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93A -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93A
KR20220117693A KR1020210021347A KR20210021347A KR20220117693A KR 20220117693 A KR20220117693 A KR 20220117693A KR 1020210021347 A KR1020210021347 A KR 1020210021347A KR 20210021347 A KR20210021347 A KR 20210021347A KR 20220117693 A KR20220117693 A KR 2022011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customer
customer container
sub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510B1 (ko
Inventor
정경역
박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가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가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가에코
Priority to KR102021002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5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의 액상 원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 원료만을 리필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기와, 상기 액체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와, 상기 액체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고객용기와, 상기 고객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와, 상기 고객용기를 인식하는 고객용기 인식부와,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 및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Auto device for subdividing and selling liquid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의 액상 원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 원료만을 리필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은 주로 액상으로 이루어져 페트용기에 수용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며, 이때 페트용기의 크기에 따라 수용되는 액상의 양이 결정되고, 수용된 액상을 소진한 후에는 새로운 페트용기에 수용된 액상을 재구매해야 하며, 액상이 소진된 빈 페트용기는 재질에 따라 분리수거 후 재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액상이 소진되어 분리수거 된 빈 페트용기의 재활용은 파쇄공정, 용융 분해공정 및 정제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재활용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재활용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빈 페트용기를 소각하고자 할 경우, 각종 유해가스가 배출되어 대기환경이 오염되고, 빈 페트용기를 매립하는 경우에는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가 파생되고 있다.
이와 함께, 페트용기에는 소비자의 액상 물질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자 할 목적으로, 디스펜서 기능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트용기 자체의 재료비 및 공정비 뿐만 아니라, 페트용기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구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증대되고, 연쇄적으로 소비자가격 또한 증대되는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액상용 페트용기를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구매해야할 뿐만 아니라 액상을 소진할 때마다 이를 반복해야 하므로,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5679호 (발명의 명칭: 리필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공고일: 2020.09.15)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을 수용하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 원료만을 리필 가능하게 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기와, 상기 액체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와, 상기 액체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고객용기와, 상기 고객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와, 상기 고객용기를 인식하는 고객용기 인식부와,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 및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액체 소분 현황 표시 및 고객이 선택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고객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운용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기의 구매를 확인하는 용기구입 확인단계와,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는 리필준비단계와, 상기 고객용기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금액을 확인하는 구매금액 확인단계와,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는 리필단계와,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 주입의 완료를 확인하는 리필완료확인단계와, 상기 고객용기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에 관한 기록을 출력하는 리필명세서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필준비단계는 상기 고객용기가 오염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오염물질 확인단계와, 상기 고객용기를 인식하는 고객용기 인식단계와, 상기 고객용기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는 잔여액체 확인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액체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고객용기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을 수용하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 원료만을 리필 가능하게 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용기를 사용하여, 리필하고자 하는 상기 액상 원료를 소량구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용기구입 확인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오염물질 확인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고객용기 인식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잔여액체 확인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구매금액 확인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리필단계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리필완료확인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리필명세서 출력단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 판매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는 액체 저장용기(100),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 펌프(300), 노즐(400), 고객용기(500),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 고객용기 인식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는 내부에 리필 대상인 액체가 저장되며, 이때 상기 액체는 세제, 섬유유연제, 음료수, 기름, 간장 등 리필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는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 내에 저장된 상기 액체가 얼만큼 남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는 로드셀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무게를 측정할 수있으며, 또는, 용수철저울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는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남은 상기 액체의 용량 또는 부피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는 3차원 스캐너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피만큼 상기 액체의 무게를 환산함으로써 무게를 도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저장된 액체 부피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가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수용된 액체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상기 액체의 용량이 얼만큼 남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상기 액체가 고갈되어 상기 고객용기(500)로 리필될 수 없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펌프(300)는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펌핑하며, 상기 노즐(400)은 상기 펌프(300)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액체를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로부터 후술하는 상기 고객용기(500)로 분사한다.
