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699A -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699A
KR20220114699A KR1020210018016A KR20210018016A KR20220114699A KR 20220114699 A KR20220114699 A KR 20220114699A KR 1020210018016 A KR1020210018016 A KR 1020210018016A KR 20210018016 A KR20210018016 A KR 20210018016A KR 20220114699 A KR20220114699 A KR 20220114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unit
user
tooth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368B1 (en
Inventor
유현민
지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핵심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핵심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핵심가치
Priority to KR102021001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68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sychia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r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technical idea which comprises: a monitoring module that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a user to irradiate predetermined light onto teeth in the mouth of the user and filter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so as to obtain tooth condi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module for obtaining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module and analyzing a tooth condition of the user from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to manage tooth information.

Description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Dental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본 발명은 치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해당 치아의 바이오 필름 예컨대, 포리핀의 형성과 이에 대한 추이를 모니터링 하여, 자체 혹은 외부 전문가의 진단을 연계하여 치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selectively monitoring the teeth in the user's oral cavity, and monitoring the formation and trend of a biofilm of the corresponding tooth, for example, porophin, diagnosis by itself or an external expert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ystem for managing dental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2019년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4,044억 달러(약 493.9조원)이며, 한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65억 달러 규모로 세계 10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size of the global medical device market in 2019 was 404.4 billion dollars (about 493.9 trillion won), and the Korean medical device market was 6.5 billion dollars, ranking 10th in the world.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s) 보고서에 의하면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은 2014년 3,336억 달러에서 연평균 3.9% 성장하여 2019년 4,044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According to the Fitch Solutions report, the global medical device market is expected to reach $404.4 billion in 2019, growing at a CAGR of 3.9% from $333.6 billion in 2014.

아울러, 동 보고서(Worldwide Medical Devices Market Factbook, 2019.12)는 세계 75개국의 의료기기 시장을 조사·분석하였는데, 대륙별/국가별 경제·인구·의료 등 50개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시장 추이도 분석하며, 본 보고서에서 다루는 75개국은 전세계 의료기기 시장의 약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In addition, this report (Worldwide Medical Devices Market Factbook, December 2019) researched and analyzed the medical device market in 75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nalyzed market trends by dividing it into 50 categories such as economy, population, and medical care by continent/country. The 75 countries covered in this report account for about 95% of the global medical device market.

또한, 국가별로 미국이 1,729억 달러(2019년 기준)로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의 42.7% 점유,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며, 그 뒤로 일본이 289억 달러, 독일이 285억 달러, 중국이 273억 달러, 프랑스가 154억 달러, 영국이 120억 달러, 이탈리아가 102억 달러 순으로 분석하였다.In addition, by country, the United States accounts for 42.7% of the global medical device market with $172.9 billion (as of 2019), forming the largest market in the world, followed by Japan with $28.9 billion, Germany with $28.5 billion, and China with 273 billion dollars, France with 15.4 billion dollars, the UK with 12 billion dollars, and Italy with 10.2 billion dollars.

우리나라는 65억 달러(약 7.9조원) 규모로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4년 49억 달러에서 연평균 6%의 높은 성장율 기록하고 있다. Korea ranks 10th in the world with a size of 6.5 billion dollars (about 7.9 trillion won), and it is recording a high growth rate of 6% per annum from 4.9 billion dollars in 2014.

대륙별로는 아메리카 지역이 1,946억 달러(2019년 기준)로 전체의 48%를 차지하며, 서유럽 지역은 978억 달러, 아시아지역 853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4년 이후 연평균 성장율은 아시아 지역 5.9%, 아메리카 지역 4.8%로 평균 이상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By continent, the Americas accounted for $194.6 billion (as of 2019), accounting for 48% of the total, followed by Western Europe with $97.8 billion and Asia with $85.3 billion. Asia recorded 5.9% growth and the Americas region 4.8%, which recorded above-average growth.

이러한 성장세는 특허기술 등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데, 구강과 관련된 IT 기술의 접목에 대한 시도도 존재하고 있다.This growth is also reflected in patented technology, and there are attempts to graft IT technology related to the oral cavity.

