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623A -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623A
KR20220115623A KR1020227025810A KR20227025810A KR20220115623A KR 20220115623 A KR20220115623 A KR 20220115623A KR 1020227025810 A KR1020227025810 A KR 1020227025810A KR 20227025810 A KR20227025810 A KR 20227025810A KR 20220115623 A KR20220115623 A KR 2022011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dule
converter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핑 장
빙 리우
지민 첸
Original Assignee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ublication of KR2022011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8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eparate 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 배터리 충전 포트(104, 105) 및 제어 모듈(103, 203)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은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어 모듈(103, 203)은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을 호출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104, 105)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106, 107, 207, 208, 209, BAT1, BAT2, BAT3, BAT4)를 충전한다.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을 호출할 수 있고,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101, 102, 201, 202, b1, d1, d2, d3, d4)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관련된 출원의 상호참조
본 발명은 출원일이 2019년 12월 26일이고 출원번호가 2019113705183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신에너지 자동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신에너지 교통 수단으로서, 저소음, 높은 에너지 이용 효율, 테일 가스 배출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발전하는 신흥 산업 중 하나로 되었다.
에너지 공급은 전기자동차 산업 체인에서 중요한 단계이며 에너지 공급 모드는 전기자동차 개발과 밀접히 관련된다. 전기자동차인 경우, 에너지가 배터리이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전력량을 보충해야 한다. 현단계에서, 중국의 전기자동차는 대부분 공용 전력망을 이용하여 충전하고 있는데, 배터리를 충전할 때, 각각의 충전기는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고, 각각의 충전기는 해당 번호에 대응되는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일대일로 대응되는 충전 방식에서, 한편으로,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만충전 경우, 이에 대응되는 충전기는 작동을 정지하고, 이와 동시에, 급히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는 오히려 적시에 보급 받을수 없으며; 다른 한편으로,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고장난 경우, 대응되는 충전 빈(charging bin)을 사용할 수 없거나, 또는 시스템은 여전히 고장난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등록 공고 번호가 CN209305379U인 실용 신안 특허는 분리식 스와핑 스테이션을 개시하였으며, 전체적인 충전 장치를 포함하되, 충전 장치는 전력 분배 포트, 전력 제어 모듈 및 상이한 유형의 충전 단말기를 포함하고, 전력 제어 모듈을 통해 출력 전력 분배를 제어하여 배터리 팩과 같은 충전 단말기를 충전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어느 정도 전력 배분의 유연성을 향상시켰으나, 그 본질은 여전히 기존의 총 충전 전력을 기초로 하여 일대일로 배터리 팩과 같은 충전 단말기를 충전하는 것이고,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고장난 경우, 충전기에 대응되는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 공급을 받지 못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행기술에서 각각의 충전기가 해당 번호에 대응되는 배터리를 단방향으로 충전하는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충전 모듈의 상태에 따라, 충전 모듈의 개수, 출력 전력 및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 배터리 충전 포트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은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할 수 있고,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적시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충족시켜 스와핑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배터리 교체 체험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충전 수요를 충족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충전 중인 퀵 스왑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또는 각각의 상기 충전 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해당 개수의 충전 모듈을 유연하게 호출하고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여, 각각의 충전 모듈의 사용 효율이 최대로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 에너지를 가장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에 분배할 수 있으므로, 충전의 유연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선행기술에서 일대일, 고정적 충전 모드의 비효율적인 결점도 해결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충전 모듈은 모두 제1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는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통해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제어하여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고 호출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충전 모듈은 모두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제1 입력 인터페이스는 또한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여 병렬되는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의해 집중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충전 모듈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병렬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복수 개의 충전 모듈을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충전할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 모듈의 효율이 최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퀵 스왑 배터리가 충전 완료된 후 상기 충전 모듈과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호출된 상기 충전 모듈에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한다.
본 발명에서, 충전 완료된 이후에, 전기적 연결 차단 및 전기 에너지 출력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무효한 전기 에너지 출력을 방지하고,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 회로의 신뢰성도 향상시켜, 충전 시스템의 안전성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시스템은 모니터링 모듈, 산출 모듈, 및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스테이션 중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산출 모듈은 상기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스테이션 중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획득하며;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상기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에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도록 명령하고, 호출된 각각의 상기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가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출력 전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션은 스와핑 스테이션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된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파라미터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에 대해 상이한 충전 수요가 산출되고, 충전 모듈의 개수, 대응되는 출력 전력 및 이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배터리가 추가적으로 제어되어, 종래의 스와핑 스테이션의 일대일 충전 모드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 스와핑 스테이션의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전체 스와핑 스테이션의 충전 효율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시스템은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 또는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AC/DC(교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AC/DC 컨버터의 입력단 전력망에 연결되고,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AC/DC 컨버터는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및 단방향 DC/DC(직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단방향 DC/DC 컨버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상기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타단은 상기 발전 장치 및 상기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에너지 이용 방법을 제공하며,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어 공용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발전 