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69A - 공기 윤활 선박 - Google Patents

공기 윤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69A
KR20220118669A KR1020210022365A KR20210022365A KR20220118669A KR 20220118669 A KR20220118669 A KR 20220118669A KR 1020210022365 A KR1020210022365 A KR 1020210022365A KR 20210022365 A KR20210022365 A KR 20210022365A KR 20220118669 A KR20220118669 A KR 2022011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ll
intakes
ship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선
김은석
이은세
김별
Original Assignee
대한조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조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조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669A/ko
Publication of KR2022011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63B2001/387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using means for producing a film of air or air bubbles over at leas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h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윤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 선체의 선저부에 위치하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공기 흡입부와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및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선체의 선저부에 가두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면서 선저부에 공기 공급이 원활하여 마찰 저항을 충분히 줄이며, 별도의 컴프레서의 가동이 불필요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윤활 선박{AIR LUBRICATION VESSEL}
본 발명은 공기 윤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수부에 공기 흡입구가 마련되어 선저부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선박 운항에서 해수 마찰을 줄이는 공기 윤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항해 시에는 선체의 표면과 물 사이에 마찰저항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저항은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선박의 항해시의 마찰저항의 감소는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선박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 선저부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그 오목한 부분에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 캐비티를 형성시켜, 선박의 접수 표면적을 감소시키는 에어 캐비티 선박(Air Cavity Vessel), 공기 공동 선박 또는 공기 윤활 선박(Air Lubrication Vessel)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선박에서는, 선저부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오목한 공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종방향 구획 부재를 설치하여, 선저부와 종방향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공간부를 형성한다. 구획공간부의 전단에는 구획공간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저부에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윤활 선박의 경우, 선저부의 형상을 오목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선저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고압 컴프레서를 가동해야 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5775호 (공기 윤활 장치, 2014.12.2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253호 (가동 부재를 갖는 공기 공동 선박, 2013.09.04.)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하면서 선저부에 공기 공급이 원활하여 마찰 저항을 충분히 줄이며, 별도의 컴프레서의 가동이 불필요한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및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가두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상기 선체의 빌지 라인을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상기 선체의 선저부 양측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출몰 작동시키는 가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하 위치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된 경우의 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의 만재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부터 1/4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 및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가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에 대응하여 한 쌍씩 합류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합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 대해 상이한 경사 각도로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선저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엔진룸 에어라인; 및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엔진룸 에어라인에 연결되는 가압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룸 에어라인은, 엔진룸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공기 배출구는,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보다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는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선저부에 별도의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선저부에 가둘 수 있는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제조가 간단하면서 선저부에 공기 공급이 원활하여 마찰 저항을 충분히 줄일 수 있는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공기를 선저부에 가두도록 하는 플레이트를 빌지 라인을 따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가 빌지킬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플레이트를 출몰 작동시키도록 하는 가동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공기 윤활 기능이 필요한 경우나 빌지킬의 역할이 필요한 경우에 플레이트를 돌출시키고, 반대로 이들 기능이나 역할이 필요 없는 경우 플레이트를 선체 내로 삽입시켜 불필요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위치를 공기와 해수가 함께 흡입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자연 형태의 공기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공기 