예컨대,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등록번호 제10-1618684호, 특허문헌1)"가 존재한다.For example, "multipurpose medical camera device (Registration No. 10-1618684, Patent Document 1)" exists.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육안 판별을 위해 치아의 외형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 유닛이 내장된 제1헤드부와; 특정파장대의 광을 발생하여 치아에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이 조사된 치아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제2카메라 유닛이 내장되어, 치아의 우식여부의 판별을 위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헤드부와; 제1헤드부가 결합됨에 의해 인식되는 제1모드에서는 제1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된 치아의 외형이미지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PC로 전송하고, 제2헤드부가 결합됨에 의해 인식되는 제2모드에서는 광원과 제2이미지센서를 제어하여 치아형광 또는 치아투사에 따른 이미지를 촬영하여 치아의 우식여부 판단을 위한 영상분석 프로그램이 내장된 PC에 전송하고, 제1모드 또는 제2모드 전후에 선택되는 제3모드에서는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자이로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여 PC를 제어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medical camera device, comprising: a first head unit having a built-in firs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external images of teeth for visual identification; A second camera unit having a light source that generate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nd irradiates the tooth and 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tooth irradiated with the light source is built-in, providing an imag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ooth is caries a second head unit; In the first mode recognized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head unit, the external image of the tooth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imag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PC connected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the second mode, the light source is recognized by the coupling of the second head unit. and the second image sensor to take an image according to tooth fluorescence or tooth projection, and transmit it to a PC with a built-in image analysis program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ooth is caries, and a third selected before or after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Mode discloses a technical idea including a main body for controlling a PC by performing a gyro mouse function using a built-in gyro sensor.

또한,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등록번호 제10-1758977호, 특허문헌2)"이 존재한다.Also, "a diagnost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using the same to an external system (Registration No. 10-1758977, Patent Document 2)" exist.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 일측에 카메라부가 연결되고, 카메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하여금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게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t relates to a diagnos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using the same to an external system. camera unit; The camera unit is connected to one side, the body unit for supporting the camera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an image from the camera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unit to an external system,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enables the diagnost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ystem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itiate the technical idea to

또한, "치아진단 방법 및 치아진단용 전자 장치(공개번호 제10-2019-0129247호, 특허문헌3)"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for diagnosing teeth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iagnosing teeth (Publication No. 10-2019-0129247,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카메라 모듈, 메모리,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 채널을 수립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메모리, 및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메모리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통신 모듈을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it discloses a technical idea including a camera module, a memory, a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the memory,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may be fixed, and when the memory is executed, the processor acquires at least one image from the camera module, and transmits the at least one im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You can store instructions that cause them to be sent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or stored in memory.

또한, "구강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20-0007602호, 특허문헌4)"이 존재한다.In addition, "an oral care device and an oral care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 No. 10-2020-0007602, Patent Document 4)" exists.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사람의 치열, 치아, 상하악의 생리 및 해부학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2D 영상 또는 3D 모델로 변환하고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 및 비정상 상태를 도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로부터 정상 및 비정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부는 2D 영상과 3D 모델을 각각 디스플레이 하거나 특정영역 또는 전 영역의 3D 모델과 이에 대응되는 2D 영상 또는 CT(Computer Tomography) 영상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a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information of human teeth, teeth, and upper and lower jaws, and the data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unit are converted into a 2D image or 3D model, and Comprising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compares and derives normal and abnormal states,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normal and abnormal states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a 2D image and a 3D model, respectively, or corresponds to a 3D model of a specific region or the entire region Disclosed is a technical idea for displaying a 2D image or CT (Computer Tomography) image by synthesizing it.

아울러, "구강 진단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20-0000833호, 특허문헌5)"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n "oral diagnosis system (Publication No. 10-2020-0000833, Patent Document 5)".

특허문헌5에 따른 발명의 경우, 구강 진단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제1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구강촬영부,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업로드되는 서버부, 서버부에 업로드된 촬영이미지와 기저장된 구강이미지를 비교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를 제1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진단부,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하는 추천부 및 환자가 원하는 병원정보를 선택하면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 선택된 병원정보에 해당하는 치과병원과 환자를 매칭하고, 매칭결과를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진단부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와 구강이미지를 비교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5, as an invention related to an oral diagnostic system, an oral imag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photograph an oral cavity, a server unit to which a photographed image taken from the oral imaging unit is uploaded, and a server unit A diagnosis unit that compares the uploaded image with a pre-stored oral image to diagnose the patient's oral condition and transmits the diagnosis result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one or more dental hospitals to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diagnosis unit and a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patient with the dental hospit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ospital information among one or more dental hospitals when the patient selects the desired hospit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diagnostic unit starts the technical idea of compar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oral image through the image deep learning system.

등록번호 제10-1618684호Registration No. 10-1618684 등록번호 제10-1758977호Registration No. 10-1758977 공개번호 제10-2019-0129247호Publication No. 10-2019-0129247 공개번호 제10-2020-0007602호Publication No. 10-2020-0007602 공개번호 제10-2020-0000833호Publication No. 10-2020-0000833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구강 내 치아를 사용자가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monitor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둘째, 구강 내 치아의 육안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이오 필름도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Second, biofilms that are not visually observed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an also be observed.