장치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충전 시스템의 가용성 및 적용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저장 장치의 최적화된 구성을 통해, 로컬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사용 부하 간의 기본적인 균형을 이루어 신에너지 자동차의 충전 수요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청정 에너지를 포함한 발전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으로써, 환경 보호, 에너지 활용과 같은 유기적 결합을 최대한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시스템은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 및 에너지 저장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양방향 A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공급 모듈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교류단은 전력망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은 상기 충전 모듈 및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은 또한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타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상기 충전 모듈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 및/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양방향 AC/DC 컨버터를 통해 전력망에서 직접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모듈 및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변환된 교류 전기 또는 직류 전기의 유효 전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전력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고 현재 충전 완료된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제1 개수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전력 소모가 많을 때의 상이한 시기의 전력망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와 결합함으로써 충전 모드를 조절할 수 있어, 전력 소모가 적은 시간대의 여분의 전력량을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많을 때 거꾸로 전력망의 송전 압력을 줄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 시스템은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및 단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 및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또한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또한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에서 단방향 DC/DC 컨버터와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연결하고, 단방향 DC/DC 컨버터와 양방향 AC/DC 컨버터를 연결하여,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추가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전압 조정 후의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 장치에 공급시켜 저장 및 백업할 수도 있으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시켜 전력망이 역방향으로 전파할 수도 있음으로써, 전력망이 전력 소모가 많을 때의 압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전력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발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만 전력량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또는 발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 및/또는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현재 충전 완료된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상기 발전 장치 및 제1 개수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전력 소모가 많을 때의 상이한 시기의 전력망 상태 및 만충전 배터리의 개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발전 장치의 전력량 출력 방향을 유연하게 제어하여, 그린 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는 동시에 전력망이 전력 소모가 많을 때와 적을 때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은 통상의 충전 모듈이며;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중복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은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에 각각 병렬 접속되고 스위치를 통해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중복 충전 모듈 및 대응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어 모듈이 스위치의 닫힘을 제어하여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한편으로,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통상의 충전 모듈이 고장난 경우, 퀵 스왑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을 보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중복 충전 모듈과 통상의 충전 모듈이 배합하여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특수 충전 모드에서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발명에서, 중복 배터리의 설치 및 호출을 통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어,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배터리 교체 체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충전 모드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위치 중의 하나를 닫음으로써,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통상의 충전 모듈에 대응되는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및/또는,
상기 특수 충전 모드는 상기 제어 모듈이 추가 충전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중복 충전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함께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추가 충전이 필요한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발명에서,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배율을 높여 충전할 필요가 있고, 통상의 충전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 및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함께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충전 속도를 높이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충전 모듈이 고장이 발생한 경우,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고장난 통상의 충전 모듈에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가 중복 충전 모듈을 직접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통상의 충전 모듈을 기다릴 필요 없이 현재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 완료 후 고장난 통상의 충전 모듈에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 효과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할 수 있고,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력망이 전력 소모가 많을 때와 적을 때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모듈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모듈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일부 모듈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회로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제1 충전 모듈(101), 제2 충전 모듈(102), 제1 배터리 충전 포트(104), 제2 배터리 충전 포트(105) 및 제어 모듈(1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충전 모듈(101)과 제2 충전 모듈(102)은 병렬 접속된다.
제어 모듈(103)은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제1 배터리 충전 포트(104) 및 제2 배터리 충전 포트(105)를 통해 제1 퀵 스왑 배터리(106) 및 제2 퀵 스왑 배터리(107)를 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충전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구체적인 실천에서, 상이한 스와핑 스테이션 모델, 요구 사항, 구조 및 실용성에 따라 충전 모듈의 개수를 맞춤 제작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 및 제어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전력 공급 수요가 적은 경우, 1 ~ 5개의 40kw의 단일 그룹 충전 모듈을 설치하여 하나의 최소 유닛의 통상의 분산식 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할 수 있고,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적시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충족시켜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배터리 교체 체험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제어 모듈(203), 제1 충전 모듈(201), 제2 충전 모듈(202), 제1 충전 빈(204), 제2 충전 빈(205) 및 제3 충전 빈(206)을 포함하되, 여기서 각각의 충전 빈은 모두 하나의 배터리 충전 포트에 대응되고, 제어 모듈(203)은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제1 퀵 스왑 배터리(207), 제2 퀵 스왑 배터리(208) 및 제3 퀵 스왑 배터리(209)를 충전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몇 개의 충전 모듈을 통해 몇 개의 배터리에 해당되는 전력의 전기 에너지를 분배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이 몇 개의 배터리에 대응되는지 또는 하나의 배터리가 몇 개의 충전 모듈에 대응되는지는 모두 실제 수요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 및 제어해야 한다.
