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263A -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263A
KR20220117263A KR1020227023587A KR20227023587A KR20220117263A KR 20220117263 A KR20220117263 A KR 20220117263A KR 1020227023587 A KR1020227023587 A KR 1020227023587A KR 20227023587 A KR20227023587 A KR 20227023587A KR 20220117263 A KR20220117263 A KR 2022011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interface
us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쇠렌 크리스티안 브이 페데르센
Original Assignee
팔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팔콘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1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61F11/14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electric, e.g. for active nois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ransmit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관련 방법 및 서버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메모리, 처리 유닛, 및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본 개시는 청력 보호 장치를 위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청력 보호 장치 및 그 디바이스 그리고 청력 보호 장치의 동작 방법을 포함하는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투 상황이나 전쟁 지역 또는 전쟁터와 같은 극한의 환경 조건을 지닌 기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가 무선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을 통해 팀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신의 상태, 예컨대, 신체 상태, 정신 상태 및 장비 상태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투 상황이나 기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총소리, 기계류 및 기타 유형의 일정하거나 간헐적인 소음과 같은 소음을 감쇠하기 위해 청력 보호 디바이스와 같은 장비를 착용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를 돕는 기타 장비를 착용해야 할 수 있다.
극한의 환경 조건에서 복수의 장비를 착용하는 것의 단점은 장비의 무게, 장비의 크기, 장비를 착용할 때 사용자가 가지는 제한적인 움직임 및 공간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는다는 점이다. 증가하는 장비량의 또 다른 단점은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의 크기와 같은 통신 장비의 크기 및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투 상황 또는 기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의 상태 인식을 증가시키는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메모리, 처리 유닛, 및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은 메모리, 처리 유닛,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무선 유닛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 무선 유닛 및 서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디바이스가 또한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는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전송 방식에 따라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상태 인식이 실시간으로 향상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결정 시간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본 개시의 장점이다.
또한,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의 크기와 같은 통신 장비의 크기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도 본 개시의 장점이다. 통신 장치의 크기는 별도의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센서 디바이스 접속 전용일 수 있다. 별도의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갖는 것의 추가 장점은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의 복잡성이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는 이미 청력 보호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므로, 센서 디바이스를 위한 추가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 장점은 통신 장치가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은 사용자의 불편함, 사용자의 건강 위험 상태, 장비의 배터리 상태, 사용자의 무장/탄약 상태, 소방관의 물 호스 상태 및/또는 장비의 과열과 같은 이벤트 데이터가 결정되거나 감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 부하, 사용자의 체온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센서 디바이스 연결 전용인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센서 디바이스의 추가 및/또는 제거가 덜 복잡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청력 보호 디바이스를 통한 오디오 출력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 및/또는 장비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청력 보호 시스템을 착용한 임무 수행 사용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센서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서버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세부사항이 관련되는 경우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은 실척으로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을 수 있고, 유사한 구조 또는 기능의 요소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됨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도면은 단지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의도된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완전한 설명 또는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도시된 모든 양태 또는 장점을 가질 필요는 없다.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양태 또는 장점은 반드시 해당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도시되지 않았거나 또는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경우에도 임의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실시될 수 있다.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임무 수행 사용자는 군인, 경찰 및/또는 소방관과 같이 극한의 환경 또는 극한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메모리, 처리 유닛, 및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거쳐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센서 허브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와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각각의 커넥터를 통해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청력 보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청력 보호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청력 보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청력 보호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통신 장치는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력 보호 장치의 무선 유닛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청력 보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획득된 제1 센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통신 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또는 정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또는 사용자의 몸통과 같은 제1 신체 위치에서 제1 온도 센서와 같은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제1 체온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눈 위치 또는 눈 방향 데이터와 같은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시선 추적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장치로부터 (예를 들어,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그룹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무선 