셋째, 사용자의 치아의 추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trend of the user's teeth.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s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구강 내 인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소정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치아로부터 반사된 빛을 필터링하여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부터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분석하여 치아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roduc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irradiate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teeth in the user's oral cavity, and filter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to filter the teeth a monitoring module for acquiring condi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module that acquires th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module, and manages the dent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user's dental condition from th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소정의 광을 관장하며, 상기 소정의 광이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치아로부터 반사된 소정의 광을 수광하는 인베스티게이팅 유닛;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의 주된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 버튼을 구비하는 보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nitoring modul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s the predetermined light, causes the predetermined light to be irradiated,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vestigating unit; and a body frame unit forming a main body of the monitoring module, holding the investigating unit, and having an input button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input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을 홀딩하며,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보디 프레임 유닛에 장착되는 도킹 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nitoring modul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investigating unit, forms a body extending from the investigating unit, and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docking neck unit.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모듈과 네트워킹하여,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선별적으로 스캔하는 치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rminal modul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networking with the monitoring module,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receiving and acquiring th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and a tooth analysis unit that selectively scans the user's teeth from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치아 분석부는, 상기 선별적으로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식하는 레코나이징부; 및 상기 레코나이징부가 분리하여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치아의 종류를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치아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oth analysis uni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selectively scanned teeth of the user separated from the oral cavity; and a tooth classification unit for individually classifying the type of the user's teeth recognized by the reconizing unit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치아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의 치아의 아웃 라인에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을 선택적으로 접선시켜, 상기 사용자의 개별 치아들의 아웃 라인의 형태를 분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독립적으로 분류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tangents a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to the outline of the user's teeth, the shape of the outline of the individual teeth of the us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teeth are classified independently.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광은, 파장 405nm을 구비하는 푸른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ligh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lue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치아 분류부는, 상기 치아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소정의 광으로부터 상기 치아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을 식별하고, 상기 바이오 필름의 면적을 산출하는 우식 측정부; 및 외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우식 측정부가 식별하고 면적을 산출한 상기 바이오 필름을 상기 시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하는 타임 소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bio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from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ooth, and calculates the area of the biofilm a caries measurement unit; and a time sorting unit for obtain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matching the biofilm identified by the caries measurement unit and calculating an area to the tim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time information to be present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상기 치아 분류부는, 상기 타임 소팅부가 제시한 상기 바이오 필름의 면적의 추이를 통해 소정의 시간 내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형성될 상기 바이오 필름의 크기와 위치를 추정하는 예측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 to be formed on the user's teet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area of the biofilm presented by the time sort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rediction applicator for estim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상기 단말기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형성될 상기 바이오 필름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기를 통해 외부 전문가-상기 외부 전문가는 전문의를 의미한다-의 전문 의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하는 코칭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rminal modul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intraoral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biofilm to be formed on the user's teeth to an external terminal, and an external expert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aching analysis unit to obtain expert opin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expert means a specialist, and to present it to the use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치아에 조사된 특정 가시광선의 파장대만을 선별하여 해당 치아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이 육안 관찰되도록 한다.First, only the wavelength band of the specific visible light irradiated to the tooth is selected so that the biofilm formed on the tooth is visually observed.

둘째, 치아의 바이오 필름 형성과 이에 대한 추이를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Second, the biofilm formation of teeth and its trend can be observed.

셋째, 사용자가 자신의 치아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치아 상태의 정보가 외부의 전문가에게 전달되어 해당 치아 상태에 대한 전문가의 진단과 연계되도록 한다.Third, the user can directly observe the state of his or her teeth,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tooth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expert so that it is linked with the expert's diagnosis of the state of the tooth.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치아에 형성된 포피린을 촬영한 예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모니터링 모듈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단말기 모듈을 통해 획득한 치아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단말기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치아 분석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레코나이징부가 치아를 스캔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치아 분류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분류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우식 측정부가 사용자 치아 중 바이오 필름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타임 소팅부의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예측 적용부의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nitoring module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photograph of porphyrin formed on a tooth through a monitoring module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module and its sub-configuration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icture of teeth obtained through a terminal module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unit and its sub-configuration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ooth analysis unit and its sub-configuration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reconizing unit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teeth.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tooth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a user's teeth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ries measurement unit measuring a biofilm among a user's teeth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time sorting unit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prediction application unit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치아에 형성된 포피린을 촬영한 예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모니터링 모듈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단말기 모듈을 통해 획득한 치아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단말기 유닛과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치아 분석부와 그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레코나이징부가 치아를 스캔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치아 분류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분류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우식 측정부가 사용자 치아 중 바이오 필름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타임 소팅부의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중, 예측 적용부의 기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nitoring module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photograph of porphyrin formed on a tooth through a monitoring module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module and sub-configurations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icture of teeth obtained through a terminal module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unit and its sub-configuration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ooth analysis unit and its sub-configuration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reconizing unit scans teeth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tooth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a user's teeth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ries measurement unit measuring a biofilm among a user's teeth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time sorting unit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prediction application unit in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가 모니터링 모듈(100)을 손에 쥐고 해당 모니터링 모듈(100)의 상부를 구강 내부로 인입시켜, 구강 내 치아의 상태 혹은 구강 내 각종의 상태를 모니터링 모듈(100)에 연동되는 단말기 모듈(2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통해 직접 확인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구비하고 있다. In the case of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user 1 holds the monitoring module 100 in his hand and moves the upper part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into the oral cavity. It is provided with a technical idea to directly check the state of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or various states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image displayed in the terminal module 200 linked to the monitoring module 100 by introducing it into the interio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경우, 모니터링 모듈(monitoring module, 100) 및 단말기 모듈(terminal module, 200)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cas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monitoring module (monitoring module, 100) and a terminal module (terminal module, 200).

