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40A -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 Google Patents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40A
KR20220114140A KR1020210017264A KR20210017264A KR20220114140A KR 20220114140 A KR20220114140 A KR 20220114140A KR 1020210017264 A KR1020210017264 A KR 1020210017264A KR 20210017264 A KR20210017264 A KR 20210017264A KR 20220114140 A KR20220114140 A KR 2022011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information
unit
smartphone
perso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찬석
Original Assignee
이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석 filed Critical 이찬석
Priority to KR102021001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40A/en
Publication of KR2022011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and to a technology that significantly improves usability by generating a barcode and performing personal authentication using the barcode in a simple way, rather than generating the barcode only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in an environment where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barcode. Accordingly,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which allows the barcodes to be instantly generated through a standardized application such that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using a smartphone can easily create barcodes, and allows a barcode terminal to autonomously generate the barcode for each person without using the smartphone to enable simple personal authentication.

Description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본 발명은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생성된 바코드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바코드 생성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생성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바코드 생성 및 이를 이용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convenience for personal authentication, so that, in an environment where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barcode, barcode generation is not generated only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and barcode generation and personal authentication using the barcode are created in a simple way. Thus,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greatly improves the usability.

바코드 시스(Barcode system)템이란 바코드가 적용되는 분야에 알맞게 만들어진 여러 형태의 바코드 심벌 체계와 그 심벌에 맞게 흑과 백의 바코드 라벨을 만들어 주는 인쇄 시스템, 바코드를 해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바꾸어 주는 판독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바코드가 오늘날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원동력이 된 것은 미국이 주도적인 역학을 수행하였다.Barcode system refers to various types of barcode symbol systems that are suitable for the field to which barcodes are applied, a printing system that makes black and white barcode labels according to the symbols, and a reading system that decodes barcodes and changes available information made up of systems The United Stat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act that barcodes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using computers as they are today.

약 30여년 전부터 자동인식 기술의 연구 결과로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1973년 UPC 코드가 소비자 산업 기준법으로 채택되고 바코드 스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용이 가속화되었으며, 바코드 시스템의 보급으로 가게의 금전등록기에서는 처리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후 많은 바코드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바코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종전의 수동식 입력 방법보다 정보처리의 정확성, 데이터 입력의 신속성, 장소의 제한이 없는 점, 운영과 유지에 따른 비용이 크게 들지 않는 점 등의 이점을 갖는다.Many barcod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research on automatic recognition technology from about 30 years ago. In 1973, UPC code was adopted as the Consumer Industry Standard Act and the use of barcode scanning technology was developed, accelerating its use. With the spread of barcode system, the processing speed of cash registers in stores increased, resulting in significant reduction in labor costs. Since then, as many barcod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e application of the barcode system has increased,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speed of data inpu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and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not too high compared to the previous manual input method. and the like.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함에 따라 건물에 출입하는 사람의 신원정보를 체크하도록 하여, 질병 확진자의 위치추적 및 접촉자를 파악하도록 하여, 자가격리를 유도하거나 진단키트를 통해 감염여부를 파악하고 있다.As the recent corona virus infection (COVID-19) spreads around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dentity information of people who enter the building,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confirmed disease and identify the contact, induce self-quarantine or use a diagnostic kit. Investigating the infection.

질병 발생 초기에는 신원정보 입력에 따른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출입자의 이름, 전화번호, 출입시간, 체온 등과 같은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등의 수기로 이루어졌었다. 이와 같이 수기로 입력될 경우, 출입자가 많은 장소의 경우 작성에 따른 출입지연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수기 작성이 원활하게 되고 있는지 관리자가 항시 상주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early days of the disease, the system was not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input of identity information, so information such as name, phone number, access time, and body temperature was manually entered. In the case of handwriting inpu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ess is delayed due to writing in places with many visitor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dministrator must always be present to ensure that handwriting is smoothly perform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개인 스마트폰에 바코드(QR코드) 화면을 표시한 다음, 해당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fter displaying a barcode (QR code) screen on a personal smartphone,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the barcode.