상기 고객용기(500)는 재사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 노즐(400)로 분사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며, 상기 고객용기(500)에는 고객용기(500)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인식코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식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는 상기 고객용기(500)의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의 수단은 상술한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의 수단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가 상기 고객용기(500)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고객용기(500)에 액체의 잔여 여부 및 잔여량을 검출한다.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는 상기 고객용기(500)에 부착된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고객용기(500)를 인식하며,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는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나 또는 스캐너와 같은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 및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펌프(3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인식한 용기가 상기 고객용기(500)인지 아닌지를 판별한 용기판별정보를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로부터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200)로부터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의 무게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잔여량을 체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로부터 상기 고객용기(500)의 무게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고객용기(500)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잔여량을 체크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는 디스플레이(9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900)는 액체 소분 현황을 표시하고, 고객이 선택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인식한 용기는 상기 고객용기(500)가 아닌 것으로 상기 제어부(800)가 판별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사용하는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객용기(500)의 구매를 안내하는 구매안내 화면을 송출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900)에 상기 구매안내 화면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잔여량이 기준잔여량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800)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잔여량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액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잔여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이 원활한 액체 리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디스플레이(900)를 통해 상기 고객용기(500)의 잔여 액체를 버리도록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고객용기(500)의 잔여액체 이외의 양만큼 상기 액체를 리필할 수 있도록 리필액체 양을 선택하는 화면을 송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에는 과거 상기 고객이 해당 고객용기(500)를 인식한 일자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객용기(500)가 인식된 과거 일자로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이 액체의 유통기한을 벗어난 경우에는 유통기한 정보와 상기 고객용기(500)의 잔여 액체를 버리도록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송출하고, 유통기한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900)를 통해 상기 고객용기(500)의 잔여액체 이외의 양만큼 상기 액체를 리필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화면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900)는 고객이 선택사항을 입력할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900)는 상기 고객이 고객용기(500)를 소지하지 않았을 때,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화면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고객이 고객용기(500)를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리필할 액체의 양의 선택지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에 리필할 액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에 리필할 액체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의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펌프(3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노즐(400)로부터 상기 고객용기(500)로 분사되는 상기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는 상기 고객용기(500)의 오염물질을 확인하는 오염물질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의 리필 전에, 상기 오염물질 확인부가 상기 고객용기(500)로 액체가 리필되는 주입구를 촬영하여, 상기 고객용기(500)의 내부가 오염됐는지, 또는 고객용기(500)의 주입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오염물질 확인부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오염물질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객용기(500)의 교체 안내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도록 용기교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은 용기구입 확인단계(S100), 리필준비단계(S200), 구매금액 확인단계(S300), 리필단계(S400), 리필완료확인단계(S500) 및 리필명세서 출력단계(S60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은 세탁세제를 리필할 때의 예시를 기준으로 설명되며,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은 세탁세제 뿐만 아니라, 샴푸, 린스, 헤어케어, 바디워시, 젤이나 오일로 이루어진 바디케어, 스킨케어, 덴탈케어, 청소용 세제, 섬유유연제, 주방세제 등을 수용하는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액상 원료를 리필할 때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용기구입 확인단계(S100)에서는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매할지 의사를 확인한다.
상기 용기구입 확인단계(S10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상기 고객용기(500) 구매 여부를 확인하는 안내 화면을 송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900)는 도 3과 같이 상기 고객용기(500)의 구매가격, 구매 여부 뿐만 아니라, 용량별 고객용기(500)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도 송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900)에 송출하는 동시에 '세탁세제 리필 용기를 신규로 구입하시겠습니까?'의 음성 안내 멘트를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리필준비단계(S20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리필준비단계(S200)는 오염물질 확인단계(S220), 고객용기 인식단계(S210) 및 잔여액체 확인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오염물질 확인단계(S220)에서는 상기 오염물질 확인부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오염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오염물질 확인단계(S22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용기(500)의 뚜껑을 분리하고, 상기 고객용기(500)의 오염물질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오염물질 확인부에 상기 고객용기(500)를 접근시키도록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한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900)에 송출하는 동시에 '뚜껑을 리필 용기(고객용기(500))와 분리 후, 용기 내부의 오염, 이물질을 확인하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와 '용기 내부에 오염, 이물질이 있을 경우 리필된 세제가 변질될 수 있습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오염물질 확인단계(S220)에서 상기 고객용기(500)에 오염이 확인된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900)는 상기 고객이 새로운 고객용기(500)를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고객용기(500)의 구매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고객용기 인식단계(S21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부착된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고객용기(500)를 인식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900)에 송출하는 동시에, '아래 그림과 안내 멘트 순서에 따라 리필 용기(고객용기(500))를 넣고 확인 버틀을 눌러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와, 'QR 코드(인식코드) 인식이 되지 않은 용기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를 동시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식된 코드가 상기 인식코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인식한 용기는 고객용기(500)가 아니라고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에러, 리필 전용 용기(고객용기(500))가 아닙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와 '세탁세제 전용 용기(고객용기(500))인지 확인해 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식코드의 훼손을 판단한 경우,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700)가 상기 인식코드를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인식코드가 훼손된 상황을 알리는 안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에러, QR 코드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와 '용기 후면의 QR 코드(인식코드)가 훼손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와, '고객센터에서 QR 코드 스티커를 받아 용기의 QR 코드 위치에 이용해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잔여액체 확인단계(S23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600)가 상기 고객용기(500)의 무게를 측정한 신호를 통해 상기 고객용기(500)에 액체의 잔여 여부 및 잔여량을 확인한다.
