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337A -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 Google Patents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337A
KR20220115337A KR1020210019227A KR20210019227A KR20220115337A KR 20220115337 A KR20220115337 A KR 20220115337A KR 1020210019227 A KR1020210019227 A KR 1020210019227A KR 20210019227 A KR20210019227 A KR 20210019227A KR 20220115337 A KR20220115337 A KR 2022011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upper cas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8861B1 (en
Inventor
이승호
정여원
장병석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루인쇄전자
Priority to KR102021001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61B1/en
Publication of KR2022011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a planar heating element, which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fastening a planar heating element to external power supply.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comprises: a housing which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an electrode par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and which allows a power terminal of a power plug to be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pressing par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which pressurizes the electrode part downward according to the fastening of the upper case to the lower case; and a connecting par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terminal and the electrode part.

Description

면상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와 외부전원 간 체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면상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a planar heating element that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전기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통상의 면상 발열체는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일 뿐 아니라 그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소음이 없기 때문에 발열을 요하는 매트나 패드, 침대 매트리스, 보온 이불이나 담요,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주거용 난방장치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Ordinary   cotton   heating elements that generate heat by applying electricity do not pollute the air and are hygienic as well as easy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ave no noise. It is widely used in residential heating devices such as

또한, 사무실이나 상점 등 상업용 건물의 난방장치, 작업장이나 창고, 막사 등의 산업용 난방장치와 각종 산업용 가열장치, 비닐하우스와 농산물 건조시스템과 같은 농업용 설비, 도로나 주차장의 눈을 녹이거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각종 동결방지장치를 비롯하여 레저용, 방한용, 가전제품, 거울이나 유리의 김서림 방지장치, 건강보조용, 축산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heating devices for commercial buildings such as offices and shops, industrial heating devices for workshops, warehouses, and barracks, and various industrial heating devices,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plastic houses and agricultural products drying systems, and preventing snow melting or freezing of roads and parking lots It is used for various anti-freezing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leisure, cold weather, home appliances, anti-fogging devices for mirrors or glass, health supplements, and livestock.

이러한 면상 발열체는 대량으로 제작되어 롤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각종 마감재 내부 등에 시공되어 발열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시공시 크기에 맞게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planar heating elements are mass-produced and sold in roll form, and are installed inside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o generate heat, and it is common for users to cut and use them according to the size during construction.

상술한 면상 발열체가 발열을 하기 위해서는 면상 발열체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며, 외부의 전원선과 면상 발열체의 전극 간을 연결함으로써 전원이 면상 발열체에 인가된다. In order for the aforementioned   planar heating element to generate heat,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must be applied, and power is applied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by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line and the electrod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기존에는 면상 발열체의 전극을 일부 노출시킨 후 납땜을 통해 외부 전선과 연결하는 방식 또는 리벳 등을 사용하여 면상 발열체의 전극과 외부 전선 간을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Conventionally, after exposing some electrodes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 method of connecting with an external wire through soldering or a method of connecting the electrod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with an external wire using a rivet was used.

그러나, 기존의 납땜을 통한 연결방식은 노출된 전극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납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 등으로 인해 전극 주변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through solder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osed electrode may be damaged, and the periphery of the electrode is damaged or deformed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the soldering process, and thus electrical stability is deteriorated.

또한, 기존의 리벳을 이용한 연결방식은 복잡한 조립공정 또는 리벳의 손상이나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리벳에서 외부 전선 또는 전극이 탈락되어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면상 발열체로의 전원공급 효율이 저하되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connection method using rivets has a problem in that an external wire or electrode is dropped from the rivet due to a complicated assembly process or damage or external impact of the rivet, resulting in poor connection, which results in power supply efficiency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is wa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면상발열체와 외부전원 간 체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발열체의 전원접속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o provide a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heating element that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는, 전원플러그와 면상발열체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접속단자는, 내부공간에 상기 면상발열체의 전극부가 배치되도록 서로 체결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면상발열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체결에 따라 상기 전극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면상발열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전극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wer plug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de par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 housing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press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pressing the electrode part downward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a connection part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terminal and the electrode part.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단자는,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가 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기존의 리벳 등과 같은 연결방식과 대비하여 간단한 조립공정을 통해 전원플러그와 면상발열체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plug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n one sid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plug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rough a simple assembly proc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such as a rivet. have.

