62)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몸체(61)가 원형인 경우 3 내지 5개 정도가 적절하고, 몸체(61)가 다각형인 경우에는 다각형의 변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62)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도는 재배 공간(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설정하면 무방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안착부(62)는 곡선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직선 및 곡선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61)의 하단에는 이웃하는 몸체(61)가 안착되는 결합부(6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3)는 상기 몸체(61)의 내경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되나, 필요한 경우에는 몸체(61)의 외경부가 안착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몸체(61)의 내경부가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내경부에 삽입될 수 있느 크기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단위모듈(60)은 몸체(61) 바닥부 중심에 형성되는 중앙홀(64)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홀(64)에는 초음파 발생 장치(70) 중 진동부(71)가 노출되어 상단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위모듈(60)은 상기 몸체(61) 바닥부에 형성되는 배출관(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65)은 상기 몸체(61) 바닥부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61)가 일정한 수위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일정산 수위 이상의 물은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단에 배치된 단위모듈(60)에 물을 공급하면, 상기 배출관(65)에 의하여 전체 단위모듈(60) 내부의 재배 공간(3)에 물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단위모듈(60)은 하단에 배치되는 초음파 발생 장치(70)를 수용하는 하부몸체(6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66)는 내부에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70)를 수용하며, 하부커버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내부를 밀봉한다.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70)는 상기 중앙홀(64)에 노출되는 진동부(71)와 진동부(71)를 구동하는 구동모듈(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72)은 외부와 연결을 위한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몸체(61) 외면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제어모듈(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선 연결 구성은 몸체(61) 내부에 적절한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 연결되며, 밀봉을 위한 밀봉재 등을 도포하여 저장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안착부(61)에 홈 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에 대응되는 몸체(61) 상단에도 동일한 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전선이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61) 내부에는 센서셋(73)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셋(73)은 온도 또는 습도 또는 양자 모두를 감지하는 센서로 상기 센서셋(73)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70)의 동작의 유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셋(73)은 개별 단위모듈(50)에 모두 장착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최상단의 단위모듈(50)에만 장착하고, 전체를 동시에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셋(73)은 개별 단위모듈(50)마다 장착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동모듈(72)에 연결되고, 전체를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에는 전체 단위모듈(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9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모듈(60)은 상하면에 각각 소켓과 돌기를 각가 구비하고, 상기 소켓과 돌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모듈(60)을 적층하는 경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연결선으로 상기 구동모듈(72)과 상기 센서셋(73)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필요한 경우 제어 신호 등일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과 돌기는 방수 특성을 부가하여 단순히 단위모듈(60)을 적층하는 것만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하단 또는 상단의 단위모듈(60)만 제어모듈(90)에 연결되면, 전체 단위모듈(60)을 상기 제어모듈(90)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모듈(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재배모듈(50)의 상단의 재배모듈(3)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11)에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81)과 상기 흡입관(81)에 연결되는 펌프(82) 그리고 상기 펌프(82)에서 흡입된 물을 상기 재배모듈(50) 상단으로 배출하는 공급관(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물 순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펌프(82)를 구동하며, 상기 펌프(82)는 제어모듈(90)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단순히 별도의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80)의 펌프(82)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흡입관(81)은 수조(11)와 펌프(82)를 연결하고, 공급관(83)은 상기 펌프(82)에서 출발하여 상기 재배모듈(50)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모듈(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조명(31)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조명(31)은 하나의 단위모듈(60)에 형성된 안착부(61)와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며, 또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61)에 안착된 식물(1)에 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위조명(31)은 상기 안착부(61) 방향으로 엘이디가 배치되고, 반대 위치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사하는 방열부가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내부공간(2)의 온도가 상기 방열부에 의하여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는 RGB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RGB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여 해당 식물(1)에 가장 유리한 파장의 빛을 방사하는 형태로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모듈(30) 역시 제어모듈(90)을 통하여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모듈(30)은 내부 공간(1)에 습한 환경의 내부 공간(2)에 배치되므로, 방수 특성이 있는 제품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모듈(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모듈(20) 내부 하단에 배치되어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내부 공간(2)의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며, 탄소발열장치와 같은 면발열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모듈(40)은 상기 조명모듈(30)이 가동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간(2)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현되므로, 보조 장치로 활용하고, 야간 또는 상기 조명모듈(3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발열장치로 구동하여 내부 공간(2)의 온도 유지하도록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2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형성되는 유입홀(21)과 상단에 형성된 홀에 배치되는 환기팬(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팬(22)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21)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환기팬(22)을 통하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내부공간(2)의 공기를 순환시켜 배치된 식물(1)들의 광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20) 상단에는 전체 내부공간(2)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수 있는 전체센서(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체센서(23)에서 감지되는 값은 제어모듈(90)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9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셋(73), 전체센서(23), 초음파 발생 장치(70), 센서셋(73), 순환모듈(80), 조명모듈(30), 가열모듈(40) 및 환기팬(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센서셋(73), 전체센서(23) 및 사용자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70), 센서셋(73), 순환모듈(80), 조명모듈(30), 가열모듈(40) 및 환기팬(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90)은 커버모듈(20) 외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9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경 재배 장치(100)와 연결하여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은 제어모듈(90)의 공유하므로, 전체 장치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100)는 내부 공간(2)의 습도 조절, 물의 공급, 빛의 제공 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딸기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식물들의 재배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식물 공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70)를 통하여 저장된 물을 분무 형태로 식물(1)의 뿌리에 제공하여 일반적인 방식에 비하여 빠른 식물의 생장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재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식물 2: 내부 공간
3: 재배 공간 10: 베이스
11: 수조 20: 커버모듈
21: 유입홀 22: 환기팬
23: 전체센서 30: 조명모듈
31: 단위조명 40: 가열모듈
50: 재배모듈 60: 단위모듈
61: 몸체 62: 안착부
63: 결합부 64: 중앙홀
65: 배출관 66: 하부몸체
70: 초음파 발생 장치 71: 진동부
72: 구동모듈 73: 센서셋
80: 순환모듈 81: 흡입관
82: 펌프 83: 공급관
90: 제어모듈 100: 수경 재배 장치

