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777A -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 Google Patents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777A
KR20220116777A KR1020210020046A KR20210020046A KR20220116777A KR 20220116777 A KR20220116777 A KR 20220116777A KR 1020210020046 A KR1020210020046 A KR 1020210020046A KR 20210020046 A KR20210020046 A KR 20210020046A KR 20220116777 A KR20220116777 A KR 2022011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user
vending machine
uni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예솔
Original Assignee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6777A/ko
Publication of KR2022011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타일 및 헤어에 맞는 최적의 맞춤 염색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THAT RECOMMENDS RESTAURANTS THAT ANALYZE TASTES BASED ON BIG DATA}
본 발명은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타일 및 헤어에 맞는 최적의 맞춤 염색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염색약은 판매 매대에 진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제품을 직접 선택 및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이 대부분이며, 이를 자판기 방식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공간적, 기술적 한계로 인해 현재 개발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수많은 종류의 색상 출력을 고려하여, 자판기 방식으로 편리하고 간편하게 염색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057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타일 및 헤어에 맞는 최적의 맞춤 염색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는 자판기 본체, 상기 자판기 본체에 탑재되며, 사용자 조작을 통해 염색약 색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장치,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분석하여, 기 학습된 염색약 색상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염색약 색상을 결정하는 분석부, 결정된 상기 염색약 색상에 따라, 각각의 염색 염료를 혼합하여 상기 염색약 색상의 염료가 되도록 하는 염료 혼합부, 혼합된 상기 염료를 용기에 담는 포장부 및 상기 염료가 담긴 용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가상 공간에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 반영된 가상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을 상기 가상 모델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형식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가상 스타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상기 혼합된 염료를 사용자의 모발에 바르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악세서리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타일 및 헤어에 맞는 최적의 맞춤 염색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염색약을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100)는 크게 자판기 본체(110), 입력 장치(120), 카메라 장치(130), 분석부(140), 염료 혼합부(150), 포장부(160) 및 용기 배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가상 스타일 반영부(141) 및 악세서리 배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자판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자판기에 상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자판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통해 염색약 색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선택된 염색약에 따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력 장치(120)가 마련된다.
입력 장치(120)는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염색약 선택 메뉴, 사용자 촬영 메뉴,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모델이 표시되도록 하는 메뉴, 선택된 염색약을 결제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자판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130)가 마련된다. 카메라 장치(130)는 사용자를 2D 형식의 이미지 데이터로 촬영할 수도 있고, 딥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3D 형식의 이미지 데이터로도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부(140)로 제공된다.
분석부(140)는 카메라 장치(13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얼굴형 등에 최적화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하여 추천하게 된다.
이때, 분석부(140)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가상 공간에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및 얼굴형이 반영된 가상 모델을 생성하고, 분석부(140)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을 해당 가상 모델의 헤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형식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가상 스타일 반영부(141)가 마련된다.
가상 스타일 반영부(141)를 통해 생성되는 미리보기 형식의 이미지 데이터는 입력 장치(12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색상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구매 후에도 만족도가 높아지게 된다.
염료 혼합부(150)는 앞서 분석부(140)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에 따라, 다수의 염색 연료를 혼합하여 상기 염색약 색상의 염료가 제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염료 혼합부(150)는 다수의 색상 별 염료 주입장치와 연결되며, 분석부(140)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에 따라 각 염료 주입장치에서 정량화 된 염료량이 결정되어 혼합용기 내로 주입되게 된다.
포장부(160)는 염료 혼합부(150)의 혼합용기 내에서 혼합이 완료된 염료를 전용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하는 역할을 한다. 포장부(160)를 통해 포장된 용기는 용기 배출부(170)를 통해 자판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혼합된 염료를 사용자의 모발에 바르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악세서리 배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악세서리라 함은 사용자의 모발에 염료를 바르는데 필요한 빗, 커버용 비닐 등이 될 수 있으며, 입력 장치(120) 상에 이러한 악세서리를 구매할 수 있는 메뉴와 함께 결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메뉴 선택을 통해 악세서리를 구입할 수 있고, 악세서리 배출부(180)에는 해당 구매 내역을 토대로 악세서리를 자판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염색약을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입력 장치(120)에 표시된 염색약 선택 메뉴를 토대로 원하는 염색약을 선택 및 결제하게 되고(S201), 카메라 장치(130)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얼굴 이미지 등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202).
다음으로 분석부(140)에서는 해당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얼굴형 등에 최적화된 염색약 색상을 결정하여 추천하게 되고(S203), 이때 가상 스타일 반영부(141)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가상 공간에 사용자의 헤어스타일 및 얼굴형이 반영된 가상 모델을 생성하고, 분석부(140)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을 해당 가상 모델의 헤어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형식으로 입력 장치(12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S204).
다음으로, 염료 혼합부(150)는 결정된 염색약 색상에 따라, 다수의 염색 연료를 혼합하여 상기 염색약 색상의 염료가 제조되도록 하는데(S205), 이때 분석부(140)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에 따라 각 염료 주입장치에서 정량화 된 염료량이 결정되어 혼합용기 내로 주입된다.
다음으로, 포장부(160)는 염료 혼합부(150)의 혼합용기 내에서 혼합이 완료된 염료를 전용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한 후(S206), 용기 배출부(170)를 통해 자판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207).
또한 상기 포장부(160)는 케이스 표면에 이용자의 이름이나 축하문자를 포함하는 글자 또는 사진이나 그림을 포함하는 아이콘 등 식별가능한 부호를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더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110: 자판기 본체
120: 입력 장치
130: 카메라 장치
140: 분석부
141: 가상 스타일 반영부
150: 염료 혼합부
160: 포장부
170: 용기 배출부
180: 악세서리 배출부