여기서, 충전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에 적당한 전력의 전기 에너지를 유연하고 동적으로 분배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충전 모듈은 모두 제1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제1 충전 모듈(201) 및 제2 충전 모듈(202)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는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통해 병렬 연결되며, 제어 모듈(203)은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제어하여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제어하고 호출한다. 또한 각각의 충전 모듈은 모두 제1 입력 인테페이스를 구비하고, 제1 충전 모듈(201) 및 제2 충전 모듈(202)의 제1 입력 인테페이스는 또한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여 병렬되는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의해 집중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203)은 또한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이 모두40kw이고, 제어 모듈(203)에 퀵 스왑 배터리가 요구한 충전 전력이 60kw로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 모듈(203)은 상기 두 개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동시에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고, 상기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모두 30kw로 동시에 조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40kw로, 다른 하나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20kw로 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 중의 충전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하기 위해, 제어 모듈(203)은 또한 퀵 스왑 배터리가 충전 완료된 후 충전 모듈과 퀵 스왑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호출된 충전 모듈에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충전 모듈,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를 포함하는 세 개의 충전 빈, 및 충전에 대응되는 세 개의 퀵 스왑 배터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구체적인 실천에서, 상이한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모델과 요구 사항에 따라 충전 모듈, 및 배터리 충전 포트를 포함하는 충전 기기의 개수를 맞춤 제작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 구제적인 구현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천 중의 충전 시스템은 두 개의 충전 모듈, 즉 제1 충전 모듈(201) 및 제2 충전 모듈(202)을 포함하고, 또한 충전 시스템은 두 개의 퀵 스왑 배터리, 즉 제1 퀵 스왑 배터리(207) 및 제2 퀵 스왑 배터리(208)를 충전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현재 시중에 다량의 충전 스테이션(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 또는 스와핑 스테이션(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은 모두 일대일 배선 형태로 충전 모듈(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고, 출력단도 일대일이므로, 이러한 방식은 충전 모듈과 제1 퀵 스왑 배터리(207)를 대응시켜 충전하므로 사용 효율이 낮지만,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와핑 스테이션 내에서 고객의 수요, 스와핑 스테이션의 레이아웃, 전기 공급 능력 등에 따라 상이한 모듈 및 전력에 매칭되는 충전 유닛을 설계한다. 예를 들어, 스와핑 스테이션의 전기 공급 능력이 작고, 매일 300 ~ 400개의 배터리를 교체하며, 충전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은 경우, 30kw 전력의 충전 모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두 개의 충전 모듈을 사용하여 하나의 최소 분산식 충전 유닛을 구성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입력은 하나의 버스를 교류 공유하여 병렬되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출력은 우선 각자 대응되는 충전 베이스 모듈 사이에 분류기(또는 접촉기)에 의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최소 분산식 유닛은 다음 네 가지 상이한 출력 속성을 가질 수 있다.
1. 제1 충전 모듈(201), 제2 충전 모듈(202)은 각각 대응되는 제1 퀵 스왑 배터리(207), 제2 퀵 스왑 배터리(208)를 충전한다.
2. 제1 충전 모듈(201), 제2 충전 모듈(202)은 모두 제1 퀵 스왑 배터리(207)를 충전한다. 예를 들어, 제2 퀵 스왑 배터리(208)의 현재 상태가 만충전 상태인 경우, 이 때, 제2 충전 모듈(202)은 유휴 대기 상태이고, 반대로, 제1 퀵 스왑 배터리(207)의 전력량은 낮으나 충전 수요가 시급하므로, 이 때, 제어 모듈(203)은 제1 충전 모듈(201)과 제2 충전 모듈(202)을 제어하여 동시에 제1 퀵 스왑 배터리(207)를 충전할 수 있다.
3. 제1 충전 모듈(201), 제2 충전 모듈(202)은 모두 제2 퀵 스왑 배터리(208)를 충전한다. 예를 들어, 제1 퀵 스왑 배터리(207)의 현재 상태가 만충전 상태인 경우, 이 때, 제1 충전 모듈(202)은 유휴 대기 상태이고, 반대로, 제2 퀵 스왑 배터리(208)의 전력량은 낮으나 충전 수요가 시급하므로, 이 때, 제어 모듈은 제1 충전 모듈(201)과 제2 충전 모듈(202)을 제어하여 동시에 제2 퀵 스왑 배터리(208)를 충전할 수 있다.
4. 제1 충전 모듈(201)(또는 제2 충전 모듈(202))이 고장 발생으로 인해, 제어 모듈(203)은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각각 제1 퀵 스왑 배터리(207), 제2 퀵 스왑 배터리(208)를 단독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따르면 다양한 분산식 유닛의 레이아웃을 구현하여 수요를 충족하는 충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스와핑 스테이션의 배터리 교체량이 크고, 충전 수요가 높은 경우, 더 높은 전력의 충전 모듈을 선택할 수 있고, 대응되게, 각각의 충전 유닛에 더 많은 개수의 충전 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전체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에 더 많은 개수의 충전 유닛을 설치하여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은 상이한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모델 및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응되는 수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충전 시스템은 충전 집중의 특성을 이용하여 빈점의 충전 모듈로 급히 충전이 필요한 퀵 스왑 배터리를 집중적으로 충전하여 충전 모듈의 효율을 극대화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으며, 분산식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서, 단일 충전 모드의 충전 시스템은 충전 모듈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집적화를 제어하고, 각 충전 유닛별 배터리 데이터를 공유하는 이념을 모듈화하여 집중 관리함으로써, 충전 전력이 일정한 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충전 과정은 분산식 단일 충전 모듈이 대응되는 단일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고장으로 인해 충전 및 고객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문제를 완전히 회피하여,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충전 시스템은 표준화, 모듈화, 집적화, 계열화, 맞춤화된 설계를 적용하고, 충전 시스템의 컨트롤러는 만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이념을 적용하여 각각의 충전 모듈이 모두 통신하고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충전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경우, 새로 추가된 충전 유닛을 편리하고 빠르게 충전 시스템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충전 시스템 네트워크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다른 충전 유닛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적시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충족시켜 스와핑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배터리 교체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장 충전이 필요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난 충전 모듈이 여전히 충전할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를 피면할 수 있고, 충전의 유연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선행기술에서 일대일, 고정적 충전 모드의 비효율적인 결점도 해결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완료된 이후에, 전기적 연결 차단 및 전기 에너지 출력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무효한 전기 에너지 출력을 방지하고,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 회로의 신뢰성도 향상시켜, 충전 시스템의 안전성도 보장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에 대해 더 개선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전 시스템은 모니터링 모듈(301), 산출 모듈(302) 및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301)은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한다.
