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41A -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41A
KR20220114141A KR1020210017269A KR20210017269A KR20220114141A KR 20220114141 A KR20220114141 A KR 20220114141A KR 1020210017269 A KR1020210017269 A KR 1020210017269A KR 20210017269 A KR20210017269 A KR 20210017269A KR 20220114141 A KR20220114141 A KR 2022011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information
smartphone
communication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찬석
Original Assignee
이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석 filed Critical 이찬석
Priority to KR102021001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41A/en
Publication of KR2022011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barcodes for authentication of an item or individual, and based on the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identifies a movement rout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tem, or accurately conduct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 person related to a disease problem. Accordingly,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ersonal smartphones in whic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 plurality of sensor element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s, directly attached to the item or the smartphone, and sto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martphone user information; a barcode terminal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by first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sensor element to allow the smartphone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barcode, and then receiving the barcod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bar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barcode terminal, and tracking a location of each piece of the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Description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품 또는 개인의 인증을 위해 바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의 이동경로 및 위치정보를 파악하거나 질병문제와 관련된 사람의 역학조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automatic generation of barcodes for product 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a movement path of goods based on the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And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an accurat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 person to grasp location information or related to a disease problem.

바코드 시스템(Barcode system)이란 바코드가 적용되는 분야에 알맞게 만들어진 여러 형태의 바코드 심벌 체계와 그 심벌에 맞게 흑과 백의 바코드 라벨을 만들어 주는 인쇄 시스템, 바코드를 해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바꾸어 주는 판독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바코드가 오늘날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원동력이 된 것은 미국이 주도적인 역학을 수행하였다.Barcode system refers to various types of barcode symbol systems that are suitable for the field to which barcodes are applied, a printing system that makes black and white barcode labels according to the symbol, and a reading system that decodes barcodes and changes available information is made of The U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act that barcodes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building computer-based information systems as they are today.

약 30여년 전부터 자동인식 기술의 연구 결과로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1973년 UPC 코드가 소비자 산업 기준법으로 채택되고 바코드 스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용이 가속화되었으며, 바코드 시스템의 보급으로 가게의 금전등록기에서는 처리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후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바코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종전의 수동식 입력 방법보다 정보처리의 정확성, 데이터 입력의 신속성, 장소의 제한이 없는 점, 운영과 유지에 따른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점 등의 이점을 갖는다.Many barcod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research on automatic recognition technology from about 30 years ago. In 1973, UPC code was adopted as the Consumer Industry Standard Act and the use of barcode scanning technology was developed, accelerating its use. With the spread of barcode system, the processing speed of cash registers in stores increased, resulting in significant reduction in labor costs. Since then, as many barcod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e application of the barcode system has increased,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speed of data inpu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and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not too high compared to the previous manual input method. and the like.

이러한 바코드 시스템은 물품의 배송 시스템에 적용되어 배송이 이루어져야할 지역별로 물품을 분류하거나, 잘못된 배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물품을 확인하는데에 사용되고 있다.Such a barcode system is applied to a product delivery system and is used to classify the product by region to be delivered or to check the product to prevent incorrect delivery.

그리고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함에 따라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의 신원정보를 체크하도록 하여, 질병 확진자의 위치추적 및 접촉자를 파악하도록 하여, 자가격리를 유도하거나 진단키트를 통해 감염여부를 파악하고 있다.And as the recent corona virus infection (COVID-19) spreads around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dentity of the person entering the building,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person and identify the contact, to induce self-quarantine or provide a diagnostic kit. infection is detected.

질병 발생 초기에는 신원정보 입력에 따른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출입자의 이름, 전화번호, 출입시간, 체온 등과 같은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등의 수기로 이루어졌었다. 이와 같이 수기로 입력될 경우, 출입자가 많은 장소의 경우 작성에 따른 출입지연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수기 작성이 원활하게 되고 있는지 관리자가 항시 상주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early days of the disease, the system was not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input of identity information, so information such as name, phone number, access time, and body temperature was manually entered. In the case of handwriting inpu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ess is delayed due to writing in places with many visitor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dministrator must always be present to ensure that handwriting is smoothly perform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개인 스마트폰에 바코드(QR코드) 화면을 표시한 다음, 해당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fter displaying a barcode (QR code) screen on a personal smartphone,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the barcode.

