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42A -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42A
KR20220118142A KR1020210021906A KR20210021906A KR20220118142A KR 20220118142 A KR20220118142 A KR 20220118142A KR 1020210021906 A KR1020210021906 A KR 1020210021906A KR 20210021906 A KR20210021906 A KR 20210021906A KR 20220118142 A KR20220118142 A KR 2022011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mode
main
ss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064B1 (ko
Inventor
신승철
박민호
김정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42A/ko
Priority to KR1020220129631A priority patent/KR102626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75Access point names [AP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메인 AP(Access Point)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 AP에 포함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으로서, WPS(Wi-Fi Protected Setup)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AP 모드 판단부; 상기 추가 AP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상기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AP 연결 요청부;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AP 모드 변환부;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SSID 승계부; 및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Network coverage extension system and method for each Internet environment using additional AP}
본 개시는 특정 공간의 모든 지역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에 위치한 추가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쉽게 확장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기반으로 여러 대의 AP를 이용해 물리적인 Wi-fi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확장 및 효율적인 와이파이 연결을 제공하는 메쉬(mesh) 네트워크의 손쉬운 연결을 위하여 다수의 추가 AP들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메인 AP의 SSID 정보로 승계하여 메인 AP와 브릿지로 연결하고, 메인 AP와 추가 AP에 대한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할 수 있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Wi-fi의 대중화와 함께 사용자의 와이파이 사용 편의 및 환경 개선을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근래 802.11ac 규격을 넘어 성능과 커버리지 개선 및 동시 전송에 장점을 갖는 802.11ax 시대로 넘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주파수의 한계성(5Ghz 주파수 직진성 등)과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환경 등의 사유로 특정 공간의 모든 스팟(spot)에서 원활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의 AP(Access Point)를 이용해 물리적인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효율적인 와이파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이지 메쉬 네트워크(Easy Mesh Network)기술이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를 통해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표준화(현재 Release 3 제정 중)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업적인 이슈로 인한 벤더간 연동 불가, 고가 하이엔드 제품에만 해당 기술 적용, 사용자가 복잡한 환경 설정을 수행해야 하는 점 등 원활한 이지 메쉬 네트워크 기술의 구현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이다.
본 개시는 기존 이지 메쉬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서는 각 AP들의 환경 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복잡한 설정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가능했던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P의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이용하여 고객의 인터넷 환경 별 무선 커버리지 확장 및 손쉬운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하면, 메인 AP(Access Point)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 AP에 포함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으로서, WPS(Wi-Fi Protected Setup)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AP 모드 판단부; 상기 추가 AP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상기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AP 연결 요청부;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AP 모드 변환부;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SSID 승계부; 및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상기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최적 위치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SSID 승계부는,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 모드 판단부는,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AP에 포함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상기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는,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요청 수신부;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하는 리퀘스트 패킷 송신부; 및 탐색된 상기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상기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AP Discovery & Management) 요청을 모두 무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상기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상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WPS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상기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단계;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상기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단계는,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AP에 포함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상기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단계는,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된 상기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상기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을 모두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상기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상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특정 공간의 배선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는 사용자별 인터넷 환경에 있어 AP별로 다른 SSID로 별도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환경에서도 WPS 기능을 이용하여 별도의 추가 환경 설정 없이 메인 AP와 추가 AP의 SSID를 승계하여 통합하는 방안을 통해 손쉽게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면서도 서비스 품질은 유지할 수 있는 이지 메쉬 네트워크 구축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AP와 추가 AP를 자동으로 브릿지 연결하여 구축된 메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확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PS 기능을 통해 메인 AP와 추가 AP가 브릿지 연결된 경우 메인 AP의 SSID가 추가 AP의 SSID로 승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LED 램프로 최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을 포함한 추가 