장치의 푸시투토크 버튼을 조작할 때, 사용자의 무선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ECG), 산소 수준, 및/또는 수화 수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뇌 활동, 신경 활동, 및/또는 피로 또는 피곤 수준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활동을 결정하기 위해 및/또는 사용자가 넘어진 경우) 가속도계로부터의 가속도 데이터 및/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 환경의 조명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광 센서로부터의 광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고급 알고리즘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디바이스와 같은 더 높은 수준에서, 사용자 그룹 또는 분대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장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장비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장비의 무게, 사용자의 무장 상태, 무기/다른 장비의 진동 또는 스트레스 및/또는 사용자의 장비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디바이스 및/또는 제2 센서 디바이스는 유선 센서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센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획득된 제2 센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통신 장치의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장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또는 정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또는 사용자의 몸통과 같은 제2 신체 위치에서 제2 온도 센서와 같은 제2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제2 체온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ECG), 산소 수준, 및/또는 수화 수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로 수준 또는 피곤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뇌 활동, 신경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장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장비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장비의 무게, 사용자의 무장 상태, 및/또는 사용자의 장비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상태 및/또는 사용자의 장비 상태를 포함하거나 나타내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및/또는 정신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의 체온, 피로 수준 및/또는 사용자의 장비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청력 보호 시스템의 온도, 무기 또는 기타 장비의 온도, 무기 또는 기타 장비의 진동 또는 스트레스, 및/또는 무기의 탄약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인터페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2 센서 인터페이스는 제2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각각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파라미터는 제1 센서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온도 및/또는 제1 심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사용자 파라미터는 피로, 지침, 준비 및/또는 탈수와 같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의 제1 부분에 위치한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온도를 나타낸다.
제1 센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신체 착용 센서 또는 머리 착용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 디바이스는 몸통 착용 센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의 제2 부분에 위치한 제2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2 온도를 나타낸다.
제2 센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신체 착용 센서 또는 몸통 착용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 디바이스는 머리 착용 센서일 수 있다.
사용자 신체의 상이한 부분에서 사용자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위험한 극한 온도(예를 들어, 매우 덥거나 매우 추운 온도)에 노출되었는지 평가하는 것과 같이 기준 측정값과 비교하여 온도 측정값이 비정상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온도 측정값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데이터는 제1 화학 센서인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화학 데이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화학 센서는 핵, 생물학 및/또는 기타 화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대 수준에서 개별 군인을 감지하고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리학적 및/또는 생화학적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화학 센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디바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센서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서 인터페이스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 디바이스는 무선 센서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센서 디바이스는 유선 센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처리 유닛은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은 메모리, 처리 유닛,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무선 유닛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방법은 사용자의 몸통에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몸통은,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기 위해,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하기 위해 선호되는 위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 무선 유닛 및 서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는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전송 방식에 따라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신 상태, 및/또는 장비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데이터는 사용자의 피곤 상태, 지친 상태, 준비된 상태, 및/또는 탈수 상태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위험 상태, 장비의 배터리 상태, 사용자의 무장/탄약 상태, 및/또는 장비의 과열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데이터는 사용자의 체중 부하, 사용자의 온도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어떤 복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어떤 무선 유닛)가 서버 디바이스와 통신하는지, 어떤 사용자에게 어떤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지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송 대역폭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사용자의 상이한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상이한 세대의 통신 시스템)은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방식은 사용자 및/또는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특징의 설명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들) 및 서버 디바이스(들)에 적용 가능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청력 보호 디바이스(2), 무선 유닛(6, 6A, 6B),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청력 보호 시스템을 착용한 예시적인 임무 수행 사용자(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4), 및 제1 센서 디바이스(S1) 및 제2 디바이스(S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에서, 청력 보호 시스템은 위치 모듈(3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헬멧 상에 있다. 통신 디바이스(4)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의 몸통에 배치된다.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등, 팔, 다리 및/또는 머리(예를 들어, 헬멧)와 같은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시스템(5) 및 통신 장치(18), 청력 보호 디바이스(2), 및 무선 유닛(6)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청력 보호 시스템(3)을 도시한다.