먼저, 모니터링 모듈(100)은 사용자(1)의 구강 내 진입하여, 구강 내 치아에 소정의 광을 조사하고, 치아로부터 반사된 소정의 광을 필터링하여 획득하여 치아 컨디션 정보를 입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First, the monitoring module 100 enters the oral cavity of the user 1, irradiate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and filters and obtains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to obtain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do.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1)가 손으로 쥐고 해당 모니터링 모듈(100)의 팁(tip) 부분은 구강 내로 인입 시키고 구강 내 다양한 위치에 해당 모니터링 모듈(100)의 팁 부분을 향하도록 하고, 목적하는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module 100 is held by the user 1 and the tip portion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is drawn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tip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is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oral cavity. Face the part, and acquire the desired image.

모니터링 모듈(100)은 단말기 모듈(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을 통해 촬영된 정보 즉, 치아 컨디션 정보를 단말기 모듈(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nitoring module 100 preferably transmits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that is,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module 200 in real tim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module 200, for example, Bluetooth.

모니터링 모듈(100)의 경우, 상용화된 Qray 기술을 기본적으로 도입하고 응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commercialized Qray technology can be basically introduced and appli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치아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 예컨대 포피린은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경우가 많은데, 상용화된 Qray기술의 경우, 푸른 가시광선(405nm)과 특수필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바이오 필름을 탐지하는 바이오 필름 형광검사 체계이다. 치아의 무기질이 소실된 부분은 가시광선을 흡수하지 못해 어둡게 나타나고 구강 내 바이오 필름이 만들어내는 포피린 (porphyrin) 성분은 붉은색 형광(도 3(b) 참조)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로 치태, 치석, 초기 우식 등과 같은 케이스들이 Qray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큐레이 진단기는 상용화된 정량광형광기법(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registered trademark)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다.As shown in Fig. 3(a), in general, biofilms such as porphyrins formed on teeth are often difficult to observe with the naked eye. It is a biofilm fluorescence test system that detects biofilm. The portion of the tooth in which the mineral is lost does not absorb visible light, so it appears dark, and the porphyrin component produced by the biofilm in the oral cavity appears as red fluorescence (refer to Fig. 3(b)). , early caries, etc. can be observed through Qray. The Q-Ray diagnostic device i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commercialize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registered trademark).

단말기 모듈(200)의 경우, 모니터링 모듈(100)이 획득한 치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1)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terminal module 200 , the monitoring module 100 receives the acquired tooth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received tooth information to the user 1 .

단말기 모듈(200)의 경우, 사용자(1)가 소지하는 단말기에 해당하며, 해당 단말기는 외부의 장치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 모듈(200)이나 외부의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킹을 통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terminal module 200, it corresponds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1, and the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wired/wireless networking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terminal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or an external server. It is preferable to do so.

단말기 모듈(200)의 예시로는 스마트폰 예컨대,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나, 애플사의 아이폰 시리즈 등일 수 있으며, 태블릿 PC, 랩톱 PC, 혹은 데스크탑 PC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An example of the terminal module 200 may be a smart phone, for example, Samsung Electronics' Galaxy series or Apple's iPhone series, and of course, a tablet PC, a laptop PC, or a desktop PC, etc. are possible, and the type is not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가 자신의 구강 내 컨디션 예컨대, 치아의 상태를 직접 모니터링 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당 모니터링되는 영상은 전문가인 전문의(2)의 단말기 등에 전송되어, 코칭분석부(230)에 의해 해당 전문의(2)에 의한 전문적인 진단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the selective monitoring of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user 1 not only allows the user 1 to directly monitor the condition of his or her oral cavity, for example, the state of the teeth, The monito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pecialist 2 , which is an expert, and corresponds to a technical idea that allows the coaching analysis unit 230 to make a professional diagnosis by the specialist 2 .