또한, 본 발명의 전원접속단자는 가압부에 의해 면상발열체가 가압되어 연결부의 접촉패턴과 면상발열체의 전극부가 밀착 접촉됨으로써, 전원플러그로부터 면상발열체로의 전원 공급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art, so that the contact pattern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electrode par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re in close contact, the power supply efficiency from the power plug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전원접속단자는 하우징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오링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 틈새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상발열체의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f th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O-ring,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oupling gap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reby providing electrical stability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원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a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a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a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A.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A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2A .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i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hereto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be described.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the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원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단자(100)는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와 외부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를 서로 접속시켜 전원플러그(300)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power plug 300 by connecting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and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external power plug 300 to each other. From the predetermined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전원접속단자(100)는 일측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를 감싸도록 면상발열체(200)에 결합되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는 전원접속단자(100)의 일측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has one side formed in an open form,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to surround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and may be formed in a closed form.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inserted through one opening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and may be coup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전원접속단자(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가압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housing 101 including an upper case 110 and a lower case 120 , a pressing unit 130 and a connection unit 14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1 . have.

하우징(101)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서로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1)의 내부공간에는 면상발열체(200)의 일부분, 즉 전극부(250)가 배치되고, 상기 전극부(250)에 대응되도록 가압부(130)와 연결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01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that is, the electrode part 25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1, and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onnection part 14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de part 250. .

하우징(101)의 상부케이스(110) 내측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15)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합돌기(115)는 상부케이스(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of the housing 101 .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5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case 110 .

또한, 상부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제1안착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홈(117)에는 후술될 가압부(130)의 일면이 안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seating groove 11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and contac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7 .

하우징(101)의 하부케이스(120) 내측면에는 상부케이스(110)의 다수의 결합돌기(115)에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홀(125)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5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5 of the upper case 11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of the housing 101 .

또한, 하부케이스(120)의 내측면에는 후술될 연결부(140)의 일면이 안착되어 접촉되는 제2안착홈(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홈(117)과 제2안착홈(127)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seating groove 12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4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eating groove 117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27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부케이스(110)의 일측 및 이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120)의 일측 각각에는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121)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결합에 의해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가 삽입될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A first opening 111 and a second opening 12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0 and one side of the lower case 120 corresponding thereto, respectively.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may form an opening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inserted by combining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

상부케이스(110)의 제1개구부(111) 양측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12)는 상부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first guide parts 112 facing each oth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opening 111 of the upper case 110 . The first guide part 1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ase 110 .

하부케이스(120)의 제2개구부(121) 양측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2)는 하부케이스(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12) 및 제2가이드부(122)는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A pair of second guide parts 122 facing each oth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opening 121 of the lower case 120 . The second guide part 122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20 . The first guide part 112 and the second guide part 122 may guide the insertion of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

가압부(130)는 상부케이스(110)와 면상발열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130)의 일면은 상부케이스(110)의 제1안착홈(117)에 접촉되고, 타면은 면상발열체(20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pres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11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117 of the upper case 110 ,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가압부(13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결합 시 면상발열체(200)의 일면, 즉 전극부(250)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와 연결부(140)가 밀착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130)는 탄성력을 갖는 내열성 절연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130 presses one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that is, the electrode part 250 downward, whe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are combined, thereby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0 may be in close contact. The pressing part 130 may be formed of a heat-resistant insulating resin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연결부(140)는 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케이스(120)와 면상발열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40)의 일면은 하부케이스(120)의 제2안착홈(127)에 접촉되고, 타면은 면상발열체(200)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1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uit board,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12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ating groove 127 of the lower case 120 ,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연결부(140)는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패턴, 예컨대 제1접촉패턴(141) 및 제2접촉패턴(143)과,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접촉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삽입핀(145)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핀(145)은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원플러그(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40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and includes one or more contact patterns contacting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for example,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and the second contact pattern 143, and the circuit. It may include one or more insertion pins 145 coupled to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The insertion pin 145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plug 300 .