통신 장치(18)는 통신 디바이스(4),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 메모리(22) 및 처리 유닛(14)을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S1), 제2 센서 디바이스(S2), 선택적 제3 센서 디바이스(S3), 및 선택적 제4 센서 디바이스(S4)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14)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42A)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23)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42B)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25)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1 센서 데이터(23) 및 제2 센서 데이터(25)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24)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3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 센서 디바이스(S3)로부터 제3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4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4 센서 디바이스(S4)로부터 제4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제3 센서 데이터 및/또는 제4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24)를 결정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통신 장치(18)는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하고, 처리 유닛(14)은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청력 보호 장치(13)의 무선 유닛(6)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유닛 사이의 접속은 유선, 즉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유닛과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케이블 접속은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유닛의 위치 결정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혹한 환경에서 전투 또는 기타 임무 중에 필수적인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유닛 사이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접속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처리 유닛(14)은 통신 디바이스(4)에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인터페이스(42A)는 제1 센서 디바이스(S1)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1 커넥터(5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2 센서 인터페이스(42B)는 제2 센서 디바이스(S2)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2 커넥터(58)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42)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 각각을 위한 커넥터(5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데이터(24)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데이터(23)는 사용자(1) 신체의 제1 부분에 위치한 제1 센서 디바이스(S1)에 의해 측정된 제1 온도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2 센서 데이터(25)는 사용자(1) 신체의 제2 부분에 위치한 제2 센서 디바이스(S2)에 의해 측정된 제2 온도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제1 센서 데이터(23)는 제1 화학 센서인 제1 센서 디바이스(S1)에 의해 측정된 제1 화학 데이터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는 무선 인터페이스(42B) 및 유선 인터페이스(42A)를 포함한다.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13)의 통신 시스템(5)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5)은 메모리(22), 처리 유닛(14),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16),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4)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18)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5)은 제1 센서 디바이스(S1) 및 제2 센서 디바이스(S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 및 무선 유닛(6)을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14)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42A)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23)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은 센서 인터페이스(42)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42B)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25)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4)은 제1 센서 데이터(23)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24)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14)은 제1 센서 데이터(23) 및 제2 센서 데이터(25)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24)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4)은 무선 유닛(6)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에 사용자 데이터(24)를 전송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데이터(24)의 결정에 따라, 처리 유닛(14)은 제1 센서 데이터(23)에 기초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신호(44)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제1 오디오 출력 신호(44)를 출력하는 것은 제1 오디오 출력 신호(44)를 청력 보호 디바이스(2)에, 예를 들어, 청력 보호 디바이스(2)의 제1 수신기(7)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기(7)는 청력 보호 디바이스(2)의 제1 이어피스 또는 제1 이어머프와 같은 제1 귀 보호기(9)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이어피스(9)는 좌측 접속부와 같은 제1 접속부(10)를 포함한다. 제1 오디오 출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청력 보호 디바이스를 통한 오디오 출력(사용자에게 알리는 소리)을 통해 자신의 상태 및/또는 장비의 상태에 대해 알릴 수 있다.
제1 수신기(7)는 좌측 수신기일 수 있어, 제1 오디오 출력 신호(44)는,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24) 및/또는 제1 센서 디바이스(S1)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진폭에서 좌측 수신기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 신호(44)는 제1 오디오 출력(44A)으로서 제1 수신기(7)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24)의 결정에 따라, 처리 유닛(14)은 제2 센서 데이터(25)에 기초하여 제2 오디오 출력 신호(46)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제2 오디오 출력 신호(46)를 출력하는 것은 제2 오디오 출력 신호(46)를 청력 보호 디바이스(2)에, 예를 들어, 청력 보호 디바이스(2)의 제2 수신기(8)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기(8)는 청력 보호 디바이스(2)의 제2 이어피스 또는 제2 이어머프와 같은 제2 귀 보호기(11)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이어피스(11)는 우측 접속부와 같은 제2 접속부(12)를 포함한다.
제2 수신기(8)는 우측 수신기일 수 있어, 제2 오디오 출력 신호(46)는,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24) 및/또는 제2 센서 디바이스(S2)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진폭에서 우측 수신기에 출력될 수 있다. 제2 오디오 출력 신호(46)는 제2 오디오 출력(46A)으로서 제2 수신기(8)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예시적인 장비의 개략도로서, 장비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장비는 안전 조끼로서, 4개의 센서 디바이스가 조끼의 4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었다. 따라서,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는 사용자 신체의 상이한 부분에서 사용자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100)의 흐름도이다.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방법(100)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102A)를 포함한다.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102B)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3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102C)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4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4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102D)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10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통신 장치는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방법은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력 보호 장치의 무선 유닛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11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에서, 방법은 사용자의 몸통에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는 단계(108)를 포함한다.
