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895A -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895A
KR20220116895A KR1020210020313A KR20210020313A KR20220116895A KR 20220116895 A KR20220116895 A KR 20220116895A KR 1020210020313 A KR1020210020313 A KR 1020210020313A KR 20210020313 A KR20210020313 A KR 20210020313A KR 20220116895 A KR20220116895 A KR 2022011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handle
frame
presen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이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6895A/ko
Publication of KR2022011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05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discrete positions, e.g. in extreme extend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을 갖는 핸들좌측프레임과 상기 핸들좌측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핸들우측프레임을 포함하는 핸들프레임; 상기 핸들프레임이 각각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양 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이 삽입 관통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 및 상기 핸들좌측프레임의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핀으로 구성된 스토퍼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Kickboard handle fram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킥보드는 비교적 사용 연령이 다양하여 각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높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고 고정 수단이 어느 일 측에 한정 사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킥보드는 2개의 바퀴가 달린 발판에 한 발을 얹고 지면을 구르며 손잡이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레포츠 기구이다.
킥보드는 스쿠터, 롤러보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킥보드는 손잡이와 연결되는 핸들 프레임이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 가볍고, 폴딩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다.
전동 킥보드는 전동 장치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중단거리를 이동하는 직장인의 출퇴근이나 사내 이동용으로 활용된다.
전동 킥보드는 레저나 여가 생활에서 이동 및 보행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동 킥보드 역시 간편하게 폴딩 가능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 가능하다.
전동 킥보드는 비교적 사용 연령이 다양하여 각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손잡이와 연결되는 핸들 프레임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 손잡이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되면 고정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되었다.
종래 킥보드는 높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고 고정 수단이 어느 일 측에 한정 사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275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핸들프레임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쉽게 조절 가능하면서 이를 고정시키는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편리성을 위해 조작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조작 과정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위치 조절 이후 고정은 보다 강력하게 이루어져 확실한 잠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을 갖는 핸들좌측프레임과 상기 핸들좌측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핸들우측프레임을 포함하는 핸들프레임; 상기 핸들프레임이 각각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양 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이 삽입 관통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 및 상기 핸들좌측프레임의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핀으로 구성된 스토퍼핀유닛;을 포함하는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프레임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쉽게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 편리성이 향상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위치 조절 이후 고정은 보다 강력하게 이루어져 확실한 잠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서 'A'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B'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서 'B'에 대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서 'A'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B'에 대한 확대사시도,도 5는 상기 도 1에서 'B'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을 갖는 핸들좌측프레임(12)과 핸들좌측프레임(1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핸들우측프레임(16)을 포함하는 핸들프레임(10); 핸들프레임(10)이 각각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프레임(20); 양 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핸들프레임(10)이 삽입 관통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30); 핸들좌측프레임(12)의 측면에 배치되며, 체결공에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되어 핸들프레임(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스토퍼핀유닛(100);을 포함한다.
핸들프레임(10)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프레임(10)은 사용자의 조향 의도에 따라 손잡이를 조절하면 동시에 앞 바퀴가 동일한 각도만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핸들프레임(10)은 안정적인 조향을 위해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핸들좌측프레임(12)은 길이 방향, 즉 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외주면을 관통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우측프레임(16)은 핸들좌측프레임(12)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핸들좌측프레임(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핸들프레임(10)을 구성한다.
지지프레임(20)은 핸들프레임(10)이 각각 결합되며 핸들프레임(10)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20)과 핸들프레임(10)은 일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핸들프레임(10)을 잡아당기거나 핸들프레임(10)을 지지프레임(20) 측으로 밀어 넣는 방법으로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프레임(20)은 속이 빈봉 형상이며,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유지플레이트(30)는 핸들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간격유지플레이트(30)에는 양 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핸들프레임(10)이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핸들우측프레임(16)이 관통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30)의 우측 상면에는 핸들우측프레임(16)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입상가이드부재(50)가 지지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입상가이드부재(50)에는 입상가이드부재(50)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경조절슬릿구(52)가 형성된다.
입상가이드부재(50)는 내경조절슬릿구(52)로 인해 내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휨이 발생할 수 있어 클램프부재(200)에 의해 삽입된 핸들우측프레임(16)을 조일 수 있다.
스토퍼핀유닛(100)은 스토퍼핀(110), 브라켓(120),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스토퍼핀유닛(100)은 핸들좌측프레임(12)에 배치되며, 핸들좌측프레임(12)에 형성된 체결공(1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되는 걸림핀(114)에 의해 핸들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 이후에는 핸들프레임(10)이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스토퍼핀(110)은 몸체(112)와 몸체(11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핀(114)과 걸림핀(114)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당김부(116)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핀(114)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걸림핀(114)은 당김부(116)에 대한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몸체(112)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재(130)는 몸체(112)와 결합되어 스토퍼핀(110)을 브라켓(120)에 고정 결합시키는 너트가 적당하고, 고정부재(130)와 결합되도록 몸체(112)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다.
핸들프레임 고정장치는 스토퍼핀유닛(100) 이외에 클램프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0)는 일측이 개구된 C-클램프 형상을 갖으며, 레버(210)의 작동 위치에 따라 조임이나 조임 해제된다.
클램프부재(200)는 입상가이드부재(5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클램프부재(200)는 입상가이드부재(50)를 조임하거나 조임 해제할 수 있다.
핸들우측프레임(16)과 입상가이드부재(50) 사이에는 마찰링(6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개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핸들프레임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클램프부재(200)의 레버(210)를 이용하여 클램프부재(200)를 조임 해제시킨 이후 클램프부재(200)를 입상가이드부재(5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로 인해, 입상가이드부재(50)와 핸들우측프레임(16) 사이의 고정은 해제되고 핸들우측프레임(16)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스토퍼핀(110)의 당김부(116)를 후방으로 당김하여 걸림핀(114)이 핸들좌측프레임(12)의 체결공(13)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핸들좌측프레임(1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따라서 이중 고정과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 이후 비로소 핸들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클램프부재(200)를 입상가이드부재(50) 측으로 이동시킨 이후 레버(210)를 작동하여 클램핑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핸들프레임 12: 핸들좌측프레임
13: 체결공 16: 핸들우측프레임
20: 지지프레임 30: 간격유지플레이트
100: 스토퍼핀유닛 110: 스토퍼핀 120: 브라켓
130: 고정부재 112: 몸체