그러나 바코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바코드를 생성하게 되는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바코드 생성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10대의 경우, 즉각적으로 사용법을 익혀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이용자의 경우 관리자의 도움을 받거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청해야만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barcode screen, the user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o generate the barcod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ndardization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has not been made, and the barcode generation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In this situation, a teenager who is accustomed to using a smartphone can immediately learn how to use it and create a barcode. could cre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8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78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40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3404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52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7525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간편하게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도 바코드 단말기 자체적으로 개인별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llowing a barcode to be immediately generated through a standardized application, so that a barcode can be easily generated even for users unfamiliar with using a smartphone, a smartphon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convenience for personal authentication that allows easy personal authentication by enabling the barcode terminal to generate individual barcodes by itself without using a barcode.

본 발명은 생성된 바코드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있어서,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개인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개인정보를 스캔하는 바코드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되며, 스마트폰 명의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센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단이 결합된 스마트폰을 바코드 단말기에 근접하여 인식하게 되면, 스마트폰 또는 바코드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바코드를 기반으로 바코드 단말기에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in which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generated barcode, a personal smartphone having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a barcode terminal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martphone to sca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mart phone It includes; a sensor means coupled to the phone and having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smartphone, and when the smart phone coupled with the sensor means is recognized in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the bar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r barcode terminal and then , characterized in that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e barcode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barcode.

또한 상기 센서수단은;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mean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a memory unit for inputting the holder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nd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barcode terminal;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바코드 단말기는;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와,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2통신모듈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 또는 제2통신모듈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rcode terminal; A barcode scanning unit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an output barcode,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and receiving barcod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barcode scanning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that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n authenticates the user.

또한 상기 바코드 단말기는 관리자가 직접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관리자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자 생성부는 개인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바코드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와, 상기 바코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바코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rcod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anager generation unit that allows an administrator to directly generate a barcode; the administrator generation unit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unit that can direct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and a barcode based o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arcod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the barcode by itself, and a barcode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barcode generated through the barcode generation unit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바코드 생성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통해 바코드생성을 일일이 하지 않고도 스마트폰을 바코드 단말기에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여 개인인증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ient effect of personal authentication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barcode when the smartphone approaches the barcode terminal without manually generating barcodes through application manipulation of the smartphone while allowing barcode generation to be instantaneous.

또한 본 발명은 바코드 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생성된 바코드를 제공해줌으로써 건물출입에 따른 개인인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arcode terminal to generate barcodes by itself, and provides the generated barcodes to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using smartphones, thereby facilitating personal authentication according to building access.

도 1은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바코드 단말기에 관리자 생성부를 더 포함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2 is a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arcod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anager generation unit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생성된 바코드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개인 스마트폰(100)과,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개인정보를 스캔하는 바코드 단말기(200)와, 상기 스마트폰(100)에 결합되며, 스마트폰(100) 명의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센서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단(300)이 결합된 스마트폰(100)을 바코드 단말기(200)에 근접하여 인식하게 되면, 스마트폰(100) 또는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바코드를 기반으로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in which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generated barcode, and more specifically, a personal smartphone 100 in whic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martphone 100 are recognized A barcode terminal 200 for scan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ensor means 300 coupled to the smart phone 100 and having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smart phone 100; includes, and the sensor means 300 is coupled When the smart phone 100 is recognized in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200, the barcode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smartphone 100 or barcode terminal 200, and then based on the generated barc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ersonal authentication is made in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건물 내 출입시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바코드(QR코드)를 표시하여,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진 다음 출입이 허가되도록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노인의 경우, 바코드 생성에 따른 조작이 어려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며,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더라도 바코드 생성에 따른 스마트폰 조작 및 바코드 생성시간으로 인해 출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Due to the recent corona virus infection (COVID-19), when entering the building, the barcode (QR code) gene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that can scan the barcode. The following access is controlled to be per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a smartphone, it is difficult to operate according to barcode generation, so the help of others is required. there wa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코드 생성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통해 바코드생성을 일일이 하지 않고도 스마트폰(100)을 바코드 단말기(200)에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여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barcode generation to be instantaneous, and when the smartphone 100 approaches the barcode terminal 200 without manually generating barcodes through application manipulation of the smartphone 100 , It automatically generates a barcode to enable personal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스마트폰(100)은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표준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바코드 단말기(200)에서도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100)에는 센서수단(300)이 더 결합되어 있다.The smart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a standardized applic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barcode recognition is possible even in different types of barcode terminals 200 . And the smart phone 100 is further coupled to the sensor means (300).