A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000)은 메인 AP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 AP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000)은 AP 모드 판단부(100), AP 연결 요청부(200), AP 모드 변환부(300), SSID 승계부(400), 네트워크 연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AP 모드 판단부(100)는 WPS(Wi-Fi Protect Setup)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WPS 신호는 WPS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AP에 탑재되어 있는 WPS 버튼을 사용자가 눌러서 WPS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가 WPS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입력한 신호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는 NAT 모드와 브릿지(Bridge)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가지 종류의 AP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NAT 모드는 사설 IP 주소를 통해 외부로 네트워크 패킷을 보낼 때 이를 공인 IP 주소로(현재 연결된 공인 IP 주소) 변환하여 패킷을 내보냄으로써 외부에선 마치 공인 IP에서 패킷을 보낸 것처럼 보이게 해주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모드는 호스트의 네트워크와 게스트의 네트워크를 브릿지하여 연결함으로써 호스트와 게스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두 개의 네트워크를 마치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쓰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NAT 모드인 경우 디스커버리 패킷을 불특정 메인 AP에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AP 연결 요청부(200)는 추가 AP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메인 AP의 DHCP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 연결 요청부(200)는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패킷을 메인 AP의 DHCP 서버에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커버리 패킷은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가진 option 60(LGUAP)를 추가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가진 디스커버리 패킷이라면 형식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로부터 디스커버리 패킷을 수신한 메인 AP의 DHCP 서버는 수신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메인 AP와 연결 가능한 추가 AP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option 60(LGUAP)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인 AP와 동일한 제조사 또는 연동이 가능한 추가 AP로부터 송신된 것이며, 해당 추가 AP의 모드는 NAT 모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에 option 60(LGUAP)이 포함되어 있으면 추가 AP의 AP 모드를 NAT 모드에서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한 오퍼 패킷을 생성하여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 모드 변경 식별자로 option 43(LGUB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추가 AP가 NAT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가진 오퍼 패킷이라면 형식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option 60(LGUAP)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은 오퍼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퍼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는 오퍼 패킷을 분석하여 AP 모드 변경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결을 요청하는 리퀘스트 패킷을 생성하여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AP 모드 변환부(300)는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로부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메인 AP의 DHCP 서버는 메인 AP의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한 리플라이 패킷을 생성하여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플라이 패킷은 APDM(AP Discovery & Management) discovery-reply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APDM은 SSID 설정의 승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특정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UDP를 사용하고 디스커버리 단계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은 암호화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AP의 현재 설정에 대한 내용도 같이 포함할 수 있고, 보안을 위해 AP가 NAT 모드이고 WAN 포트가 공인 IP를 가질 때, WAN 포트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request)은 모두 무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SSID 정보는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 모드 변환부(300)는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모드의 자동 변경을 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리퀘스트 패킷에 대한 리플라이 패킷이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동안 도착하지 아니한 경우 리퀘스트 패킷을 재송신하는 것을 1초 간격으로 3회 재시도할 수 있다.
SSID 승계부(400)는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것은 APDM을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SID 승계부(400)는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2.4G 데이터 SSID 정보에 포함된 기존의 <2G_SSID_NAME>에 SSID 이름만 _5G를 추가로 붙여 <2G_SSID_NAME>_5G로 5G 데이터 SSID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에 2.4G 데이터 SSID의 설정 값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SID 승계부(400)는 SSID 승계 절차가 실패하여 메인 AP의 SSID가 추가 AP의 SSID로 승계되지 아니하고 추가 AP 모드만 브릿지 모드로 변경된 경우에는 브릿지 모드로 변경을 완료하고 최초로 IP를 획득할 때 SSID 승계 정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500)는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사용자가 별다른 연결 설정을 세팅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특정 지역 내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100)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000)에 최적 위치 판단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적 위치 판단부(600)는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가 메인 AP와 연결될 때 일정 이상의 신호 세기가 확보되어야 원활한 무선 인터넷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가 AP의 최적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 위치는 LED 램프, 화면 출력, 음성 제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200)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1000)에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700)는 메인 AP에 포함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700)는 추가 AP들이 복수로 메인 AP와 연결되는 경우 네트워킹 된 다수의 AP들을 상위 AP, 하위 AP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700)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요청 수신부(710), 리퀘스트 패킷 송신부(720),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리지 요청 수신부(710)는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은 사용자가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관리자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요청할 수 있다.
리퀘스트 패킷 송신부(720)는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는 연결된 하위 AP들이 있는지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연결된 AP에 무작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을 모두 무시할 수 있다.