도 5는 통신 장치(18), 서버 디바이스(50), 및 무선 유닛(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5)에서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예시적인 서버 디바이스(50)를 도시한다. 통신 장치(18)는 통신 디바이스(4)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7)는 접속부(58)를 통해 제1 센서 디바이스(S1) 및 제2 센서 디바이스(S2)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S1, S2, S3, S4)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2, 52A, 52B), 메모리(54), 및 인터페이스(56)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50)는 통신 장치(18)로부터 사용자 데이터(24)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50)는 사용자 데이터(24)에 기초하여 이벤트 데이터(26)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50)는 이벤트 데이터(26)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버 디바이스(50)는 전송 방식에 따라 이벤트 데이터(26)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서버 디바이스에서, 서버 디바이스(50)는 인터페이스(56)를 통해 접속부(58)를 거쳐 이벤트 데이터(26)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서버 디바이스에서, 서버 디바이스(50)는 인터페이스(56)를 통해 이벤트 데이터(26)를, 제2 통신 디바이스(4A)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유닛(6A) 및 제3 통신 디바이스(4B)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무선 유닛(6B)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임무 수행 사용자가 각각 서버 디바이스(50)와 통신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서버 디바이스(50)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4, 4A, 4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24)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데이터(26)를 결정하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일부에 대한 이벤트 데이터(26)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50)는 인터페이스(56)를 통해 이벤트 데이터(26)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음 항목 중 임의의 항목에 따른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방법, 및 서버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항목 1.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메모리; 및
처리 유닛
을 포함하며,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력 보호 장치의 무선 유닛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3. 항목 1 내지 항목 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센서 인터페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센서 인터페이스는 제2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의 제1 부분에 배치된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온도를 나타낸다.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 신체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2 온도를 나타낸다.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센서 데이터는 제1 화학 센서인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화학 데이터를 나타낸다.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항목 11.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처리 유닛,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
을 포함하고,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처리 유닛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며;
무선 유닛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항목 12.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방법은: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13. 항목 12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몸통에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14. 통신 장치, 무선 유닛 및 서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서버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서버 디바이스는: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며;
전송 방식에 따라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1차", "2차", "3차" 등의 용어의 사용은 임의의 특정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포함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 "1차", "2차", "3차" 등의 용어의 사용은 임의의 순서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제1", "제2", "제3" 및 "제4", "1차", "2차", "3차" 등의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1차", "2차", "3차" 등의 단어는 여기 및 다른 곳에서 라벨링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임의의 특정 공간적 또는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념한다.
또한, 제1 요소의 라벨링은 제2 요소의 존재를 의미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선으로 도시된 일부 모듈 또는 동작 및 점선으로 도시된 일부 모듈 또는 동작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선으로 포함된 모듈 또는 동작은 가장 광범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포함된 모듈 또는 동작이다. 점선으로 포함된 모듈 또는 동작은 실선의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의 모듈 또는 동작에 추가로 취해질 수 있는 추가 모듈 또는 동작이거나 이에 포함되거나 그 일부일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동작은 제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이 수행될 필요는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동작은 임의의 순서 및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나열된 것 이외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반드시 배제하지 않음을 유념해야 한다.
요소 앞에 오는 단어("a" 또는 "an")는 복수의 그러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방법,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러 "수단", "유닛" 또는 "디바이스"는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일 양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 단계 프로세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s;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착탈식 및 비착탈식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개체, 구성 요소,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행 가능 명령어 또는 관련 데이터 구조의 특정 시퀀스는 이러한 단계 또는 프로세스에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행위의 예를 나타낸다.