Claims (1)

  1.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공을 갖는 핸들좌측프레임과 상기 핸들좌측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핸들우측프레임을 포함하는 핸들프레임;
    상기 핸들프레임이 각각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양 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이 삽입 관통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 및
    상기 핸들좌측프레임의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되어 상기 핸들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핀을 갖는 스토퍼핀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KR1020210020313A 2021-02-16 2021-02-16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KR20220116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3A KR20220116895A (ko) 2021-02-16 2021-02-16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313A KR20220116895A (ko) 2021-02-16 2021-02-16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95A true KR20220116895A (ko) 2022-08-23

Family

ID=8309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313A KR20220116895A (ko) 2021-02-16 2021-02-16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68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56Y1 (ko) 2000-11-04 2001-05-15 전상용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56Y1 (ko) 2000-11-04 2001-05-15 전상용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4165A1 (en) Dual steerable vehicle
US8333208B2 (en) Collapsible walking device
US8714582B2 (en) Ride along board for baby stroller
US8234755B1 (en) Adjustable extension for handles
US10787188B2 (en) Baby carriage
US9254883B2 (en) Scooter
US20130020777A1 (en) Balance Bike
US9896148B2 (en) Collapsible two-wheeled vehicle
US20090008902A1 (en) Mounting Assembly for Attaching auxiliary equipment to a wheelchair
JP5810530B2 (ja) 高さ調節可能なハンドルを有する歩行器
WO2008092722A3 (en) Handlebar of variable cross-section
US20150050073A1 (en) Apparatus for mounting handlebars
US20120091686A1 (en) Boot rest for motorcycle engine guard
CA2753663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user with an injured leg
US9469328B2 (en) Universal ski conversion assembly
KR20170109270A (ko) 높이가 조절되는 자전거 보조핸들 장치
KR20220116895A (ko)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US20220370269A1 (en) Exercise pedal wheel accessory and attachment bracket for wheelchairs
KR20180075766A (ko) 킥보드의 핸들프레임 고정장치
US20130237385A1 (en) Adjustable frame for excercise device
US9493034B1 (en) Wheel securing assembly and bicycle wheel assembly
US20220371644A1 (en) Stroller propulsion apparatus
US10966896B2 (en) Rollator braking system
US20170225738A1 (en) Recreational bicycle
EP2786926B1 (en) Folding balance b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