모니터링 모듈(100)의 경우,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베스티게이팅 유닛(investigating unit, 110) 및 보디 프레임 유닛(body frame unit, 13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 as shown in FIGS. 2 and 5 , it may include an investigating unit 110 and a body frame unit 130 .

먼저,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광을 관장하며, 소정의 광이 조사되도록 하며, 치아로부터 반사된 소정의 광을 수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First,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ng unit 110, as shown in FIG. 2, it controls a predetermined light, allows the predetermined light to be irradiated,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즉,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빛을 조사하고, 해당 조사되는 빛이 치아로부터 반사되면, 해당 빛을 수광하는 기능까지 겸비하게 된다. That is, the investigating unit 110 irradiates light as desired, and when the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teeth, it also ha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light.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의 자세한 설명은 그 하위 구성들의 도입을 통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st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again through introduction of its sub-components.

보디 프레임 유닛(13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듈(100)의 주된 몸체를 형성하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을 홀딩하고, 사용자(1)에 의한 소정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 버튼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body frame unit 130 , as shown in FIG. 2 , it forms the main body of the monitoring module 100 and holds the investigating unit 110 , and obtains a predetermined input by the user 1 . It is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n input button to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듈(100)의 경우, 도킹 넥 유닛(docking neck unit, 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 the monitor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ocking neck unit 120 .

도킹 넥 유닛(120)의 경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을 홀딩하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110)으로부터 연장된 몸체를 형성하여, 보디 프레임 유닛(130)에 장착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docking neck unit 120 , it holds the investigating unit 110 , forms a body extending from the investigating unit 110 , and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unit 130 .

도킹 넥 유닛(120)은 그 길이의 장단이 사용자(1)의 구강의 깊이나 내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킹 넥 유닛(120)은 보디 프레임 유닛(130)으로부터 임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docking neck unit 12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depth or internal shape of the oral cavity of the user 1 . For this purpose, the docking neck unit 120 is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body frame unit 130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that this is possible.

도킹 넥 유닛(120)은 그 재질이 플렉시블(flexi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한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1)가 가하는 외력을 통해 임의 구부림을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임의 구부림은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한, 형상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ocking neck unit 1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flexible or bendable to form an arbitrary bending through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1, and the arbitrary bending has a separate external force. Unless otherwise noted, it is desirable to keep the shape.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단말기 모듈(20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아 컨디션 정보의 획득과 이에 파생되는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영상 획득부(210) 및 치아 분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erminal module 200 of the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th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derived there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It may include a 210 and a tooth analysis unit 220 .

영상 획득부(21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듈(100)과 네트워킹하여 치아 컨디션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s shown in FIG. 6 , 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acquir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by networking with the monitoring module 100 .

아울러, 치아 분석부(220)는 영상 획득부(210)가 획득한 치아 컨디션 정보로부터 사용자(1)의 치아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적으로 스캔(scan)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tooth analysis unit 2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can the teeth of the user 1 from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s shown in FIG. 9 .

나아가, 치아 분석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코나이징(recognizing)부(221), 및 치아 분류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8 , the tooth analysis unit 220 may include a recognizing unit 221 and a tooth classification unit 222 .

먼저, 레코나이징부(221)의 경우, 선별적으로 스캔하나 사용자(1)의 치아를 구강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식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First, in the case of the reckoning unit 221, it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scans but recognizes the teeth of the user 1 by separating them from the oral cavity.

레코나이징부(2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내의 전체적인 패턴 혹은 배경으로부터 전체적인 패턴에 대하여 대비되는 대상 혹은 배경으로부터 이질적인 대상을 일차적으로 사용자(1)의 치아로 구분하여 인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9 , the reconizing unit 221 recognizes an object contrasting with the overall pattern from the overall pattern or background in the oral cavity or an object heterogeneous from the background as the teeth of the user 1 .

레코나이징부(221)의 경우, 구강 내 대다수의 조직이나 표피들이 가지는 컬러(color)나 그레이 레벨(gray level) 대비, 치아가 가지는 전형적인 컬러와 그레이 레벨에 기초하여, 잇몸, 구강 내 점막으로부터 치아를 식별해낸다. In the case of the reckoning unit 221, based on the color or gray level of the majority of tissues or epidermis in the oral cavity, and the typical color and gray level of the teeth, to identify