상기 센서수단(300)은 스마트폰(1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100)의 명의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센서수단(300)은 바코드 단말기(200)와 근접하는 것만으로 인식이 가능하며, 센서수단(300)이 바코드 단말기(200)와 근접하여 인식이 되는 순간,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없이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바코드 정보는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인식하게 되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sensor means 300 is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smart phone 100 and has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smart phone 100 . And the sensor means 300 can be recognized only by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200, and the moment the sensor means 300 is recognized in proximity to the barcode terminal 200, the smart phone 100 without a separate application operation. ) will automatically generate barcodes on the application.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is recognized by the barcode terminal 200, and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상기 센서수단(300)의 전원공급은 내부에 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배터리는 쉽게 교체가능한 작은 사이즈의 건전지로 적용될 수 있고, 별도의 충전수단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of the sensor means 300 is made through a battery inside, and the battery can be applied as a battery of a small siz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battery is charged through a separate charging means.

본 발명의 센서수단(3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310)과,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320)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200)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ean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the holder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the input memory unit 320, and the sensor unit 330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barcode terminal (200).

상기 제1통신모듈(310)은 센서수단(300)과 스마트폰(100)과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320)는 스마트폰(100) 사용자의 명의자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명의자 정보는 이름, 나이,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명의자 정보는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명의자 정보의 열람 및 변경은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의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is for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means 300 and the smart phone 100, and is preferably applied to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n addition, the memory unit 32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lder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smartphone 100 is stored, and the holder information may be a name, ag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phone number, and the like. The holder information is preferably input through the smart phone 100 application, and it is goo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ecurity through the ID and password of the smart phone 100 application for reading and changing the holder information.

즉, 상기 제1통신모듈(310)의 분실이 발생하더라도 제3자가 임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 확인이 이루어진 다음 사용자가 다를 경우 사용의 제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even i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is lost, it is preferable to restrict the use if the user is different after the user is confirmed through the ID and password so that a third party cannot arbitrarily use it.

그리고 상시 센서부(330)는 바코드 단말기(200)와 접근하였을 때 접촉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센서부(330)를 바코드 단말기(200)에 가져가 대는 것만으로, 센서부(330)에서는 바코드 단말기(200)와 접근했다는 접촉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제1통신모듈(310)을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접촉신호를 전달받은 스마트폰(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And when the constant sensor unit 330 approaches the barcode terminal 200, it generates a contact signal. That is, just by bringing the sensor unit 330 to the barcode terminal 200 , the sensor unit 330 generates a contact signal indicating that it has approached the barcode terminal 200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 It is transmitted to the phone 100 . The smartphone 100 receiving the contact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s a barcode through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바코드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210)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2통신모듈(220)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210) 또는 제2통신모듈(220)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230);로 구성된다.The barcod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barcode scanning unit 210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output barcode as shown in FIG. )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hat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he individual who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barcode scanning unit 21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the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230; consists of.

본 발명의 바코드 단말기(200)는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에는 출력된 이미지를 바코드 스캔부(2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두번째에는 상기 제2통신모듈(220)을 통해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된 바코드 정보를 바코드 스캔부(210)를 거치지 않고 제공받을 수 있다.The barcod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phone 100 . There may be largely two methods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in the barcode terminal 200 . First, there may be a general method of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directly scanning the output image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unit 210 , and secondl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generated by the smartphone 100 The barco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ithout going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unit 210 .