산출 모듈(302)은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현재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서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획득한다.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제어 모듈(203)에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에 상이한 개수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도록 명령하고, 호출된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각각의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가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출력 전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301)은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 구제적인 구현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현재 전기 에너지 출력은 제한되어 있지만 충전할 배터리의 개수가 많은 경우, 모니터링 모듈(301)은 충전할 배터리의 충전 수요가 모두 높지 않은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산출 모듈(302)은 현재 전기 에너지를 산출하여 각각의 충전할 배터리에 평균 분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각각의 배터리마다 전력을 감소시키고, 충전 시간을 증가하는 방식으로 제어하여 각각의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모듈(301)은 한 시간 후에 어느 하나의 배터리를 사용해야 하는 것과 같이 충전할 배터리에 일부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가 있는 것으로 모니터링되면, 산출 모듈(302)은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에 대해 집중 출력되는 해당 전력을 산출할 수 있고,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출력 전력을 증가하는 방식으로 우선 충전 수요가 높은 배터리를 집중 충전하며, 상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 다른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된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파라미터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에 대해 상이한 충전 수요를 산출하고, 충전 모듈의 개수, 대응되는 출력 전력 및 이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배터리를 추가적으로 제어하여, 종래의 스와핑 스테이션의 일대일 충전 모드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 스와핑 스테이션의 전기 에너지를 합리적으로 분배하여, 전체 스와핑 스테이션의 충전 효율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는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을 더 개선한 것으로, 본 실시예 중의 충전 시스템은 에너지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며, 본 실시예 중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만 포함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AC/DC 컨버터(401)를 포함하되, AC/DC 컨버터(401)의 입력단은 전력망에 연결되고, A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AC/DC 컨버터는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501) 및 단방향 DC/DC 컨버터(502)를 포함하되, 단방향 DC/DC 컨버터(502)의 입력단은 발전 장치(501)에 연결되고, 단방향 DC/DC 컨버터(502)의 출력단은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단방향 DC/DC 컨버터(502)는 발전 장치(501)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여기서, 발전 장치에는 태양광, 풍력 발전 시스템과 같은 청정 에너지 발전 장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에너지 이용 방법을 제공하며,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어 공용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 장치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충전 시스템의 가용성 및 적용성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와 실시예 4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별점은 다음과 같은 바, 본 실시예 중의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 양방향 DC/DC 컨버터(504)를 더 포함하되, 단방향 DC/DC 컨버터(502)의 입력단은 발전 장치(501)에 연결되고, 단방향 DC/DC 컨버터(502)의 출력단은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일단은 에너지 저장 장치(503)에 연결되고,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타단은 발전 장치(501) 및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단방향 DC/DC 컨버터(502)는 발전 장치(501)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양방향 DC/DC 컨버터(504)는 단방향 DC/DC 컨버터(502)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양방향 DC/DC 컨버터(504)는 에너지 저장 장치(503)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에너지 이용 방법을 제공하며,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어 공용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발전 장치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충전 시스템의 가용성 및 적용성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화된 구성을 통해, 로컬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사용 부하 간의 기본적인 균형을 이루어 신에너지 자동차의 충전 수요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청정 에너지를 포함한 발전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으로써, 환경 보호, 에너지 활용과 같은 유기적 결합을 최대한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와 실시예 5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구별점은 실시예 5 중의 AC/DC 컨버터(401)가 양방향 AC/DC 컨버터로 구체화된 것이고, 이 밖에, 본 실시예 중의 충전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 양방향 DC/DC 컨버터(504)만 포함하되,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 양방향 DC/DC 컨버터(504)는 공동으로 에너지 저장 공급 모듈을 구성한다.
양방향 AC/DC 컨버터의 교류단은 전력망에 연결되고,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은 충전 모듈 및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일단은 또한 충전 모듈에 연결되고,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타단은 에너지 저장 장치(503)에 연결된다.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충전 모듈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 및/또는 양방향 DC/DC 컨버터(504)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504)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양방향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양방향 AC/DC 컨버터를 통해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퀵 스왑 배터리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모듈 및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역방향으로 전력망에 출력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많을 때와 적을 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화된 구성을 통해, 로컬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사용 부하 간의 기본적인 균형을 이루어 신에너지 자동차의 충전 수요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청정 에너지를 포함한 발전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으로써, 환경 보호, 에너지 활용과 같은 유기적 결합을 최대한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는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을 개선한 것으로, 본 실시예 중의 모니터링 모듈(301)은 또한 전력망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또한 제어 모듈(203)에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또한 제어 모듈(203)에 전력망을 제어하여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503)를 제어하여 충전 모듈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또는,
전력망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고 현재 충전 완료된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제어 모듈(203)에 전력망을 제어하여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 제1 개수의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301)은 전력망 모니터링 시스템에 연결되어 현재 전력망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근거리 통신망 제어(CAN) 버스를 통해 현재 스와핑 스테이션의 스테이션단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모니터링 모듈(301)은 또한 외부 클라우드의 모든 스와핑 스테이션의 빅데이터를 획득하여 현재 스와핑 스테이션을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망 현재 상태는 전력 소모가 많을 때와 적을 때와 같은 상이한 시간대를 포함하며, 상이한 시간대의 전기 비용의 차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상이한 시간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전기 에너지의 이용을 제어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전기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301)은 또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테넷과 스와핑 스테이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실시간 빅데이터 공유를 구현하고, 산출 모듈(302)을 통해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스테이션단 배터리 충전 및 교체를 제어하는 개별화 실시 가능한 방안을 산출하고, 스테이션 내 충전 모듈의 작동 상태, 모드, 경보와 같은 여러가지 정보의 출력 관리에 집중한다.