치아 분류부(222)의 경우, 레코나이징부(221)가 분리하여 인식한 사용자(1)의 치아의 종류를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222 , the type of teeth of the user 1 recognized by the reckoning unit 221 is separately classifi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분류부(222)는 사용자(1) 치아의 아웃 라인(outline)에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을 선택적으로 접선시켜, 사용자(1)의 개별 치아들의 아웃 라인의 형태를 분별하여, 사용자(1)의 치아를 독립적으로 분류해낸다. As shown in FIG. 10, 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222 selectively tangents a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to the outline of the user (1) teeth, so that the individual of the user (1) By discriminating the shape of the outline of the teeth, the user 1's teeth are classified independently.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이란, 가상으로 생성해내는 가상의 실선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선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이미지에 근접, 접선 등이 이루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되어 치아의 아웃 라인 중 다른 부분에도 접선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회 수행되는 개념적으로 설정되는 가상의 회전 가능한 직선 실선에 해당한다.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means a virtual solid line generated virtually, such a solid lin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corresponds to a virtual rotatable straight solid line conceptually set a plurality of times to be rotated so that a tangent line is made to another part of the outline of the tooth.

즉, 치아 분류부(222)는 가상의 실선인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을 생성해내고, 이러한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을 이동하거나 회전시켜, 레코나이징부(221)가 인식한 아웃라인 상에 접선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특정 치아의 외부 형태를 산출해낸다. That is, 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222 creates a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that is a virtual solid line, moves or rotates this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and forms a tangent line on the outline recognized by the reckoning unit 221 . By iteratively, the external shape of a specific tooth is calculated.

치아 분석부(22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식 측정부(223) 및 타임 소팅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ooth analysis unit 220 , as shown in FIG. 8 , it may further include a caries measurement unit 223 and a time sorting unit 224 .

우식 측정부(223)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로부터 반사되는 소정의 광으로부터 치아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bio film)을 식별하고, 바이오 필름의 면적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caries measurement unit 223, as shown in FIG. 11, a bio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is identified from a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ooth, and the area of the biofilm is calculat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한 치아 표면 상에 붉게 표시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그 면적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붉은 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 표면상에 육안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바이오 필름, 예컨대, 포피린에 해당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area displayed in red on the identified tooth surface is identified and the area is calculated. films, such as porphyrins.

아울러, 우식 측정부(223)는 이러한 붉은색 면적의 크기를 산출하게 되는데, 우식 측정부(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 분류부(222)가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의 이동과 회전을 거듭함에 따라 산출한 사용자의 치아의 아웃 라인과 그 면적에 대비하여, 붉은색이 차지하는 면적의 절대적인 크기 예컨대 제곱미리미터 단위 혹은 붉은색이 치아 전체 면적 대비 차지하는 상대적인 크기 예컨대 퍼센티지(percentage)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ies measurement unit 223 calculates the size of this red area, the caries measurement unit 223 repeats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222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The absolute size of the area occupied by red, for example, in units of square millimeters, or the relative size, such as percentage, occupied by the red color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teeth can be calculated in comparison with the calculated user's tooth outline and its area. have.

타임 소팅부(224)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부의 의미는 사용자(1)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타임 정보 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의미한다.In the case of the time sorting unit 224, as shown in FIG. 12, tim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outside, and this external meaning means that tim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used by the user 1, etc. it means.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소팅부(224)의 경우, 우식 측정부(223)가 식별하고 면적을 산출한 바이오 필름 예컨대 포피린을 시간 정보에 매칭 즉, 시간의 추이에 따라 나열하여 저장하며 사용자(1)에게 제시 즉,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in the case of the time sorting unit 224, the biofilm, such as porphyrin, identified by the caries measurement unit 223 and calculated the area is matched with the time information, that is, list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t is stored and presented to the user 1, tha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치아 분석부(220)의 경우, 예측 적용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 analysis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prediction application unit 225 .

예측 적용부(225)의 경우, 타임 소팅부(224)가 제시한 바이오 필름의 면적의 추이를 통해 소정의 시간 내 사용자(1)의 치아에 형성될 바이오 필름의 크기와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ediction application unit 225 ,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biofilm to be formed on the user 1's teet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estimated through the change in the area of the biofilm presented by the time sorting unit 224 .

예컨대, 예측 적용부(2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st1의 과거에 plaque 1의 크기와, past2 시간대에서의 plaque 2의 크기와, past3 시간대에서의 plaque3의 크기와, present 즉 현재의 plaque4의 크기를 통해, 소정의 시간 내 즉 미래인 near future 시간대에서의 plaque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prediction application unit 225 is, as shown in FIG. 13, the size of plaque 1 in the past of past1, the size of plaque 2 in the past2 time period, the size of plaque3 in the past3 time period, and the size of the present, that is, the present. Through the size of plaque4, it is possible to predict a plaqu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in the near future time zone, and inform the user in advanc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부(210)의 경우, 시퀀스 분할부; 벡터 할당부; 및 개별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13, in the case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the sequence dividing unit; vector allocator; and an individual transmission unit.