상기 잔여액체 확인단계(S230)에서 상기 고객용기(500)에 기준용량 이상 잔여액체가 남아 있다고 판단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여액체 확인단계(S23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다고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에러, 용기(고객용기(500))에 세탁세제가 남아있습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와, '용기(고객용기(500))에 세탁세제가 남아있는 경우 리필을 할 수 없습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가 순차적으로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매금액 확인단계(S30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매한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이 구매한 내역인 리필용기(고객용기(500))와 액체의 리필용량, 내역별 구매금액 및 총 구매 합계는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리필 용량과 구매 금액을 확인하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매하지 않은 경우, 도 8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이 구매한 내용인 액체의 리필용량, 내역별 구매금액 및 총 구매 합계는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리필 용량과 구매 금액을 확인하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리필단계(S400)에서는 상기 펌프(300)가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저장된 상기 액체를 펌핑하며, 상기 노즐(400)이 펌핑된 액체를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로부터 상기 고객용기(500)로 분사함으로써 액체를 리필한다.
상기 리필단계(S400)에서는 도 9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필시작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며, 동시에 '주의사항을 확인해주세요. 세탁세제 리필을 시작하시겠습니까?'의 음성 안내 멘트와, '주의: 리필 제품 특성상 단순 변심 등의 사유로 환불 및 교환이 불가하오니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고객이 액체 구입을 확인한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용기(500)에 상기 액체가 얼만큼 리필되고 있는지를 안내하는 리필알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리필완료확인단계(S50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로 상기 액체가 모두 리필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고객용기(500)에 상기 액체 주입의 완료를 확인하여, 상기 고객에게 리필 완료 상황을 알린다.
상기 리필완료확인단계(S50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필이 완료된 상황을 알리는 안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세탁세제 리필이 완료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안내 멘트 순서로 리필 용기를 빼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리필명세서 출력단계(S600)에서는 상기 고객용기(500)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에 관한 기록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입한 경우, 상기 리필명세서를 출력하고, 상기 리필명세서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어디에 부착되어야 하는지를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세탁세제 리필(구매) 명세서를 받아 용기 전면 점선 안쪽에 붙여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와, '결제 확인을 위해 리필(구매) 명세서가 필요합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는, 고객이 상기 고객용기(500)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상기 리필명세서를 출력하고, 상기 리필명세서가 상기 고객용기(500)에 어디에 부착되어야 하는지를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하는 동시에, '세탁세제 리필(구매) 명세서를 받아 용기 후면 점선 안쪽에 붙여주세요'의 음성 안내 멘트와, '결제 확인을 위해 리필(구매) 명세서가 필요합니다.'의 음성 안내 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은 상기 액체 저장용기(100)에 액체가 기준 용량 이하로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900) 외 다른 구성이 고장난 경우, 도 12의 (a)에 도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는 상황을 알리는 화면 또는 도 12의 (b)에 도시와 같이, 액체 저장용기(100)에 액체가 부족하다는 상황을 알리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900)가 송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외,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에 기재한 설명과 대응되므로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액체 저장용기
200: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
300: 펌프
400: 노즐
500: 고객용기
600: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
700: 고객용기 인식부
800: 제어부
900: 디스플레이

Claims (6)

  1.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기;
    상기 액체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
    상기 액체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된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고객용기;
    상기 고객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
    상기 고객용기를 인식하는 고객용기 인식부; 및
    상기 저장용기 무게 측정기,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 및 상기 고객용기 인식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체 소분 현황 표시 및 고객이 선택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고객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4. 제1항의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를 운용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기의 구매를 확인하는 용기구입 확인단계;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는 리필준비단계;
    상기 고객용기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금액을 확인하는 구매금액 확인단계;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는 리필단계;
    상기 고객용기에 상기 액체 주입의 완료를 확인하는 리필완료확인단계; 및
    상기 고객용기 및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액체의 구매에 관한 기록을 출력하는 리필명세서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준비단계는,
    상기 고객용기를 인식하는 고객용기 인식단계;
    상기 고객용기가 오염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오염물질 확인단계; 및
    상기 고객용기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는 잔여액체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액체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고객용기 무게 측정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고객용기에 잔여액체가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의 운용방법.