본 실시예에서, CAN 버스를 통해 모니터링된 각각의 배터리의 실시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고, 본 스테이션의 현재 전력 소모 시간대, 현재 스테이션의 스테이션단 배터리 교체 수요와 결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집중 취합함으로써, 제어 모듈을 통해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대응되는 배터리에 적합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 구제적인 구현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현재 스와핑 스테이션에 세 개의 충전 유닛이 포함되고, 각각의 충전 유닛에 5개의 충전 모듈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만약 7:00 ~ 9:00와 같이 이 때 스와핑 스테이션이 전력 소모가 많은 아침 기간에 있다면, 전력망도 전력 소모가 많은 기간에 있고, 스와핑 스테이션의 배터리가 대부분 만충전 상태이므로 정상적인 저전력 충전으로 전원 교체의 수요를 대처하기에 충족한 경우, 전기자동차가 스와핑 스테이션에 와서 배터리를 교체 후, 교체된 전력 부족한 배터리를 충전할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전력망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 획득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 및/또는 발전 장치만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며, 동시에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를 최소의 전력으로 충전할 수 있다. 전력 소모가 많은 아침 기간이 지나면, 전력망의 전력 소모도 정상 기간으로 전환되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스와핑 스테이션 내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수요에 따라 적시에 충전 모듈의 전력을 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개별 배터리의 전력량이 낮고, 유휴 충전 모듈이 있는 경우, 동일한 충전 유닛의 다른 유휴 충전 모듈을 작동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전력을 증가함으로써, 충전을 빨리 완성하며, 물론 여기에서 증가된 충전 전력은 상기 배터리 충전에 적합한 것이다. 전력망도 전력 소모가 많은 기간에 있으면,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스와핑 스테이션 내의 퀵 스왑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동시에 복수 개의 만충전 퀵 스왑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및/또는 발전 장치 방향으로 전력망에 송전하도록 명령하며, 전력 소모가 많은 기간이 지나면 다시 퀵 스왑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회복한다.
반대로, 전력 소모가 적은 야간 기간에는 전원 교체 수요가 적고 시간이 길므로, 배터리는 작은 전류 깊이 충전으로 배터리 셀 균형 유지보수를 할 수 있고, 여분의 전력량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망의 “피크,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정상적일 때, 적을 때” 할인을 이용하여 지출을 줄이면, 전력망의 전력 공급 압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적은 시간대 여분의 전력량을 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모듈, 산출 모듈, 및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충전 모듈에 대해 모듈화 관리를 수행하고, 전력망 부하 합력, 충전 모듈의 안전 상태, 배터리의 건강 정도, 현재 온도, 기기의 작동 상태, 현재 운영 압력 등 측면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자동적이고 합리적으로 각각의 배터리에 분배할 수 있으므로,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서비스 능력 및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운영 비용 및 직원 작업 강도를 줄이며,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의 서비스 질량 및 운영 효율을 향상시켜 고객의 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의 분산식 충전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통해, 한편으로 기기의 고장률을 줄여 보수 비용을 크레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충전 전력 조절이 가능한 충전 방식은 기존의 처음부터 끝까지 정전류로 충전하는 방법을 변경하였으며, 배터리의 충전 수요, 전력망의 부하, 운영 압력에 따라 적시에 스마트하게 충전 전력 및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에너지 분배를 통해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스와핑 스테이션 모델과 맞춤형으로 해당 수요를 구현하는 요구 사항에 따라 상이한 현재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충전 집중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동일한 충전 유닛에서 충전 모듈의 효율을 극대화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는 실시예 5를 더 개선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 중의 AC/DC 컨버터는 양방향 AC/DC 컨버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발전 장치(501)에 연결되고, 단방향 DC/DC 컨버터(502)의 출력단은 충전 모듈, 양방향 DC/DC 컨버터(504)의 일단 및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에 각각 연결되며;
단방향 DC/DC 컨버터(502)는 발전 장치(501)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504)는 또한 단방향 DC/DC 컨버터(504)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양방향 AC/DC 컨버터는 또한 단방향 DC/DC 컨버터(502)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모듈(301)은 또한 전력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또한 제어 모듈(203)에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발전 장치(501)를 제어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503)로만 전력량을 출력하며,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에너지 저장 장치(503)에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또한 제어 모듈(203)에 전력망을 제어하여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및/또는 발전 장치(501)를 제어하여 충전 모듈 및/또는 전력망으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