시퀀스 분할부는 치아 정보를 1과 0의 2진의 바이너리 시퀀스(binary sequence)로 나열한 후, 해당 나열된 시퀀스를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The sequence dividing unit arranges the tooth information as binary sequences of 1 and 0, and then divides the listed sequence into three regions.

벡터 할당부는 이들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바이너리 시퀀스에는 개별적인 헤더를 할당하게 된다. 벡터 할당부는 이들 헤더를 상호 개별적인 차원으로 부여될 수 있도록 이들 상호의 백터 헤더(vector header) v1, v2, v3 각각을 2진의 곱을 하게 되면 상호 0으로 되도록 2진 수를 임의 설정되도록 하고, 이들 v1, v2, v3를 각각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차원의 백터로 개념짓게 된다.The vector allocator allocates individual headers to the binary sequence divided into these three areas. The vector allocating unit arbitrarily sets binary numbers so that each of these vector headers v1, v2, v3 is multiplied by binary so that these headers can be assigned as mutually separate dimensions, and the binary numbers are mutually 0, and these v1 , v2, and v3 are conceptualized as vectors of orthogonal dimension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3 .

이들 벡터 할당부는 이들 v1, v2, v3를 각각 분할된 바이너리 시퀀스의 앞부분에 붙이고, 이들 분할되고 벡터 헤더가 할당된 3개의 정보를 분산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개별 전송부가 관장하게 된다.These vector allocating units attach v1, v2, and v3 to the front of the divided binary sequence, respectively, and distribute and transmit three pieces of information to which the divided and vector headers are allocated. This role is managed by individual transmission units.

수신단인 단말기 모듈(200)이나 기타 제3의 단말 등에서는 해당 3개의 정보인 분할된 벡터 헤더가 붙은 정보의 규칙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는바, 치아 정보에 대한 외부의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Since the terminal module 200 or other third terminal, which is the receiving end, does not recognize the rule of information with a divided vector header, which is the three pieces of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dental information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should be

1: 사용자 2: 전문의
100: 모니터링 모듈 110: 인베스티게이팅 유닛
120: 도킹 넥 유닛 130: 보디 프레임 유닛
200: 단말기 모듈 210: 영상 획득부
220: 치아 분석부 221: 레코나이징부
222: 치아 분류부 223: 우식 측정부
224: 타임 소팅부 225: 예측 적용부
230: 코칭 분석부 240: 알람부
300: 콘트롤 모듈
1: User 2: Specialist
100: monitoring module 110: Investigating unit
120: docking neck unit 130: body frame unit
200: terminal module 210: image acquisition unit
220: tooth analysis unit 221: reconizing unit
222: tooth classification unit 223: caries measurement unit
224: time sorting unit 225: prediction application unit
230: coaching analysis unit 240: alarm unit
300: control module

Claims (10)

