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219A - 멀티웨이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웨이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219A
KR20220118219A KR1020210022098A KR20210022098A KR20220118219A KR 20220118219 A KR20220118219 A KR 20220118219A KR 1020210022098 A KR1020210022098 A KR 1020210022098A KR 20210022098 A KR20210022098 A KR 20210022098A KR 20220118219 A KR20220118219 A KR 2022011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ver
opening
valve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791B1 (ko
Inventor
김경환
이문섭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7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밸브모듈과 워터펌프가 일체화되고, 커버를 통한 유로 형성 및 워터펌프 간의 결합을 통해 밸브 구조의 전체 사이즈가 축소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멀티웨이밸브 장치 {MULTIWAY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유통경로로 냉각수를 분배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공해문제의 심각화, 화석 연료의 고갈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그 개발이 다시 가속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에서는 인버터와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LDC 및 충전기등이 구비되고, 이들의 발열특성으로 인해 적정한 온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냉각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냉각계에는 냉각수 순환을 위한 워터펌프가 구비되고, 워터펌프에서 토출된 냉각수는 모터와 이에 관련된 전장기기들을 경유한 후 히트소스를 거쳐 순환됨으로써 발열특성을 갖는 각종 전장기기들이 과온으로부터 보호된다.
다만, 최근에는 히트펌프와 같이 냉각수의 효율적인 순환을 위한 구성들이 추가되고, 각 냉각계가 요구하는 냉각 온도에 상이함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냉각수를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냉각 온도를 요구하는 각 냉각계들에 냉각수를 분배할 경우, 워터펌프, 밸브 등이 복수개 구성되어야 하는데, 구성이 복잡해지고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102939 A (2010.09.2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냉각수가 구분되어 각 냉각계에서 요구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유통시키는 멀티웨이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부를 가지며 독립된 밸브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디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바디의 측면을 따라 밸브공간과 연통된 유통포트 및 워터펌프를 커버링하는 커버링부가 형성된 하우징; 바디의 밸브공간에 각각 내장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바디의 커버링부와 유통포트 간의 냉각수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복수의 밸브; 및 바디의 개방부에 각각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하며, 측면에 하우징의 커버링부와 연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고, 개통홀을 통해 유통포트와 워터펌프 사이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한 쌍의 바디로 구성되고, 한 쌍의 바디가 일직선상에 일체로 결합되어 각 바디의 개방부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바디의 개방부는 밸브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밸브가 개방부를 통해 바디의 밸브공간으로 삽입되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링부는 바디의 측면에서 유통포트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커버의 개통홀과 연통되도록 관통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커버에 결합되고, 각 바디를 관통하여 각 밸브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밸브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는 측면에 유통포트와 연통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회전축이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타측단이 개통홀에서 중앙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서 회전기구의 반대편 바디에 결합된 커버에는 회전축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커버에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각각의 바디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단부가 형성되고, 연결단부에는 관통되는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는 바디의 개방부를 덮도록 형성된 폐쇄단부와, 폐쇄단부의 둘레에서 바디의 개방부를 향해 연장되어 내측으로 유로공간을 형성하고 둘레면에 개통홀이 형성되는 연장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는 연장단부가 바디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커버링부와 매칭되고, 말단이 밸브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밸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는 폐쇄단부와 연장단부의 내측단이 개통홀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냉각수의 유동흐름이 굴곡면을 따라 개통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멀티웨이밸브 장치는 밸브모듈과 워터펌프가 일체화되고, 커버를 통한 유로 형성 및 워터펌프 간의 결합을 통해 밸브 구조의 전체 사이즈가 축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웨이밸브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웨이밸브 장치의 밸브, 커버, 회전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웨이밸브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웨이밸브 장치의 밸브, 커버, 회전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이밸브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부(111)를 가지며 독립된 밸브공간(A1)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디(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바디(110)의 측면을 따라 밸브공간(A1)과 연통된 유통포트(120) 및 워터펌프(500)를 커버링하는 커버링부(130)가 형성된 하우징(100); 바디(110)의 밸브공간(A1)에 각각 내장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바디(110)의 커버링부(130)와 유통포트(120) 간의 냉각수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복수의 밸브(200); 및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각각 결합되어 개방부(111)를 폐쇄하며, 측면에 하우징(100)의 커버링부(130)와 연통되는 개통홀(310)이 형성되고, 개통홀(310)을 통해 유통포트(120)와 워터펌프(500) 사이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커버(300);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우징(100)은 밸브공간(A1)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디(110)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바디(110)의 밸브공간(A1)에 밸브(200)가 내장되고, 각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커버(300)가 결합되어 개방부(111)를 폐쇄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밸브공간(A1)과 연통된 유통포트(120)와 워터펌프(500)를 커버링하는 커버링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유통포트(120)에는 냉각수리저버 또는 다른 냉각계부품을 순환한 냉각수가 유통되도록 연결되고, 커버링부(130)에는 워터펌프(500)가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100)과 워터펌프(50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펌프(500)가 동작되고 밸브(200)의 회전 위치가 결정되면, 유통포트(120), 밸브공간(A1), 워터펌프(500)로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다.