제1접촉패턴(141)은 전극부(250)의 제1전극(251), 예컨대 플러스 전극에 접촉될 수 있다. 제2접촉패턴(143)은 제1접촉패턴(141)과 이격되어 이와 절열되도록 형성되고, 전극부(250)의 제2전극(252), 예컨대 마이너스 전극에 접촉될 수 있다. 제1접촉패턴(141)과 제2접촉패턴(143) 각각은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삽입핀(145)을 통해 전원플러그(3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전극부(250)의 제1전극(251) 및 제2전극(252) 각각에 인가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51 of the electrode part 250 ,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contact pattern 14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to be insulated therefrom,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252 of the electrode unit 250 , for example, the negative electrode. Each of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and the second contact pattern 143 receive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plug 300 through the insertion pin 145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o the first electrode 251 of the electrode unit 250 . ) and the second electrode 252 , respectively.

면상발열체(200)는 가압부(130)와 연결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면상발열체(200)는 소정의 필름에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여 발열 저항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 저항층의 양단에 전극부(250)를 형성한 후, 접착제가 코팅된 다른 필름을 합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합지되는 필름은 전극부(250)가 노출되도록 일부 영역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onnecting part 140 .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is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ink on a predetermined film to form a heating resistance layer, forming electrode parts 250 on both ends of the heating resistance layer, and then laminating another film coated with an adhesive. can Here, the laminated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some regions are removed so that the electrode part 250 is exposed.

면상발열체(200)에는 상부케이스(110)의 다수의 결합돌기(115) 및 하부케이스(120)의 다수의 결합홀(125)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는 상기 홀(201)을 통해 결합돌기(115)와 결합홀(125)이 체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5 of the upper case 110 and a plurality of holes 20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5 of the lower case 120, respectively, may be formed in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 Accordingly,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coupling hole 125 through the hole 201 .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는 제1전극(251)과 제2전극(252)을 포함하며, 이들을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250)는 면상발열체(200)의 배면에 구성되어 연결부(140)의 제1접촉패턴(141) 및 제2접촉패턴(143)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에는 연결부(140)의 제1접촉패턴(141) 및 제2접촉패턴(143)을 통해 전원플러그(3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발열 저항층이 소정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251 and a second electrode 252,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ectrode unit 250 may be configur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and the second contact pattern 143 of the connection unit 140 . Accordingly,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has a heating resistance layer by applying power from the power plug 300 through the first contact pattern 141 and the second contact pattern 143 of the connection part 140 . It may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도 3은 도 2a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A.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된 하부케이스(120)의 다수의 결합홀(125) 각각의 외주면 일부분, 예컨대 하부를 감싸도록 오링(1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150)에 의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틈새로 이물질, 예컨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ring 150 may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5 of the lower case 12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Since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are closely coupled by the O-ring 150 ,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oupling gap.

또한, 상부케이스(110)의 다수의 결합돌기(115) 각각에도 그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오링(150)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ing 15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5 of the upper case 110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도 4는 도 2a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A .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110)의 한 쌍의 제1가이드부(112) 내측에는 각각 제1개구부(111)로 삽입되는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예컨대 제1고정돌기(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side the pair of first guide parts 112 of the upper case 110, one or more for fixing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11, respectively. A fixing protrusion,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to protrude.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 양측부에는 제1가이드부(112)의 제1고정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돌기(113)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both sides of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rotrusions 113 of the first guide part 112, An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113 is inserted may be formed.