사용자의 구강 내 인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소정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치아로부터 상기 소정의 광을 필터링하여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모듈(monitoring module);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부터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모듈(terminal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 monitoring module that is introduced into the user's oral cavity, irradiate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teeth in the user's oral cavity, and filters the predetermined light from the teeth to obtain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and
Obtaining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module, analyzing the user's tooth condition from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and comprising a terminal module (terminal module) for managing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Dental care system with selective monit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소정의 광을 관장하며, 상기 소정의 광이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치아로부터 반사된 소정의 광을 수광하는 인베스티게이팅 유닛(investigating unit);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의 주된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을 홀딩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 버튼을 구비하는 보디 프레임 유닛(body fram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module,
an investigating unit that manages the predetermined light, causes the predetermined light to be irradiated,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eeth; and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frame unit forming a main body of the monitoring module and holding the investigating unit, and having an input button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input by the user.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my tee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을 홀딩하며, 상기 인베스티게이팅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몸체를 형성하여, 상기 보디 프레임 유닛에 장착되는 도킹 넥 유닛(docking neck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nitoring module,
Holding the investigating unit, forming a body extending from the investig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ocking neck unit (docking neck unit) mounted on the body frame unit, the oral cavity of teeth Dental care system with selective monit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모듈과 네트워킹하여,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치아 컨디션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선별적으로 스캔하는 치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module,
an image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acquire the dental condition information by networking with the monitoring module; and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oth analysis unit that selectively scans the user's teeth from the tooth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분석부는,
상기 선별적으로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식하는 레코나이징(recognizing)부; 및
상기 레코나이징부가 분리하여 인식한 상기 사용자의 치아의 종류를 개별적으로 분류하는 치아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ooth analysis unit,
a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selectively scanned teeth of the user by separating them from the oral cavity; and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oth classification unit for individually classifying the type of the user's teeth recognized by the reconizing unit sepa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분류부는,
상기 사용자의 치아의 아웃 라인(outline)에 버추얼 로테이팅 스트레이트 라인(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을 선택적으로 접선시켜, 상기 사용자의 개별 치아들의 아웃 라인의 형태를 분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독립적으로 분류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tooth classification unit,
By selectively tangent to a virtual rotating straight line (outline) of the user's teeth, by discriminating the shape of the outline of the individual teeth of the user, the user's teeth are classified independently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광은,
파장 405nm을 구비하는 푸른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edetermined light,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lue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분석부는,
상기 치아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소정의 광으로부터 상기 치아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 필름(bio film)을 식별하고, 상기 바이오 필름의 면적을 산출하는 우식 측정부; 및
외부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우식 측정부가 식별하고 면적을 산출한 상기 바이오 필름을 상기 시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하는 타임 소팅(time sort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ooth analysis unit,
a caries measurement unit for identifying a bio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from the predetermined light reflected from the tooth, and calculating an area of the biofilm; and
Acquir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e caries measurement unit identified and the area calculated by matching the biofilm with the time information to store and to be presented to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me sorting (time sorting) unit , a dental care system wit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분석부는,
상기 타임 소팅부가 제시한 상기 바이오 필름의 면적의 추이를 통해 소정의 시간 내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형성될 상기 바이오 필름의 크기와 위치를 추정하는 예측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ooth analysis unit,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diction application unit for estim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biofilm to be formed on the user's teet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area of the biofilm presented by the time sorting unit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형성될 상기 바이오 필름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의 단말기를 통해 외부 전문가-상기 외부 전문가는 전문의를 의미한다-의 전문 의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하는 코칭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erminal module,
The information on the biofilm to be formed on the user's teeth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expert opin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expert - the external expert means a specialist - is obtained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presented to the user A dental care system through selective monitoring of teeth in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aching analysis unit to make it possible.
KR1020210018016A 2021-02-09 2021-02-09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KR102499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16A KR102499368B1 (en) 2021-02-09 2021-02-09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16A KR102499368B1 (en) 2021-02-09 2021-02-09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99A true KR20220114699A (en) 2022-08-17
KR102499368B1 KR102499368B1 (en) 2023-02-13

Family

ID=8311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16A KR102499368B1 (en) 2021-02-09 2021-02-09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368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239A (en) *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al cavity tissue observation device
KR101618684B1 (en) 2014-10-08 2016-05-09 주식회사 굿닥터스 Multi-camera for medical treatment
KR101758977B1 (en) 2015-06-10 2017-07-18 주식회사 레메디 The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to external system thereby
KR20170086974A (en)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90129247A (en)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ntal diagnosis
KR20200000833A (en) 2019-12-20 2020-01-03 서울대학교치과병원 Mouth diagnosis system
KR20200007602A (en) 2018-07-13 2020-01-22 김태훈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service system
JP2020516335A (en) * 2017-03-17 2020-06-11 トロフィー Dynamic dental arch map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239A (en) *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al cavity tissue observation device
KR101618684B1 (en) 2014-10-08 2016-05-09 주식회사 굿닥터스 Multi-camera for medical treatment
KR101758977B1 (en) 2015-06-10 2017-07-18 주식회사 레메디 The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to external system thereby
KR20170086974A (en)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20516335A (en) * 2017-03-17 2020-06-11 トロフィー Dynamic dental arch map
KR20190129247A (en)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ntal diagnosis
KR20200007602A (en) 2018-07-13 2020-01-22 김태훈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service system
KR20200000833A (en) 2019-12-20 2020-01-03 서울대학교치과병원 Mouth diagnosi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368B1 (en)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187B2 (en) Tracked toothbrush and toothbrush tracking system
US105219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ze estimation of in-vivo objects
US876705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671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dental care data on a digital dental image
US2016029616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CN1099227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imaging
KR101793468B1 (en) Self-Beauty App platform System using AR and method
KR102135874B1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sing state information
KR102074887B1 (en) Oral conditon management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analysis
US1158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near infrared-based diagnostic images of teeth
US20210235859A1 (en) Dental care apparatus and method
CN107847147A (en) For obtaining the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KR101559661B1 (en) Toothbrush with a camera and tooth medical examination system using this
CN104661586A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KR101758977B1 (en) The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to external system thereby
KR20200007602A (en)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service system
WO2023274690A1 (en) Non-invasive periodontal examination
KR102036043B1 (en) Diagnosis Device of optical skin disease based Smartphone
KR102499368B1 (en) System for managing tooth by selectively monitoring tooth of oral cavity of user
KR20170093450A (en)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using multiple lights and method thereof
US20200196871A1 (en) Diagnostic toothbrush
KR20210019702A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sing state information
KR20220114700A (en) System for monitoring condition of oral cavity by selectively forming a wavelength range of emitted light
KR20210019944A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sing state information
KR20190086273A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