그러나 바코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바코드를 생성하게 되는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바코드 생성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10대의 경우, 즉각적으로 사용법을 익혀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이용자의 경우 관리자의 도움을 받거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청해야만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barcode screen, the user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o generate the barcod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ndardization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has not been made, and the barcode generation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In this situation, a teenager who is accustomed to using a smartphone can immediately learn how to use it and create a barcode. could create

이뿐만 아니라 이렇게 생성된 바코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장소의 출입여부, 출입시간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질병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확진자의 동선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며, 질병관리본부의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of the barcode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used to determine only the entry and exit times of the relevant place, when a confirmed disease occurs, an addition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s requir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confirmed person, and the personnel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tak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8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78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40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3404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52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7525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바코드 생성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센서수단을 통해 센서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바코드 단말기와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바코드 생성에 따른 편의성을 높이고, 이렇게 자동으로 생성된 바코드를 기반으로 물품에 적용하여 택배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거나, 사람의 이동경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질병문제와 관련된 사람의 역학조사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barcode generation is not made directly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but comes close to a barcod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sensor means through a sensor means interlocked with the application, By allowing barcodes to be generated automatically, the convenience of barcode generation is increased, and the location of couriers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by applying the barcodes based on these automatically generated barcodes to items, or the movement path of people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to be related to disea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the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that enables the hum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o be done accurately and quickly.

본 발명은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개인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고, 물품 또는 스마트폰에 직접 부착되며, 물품 정보 및 스마트폰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의 센서수단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되, 센서수단의 접근을 먼저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통신으로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바코드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다수의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단말기를 통해 인식한 다수의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여, 각 생성된 바코드 정보의 위치를 추적하는 관제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personal smart phones in whic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is directly attached to an article or a smart phone, and a plurality of sensors in which item information and smart phone user information are stored. a barcode terminal that recognizes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bu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sensor means to automatically generate barcodes in the smartphone, and then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and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a barcode terminal, and tracks the location of each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상기 센서수단은;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mean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a memory unit for inputting the holder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nd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barcode terminal;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센서수단은 또 다른 센서수단의 근접시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2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의 통신연결 정보는 제1통신모듈을 거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제서버로 자동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means furthe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nother sensor means is in proximity,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by a smart phone application via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상기 바코드 단말기는;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와,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3통신모듈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 또는 제3통신모듈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code terminal; A barcode scanning unit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an output barco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and receiving barcod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barcode scanning unit or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and a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that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barcode information and the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바코드 생성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센서수단을 통해 센서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바코드 단말기와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바코드 생성에 따른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generate a barcode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but when it comes close to a barcod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sensor means through a sensor means linked to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a barcode to generate a barcod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도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생성된 바코드를 기반으로 물품에 적용하여 택배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거나, 사람의 이동경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질병문제와 관련된 사람의 역학조사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goods based on automatically generated barcodes to effective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courier or effectively identify a person's movement path so that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 person related to a disease problem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스마트폰과, 센서수단, 바코드 단말기의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the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a smartphone, a sensor means, and a barcode terminal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개인 스마트폰(100)과, 상기 스마트폰(100)과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고, 물품 또는 스마트폰(100)에 직접 부착되며, 물품 정보 및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의 센서수단(200)과,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되, 센서수단(200)의 접근을 먼저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100)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통신으로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바코드 단말기(300)와,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다수의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단말기(300)를 통해 인식한 다수의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여, 각 생성된 바코드 정보의 위치를 추적하는 관제서버(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the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personal smart phones 100 in whic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smart phone 100, A plurality of sensor means 200 that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article or the smartphone 100 and store information on the goods and the smartphone 100 user, and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100 is recognized, A barcode terminal 300 that firs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sensor means 200 to automatically generate a barcode in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100, and then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smartphone 100 and a control server 400 that stores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 and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barcode terminal 300, and tracks the location of each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건물 내 출입시 스마트폰(100)의 화면상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바코드(QR코드)를 표시하여,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진 다음 출입이 허가되도록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바코드 생성에 따른 조작이 어려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며,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더라도 바코드 생성에 따른 스마트폰 조작 및 바코드 생성시간으로 인해 출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Due to the recent corona virus infection (COVID-19), when entering the building, the barcode (QR code) gene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0, and through a terminal that can scan the barcode, personal After authentication, access is controlled so that access is per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a smartphone, it is difficult to operate according to barcode generation, so the help of others is required. there wa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코드 생성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통해 바코드생성을 일일이 하지 않고도 스마트폰(100)을 바코드 단말기(300)에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여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arcode generation to be made immediately, and when the smartphone 100 approaches the barcode terminal 300 without manually generating barcodes through application manipulation of the smartphone 100 , It automatically generates a barcode to enable personal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스마트폰(100)은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바코드 단말기(300)에서도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00)에는 센서수단(200)이 더 결합되어 있다.The smart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a standardized applic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barcode recognition is possible even in different types of barcode terminals 300 . And the smart phone 100 is further coupled to the sensor means 200 .