현재 충전 완료된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303)은 또한 제어 모듈에 전력망을 제어하여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에너지 저장 장치(503), 발전 장치(501) 및 제1 개수의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에서 단방향 DC/DC 컨버터와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연결하고, 단방향 DC/DC 컨버터와 양방향 AC/DC 컨버터를 연결하여,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추가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전압 조정 후의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 장치에 공급시켜 저장 및 백업할 수도 있으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시켜 전력망에 역방향으로 출력할 수도 있음으로써, 전력망이 전력 소모가 많을 때의 압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전력 소모가 많을 때의 상이한 시기의 전력망 상태 및 만충전 배터리의 개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발전 장치의 전력량 출력 방향을 제어하여, 전기 에너지를 자동적이고 합리적으로 각각의 배터리로 분배하여, 충전 요구가 높은 배터리를 위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분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백업할 수도 있으며, 적시에 역방향으로 전력망에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여, 전력망이 전력 소모가 많을 때와 적을 때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중 임의의 실시예를 더 개선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시스템의 제1 충전 모듈, 제2 충전 모듈 및 다른 충전 모듈은 모두 통상의 충전 모듈이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실시예의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중복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되, 중복 충전 모듈은 백업 전원으로서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며, 여기서, 중복 충전 모듈은 통상의 충전 모듈에 각각 병렬 접속되고 스위치를 통해 각각의 배터리 충전 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할 필요 없이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고,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스위치 차단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통상의 충전 모듈만 사용하여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특수 충전 모드에서,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킨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특수 충전 모드에서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스위치 닫힘을 제어함으로써, 중복 충전 모듈과 배터리 충전 포트의 연결을 도통하여,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한다.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은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특수 충전 모드에서는, 퀵 스왑 배터리에 대해 충전 배율을 높여 충전하거나 기존에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던 통상의 충전 모듈이 고장이 발생하여 통상의 충전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제어 모듈은 중복 배터리를 호출하여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중복 충전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전체 충전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복 충전 모듈을 다른 충전 모듈과 동일한 충전 모듈로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복 배터리의 설치 및 호출을 통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어, 스와핑 스테이션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배터리 교체 체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초기 충전 모드는 통상의 충전 모드이고, 대응되게, 중복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스위치의 초기 상태는 차단 상태이며, 특수 충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은 중복 충전 모듈과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스위치 닫힘을 제어하여 회로가 도통되게 하고,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중복 충전 모듈을 설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장면에서, 각각의 중복 충전 모듈이 일정한 개수의 통상의 충전 모듈과 병렬 접속되도록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체적인 경우에서, 3개의 중복 충전 모듈, 8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이 구비되고, 첫 번째 중복 충전 모듈을 앞 3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과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두 번째 중복 충전 모듈을 가운데 2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과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세 번째 중복 충전 모듈을 뒤 3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과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어 모듈은 대응되는 중복 충전 모듈에서 타깃 배터리 충전 포트로의 회로에 있는 스위칭 스위치를 제어하여 차단함으로써, 회로의 도통이나 차단을 제어하여, 대응되는 중복 충전 모듈이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호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체적인 장면에서, 모든 중복 충전 모듈이 통상의 충전 모듈과 공동으로 병렬 접속되도록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서, 제어 모듈은 복수 개의 중복 충전 모듈을 동시에 제어하고 호출하여 공동으로 하나 이상의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한편으로,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더 가속화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어느 하나의 중복 충전 모듈이 고장난 경우, 충전할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과정이 원활하도록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구현예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실제 경우에서, 중복 충전 모듈의 구체적인 개수, 통상의 충전 모듈의 구체적인 개수, 중복 충전 모듈과 통상의 충전 모듈의 대응 관계는 모두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은 구체적인 장면에서 본 실시예 중의 충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충전 시스템에 하나의 중복 충전 모듈(b1) 및 4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d1, d2, d3 및 d4)이 포함되고, 중복 충전 모듈(b1)은 통상의 충전 모듈(d1, d2, d3 및 d4)과 각각 병렬 연결되며, 여기서, 통상의 충전 모듈(d1, d2, d3 및 d4)은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각각 퀵 스왑 배터리(BAT1, BAT2, BAT3 및 BAT4)에 대응되는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BAT1, BAT2, BAT3 및 BAT4)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중복 충전 모듈에서 퀵 스왑 배터리(BAT1, BAT2, BAT3 및 BAT4)에 대응되는 충전 포트로의 회로에 스위칭 스위치(KM11, KM12, KM13 및 KM14)가 각각 설치되었으며, 여기서, 스위칭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접촉기로 설치되거나, 스위칭을 위한 다른 종류의 기계 또는 전자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스위치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실제 경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스위치(KM11, KM12, KM13 및 KM14)의 초기 상태는 모두 차단 상태이며, 어느 하나의 퀵 스왑 배터리가 중복 충전 모듈을 사용해야 할 경우, 대응되는 회로의 스위칭 스위치 닫힘을 제어하여, 중복 충전 모듈이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어 절차는 아래와 같다.