이에,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가 전원접속단자(100)의 개구로 삽입될 때, 상부케이스(110)의 제1가이드부(112)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113)가 전원단자(350)의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전원플러그(300)와 전원접속단자(1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first guide part 112 of the upper case 110 is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ower terminal 350, the power plug 300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can be firmly fastened.

또한, 전술한 제1고정돌기(113)는 하부케이스(120)의 한 쌍의 제2가이드부(122)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의 양측부에는 제2가이드부(122)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홀에 하부케이스(120)의 제1고정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전원플러그(300)와 전원접속단자(1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inside the pair of second guide portions 122 of the lower case 120 . 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formed in the second guide part 122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of the lower case 120 is formed in this insertion hole. 1 By inserting the fixing protrusion, the power plug 300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can be firmly fasten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돌기(113)가 제1가이드부(112) 또는 제2가이드부(122)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전원단자(35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1고정돌기(113)는 전원단자(35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제1가이드부(112) 또는 제2가이드부(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112 or the second guide part 122, and a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power terminal 350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terminal 350 , and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112 or the second guide part 122 .

도 5는 도 2a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2A .

도면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20)의 제2개구부(121) 내측 하부면에는 제2개구부(121)로 삽입되는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 예컨대 제2고정돌기(1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21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121 of the lower case 120,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 배면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돌기(123)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 not shown) may be formed.

이에,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가 전원접속단자(100)의 개구로 삽입될 때, 하부케이스(120)의 제2개구부(121)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123)가 전원단자(350)의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전원플러그(300)와 전원접속단자(1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121 of the lower case 120 .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ower terminal 350, the power plug 300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can be firmly fastened.

또한, 전술된 제2고정돌기(123)는 상부케이스(110)의 제1개구부(111) 내측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 상면에는 제1개구부(111) 내측면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홀에 상부케이스(110)의 제2고정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전원플러그(300)와 전원접속단자(1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11 of the upper case 110 . At this time, a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 and the second fixing of the upper case 110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By inserting the protrusion, the power plug 300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can be firmly fasten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돌기(123)가 하부케이스(120) 또는 상부케이스(11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전원단자(35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고정돌기(123)는 전원단자(35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하부케이스(120)의 제2개구부(121) 내측 하부면 또는 상부케이스(110)의 제1개구부(111) 내측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is formed in the lower case 120 or the upper case 110 and a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power terminal 350 as an example,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350 , and the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121 of the lower case 120 or the upper case 110 . 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111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접속단자(100)는 전원플러그(300)의 전원단자(350)가 하우징(101)의 일측 개구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기존의 리벳 등과 같은 연결방식과 대비하여 간단한 조립공정을 통해 전원플러그(300)와 면상발열체(20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erminal 350 of the power plug 30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1, in contrast to the existing connection method such as a rivet.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power plug 30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through a simple assembly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전원접속단자(100)는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가압부(130)에 의해 면상발열체(200)가 가압되어 연결부(140)의 접촉패턴(141, 143)과 면상발열체(200)의 전극부(250)가 밀착되어 접촉됨으로써, 전원플러그(300)로부터 면상발열체(200) 간 전원 공급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is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art 130 inside the housing 101, and the contact patterns 141 and 143 of the connection part 140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 As the electrode part 250 of th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ower supply efficiency between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from the power plug 300 may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전원접속단자(100)는 하우징(101)의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오링(150)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결합 틈새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상발열체(200)의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of the housing 10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O-ring 150 and are fastened, so that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stability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200 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into the gap.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전원접속단자 110: 상부케이스
120: 하부케이스 130: 가압부
140: 연결부 200: 면상발열체
300: 전원플러그 350: 전원단자
100: power connection terminal 110: upper case
120: lower case 130: pressurized part
140: connection unit 200: planar heating element
300: power plug 350: power terminal

Claims (8)