상기 센서수단(200)은 스마트폰(1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100)의 명의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센서수단(200)은 바코드 단말기(300)와 근접하는 것만으로 인식이 가능하며, 센서수단(200)이 바코드 단말기(300)와 근접하여 인식이 되는 순간,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없이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바코드 정보는 바코드 단말기(300)에서 인식하게 되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sensor means 200 is a component coupled to the smart phone 100 and has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smart phone 100 . And the sensor means 200 can be recognized only by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300, and the moment the sensor means 200 is recognized in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300, the smart phone 100 without a separate application operation. ) will automatically generate barcodes on the application.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is recognized by the barcode terminal 300 and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상기 센서수단(200)의 전원공급은 내부에 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배터리는 쉽게 교체가능한 작은 사이즈의 건전지로 적용될 수 있고, 별도의 충전수단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of the sensor means 200 is made through a battery inside, and the battery can be applied as a battery of a small siz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battery is charged through a separate charging means.

본 발명의 센서수단(2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210)과,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the holder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 and a memory unit 220 for input and a sensor unit 230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barcode terminal 300 .

상기 제1통신모듈(210)은 센서수단(200)과 스마트폰(100)과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20)는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명의자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명의자 정보는 이름, 나이,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명의자 정보는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명의자 정보의 열람 및 변경은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의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is for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means 200 and the smart phone 100, and is preferably applied to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n addition, the memory unit 22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the holder of the smart phone 100 user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holder may be a name, ag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phone number, or the like. The holder information is preferably input through the smart phone 100 application, and it is goo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ecurity through the ID and password of the smart phone 100 application for reading and changing the holder information.

즉, 상기 제1통신모듈(210)의 분실이 발생하더라도 제3자가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 확인이 이루어진 다음 사용자가 다를 경우 사용의 제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even i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is lost, it is preferable to restrict the use if the user is different after the user is confirmed through the ID and password so that a third party cannot arbitrarily use it.

그리고 상시 센서부(230)는 바코드 단말기(300)와 접근하였을 때 접촉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센서부(230)를 바코드 단말기(300)에 가져가 대는 것만으로, 센서부(230)에서는 바코드 단말기(300)와 접근했다는 접촉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제1통신모듈(210)을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스마트폰(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And the constant sensor unit 230 is to generate a contact signal when approaching the barcode terminal (300). That is, just by bringing the sensor unit 230 to the barcode terminal 300 , the sensor unit 230 generates a contact signal indicating that it has approached the barcode terminal 300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 It is transmitted to the phone 100 . The smartphone 100 receiving the contact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s a barcode through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센서수단(200)은 또 다른 센서수단(200)의 또 다른 센서수단(200)의 근접시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2통신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240) 역시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통신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다수개의 센서수단(200)끼리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nsor means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nother sensor means 200 of another sensor means 200 is in proxim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also corresponds to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means 200 at the same time.

상기 제2통신모듈(240)은 센서수단(200)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서로 근접할 경우 자동으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통신모듈(240)의 통신연결 정보는 제1통신모듈(210)을 거쳐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제서버(400)로 자동전송되는 것이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automatically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 person holding the sensor means 200 approaches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i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 ) and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 by the smartphone 100 application.