한편, 바디(110)의 개방부(111)에는 커버(300)가 장착되어 개방부(111)를 폐쇄하며, 개통홀(310)을 통해 커버링부(130)와 연통됨에 따라 유통포트(120)와 워터펌프(500) 사이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커버(300)가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삽입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강성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은 복수의 바디(110)가 구성되고, 각각의 바디(110)에 밸브(200), 워터펌프(500), 커버(300)가 장착되어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특히, 하나의 하우징(100)으로 서로 다른 경로에 냉각수가 순환되며, 워터펌프(500)가 복수개 적용되더라도 하나의 하우징(100)에 일체화됨에 따라 전체 사이즈가 축소되어 레이아웃상 유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한 쌍의 바디(110)로 구성되고, 한 쌍의 바디(110)가 일직선상에 일체로 결합되어 각 바디(110)의 개방부(11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바디(110)는 대칭되는 방향으로 독립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바디(110)는 측면에 각각 유통포트(120)와 커버링부(130)가 형성되고, 각각 밸브(200)가 내장되며, 각 개방부(111)에 각각 커버(300)가 결합된다.
각 바디(110)에 형성되는 커버링부(130)는 바디(110)의 측면에서 유통포트(120)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커버(300)의 개통홀(310)과 연통되도록 관통포트(1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링부(130)와 유통포트(120)의 이격 위치는 커버링부(130)에 장착되는 워터펌프(500)와 유통포트(120)에 연결되는 냉각계 부품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0)에는 각 바디(110)의 커버링부(130)에 워터펌프(500)가 각기 장착됨으로써, 워터펌프(500)의 동작시 냉각수가 유통포트(120), 밸브(200), 커버(300)의 개통홀(310), 관통포트(131)를 통해 형성된 냉각수 유통경로로 유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바디(110)가 복수개 구성됨에 따라, 각 워터펌프(500)의 동작시 각 바디(110)에 유통되는 냉각수가 서로 다른 유통경로로 순환될 수 있다.
한편, 각 바디(110)의 개방부(111)는 밸브(200)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밸브(200)가 개방부(111)를 통해 바디(110)의 밸브공간(A1)으로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다.
밸브(200)는 바디(110)의 개방부(111)를 통해 삽입되어 밸브공간(A1)에 내장된다. 이에 따라, 각 바디(110)의 개방부(111)는 밸브(200)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밸브(200)가 바디(110)의 밸브공간(A1)으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커버(300)에 결합되고, 각 바디(110)를 관통하여 각 밸브(200)에 연결되는 회전축(410)이 구비되어 밸브(20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기구(400);를 더 포함한다.
회전기구(40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 동작에 의해 회전축(410)이 회전되어 각 밸브(200)의 회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기구(400)는 커버(300)를 매개로 한 쌍의 바디(11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회전축(410)이 각 바디(110)를 관통하여 각 밸브(200)에 연결된다. 즉, 하우징(100)은 한 쌍의 바디(110)가 일직선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기구(400)의 회전축(410)이 각 바디(110)를 직선상으로 관통하여 각 밸브공간(A1)에 마련된 각각의 밸브(200)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회전축(410)으로 복수개의 밸브(200)를 동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각각의 바디(110)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단부(140)가 형성되고, 연결단부(140)에는 관통되는 회전축(410)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부(141)가 구비된다. 즉, 한 쌍의 바디(110)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단부(140)를 매개로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결단부(140)에는 베어링부(141)가 마련되어, 회전축(410)이 베어링부(141)에 회전 지지됨에 따라 회전축(410)의 회전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연결단부(140)에는 베어링부(141)의 양측으로 씰링부재가 마련되어, 각 바디(110) 간에 냉각수가 유통되지 않도록 기밀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서 회전기구(400)의 반대편 바디(110)에 결합된 커버(300)에는 회전축(410)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회전축(410)이 커버(300)에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즉, 각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결합되는 각각의 커버(300) 중 어느 하나의 커버(300)에는 회전기구(400)가 결합되며 회전축(4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반대편의 다른 하나의 커버(300)에는 회전축(410)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축(4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선단과 말단이 각 커버(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단이 연결단부(140)에 마련된 베어링부(14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작동 안성적이 확보된다.