특징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청구된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며,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청구된 발명은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 임무 수행 사용자
2 청력 보호 디바이스
3 청력 보호 시스템
4, 4A, 4B 통신 디바이스
5 통신 시스템
6, 6A, 6B 무선 유닛
7 제1 수신기
8 제2 수신기
9 제1 귀 보호기, 제1 이어피스, 제1 이어머프
10 제1 접속부
11 제2 귀 보호기, 제2 이어피스, 제2 이어머프
12 제2 접속부
13 청력 보호 장치
14 프로세서
16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17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18 통신 장치
20 인터페이스
22 메모리
23 제1 센서 데이터
24 사용자 데이터
25 제2 센서 데이터
26 이벤트 데이터
40, 40B 청력 보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42 센서 인터페이스
42A 제1 센서 인터페이스
42B 제2 센서 인터페이스
42C 제3 센서 인터페이스
42D 제4 센서 인터페이스
44 제1 오디오 출력 신호
44A 제1 오디오 출력
46 제2 오디오 출력 신호
46A 제2 오디오 출력
50 서버 디바이스
52, 52A, 52B 프로세서
54 메모리
56 인터페이스
58 접속부
S1 제1 센서 디바이스
S2 제2 센서 디바이스
S3 제3 센서 디바이스
S4 제4 센서 디바이스
100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 동작 방법
102A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102B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102C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3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102D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4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4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106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108 사용자의 몸통에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는 단계
110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력 보호 장치의 무선 유닛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S1 제1 센서 디바이스
S2 제2 센서 디바이스
S3 제3 센서 디바이스
S4 제4 센서 디바이스

Claims (13)

  1.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메모리; 및
    처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 상기 제1 센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또는 정신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1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청력 보호 장치의 무선 유닛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것인, 통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1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온도를 나타내는 것인, 통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2 온도를 나타내는 것인, 통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데이터는 제1 화학 센서인 상기 제1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제1 화학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인, 통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10.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처리 유닛, 무선 유닛 인터페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 유닛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통신 시스템.
  11.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청력 보호 장치용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제1 센서 디바이스 및 제2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센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1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의 제2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제2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몸통에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배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통신 장치, 무선 유닛 및 서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센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서버 디바이스.
KR1020227023587A 2019-12-20 2020-12-18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KR20220117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8942 2019-12-20
EP19218942.1 2019-12-20
PCT/EP2020/087147 WO2021123251A1 (en) 2019-12-20 2020-12-18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ission performing user and relate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263A true KR20220117263A (ko) 2022-08-23

Family

ID=6900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587A KR20220117263A (ko) 2019-12-20 2020-12-18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21157A1 (ko)
EP (1) EP4079011A1 (ko)
JP (1) JP2023507611A (ko)
KR (1) KR20220117263A (ko)
CN (1) CN115088283A (ko)
AU (1) AU2020408200A1 (ko)
WO (1) WO20211232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4602B (zh) * 2016-06-23 2021-10-01 3M创新有限公司 具有用于主动焊接危险避免的暴露检测的焊接护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9011A1 (en) 2022-10-26
AU2020408200A1 (en) 2022-07-28
US20220321157A1 (en) 2022-10-06
JP2023507611A (ja) 2023-02-24
CN115088283A (zh) 2022-09-20
WO2021123251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JP7072351B2 (ja) 環境条件を感知し、それに応じてユーザに警告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101959615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근로자 건강관리 방법
US10143415B2 (en) Method of monitoring a patient for seizure activity and evaluating seizure risk
CN105913614A (zh) 监测摔倒的方法、装置以及智能穿戴设备和摔倒报警系统
US10080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seizures using EMG sensors
JP2016126440A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610557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nitoring a patient for motor manifestations including seizure activity
Bu et al. A wearable intelligent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firefighter's physiological state and predicting dangers
EP3648471B1 (en) Hearing system with heart rate monitoring and related method
KR20220117263A (ko) 임무 수행 사용자를 위한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JP6914597B2 (ja) ペット・人の友交度測定装置及びペット・人の友交度測定用プログラム
KR101825134B1 (ko)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KR20160117934A (ko) 뇌파를 이용한 건설근로자 안전관리 시스템
US20190173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ork situation
CA2969252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an action for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603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ife threatening condition via bodily worn sensors
KR102382985B1 (ko) 스마트 골전도 이어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80092122A (ko) 생체신호 기반의 안전관리 작업복
US20170367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nitoring a patient for motor manifestations related to seizure activity
KR20180092126A (ko) 생체신호 기반의 안전관리 작업복을 이용한 근로자 건강관리 시스템
Jethwa et al. Realtime soldier's health monitoring system incorporating low power LoRa communication
JP2020065641A (ja) 熱中症リスク評価システム及び熱中症リスク評価方法
US11666265B2 (en) Hearing system with heart condition alert and related methods
JP7484580B2 (ja) 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