이는 하위에 위치한 추가 AP가 상위 메인 AP와 브릿지로 연결이 되어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건문으로 형식으로 이루어져 이를 통해 이중 NAT 구성 등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AP는 제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730)는 탐색된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는 메인 AP와 이에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730)는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730)는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NAT_mode가 1 또는 3(NAT 모드)이고 from이 1(LAN)이면 해당 AP를 상위 AP에 포함할 수 있으며, NAT_mode가 1 또는 3(NAT 모드)이고 from이 0(WAN)이면 해당 AP를 하위 AP에 포함할 수 있으며, NAT_mode가 0 또는 2 (브릿지 모드)이면 해당 AP를 하위 AP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라이 패킷을 보낸(from 이라고 표시한) 인터페이스가 WAN이냐 LAN이냐, NAT냐 브릿지냐에 따라 해당 AP를 상위에 둘지 하위에 둘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AP와 추가 AP를 자동으로 브릿지 연결하여 구축된 메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확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을 통해 메인 AP와 추가 AP를 연결함으로써 기존 메인 AP의 네트워크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추가 AP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만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확장된 메쉬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일 제조사(자사) AP간 손쉽게 브릿지 연결을 구현하여 복잡한 환경 설정 없이도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WPS 기능을 통해 메인 AP와 추가 AP가 브릿지 연결된 경우 메인 AP의 SSID가 추가 AP의 SSID로 승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PDM을 이용하여 추가 AP의 SSID(2.4G SSID : B, 5G data : B)는 메인 AP의 SSID (2.4G SSID : A, 5G data : A)를 승계 받아 추가 AP의 SSID는 2.4G SSID : A, 5G data : A로 갱신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LED 램프(7100)로 최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을 포함한 추가 AP(7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ED 램프(7100)로 최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이 탑재된 추가 AP(7000)가 나타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전면에 위치한 LE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색상이 다른 LED 램프 점등 및 점멸을 통해 전원 표시, 업그레이드 필요 정보, 최적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메인 AP와 신호가 약할 경우 특정 색상의 LED 램프 점등과 점멸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추가 AP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안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의 흐름도이다.
WPS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는 NAT 모드와 브릿지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가지 종류의 AP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WPS 신호를 입력 받아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추가 AP의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NAT 모드인 경우 디스커버리 패킷을 불특정 메인 AP에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가 아닌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한다(S15).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10).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한다(S2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패킷을 메인 AP의 DHCP 서버에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커버리 패킷은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가진 option 60(LGUAP)를 추가한 디스커버리 패킷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가진 디스커버리 패킷이라면 형식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로부터 디스커버리 패킷을 수신한 메인 AP의 DHCP 서버는 수신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메인 AP와 연결 가능한 추가 AP로부터 송신된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option 60(LGUAP)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인 AP와 동일한 제조사 또는 연동이 가능한 추가 AP로부터 송신된 것이며, 해당 추가 AP의 모드는 NAT 모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한다(S3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에 option 60(LGUAP)이 포함되어 있으면 추가 AP의 AP 모드를 NAT 모드에서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한 오퍼 패킷을 생성하여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 모드 변경 식별자로 option 43(LGUB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추가 AP가 NAT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도록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가진 오퍼 패킷이라면 형식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패킷을 분석하여 option 60(LGUAP)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은 오퍼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퍼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는 오퍼 패킷을 분석하여 AP 모드 변경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결을 요청하는 리퀘스트 패킷을 생성하여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한다(S4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로부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메인 AP의 DHCP 서버는 메인 AP의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한 리플라이 패킷을 생성하여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라이 패킷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은 암호화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AP의 현재 설정에 대한 내용도 같이 포함할 수 있고, 보안을 위해 AP가 NAT 모드이고 WAN 포트가 공인IP를 가질 때, WAN 포트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request)은 모두 무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SSID 정보는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모드의 자동 변경을 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리퀘스트 패킷에 대한 리플라이 패킷이 미리 설정한 일정 시간 동안 도착하지 아니한 경우 리퀘스트 패킷을 재송신하는 것을 1초 간격으로 3회 재시도할 수 있다.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한다(S5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것은 APDM을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2.4G 데이터 SSID 정보에 포함된 기존의 <2G_SSID_NAME >의 SSID 이름만 _5G를 추가로 붙여 <2G_SSID_NAME>_5G로 5G 데이터 SSID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에 2.4G 데이터 SSID의 설정 값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SID 승계 절차가 실패하여 메인 AP의 SSID가 추가 AP의 SSID로 승계되지 아니하고 추가 AP 모드만 브릿지 모드로 변경된 경우에는 브릿지 모드로 변경을 완료하고 최초로 IP를 획득할 때 SSID 승계 정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한다(S6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사용자가 별다른 연결 설정을 세팅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특정 지역 내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가 메인 AP와 연결될 때 일정 이상의 신호 세기가 확보되어야 원활한 무선 인터넷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가 AP의 최적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 위치는 LED 램프, 화면 출력, 음성 제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AP들이 복수로 메인 AP와 연결되는 경우 네트워킹 된 다수의 AP들을 상위 AP, 하위 AP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은 사용자가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관리자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는 연결된 하위 AP들이 있는지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연결된 AP에 무작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을 모두 무시할 수 있다.