KR1020210021347A 2021-02-17 2021-02-17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51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47A KR102512510B1 (ko) 2021-02-17 2021-02-17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47A KR102512510B1 (ko) 2021-02-17 2021-02-17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93A true KR20220117693A (ko) 2022-08-24
KR102512510B1 KR102512510B1 (ko) 2023-03-21

Family

ID=8311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47A KR102512510B1 (ko) 2021-02-17 2021-02-17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04B1 (ko) * 2022-09-16 2023-01-30 서사라 친환경 리필장치 및 리필시스템
KR102634843B1 (ko) * 2023-09-21 2024-02-06 정호영 액체 소분 자동 판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16A (ja) * 2007-12-19 2009-07-09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KR101099507B1 (ko) * 2010-07-28 2011-12-27 (주)트론트 액체 세제 자동 판매장치
WO2017208358A1 (ja) * 2016-05-31 2017-12-07 義和 東 飲料自動販売機
KR102155679B1 (ko) 2020-01-14 2020-09-15 주식회사 리필스토어 리필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050B1 (ko) * 2020-11-06 2021-02-04 전기범 생활화학제품 판매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16A (ja) * 2007-12-19 2009-07-09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KR101099507B1 (ko) * 2010-07-28 2011-12-27 (주)트론트 액체 세제 자동 판매장치
WO2017208358A1 (ja) * 2016-05-31 2017-12-07 義和 東 飲料自動販売機
KR102155679B1 (ko) 2020-01-14 2020-09-15 주식회사 리필스토어 리필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050B1 (ko) * 2020-11-06 2021-02-04 전기범 생활화학제품 판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04B1 (ko) * 2022-09-16 2023-01-30 서사라 친환경 리필장치 및 리필시스템
KR102634843B1 (ko) * 2023-09-21 2024-02-06 정호영 액체 소분 자동 판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510B1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775B2 (en) Method providing superimposed machine readable tags for dispenser and replaceable reservoir
US76249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a containerized liquid product utilizing an automatic self-service refill system
US6772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a containerized liquid product utilizing an automatic self-service refill system
US89738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a containerized liquid product utilizing an automatic self-service refill system
KR20220117693A (ko) 액체 소분 자동판매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US70830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a containerized liquid product utilizing an automatic self-service refill system
US201503759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sale of bulk products
KR102213050B1 (ko) 생활화학제품 판매장치
EP0725035B1 (en) Automatic filling machine for filling bottles and the like
AU20093298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filling consumer packaging
WO2018118659A1 (en) A method for distributing product using a consumer refillable packaging in a retail environment
EP3981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upply and/or acquisition of bulk products
EP4002314A1 (fr) Dispositif de fabrication et d'embouteillage de detergent
BE1028159B1 (fr) Dispositif de fabrication et d'embouteillage de detergent
CN216053184U (zh) 一种颗粒及流质商品自动贩卖机
WO2022146136A2 (en) Dispensing device for chemical products for househ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