상기 제2통신모듈(240)의 통신연결정보는 스마트폰(100) 사용자에게는 비공개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신연결정보를 기반으로 관제서버(400)에서 감염경로 추적, 확진자 접촉여부, 확진자 동선과 같은 정보를 추후에 제공해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is preferably processed privately to the user of the smartphone 100, and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400 traces the infection path, contacts the confirmed person, and confirms the diagnosis. Information such as automatic lines can be provided later.

상기 제2통신모듈(240)의 통신연결정보는 단순히 통신이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된 통신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얼마나 가까이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연결의 지속시간 또한 측정함으로써 질병 확진자와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접촉하였는지도 파악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does not only correspond to whether communication is connected, but also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nnected communication to determine how close it was, and also the duration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y measuring i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how long you have been in contact with a confirmed person.

본 발명의 바코드 단말기(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310)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3통신모듈(320)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310) 또는 제3통신모듈(320)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330);로 구성된다.The barcod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barcode scanning unit 310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output barcode as shown in FIG.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that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he individual who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barcode scanning unit 310 or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and the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330; is configured.

본 발명의 바코드 단말기(300)는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에는 출력된 이미지를 바코드 스캔부(3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두번째에는 상기 제3통신모듈(320)을 통해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바코드 스캔부(310)를 거치지 않고 제공받을 수 있다.The barcod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100 . There may be largely two methods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in the barcode terminal 300 . First, there may be a general method of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directly scanning the output image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unit 310, and secondly,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generated by the smartphone 100 The barco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ithout going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unit 310 .

여기서 상기 제3통신모듈(320)은 스마트폰(100)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4G 또는 5G와 같은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3통신모듈(320)은 인터넷망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Here,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is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phone 10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such as 4G or 5G.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1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그리고 나서 상기 개인인증부(330)를 통해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n, personal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barcode information through the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33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관제서버(400)는 모든 바코드 단말기(300)와 원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다수의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단말기(300)를 통해 인식한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생성된 바코드들의 위치정보를 자체적으로 연산하게 된다.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는 GPS모듈을 통해 관제서버(400)로 제공되는 것보다 설치과정에서 설치된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ser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ll barcode terminals 300 through long-distance communication, and stores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100 and bar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barcode terminal 300,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store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barcodes is calculated by itsel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rcode terminal 3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rather than provided to the control server 400 through the GPS module.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는 주로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바코드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되는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장소에 출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관제서버(400)에서는 확진자가 해당장소에 출입할 경우, 해당 바코드 단말기(30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동시간대에 출입한 다른 사람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barcode terminal 300 is mainly installed in a fixed place, based on the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arcode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nter the corresponding place. That is, in the control server 400 , when a confirmed person enters the corresponding plac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information of another person who enter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barcode information for which the user is authenticated by the corresponding barcode terminal 300 .

또한 확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수단(200)의 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확진자와 접촉된 사람을 파악하거나, 확진자와 얼마나 가깝게 근접하였는지, 접촉시간은 어느정도 되는지 자동으로 연산하여, 전염가능성이 큰 고위험군의 이용자를 사전에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means 200 is checked based on the confirmed person information, the possibility of contagion can be increased by identifying the person who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confirmed person or by automatically calculating how close the person was with the confirmed person and how long the contact time was. Users of large high-risk groups can be selected in adv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관제서버(400)에서 각 바코드 정보의 위치정보를 연산함으로써, 기존에 수동적으로 실시하였던 질병관리의 역학조사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역학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질병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rol server 400 to automatically perform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disease management that was previously manually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barcode information, while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quickly This will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

아울러 본 발명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사람에 적용하여 질병관련 정보를 획득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물품에 적용될 경우, 배송 관련 시스템에 적용하여 물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erson and used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disease-related information, but when applied to an article, it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article by applying it to a delivery-related system.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200 : 센서수단
210 : 제1통신모듈 220 : 메모리부
230 : 센서부 240 : 제2통신모듈
300 : 바코드 단말기 310 : 바코드 스캔부
320 : 제3통신모듈 330 : 개인인증부
400 : 관제서버
100: smartphone 200: sensor means
210: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 memory unit
230: sensor unit 24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0: barcode terminal 310: barcode scanning unit
320: third communication module 330: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400: control server