Claims (11)

  1.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 재배 장치에 있어서,
    전체 장치를 지지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복수의 단위모듈이 수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식물을 수용하는 재배모듈;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재배모듈에 배치된 식물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고, 엘이디가 배치된 면의 반대면에 방열부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모듈;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재배모듈의 상단으로 공급하는 순환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순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은:
    내부에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면에 형성되고, 몸체 내부의 재배 공간과 연통하며, 재배용 식물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 및
    상기 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재배 공간의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을 상기 몸체 바닥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닥에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하단에는 초음파 발생 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중앙홀에 유입된 물을 초음파로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가 장착되는 하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는 상기 중앙홀에 부착되는 진동부와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안착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 상단에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셋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센서셋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단에는 이웃하는 단위모듈의 몸체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의 내부 하단에는 내부 공간을 온도 상승을 위한 가열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에는 하단에 외기가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하여 그 동작인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 상단에는 내부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전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재배 장치.
KR1020210022421A 2021-02-19 2021-02-19 수경 재배 장치 KR20220118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21A KR20220118691A (ko) 2021-02-19 2021-02-19 수경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21A KR20220118691A (ko) 2021-02-19 2021-02-19 수경 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91A true KR20220118691A (ko) 2022-08-26

Family

ID=8311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21A KR20220118691A (ko) 2021-02-19 2021-02-19 수경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6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85B1 (ko) * 2022-09-27 2022-12-26 주식회사 소셜텍 밀폐형 구조의 소형 수경 재배장치
KR102606046B1 (ko) * 2023-07-27 2023-11-29 주식회사 소셜텍 음파 발생기를 갖는 밀폐 구조의 수직형 수경 재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85B1 (ko) * 2022-09-27 2022-12-26 주식회사 소셜텍 밀폐형 구조의 소형 수경 재배장치
KR102606046B1 (ko) * 2023-07-27 2023-11-29 주식회사 소셜텍 음파 발생기를 갖는 밀폐 구조의 수직형 수경 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152B2 (en) Plant growth system
US20160360712A1 (en) Grow lighting and agricultural systems and methods
CN203788814U (zh)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KR20220118691A (ko) 수경 재배 장치
US20210176934A1 (en) Integrated hydroponic plant cultiv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398928B1 (ko) 양액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102650746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65888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150004641U (ko) 식물재배장치
KR102176107B1 (ko) 식물 재배 장치
WO2016175122A1 (ja) 実験装置
KR20190128829A (ko) 조명 발광 에너지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101868743B1 (ko)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463982B1 (ko) Led조명을 구비한 식물재배장치
US11723318B2 (en) Indoor plant-growing system
KR101858335B1 (ko) 스마트 미니 텃밭
KR20120060096A (ko) 화분장치
CN113243290A (zh) 多功能植物灯花盆
KR102526204B1 (ko) 스마트 식물재배 시스템
US20220117180A1 (en) Personal growing system
JP2011030478A (ja) 生物育成用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
KR20230045907A (ko) 광 조사 거리조절이 가능한 포그포닉 스마트팜
KR102104459B1 (ko) 천장에 설치되는 역전형 식물재배 시스템
KR20170010696A (ko) Led램프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KR102495842B1 (ko) 측광을 통한 식물의 생장이 가능한 식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