흡입부의 구성을 화물이 적재된 경우의 흘수선에 맞춰 형성된 제1 공기 흡입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에 맞춰 형성된 제2 공기 흡입구로 구성하여, 화물이 적재된 경우 제2 공기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선저부로 분사하는 형태로 추진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밸러스트 상태의 경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추가의 공기를 선저부로 분사하는 형태로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가압공기 배출부를 추가 형성하여 선저부에 공기 윤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 엔진룸에 설치된 에어컴프레서로부터 압축공기를 선저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컴프레서의 가동이 불필요한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선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흡입부를 나타낸 선수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배출부를 나타낸 선체 선저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라인을 나타낸 선체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레이트와 가동수단을 나타낸 선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선박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공기 흡입부를 나타낸 선수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 배출부를 나타낸 선체 선저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선박은, 선체(10), 선체(10)의 선수부(11)에 위치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100), 선체(10)의 선저부(12)에 위치하며 공기 흡입부(100)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110), 공기 흡입부(100)와 공기 배출부(110)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120), 및 공기 배출부(1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선체(10)의 선저부(12)에 가두는 플레이트(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부(100)는 선박의 운항 시에 선수부(11) 측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선저부(12) 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버블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되도록 선수부(11)에서 해수면 경계로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공기 흡입부(100)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유입 가능한 유입 개구로서, 일예로 유선형을 갖는 곡면 형상의 선수 하부에서, 조파 저항을 줄이기 위한 구상선수(15)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흡입부(100)는, 선체(10)의 화물 적재 상태에 따른 흘수선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화물이 적재된 경우에 사용되는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10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는 화물 적재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도록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102)는 밸러스트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도록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만재흘수선에 형성되는데, 만재흘수선의 높이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보다 높으므로, 선수부(11)에서 제2 공기 흡입구(102)보다 상측으로 위치하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102)는 밸러스트수의 사용 상태, 즉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에 해당하므로, 만재흘수선의 형성되는 제1 공기 흡입구(101)보다 하측, 바람직하게는 구성선수(15) 상측에 더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처럼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는 상대적으로 제2 공기 흡입구(102)보다 높게 위치하며, 제2 공기 흡입구(102)는 제1 공기 흡입구(101)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와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102)는 각각 상하 위치로 서로 대응하며, 제1 공기 흡입구(101)와 제2 공기 흡입구(102)가 4개씩 배치된 경우에, 상하 위치로 1줄씩 위치하며, 선체(10)의 곡면부에서 상하 라인을 따라 쌍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적재 시에는 제1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해수와 함께 공기가 버블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되고 선저부(12)로 공급되는 동시에, 제1 공기 흡입구(101)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 즉,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 위치에 있는 제2 공기 흡입구(102)를 통해 해수가 추가로 흡입되어 선저부(12)로 분사되는 형태로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밸러스트 상태 시에는 제1 공기 흡입구(101)와 제2 공기 흡입구(102)가 모두 해수면 경계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제1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 공기가, 제2 공기 흡입구(102)를 통해 해수와 함께 공기가 버블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되고 선저부(12)로 공급되므로, 더 많은 공기가 흡입되어 선저부(12)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10)는, 선수부(11)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선수부(11)에서 상이한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는 각각 다른 위치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는 선수부(11) 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형성되어 공기 흡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해수를 함께 배출하는 것으로서, 선저부(12)에서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로 위치함으로써 선저부(12)의 선미까지 균일한 공기 윤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기 흡입구(101)와 제2 공기 흡입구(102)가 선체(10)의 곡면부에서 상하 라인을 따라 쌍으로 배치되어 4개씩 배치된 경우에,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위치한 2개의 제1 공기 흡입구(101) 및 2개의 제2 공기 흡입구(102)에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선저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외곽부에 위치한(즉, 좌현과 우현에 치우친 위치에 위치한) 2개의 제1 공기 흡입구(101) 및 2개의 제2 공기 흡입구(102)에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선저부(12)의 각각 좌현과 우현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체(10)의 선저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선저부(12)의 좌현과 우현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배출구(111)보다 