이는 하위에 위치한 추가 AP가 상위 메인 AP와 브릿지로 연결이 되어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건문으로 형식으로 이루어져 이를 통해 이중 NAT 구성 등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AP는 제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탐색된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는 메인 AP와 이에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들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NAT_mode가 1 또는 3(NAT 모드)이고 from이 1(LAN)이면 해당 AP를 상위 AP에 포함할 수 있으며, NAT_mode가 1 또는 3(NAT 모드)이고 from이 0(WAN)이면 해당 AP를 하위 AP에 포함할 수 있으며, NAT_mode가 0 또는 2 (브릿지 모드)이면 해당 AP를 하위 AP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라이 패킷을 보낸(from 이라고 표시한) 인터페이스가 WAN이냐 LAN이냐, NAT냐 브릿지냐에 따라 해당 AP를 상위에 둘지 하위에 둘지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 (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메인 AP(Access Point)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 AP에 포함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으로서,
    WPS(Wi-Fi Protected Setup)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AP 모드 판단부;
    상기 추가 AP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상기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AP 연결 요청부;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AP 모드 변환부;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SSID 승계부; 및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상기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최적 위치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SSID 승계부는,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 판단부는,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AP에 포함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상기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구축부는,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요청 수신부;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하는 리퀘스트 패킷 송신부; 및
    탐색된 상기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상기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AP Discovery & Management) 요청을 모두 무시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상기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상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11. WPS 신호를 입력 받고,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 경우 자사 AP 식별자 및 AP 모드 식별자를 포함한 디스커버리 패킷을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 송신하여 연결 가능한 메인 AP를 식별하고, 상기 DHCP 서버로부터 AP 모드 변경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퍼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DHCP 서버로 리퀘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AP의 DHC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AP의 DHCP 서버로부터 SSID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라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따라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를 브릿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에 포함된 SSID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AP의 SSID의 정보를 갱신하여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단계;
    메인 AP의 SSID가 승계된 추가 AP와 상기 메인 AP를 브릿지 연결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AP와 연결된 단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65~70 dBm의 세기를 보이는 위치를 추가 AP의 최적 위치로 판단하고, 상기 최적 위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SID 설정 정보에 2.4G 데이터 SSID,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AP의 SSID를 승계하는 단계는, 만약 5G 데이터 SS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2.4G 데이터 SSID 정보를 이용하여 SSID 명칭만 변경하여 5G 데이터 SSID 정보로 생성하여 추가 SSID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NAT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AP의 AP 모드가 브릿지 모드인 경우 추가 AP를 NAT 모드로 변경하고 다시 AP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AP에 포함되며, 사용자의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에 따라 메인 AP와 상기 메인 AP와 연결된 다수의 추가 AP를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를 구축하는 단계는,
    메인 AP의 설정을 위한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리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하위 접속 확인 메시지를 포함한 리퀘스트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추가 AP에 송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추가 AP의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된 상기 추가 AP로부터 수신한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를 상위 또는 하위로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상기 메인 AP와 다수의 추가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수신한 추가 AP가 NAT 모드이고, 리퀘스트를 WAN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WAN의 IP가 공인 IP이면, 수신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퀘스트 패킷을 무시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추가 AP는 WAN으로부터 수신된 APDM 요청을 모두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AP의 분류에 있어서, 메인 AP가 NAT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브릿지 모드인 경우 메인 AP를 하위 AP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토폴리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AP의 분류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리플라이 패킷을 분석하여 추가 AP의 모드가 NAT 모드이고 LAN을 통해 수신된 것이라면 상기 추가 AP를 상위 AP로 분류하고, NAT 모드이고 WAN을 통해 수신된 것이거나 브릿지 모드인 경우 상기 추가 AP모드를 하위 AP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방법.