전원플러그와 면상발열체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접속단자로,
내부공간에 상기 면상발열체의 전극부가 배치되도록 서로 체결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면상발열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체결에 따라 상기 전극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면상발열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전극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원접속단자.
It i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plug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de par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a press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pressing the electrode part downward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A power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including a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terminal and the electrod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 및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홀은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planar heating elemen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or coupling holes,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holes are power connectio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 및 결합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결합된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3. The method of claim 2,
Powe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1개구부 양측에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이드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개구부 양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 중 하나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로 삽입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전원단자의 양측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first guide portion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as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pening of the upper case;
a pair of second guide portion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ase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lower case; and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one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Powe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terminal is fast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1개구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개구부 중 하나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로 삽입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전원단자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on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lower case,
Powe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wer terminal of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부의 제1전극(251)에 접촉되는 제1접촉패턴;
상기 회로기판 상에서 상기 제1전극(251)패턴과 절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의 제2전극(252)과 접촉되는 제2접촉패턴; 및
상기 제1접촉패턴 및 제2접촉패턴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전원플러그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a first contact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and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251 of the electrode part;
a second contact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to be insul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251 pattern and contacted with the second electrode 252 of the electrode part; and
and at least one insertion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tact pattern and the second contact pattern, and inserted into the power terminal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plu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일면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의 일면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to seat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and
Powe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eating groov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력을 갖는 내열성 절연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단자.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art is made of a heat-resistant insulating resin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KR1020210019227A 2021-02-10 2021-02-10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KR102498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27A KR102498861B1 (en) 2021-02-10 2021-02-10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27A KR102498861B1 (en) 2021-02-10 2021-02-10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37A true KR20220115337A (en) 2022-08-17
KR102498861B1 KR102498861B1 (en) 2023-02-13

Family

ID=8311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227A KR102498861B1 (en) 2021-02-10 2021-02-10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6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24Y1 (en) * 2001-06-13 2001-10-29 신현규 structure of a power source connection device
KR20070110567A (en) *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Bms having waterproof function
KR20110030809A (en) * 2009-09-18 2011-03-24 (주)성림코데라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heat generating fabric
KR101160569B1 (en) * 2011-09-20 2012-06-28 이석상 Electric m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5298B1 (en) * 2016-09-07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for connecting film anode and c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24Y1 (en) * 2001-06-13 2001-10-29 신현규 structure of a power source connection device
KR20070110567A (en) *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Bms having waterproof function
KR20110030809A (en) * 2009-09-18 2011-03-24 (주)성림코데라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heat generating fabric
KR101160569B1 (en) * 2011-09-20 2012-06-28 이석상 Electric m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5298B1 (en) * 2016-09-07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for connecting film anode and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61B1 (en)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8084B2 (en) Heater with PTC element and buss system
JP4493339B2 (en) Panel element with heating layer
US6307515B1 (en) Contact device for an electrical functional element disposed on a window
ATE200840T1 (en) RESISTANCE HEATING DEVICE FOR FLAT OBJECTS, ESPECIALLY MIRRORS
SG10203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20080110871A1 (en) Thick film heater structure of the electric hair curler
KR101510744B1 (en) Electric heater
CA2591147A1 (en) Heated protective window for an optical scanning device
US5451921A (en) Electrical devices
JP2002124172A (en) Thermal protector
KR20220115337A (en)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plane heater
KR101578607B1 (en) Heating Panel and Heating Panel Assembly
JP2982327B2 (en) Heater device for fixing of copying machine
KR200283267Y1 (en) a plate heater type of carbon film
DE50312260D1 (en) Heating arrangement with PTC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060087395A1 (en) Wax motor assembly system
JP2004079527A (en) Power supply terminal for surface heater, and surface heater equipped therewith
KR101436554B1 (en) heating sheet and manufacture method of heating sheet
KR101599218B1 (en) Heat Rod Assembly of Heater for vehicle
JP28274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heating element
JP2879508B2 (en) Positive characteristic thermistor heating element
JP3144116U (en) Automatic embossing calendar
JP2004172032A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mponent and molding substrate for mounting electrical component
JPH06302405A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device
US9774148B1 (en) Socket which is turned off at a limiting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