선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선수부(11) 측으로부터 대략 1/4 지점에 마련될 수 있고, 선박이 화물의 운반선인 경우 가장 선수부(11) 측에 위치한 1번 화물탱크가 위치한 선저부(12)의 선수부(11) 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라인을 나타낸 선체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라인(120)은,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 및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101)와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102)가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에 대응하여 한 쌍씩 합류하도록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에 연결되는 복수의 합류 파이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는 복수의 제1, 2 공기 흡입구(101, 102)와 공기 배출구(111)를 연결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체(10)의 이동과 해수 낙차에 따른 공기 압력에 의해 공기가 선저부(12)로 쉽게 유동되어 배출되도록 직선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는 직선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되 복수의 공기 배출구(111)에 대해 서로 상이한 경사 각도로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 배출구(111)의 위치가 상하 및 선수에 대해 이격된 직선거리가 상이하도록 공기유입 파이프(121)들은 선체(10) 내부에서 다른 경사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10)의 선저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선저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선체(10)의 선저부(12)의 좌현과 우현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배출구(111)는 선체(10)의 선저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공기 배출구(111)보다 선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공기유입 파이프(121)의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121)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공기 유속이 증가되되, 선저부(12) 측으로 공기 유출의 저항이 방해되지 않는 수준에서 구경의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공기의 배출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공기 흡입구(101, 102) 및/또는 공기 배출구(111)에 메쉬형태의 필터를 추가 설치하여 이물질이 파이프라인(120)으로 투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공기 흡입구(101, 102) 및/또는 공기 배출구(111)는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공기 윤활 기능이 필요한 경우, 밸러스트 상태에서의 공기 윤활 기능이 필요한 경우 등 각각에 맞춰 복수의 공기 흡입구(101, 102) 및/또는 공기 배출구(111)를 개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선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룸의 가압공기를 선체(10)의 선저부(12)로 배출하도록 엔진룸에 연결되는 엔진룸 에어라인(130), 및 선체(10)의 선저부(12)에 위치하며, 엔진룸 에어라인(130)에 연결되는 가압공기 배출부(131)가 더 포함된다. 이때 가압공기 배출부(131)는 공기 배출부(110)보다 선수부(11) 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엔진룸 에어라인(130)은 종래 엔진룸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서라인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에어컴프레서로부터 투입되는 공기는 그 양이 공기 흡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11)보다 더 선수쪽으로 배치되는 가압공기 배출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선체(10)의 상부 데크에는 엔진룸의 에어컴프레서로부터 압축공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라인이 선수부(11)까지 연결되어 있는 데, 이 라인을 분기시켜 선저부(12)로 투입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에어컴프레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에어컴프레서 설치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플레이트와 가동수단을 나타낸 선체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의 선저부(12) 양측에 출몰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40), 및 플레이트(140)를 출몰 작동시키는 가동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가동수단(150)은 공기 배출부(1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저부(12)에 가두도록 플레이트(140)를 선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치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40)는 빌지 라인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선체(10)의 횡 요동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체(10)의 하부 양측으로 선체(10) 선저부(12)로 투입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선체(10) 선저부(12)에 대한 공기 윤활을 지속시키는 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빌지킬을 제거하고 플레이트(140)만을 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140)만으로 빌지킬의 역할과 공기 윤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가동수단(150)은 일예로, 플레이트(140)를 선체(10)의 외부로 밀어내거나 내부로 당기는 유압실린더(151) 또는 유압실린더(151)와 같은 작용력을 제공하는 전동실린더나 전동 또는 유압모터 및 기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140)를 선체(10)로부터 출몰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공기 윤활 선박의 구성에 의해서, 선저부에 별도의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선저부에 가둘 수 있는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제조가 간단하면서 선저부에 공기 공급이 원활하여 마찰 저항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선저부에 가두도록 하는 플레이트를 빌지 라인을 따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플레이트가 빌지킬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출몰 작동시키도록 하는 가동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공기 윤활 기능이 필요한 경우나 빌지킬의 역할이 필요한 경우에 플레이트를 돌출시키고, 반대로 이들 기능이나 역할이 필요 없는 경우 플레이트를 선체 내로 삽입시켜 불필요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위치를 공기와 해수가 함께 흡입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자연 형태의 공기 버블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부의 구성을 화물이 적재된 경우의 흘수선에 맞춰 형성된 제1 공기 흡입구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에 맞춰 형성된 제2 공기 흡입구로 구성하여, 화물이 적재된 경우 제2 공기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선저부로 분사하는 형태로 추진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밸러스트 상태의 경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추가의 공기를 선저부로 분사하는 형태로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압공기 배출부를 추가 형성하여 선저부에 공기 윤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 엔진룸에 설치된 에어컴프레서로부터 압축공기를 선저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컴프레서의 가동없이도 공기 윤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선체 11: 선수부