특수 충전 모드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d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 때, 제어 모듈은 원래 차단 상태인 스위칭 스위치(KM11)를 제어하여 닫으므로, 중복 충전 모듈(b1)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d1) 사이의 회로가 도통되게 함으로써, 중복 충전 모듈(b1)이 퀵 스왑 배터리(BAT1)에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BAT1)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특수 충전 모드에서, 중복 충전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통상의 충전 모듈과 함께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퀵 스왑 배터리가 가속 충전 수요가 있거나, 어느 하나의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통상의 충전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충족시킬수 없는 경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이 퀵 스왑 배터리를 추가 충전해야 하는 추가 충전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어 모듈은 원래 차단 상태인 스위칭 스위치(KM13)를 제어하여 닫으므로, 중복 충전 모듈(b1)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d3) 사이의 회로가 도통되게 함으로써, 중복 충전 모듈(b1)이 통상의 충전 모듈(d3)과 함께 퀵 스왑 배터리(BAT3)에 대응되는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BAT3)를 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복 충전 모듈에서 퀵 스왑 배터리로의 회로에 스위칭 스위치를 설치하므로, 제어 모듈이 스위칭 스위치의 닫힘을 제어하여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한편으로,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통상의 충전 모듈이 고장난 경우, 퀵 스왑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충전되게 확보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중복 충전 모듈이 통상의 충전 모듈과의 배합을 통해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효율이 향상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통상의 충전 모듈에서 퀵 스왑 배터리(BAT1, BAT2, BAT3 및 BAT4)에 대응되는 충전 포트로의 회로에 각각 스위칭 스위치(QF11, QF12, QF13 및 QF14)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충전 포트에 충전해야 하는 퀵 스왑 배터리가 없거나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가 만충전 경우, 제어 모듈은 대응되는 스위칭 스위치의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통상의 충전 모듈이 무효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퀵 스왑 배터리(BAT1)가 만충전되거나 어느 하나의 기설정된 충전 전하 값에 도달하는 경우, 충전 시스템에서 스위치(QF11) 차단 명령을 생성하고, 제어 모듈이 상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스위칭 스위치(QF11)의 차단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상의 충전 모듈에서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충전 포트로의 회로에 스위칭 스위치를 설치하여, 충전 포트에 충전해야 하는 퀵 스왑 배터리가 없거나 대응되는 퀵 스왑 배터리가 만충전되거나 기설정된 충전 전하 값에 도달하는 경우, 대응되는 스위칭 스위치의 차단을 제어하여, 충전 시스템이 무효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며, 충전 시스템의 전기 에너지 이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장면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실제에서는, 실제 수요에 따라 통상의 충전 모듈의 개수 및 복수 개의 중복 충전 모듈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고, 통상의 충전 모듈과 퀵 스왑 배터리도 일대일로 대응되는 관계가 아닐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실제 충전 수요에 따라 복수 개의 통상의 충전 모듈을 동일한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시킬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 배터리 충전 포트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은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거나, 및/또는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각각의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충전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충전 모듈은 모두 제1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는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통해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분류기 또는 접촉기를 제어하여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고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퀵 스왑 배터리가 충전 완료된 후 상기 충전 모듈과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호출된 상기 충전 모듈에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모니터링 모듈, 산출 모듈, 및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스테이션 중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산출 모듈은 상기 현재 배터리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스테이션 중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를 획득하며;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각각의 퀵 스왑 배터리의 충전 수요에 따라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에 대응되는 상기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에 상이한 개수의 상기 충전 모듈을 호출하도록 명령하고, 호출된 각각의 상기 충전 모듈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여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 아웃 포트가 각각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출력 전력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 또는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A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A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전력망에 연결되고, 상기 A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AC/DC 컨버터는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및 단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단방향 DC/DC 컨버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상기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타단은 상기 발전 장치 및 상기 충전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 및 에너지 저장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교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양방향 A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공급 모듈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교류단은 전력망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은 상기 충전 모듈 및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은 또한 상기 충전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타단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상기 충전 모듈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 및/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전력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고 현재 충전 완료된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제1 개수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직류 에너지 공급 모듈은 발전 장치 및 단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은 상기 발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충전 모듈,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단 및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의 직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는 상기 발전 장치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양방향 DC/DC 컨버터는 또한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며;