Claims (5)

  1. 자판기 본체;
    상기 자판기 본체에 탑재되며, 사용자 조작을 통해 염색약 색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장치;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분석하여, 기 학습된 염색약 색상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염색약 색상을 결정하는 분석부;
    결정된 상기 염색약 색상에 따라, 각각의 염색 염료를 혼합하여 상기 염색약 색상의 염료가 되도록 하는 염료 혼합부;
    혼합된 상기 염료를 용기에 담는 포장부; 및
    상기 염료가 담긴 용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용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가상 공간에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 반영된 가상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분석부를 통해 결정된 염색약 색상을 상기 가상 모델에 적용하여 미리보기 형식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가상 스타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상기 혼합된 염료를 사용자의 모발에 바르는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악세서리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혼합부의 혼합용기 내에서 혼합이 완료된 염료를 전용 용기에 주입하여 포장한 후, 상기 배출부를 통해 자판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케이스 표면에 글자 또는 아이콘 등 식별가능한 부호를 인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KR1020210020046A 2021-02-15 2021-02-15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KR2022011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46A KR20220116777A (ko) 2021-02-15 2021-02-15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46A KR20220116777A (ko) 2021-02-15 2021-02-15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77A true KR20220116777A (ko) 2022-08-23

Family

ID=8309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046A KR20220116777A (ko) 2021-02-15 2021-02-15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67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709B1 (ko) 2018-11-29 2021-01-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특성에 기초한 염색약 색상의 추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709B1 (ko) 2018-11-29 2021-01-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특성에 기초한 염색약 색상의 추천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844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발 염색 시스템
US996198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roducts for a personal care service, instructing on providing a personal care treatment service, and selecting a personal care service
AU2016200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preparation and management
EP1817976B1 (en) Methods for simulating custom hair color results and thereby selecting and formulating custom hair coloring compositions
JP5196695B2 (ja) ネイルカラーの色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960994B2 (en) Portable custom nail polish creator
CA248710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result of a coloration
EP1240845B1 (fr) Dispositif de conseil pour la coloration capillaire
EP1534417B1 (en) Machine for making oxidation hair dyes in particular for hairdressers
KR20000059262A (ko) 인터넷 상에서의 실시간 헤어,메이크업과 패션 액세서리디자인 시스템 및 방법
CN108665358A (zh) 产品信息快速匹配多个平台的方法和装置
KR20220116777A (ko) 맞춤형 스마트 염색약 자판기
KR102234869B1 (ko) 영상과 대응하는 신발 추천 시스템
KR102149431B1 (ko) 커스터마이징된 화장품 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71476A (ko) 헤어 컬러 추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900905B1 (ko) 염색약 맞춤 제작 방법
CN108876515A (zh) 基于网络购物平台的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906495B2 (ja) 型紙販売システム
CN110796804A (zh) 数据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149014A (zh) 信息处理方法、信息显示方法及装置
US200300906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degree of characteristic of a substance
JP2001256555A (ja) 商品売上登録処理装置
JP2023122571A (ja) ヘアカラー剤の選択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693239A (zh) 染发方法及染发剂确定系统
MX2008009840A (en) Methods for simulating custom hair color results and thereby selecting and formulating custom hair color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