12: 선저부 15: 구상선수
100: 공기 흡입부 101, 102: 제1 및 제2 공기 흡입구
110: 공기 배출부 111: 공기 배출구
120: 파이프라인 121: 공기유입 파이프
122: 합류 파이프 130: 엔진룸 에어라인
131: 가압공기 배출부 140: 플레이트
150: 가동수단 151: 유압실린더

Claims (15)

  1. 선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및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가두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윤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상기 선체의 빌지 라인을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기 윤활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상기 선체의 선저부 양측에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출몰 작동시키는 가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 윤활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하 위치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윤활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된 경우의 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의 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윤활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밸러스트 상태에서 해수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윤활 선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는 상기 선체의 만재흘수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 윤활 선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윤활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부터 1/4 지점에 마련되는 공기 윤활 선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 및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가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에 대응하여 한 쌍씩 합류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합류 파이프를 포함하는, 공기 윤활 선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 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 대해 상이한 경사 각도로 대응하여 배치되는, 공기 윤활 선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저부로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엔진룸 에어라인; 및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엔진룸 에어라인에 연결되는 가압공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윤활 선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에어라인은, 엔진룸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서 라인과 연결되는, 공기 윤활 선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공기 윤활 선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공기 흡입구, 상기 복수의 제2 공기 흡입구 및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는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공기 윤활 선박.
KR1020210022365A 2021-02-19 2021-02-19 공기 윤활 선박 KR20220118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65A KR20220118669A (ko) 2021-02-19 2021-02-19 공기 윤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65A KR20220118669A (ko) 2021-02-19 2021-02-19 공기 윤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69A true KR20220118669A (ko) 2022-08-26

Family

ID=8311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65A KR20220118669A (ko) 2021-02-19 2021-02-19 공기 윤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6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253A (ko) 2013-07-30 2013-09-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동 부재를 갖는 공기 공동 선박
KR20140145775A (ko) 2013-06-14 2014-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윤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775A (ko) 2013-06-14 2014-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윤활 장치
KR20130098253A (ko) 2013-07-30 2013-09-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동 부재를 갖는 공기 공동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649B1 (ko) 수밀수단이 설치된 공기 공동 선박
CN102514693B (zh) 用于当船在海中航行时更换船的压载舱中的压舱水的方法
EP2088075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CN102224064A (zh) 船体摩擦阻力降低装置
CN113386900A (zh) 一种兼具消防、舱底和压载功能的船舶水系统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960010527B1 (ko) 화물유(油) 누출방지용 유조선
JP6608584B2 (ja) 船舶
KR20220118669A (ko) 공기 윤활 선박
KR101698863B1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101012646B1 (ko) 공기 공동 선박
KR20200137954A (ko) 선박
US20170191504A1 (en) Static bilge pump
KR101167935B1 (ko) 해수교환이 가능한 선박
US7281480B2 (en) Frictionally reduced hull
CN106163912A (zh) 在船舶的底板凸出于海水的空气喷射装置
HRP20031082A2 (en) Installation for the recovery of polluting fluid contained in at least one transverse section in tanks of a sunken vessel
KR101815313B1 (ko) 선박용 발라스트 탱크 배치구조
US11964732B2 (en) Marine surface vessel comprising an air ventilated hull
KR101422608B1 (ko) 선박의 밸러스트수 배출장치
CN116729545B (zh) 一种原油船的储油系统
JP2019123282A (ja) 気泡生成装置
KR20200081991A (ko) 공기챔버 및 공기챔버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CN110550147A (zh) 一种货船
KR20210105871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