이처럼, 회전기구(400)는 커버(300)에 일체로 구성되어,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커버(300)를 결합시 회전기구(400)도 함께 하우징(100)에 장착됨에 따라 하우징(100), 커버(300), 밸브(200), 회전기구(400)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회전기구(400)의 회전축(410)이 한 쌍의 바디(110)에 관통되어 각각의 바디(110)에 모두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회전기구(400)로 복수개의 밸브(20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00)는 측면에 유통포트(120)와 연통되는 개구홀(210)이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중앙부(220)에 회전축(410)이 관통 결합된다.
즉, 밸브(200)는 바디(110)의 밸브공간(A1)에 내장된 상태에서 바디(110)의 개방부(111)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200)의 중앙부(220)에는 회전축(410)이 관통되게 결합됨으로써, 밸브(200)의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밸브(200)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타측단이 개통홀(310)에서 중앙부(220)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밸브(200)는 폐쇄되는 부분이 타측단일 경우, 타측단은 개구홀(210)의 타측으로부터 중앙부(220)까지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됨에 따라, 유통포트(1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타측단의 굴격면을 따라 개방부(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200)의 타측단이 곡률을 가지고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통포트(1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밸브(200) 내부에서 경사면을 따라 커버링부(130)측으로 원활히 이동됨으로써, 밸브(200) 내에서 냉각수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된다.
한편,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는 바디(110)의 개방부(111)를 덮도록 형성된 폐쇄단부(300a)와, 폐쇄단부(300a)의 둘레에서 바디(110)의 개방부(111)를 향해 연장되어 내측으로 유로공간(A2)을 형성하고 둘레면에 개통홀(310)이 형성되는 연장단부(300b)로 구성된다.
즉, 커버(300)는 폐쇄단부(300a)와 연장단부(300b)로 구성되어 밸브공간(A1)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300)는 내측으로 유로공간(A2)을 형성하며,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결합시 연장단부(300b)에 형성된 개통홀(310)이 커버링부(130)에 매칭되고 유로공간(A2)이 밸브공간(A1)과 공유됨으로써, 유통포트(1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개통홀(310)을 통해 워터펌프(500)측으로 유통될 수 있다. 여기서, 폐쇄단부(300a)의 경우 직경이 바디(110)의 개방부(111)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버(300)가 바디(110)에 원활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300)는 연장단부(300b)가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삽입되어 커버링부(130)와 매칭되고, 말단이 밸브(20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밸브(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커버(300)의 연장단부(300b)는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며, 측면에 개통홀(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300)의 연장단부(300b)는 바디(110)의 개방부(111)에 삽입시, 연장단부(300b)의 말단이 밸브(200)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밸브(200)의 회전 동작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즉, 연장단부(300b)의 말단은 밸브(200)에서 개방된 부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밸브(200)가 연장단부(300b)의 말단에 안착된다. 이와 더불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0)에는 밸브(200)에 접촉되도록 접촉단부(150)가 형성되고, 밸브(200)에도 하우징(100)에 접촉되도록 돌출단부(230)가 형성되어, 밸브(2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폐쇄단부(300a)와 연장단부(300b)의 내측단이 개통홀(310)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냉각수의 유동흐름이 굴곡면(330)을 따라 개통홀(310)로 안내된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커버(300)의 폐쇄단부(300a)와 연장단부(300b)의 내측면은 개통홀(310)측으로 완만한 굴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유통포트(120)를 통해 유입되어 밸브(200)를 통과한 냉각수가 커버(300)에 도달시, 폐쇄단부(300a)와 연장단부(300b)의 굴곡면(330)을 따라 개통홀(310)측으로 이동되어 냉각수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멀티웨이밸브(200) 장치는 밸브(200)모듈과 워터펌프(500)가 일체화되고, 커버(300)를 통한 유로 형성 및 워터펌프(500) 간의 결합을 통해 밸브(200) 구조의 전체 사이즈가 축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바디
111:개방부 120:유통포트
130:커버링부 131:관통포트
140:연결단부 141:베어링부
200:밸브 210:개구홀
220:중앙부 300:커버
310:개통홀 320:삽입홈
300a:폐쇄단부 300b:연장단부
400:회전기구 410:회전축
A1;밸브공간 A2:유로공간
하우징- 접촉단부(150)
밸브- 돌출단부(230)
커버 - 굴곡면(330)

Claims (12)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부를 가지며 독립된 밸브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디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바디의 측면을 따라 밸브공간과 연통된 유통포트 및 워터펌프를 커버링하는 커버링부가 형성된 하우징;
    바디의 밸브공간에 각각 내장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바디의 커버링부와 유통포트 간의 냉각수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복수의 밸브; 및