KR1020210021906A 2021-02-18 2021-02-18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45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6A KR102457064B1 (ko) 2021-02-18 2021-02-18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29631A KR102626765B1 (ko) 2021-02-18 2022-10-11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06A KR102457064B1 (ko) 2021-02-18 2021-02-18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31A Division KR102626765B1 (ko) 2021-02-18 2022-10-11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42A true KR20220118142A (ko) 2022-08-25
KR102457064B1 KR102457064B1 (ko) 2022-10-20

Family

ID=83111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06A KR102457064B1 (ko) 2021-02-18 2021-02-18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129631A KR102626765B1 (ko) 2021-02-18 2022-10-11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631A KR102626765B1 (ko) 2021-02-18 2022-10-11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70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76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단말의 로밍(roaming)을 지원하는 AP기반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104492A (ko) * 2015-01-14 2017-09-15 지티이 코포레이션 Wifi 기기 및 그중의 wifi 칩의 동작 방법, 장치
KR20180098077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설치에 적합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991B1 (ko) * 2018-04-24 2020-05-26 (주)휴맥스 무선 통신 장비 및 무선 통신 장비의 동작 모드 설정 방법
KR102362078B1 (ko) * 2019-04-30 2022-02-11 주식회사 케이티 1차 단말을 통하여 전용망에 접속하는 2차 단말의 전용망 접속을 제어하는 서버 및 그 1차 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76A (ko) *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단말의 로밍(roaming)을 지원하는 AP기반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104492A (ko) * 2015-01-14 2017-09-15 지티이 코포레이션 Wifi 기기 및 그중의 wifi 칩의 동작 방법, 장치
KR20180098077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설치에 적합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쉽고 빠른 Wifi 확장! TP-LINK RE200 무선확장기, 블로그 QUASAR ZONE, (2016.11.29.) <URL:https://quasarzone.com/bbs/qc_user/views/657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65B1 (ko) 2024-01-18
KR20220148763A (ko) 2022-11-07
KR102457064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836B2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管理方法及び装置
US94678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access points using beacon frames
US20220109743A1 (en) Framework for iot protocol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CN101335666B (zh) 一种配置发送的方法、接入控制设备和接入点
RU2603496C2 (ru)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евой интерфейс с инфраструктурными и прямыми режимами
JP5776128B2 (ja) 関連付け前の発見
US93013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WO2017148308A1 (zh) 一种物联网设备接入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US9319967B2 (en) Network access point detection and use
US1158266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888078B2 (ja) ネットワーク機能nf管理方法及びnf管理装置
US106808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Wi-Fi
US20120054338A1 (en) Assistance device
Stute et al. One billion apples' secret sauce: Recipe for the apple wireless direct link Ad hoc protocol
MXPA05000478A (es) Configuracion de parametros de red de dispositivos delgados de cliente usando medios de almacenamiento portatiles.
BR112020017960A2 (pt) Método para acessar rede servidora, aparelho de comunicações, meio de armazenamento, e sistema
WO2021086800A1 (en) Cloud-based managed networking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consume managed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at edge locations
KR102114992B1 (ko) 무선 통신 장비 및 무선 통신 장비의 메쉬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102457064B1 (ko) 추가 ap를 이용한 인터넷 환경 별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 시스템 및 방법
US11411797B2 (en)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JP2010072758A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情報取得方法、機器情報取得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2040850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714202A (zh) 设备配置方法及装置
KR20230044706A (ko) 단말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장치
CN115190275A (zh) 网络视频录像机、视频监控系统及视频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