Claims (4)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개인 스마트폰(100)과,
상기 스마트폰(100)과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고, 물품 또는 스마트폰(100)에 직접 부착되며, 물품 정보 및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의 센서수단(200)과,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되, 센서수단(200)의 접근을 먼저 감지하여 해당 스마트폰(100)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통신으로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바코드 단말기(300)와,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다수의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단말기(300)를 통해 인식한 다수의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여, 각 생성된 바코드 정보의 위치를 추적하는 관제서버(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A plurality of personal smart phones 100 in which the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ensor means 200 in which short-range communication is made with the smart phone 10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article or the smart phone 100, and the article information and the smart phone 100 user's information are stored;
Recognize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100, but first detect the approach of the sensor means 200 so that the smart phone 100 can automatically generate the barcode automatically, and then transmit the barcod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barcode terminal 300 provided;
A control server 400 that stores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100 and a plurality of barcod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barcode terminal 300, and tracks the location of each generated barcode information; Consists of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200)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210)과,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means 200;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A memory unit 220 to which the holder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A position tracking system using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unit 230 that generates a contact signal when the barcode terminal 300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200)은 또 다른 센서수단(200)의 근접시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2통신모듈(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240)의 통신연결 정보는 제1통신모듈(210)을 거쳐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제서버(400)로 자동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means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another sensor means 200 is in proximity,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0 is the first Posi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 by the smart phone 100 appl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단말기(300)는;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310)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3통신모듈(320)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310) 또는 제3통신모듈(320)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자동생성 기능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code terminal 300 is;
A barcode scanning unit 310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output barco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receiving barcod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The barcode scanning unit 310 or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formation and then a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330 for user authentication.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20210017269A 2021-02-08 2021-02-08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KR20220114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69A KR20220114141A (en) 2021-02-08 2021-02-08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69A KR20220114141A (en) 2021-02-08 2021-02-08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41A true KR20220114141A (en) 2022-08-17

Family

ID=8311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69A KR20220114141A (en) 2021-02-08 2021-02-08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14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59B1 (en) 2006-09-04 2007-01-29 김동규 Authentication system by using bar-code which OTP-code added, and its method
KR101187856B1 (en) 2012-02-2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지모빌리언스 Mobile phone payment system for using bar code generat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KR101234040B1 (en) 2011-06-30 2013-02-15 (주) 레몬봇 Method for generating barcodes and judging a validity of the bar-codes, bar-code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59B1 (en) 2006-09-04 2007-01-29 김동규 Authentication system by using bar-code which OTP-code added, and its method
KR101234040B1 (en) 2011-06-30 2013-02-15 (주) 레몬봇 Method for generating barcodes and judging a validity of the bar-codes, bar-code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187856B1 (en) 2012-02-2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지모빌리언스 Mobile phone payment system for using bar code generat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2445A (en) Means of transportation commu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vehicle
US20140125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vehicle occupants
KR102028858B1 (en) Integrated exhibition managing system, server and method
JP6464737B2 (en) Prospective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72232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303806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less temperature screening system
US20150161580A1 (en)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 system
US20110101096A1 (en) Identification card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190139122A1 (en) Commodity-data processing apparatus, commodity-data processing system, and commodity-data processing program
EP3979215A1 (en) Ticket issuing system, ticket checking device, and program
KR20220114141A (en)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CN113977597B (en) Control method of dispensing robot and related device
JP2006235865A (en) Support instruction system, support instruction decision apparatus, support instruction method and support instruction decision program
US11436885B2 (en) In-vehicle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9006503A1 (en) Passenger management
JP2007219974A (en) Individual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tracking and monitoring apparatus using same
TWM599953U (en) Simple digital crowd quarantine control system
CN112884996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express by using doorbell and doorbell
KR102071128B1 (en) real-time status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for train using image processing and system
KR20220100157A (en)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JP2015176259A (en) Entrance/exit gate device
US20230368639A1 (en) Server device, visitor notification system, visitor not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1277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2162834A1 (en) System and product delivery method
KR20220114140A (en)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