    상기 양방향 AC/DC 컨버터는 또한 상기 단방향 D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고, 상기 교류 전기의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전력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적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만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발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만 전력량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 포트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에 상기 전력망에서 출력된 전력량도 수신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전력망의 현재 상태가 전력 소모가 많을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및/또는 발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 및/또는 상기 전력망으로 전력량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현재 충전 완료된 상기 퀵 스왑 배터리의 개수가 만충전 배터리의 임계값에 도달할 때, 상기 집중 조정 및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상기 전력망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력량 출력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 상기 발전 장치 및 제1 개수의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망으로 전기 에너지를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충전 모듈은 통상의 충전 모듈이며; 상기 충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중복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은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에 각각 병렬 접속되고 스위치를 통해 각각의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통상의 충전 모드에서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특수 충전 모드에서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충전 모드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위치 중 하나를 닫음으로써, 상기 중복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통상의 충전 모듈에 대응되는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및/또는,
    상기 특수 충전 모드는 상기 제어 모듈이 추가 충전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중복 충전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상의 충전 모듈을 호출하여 함께 상기 배터리 충전 포트를 통해 추가 충전이 필요한 상기 퀵 스왑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KR1020227025810A 2019-12-26 2020-12-28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KR20220115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70518.3 2019-12-26
CN201911370518 2019-12-26
PCT/CN2020/140320 WO2021129878A1 (zh) 2019-12-26 2020-12-28 用于换电站或储能站的充电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623A true KR20220115623A (ko) 2022-08-17

Family

ID=7650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810A KR20220115623A (ko) 2019-12-26 2020-12-28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93491A1 (ko)
EP (1) EP4084262A4 (ko)
JP (1) JP2023508485A (ko)
KR (1) KR20220115623A (ko)
CN (4) CN114801829A (ko)
IL (1) IL294282A (ko)
WO (1) WO2021129878A1 (ko)
ZA (2) ZA202208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7665A (zh) * 2018-05-16 2018-08-17 周思齐 双电源双模式纯电动乘用车
CN112866104A (zh) * 2021-01-19 2021-05-28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离线换电方法、充换电站、待换电车辆和可读存储介质
US20230076816A1 (en) * 2021-09-07 2023-03-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A Battery Electric Vehicle Execute A Charging Operation At A Battery Charging Lot
CN113715682A (zh) * 2021-09-17 2021-11-3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能量存储运输系统、电池分换集充系统
DE102021212734A1 (de) 2021-11-11 2023-05-11 Mahle International Gmbh Ladestation zum Laden von Batteri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US20230173931A1 (en) * 2021-12-08 2023-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e adapters for electrified vehicle charging systems
CN114394029A (zh) * 2021-12-15 2022-04-26 上海交大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快速换电站
CN116388317A (zh) * 2021-12-30 2023-07-0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双向充电管理系统及其电池监管设备
CN114506236A (zh) * 2022-03-02 2022-05-17 南京能瑞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并联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611338B (zh) * 2022-05-11 2022-09-02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电站选址定容方法及系统
CN116394796B (zh) * 2023-06-05 2023-08-01 广东天枢新能源科技有限公司 基于功率分配的充电控制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6872792B (zh) * 2023-08-22 2024-04-02 杭州鸿途智慧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快速更换补能动力电池混合动力控制系统
CN117734509B (zh) * 2024-02-19 2024-05-31 深圳市捷易科技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8894B2 (ja) * 2010-05-10 2014-07-16 株式会社東光高岳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CN102255364B (zh) * 2011-08-02 2014-12-10 重庆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动汽车电池的充电设备
CN204538735U (zh) * 2015-03-20 2015-08-05 深圳奥特迅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矩阵式柔性充电堆
CN106816901B (zh) * 2015-11-30 2019-09-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叉车充电器
DE102016209400A1 (de) * 2016-05-31 2017-11-30 Whiterock Ag Akkusystem für eine Wechselspannungsbatterie, mit mehreren Sätzen von Polschaltern
CN205882757U (zh) * 2016-07-01 2017-01-11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智能分配充电功率的充电系统
CN106532850A (zh) * 2016-12-15 2017-03-22 青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动车充电站及电力系统
CN106505644A (zh) * 2016-12-16 2017-03-15 北京索英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双母线微网架构的光储充一体化系统
WO2018154594A1 (en) * 2017-02-21 2018-08-30 Chetan Kumar Maini A modular and scalable battery swap station
CN107124096B (zh) * 2017-03-23 2019-04-05 北京交通大学 一种电力电子变压器的故障冗余保护系统与故障切除方法
CN106972564A (zh) * 2017-04-01 2017-07-21 三峡大学 一种用于公交换电站的双向电力供给系统
CN109117975A (zh) * 2017-06-26 2019-01-01 广州灿明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桩的充电管理系统及方法
CN108372791A (zh) * 2018-02-07 2018-08-07 大连罗宾森电源设备有限公司 一种柔性直流充电设备
CN108454451A (zh) * 2018-05-11 2018-08-28 宁波利维能储能系统有限公司 电动汽车换电及储能站
CN108365623A (zh) * 2018-05-11 2018-08-03 宁波利维能储能系统有限公司 电动汽车换电及储能站的输电系统
CN108599540A (zh) * 2018-05-17 2018-09-28 华中科技大学 一种级联h桥三相电子电力变压器的冗余结构
CN108879850B (zh) * 2018-07-11 2022-04-08 西安特来电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功率分配装置与方法
CN209305379U (zh) 2018-12-29 2019-08-27 蔚来汽车有限公司 分体式充换电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43893B (zh) 2022-04-01
IL294282A (en) 2022-08-01
US20220393491A1 (en) 2022-12-08
CN113043893A (zh) 2021-06-29
ZA202208784B (en) 2024-01-31
CN114801829A (zh) 2022-07-29
WO2021129878A1 (zh) 2021-07-01
JP2023508485A (ja) 2023-03-02
EP4084262A4 (en) 2024-01-24
ZA202208279B (en) 2023-04-26
CN114801828A (zh) 2022-07-29
EP4084262A1 (en) 2022-11-02
CN115056676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5623A (ko) 스와핑 스테이션용 또는 에너지 저장 스테이션용 충전 시스템
CN110803051B (zh) 一种储能型充电桩及充电系统
CN111497670B (zh) 一种充电装置、系统及方法
CN102195344B (zh) 一种多能源供电的通信电源及其控制方法
CN202134924U (zh) 一种太阳能电力并网自用多功能系统的构造
CN109274138B (zh) 一种基于多储能模块组合式多功能电动汽车移动储能充电系统的控制方法
CN114512988B (zh) 一种基于低压配电台区柔直互联的调控方法及装置
CN109193723A (zh) 一种组合式的基站后备储能电源及控制方法
CN202888862U (zh) 一种适用于分布式新能源电力的蓄能逆变器
CN209963766U (zh) 一种共直流母线的微电网光储充能量控制装置
EP4112362A1 (en) Terminal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with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CN110112762A (zh) 一种储能系统
CN110943476A (zh) 多级ups并联分布式控制系统及其接线电路
CN218678461U (zh) 储能供电系统以及用电设备
CN202906507U (zh) 分布式电池供电装置及方法
CN110867946A (zh) 一种交直流混供一体化电源
KR101215396B1 (ko)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CN112046328B (zh) 具有能量双向流动功能的电动自行车电池集中充换电系统
CN211655753U (zh) 一种应用于基站的直流储能后备电源
CN211296203U (zh) 一种微电网系统
CN219576654U (zh) 共用电池的微电网电路系统及储能设备
CN219372026U (zh) 充电转接装置及充电系统
CN210806840U (zh) 一种交直流混供一体化电源
CN215185883U (zh) 一种光储系统
CN111406352B (zh) 储能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