    바디의 개방부에 각각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하며, 측면에 하우징의 커버링부와 연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고, 개통홀을 통해 유통포트와 워터펌프 사이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한 쌍의 바디로 구성되고, 한 쌍의 바디가 일직선상에 일체로 결합되어 각 바디의 개방부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바디의 개방부는 밸브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밸브가 개방부를 통해 바디의 밸브공간으로 삽입되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링부는 바디의 측면에서 유통포트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커버의 개통홀과 연통되도록 관통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커버에 결합되고, 각 바디를 관통하여 각 밸브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밸브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밸브는 측면에 유통포트와 연통되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회전축이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밸브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타측단이 개통홀에서 중앙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우징에서 회전기구의 반대편 바디에 결합된 커버에는 회전축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커버에 회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우징은 각각의 바디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단부가 형성되고, 연결단부에는 관통되는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는 바디의 개방부를 덮도록 형성된 폐쇄단부와, 폐쇄단부의 둘레에서 바디의 개방부를 향해 연장되어 내측으로 유로공간을 형성하고 둘레면에 개통홀이 형성되는 연장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커버는 연장단부가 바디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커버링부와 매칭되고, 말단이 밸브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밸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커버는 폐쇄단부와 연장단부의 내측단이 개통홀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냉각수의 유동흐름이 굴곡면을 따라 개통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0210022098A 2021-02-18 2021-02-18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47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98A KR102476791B1 (ko) 2021-02-18 2021-02-18 멀티웨이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98A KR102476791B1 (ko) 2021-02-18 2021-02-18 멀티웨이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219A true KR20220118219A (ko) 2022-08-25
KR102476791B1 KR102476791B1 (ko) 2022-12-13

Family

ID=8311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98A KR102476791B1 (ko) 2021-02-18 2021-02-18 멀티웨이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7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39A (ko) 2009-03-12 2010-09-27 장현철 유량제어밸브
DE102017004458A1 (de) * 2016-05-16 2017-11-16 Scania Cv Ab Mehrfachventilvorrichtung für Kühlsystem
KR101826923B1 (ko) * 2017-09-08 2018-03-22 지엠비코리아(주)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 장치
KR101936853B1 (ko) * 2018-05-16 2019-01-0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073821B1 (ko) * 2018-08-22 2020-02-05 강인복 반도체 설비용 쓰리웨이 볼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939A (ko) 2009-03-12 2010-09-27 장현철 유량제어밸브
DE102017004458A1 (de) * 2016-05-16 2017-11-16 Scania Cv Ab Mehrfachventilvorrichtung für Kühlsystem
KR101826923B1 (ko) * 2017-09-08 2018-03-22 지엠비코리아(주)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 장치
KR101936853B1 (ko) * 2018-05-16 2019-01-09 지엠비코리아(주)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073821B1 (ko) * 2018-08-22 2020-02-05 강인복 반도체 설비용 쓰리웨이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791B1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943B2 (en) Rotary valve
KR101936853B1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US8485226B2 (en) Three-way valve integrated with radiator
KR102299299B1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KR102343522B1 (ko) 냉매 회로를 위한 밸브 어셈블리
US11105430B2 (en) Control valve
KR20210056729A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KR102299300B1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KR20210027675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용 밸브
KR102536849B1 (ko) 차량의 공조용 냉각수 매니폴드 및 통합 냉각수 분배 및 저장 모듈
US11698140B2 (en) Ball valve with multi-angular sealing for coolant control regulator
GB2320061A (en) A pump with two outlets
KR102476791B1 (ko) 멀티웨이밸브 장치
KR102265738B1 (ko) 다층구조를 갖는 멀티포트 밸브조립체
KR101959396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멀티웨이 밸브 장치
KR102525194B1 (ko) 워터펌프 및 밸브 통합장치
KR20230071751A (ko)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KR101567435B1 (ko) 전기 구동식 차량의 냉각수용 3방향 밸브
JP2018204744A (ja) 流量制御弁
US5904120A (en) Viscous heater
KR102660887B1 (ko) 멀티 포트 밸브
KR102564923B1 (ko) 전기자동차의 냉각수용 방사형 멀티밸브
JP4013621B2 (ja) 電動ウォータポンプ
KR20240003162A (ko) 통합 열관리용 밸브 엑추에이터 구조
US11794591B2 (en) Statorless electrical generator system driven by a flowing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