여기서 상기 제2통신모듈(220)은 스마트폰(100)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4G 또는 5G와 같은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2통신모듈(220)은 인터넷망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phone 10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such as 4G or 5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receives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1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그리고 나서 상기 개인인증부(230)를 통해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n, personal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barcode information through the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23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센서수단(300), 바코드 단말기(2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이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분실에 따른 개인정보 도용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바코드 자동생성으로 인한 편의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s a form in which the smart phone 100, the sensor means 300, and the barcode terminal 200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security is thoroug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 from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theft due to loss. In addition, convenience due to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can also be secured.

아울러, 본 발명의 바코드 단말기(200)는 관리자가 직접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관리자 생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rcod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ager generating unit 400 that allows the manager to directly generate a barcode.

상기 관리자 생성부(4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바코드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420)와, 상기 바코드 생성부(420)를 통해 생성된 바코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부(4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r generating unit 400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unit 410 that can direct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and a barcod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barcode by itself based o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420 and a barcode output unit 430 that outputs the barcode generated by the barcode generation unit 420 to the outside.

상기 바코드 출력부(430)를 통해 생성되는 바코드는 카드 형태가 될 수 있고, 종이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 스마트폰(100)의 소지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바코드 출력부(430)를 통해 생성되는 바코드를 소지하고 있다가 향후, 바코드 단말기(200)의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barcode generated through the barcode output unit 430 may be in the form of a card or paper. That is, since it may be difficult for an elderly person to possess the smartphone 100 , it may be used for recognition of the barcode terminal 200 in the future while possessing the barcode generated through the barcode output unit 430 . there will be

그리고 상기 관리자 생성부(400)를 통해 출력되는 바코드는 스마트폰(100) 상에서 출력되는 바코드정보보다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 생성부(400)에는 카메라부(440)를 더 구비하여, 바코드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바코드 정보에 상기 카메라부(440)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And since the barcode output through the manager generating unit 400 may have lower reliability than the barcode information output on the smart phone 100, the manager generating unit 400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440, The barco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unit 430 may further include phot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unit 440 .

아울러, 본 발명의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은 이동수단의 개인인증 및 요금지불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 시스템에서 개인정보 저장 및 관리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가상화폐의 계좌정보 및 사용에 따른 전산처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바코드가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코드 생성에 따른 편의성을 높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personal authentication and payment of a mobile means,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storage and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system, and the field of computer processing according to account information and use of virtual currency can be applied to In addition to thi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to which barcodes are applied,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barcode cre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200 : 바코드 단말기
210 : 바코드 스캔부 220 : 제2통신모듈
230 : 개인인증부 300 : 센서수단
310 : 제1통신모듈 320 : 메모리부
330 : 센서부 400 : 관리자 생성부
410 : 개인정보 입력부 420 : 바코드 생성부
430 : 바코드 출력부 440 : 카메라부
100: smartphone 200: barcode terminal
210: barcode scanning unit 22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30: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300: sensor means
310: first communication module 320: memory unit
330: sensor unit 400: manager generation unit
410: personal information input unit 420: barcode generation unit
430: barcode output unit 440: camera unit

Claims (4)

생성된 바코드를 통해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있어서,
바코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개인 스마트폰(100)과,
상기 스마트폰(100)에서 생성되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개인정보를 스캔하는 바코드 단말기(200)와,
상기 스마트폰(100)에 결합되며, 스마트폰(100) 명의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센서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단(300)이 결합된 스마트폰(100)을 바코드 단말기(200)에 근접하여 인식하게 되면, 스마트폰(100) 또는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자동으로 바코드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바코드를 기반으로 바코드 단말기(200)에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
In the system in which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generated barcode,
A personal smartphone 100 in which a barcode gener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 barcode terminal 200 for scanning personal information by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phone 100;
It is coupled to the smart phone 100, the smart phone 100, the sensor means 300 having the hol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sensor means 300 is coupled smart phone 100 is a barcode terminal 200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cognized in proximity to the smart phone 100 or the barcode terminal 200, a bar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hen perso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e barcode terminal 200 based on the generated barcode. This advanced barcode gener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300)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제1통신모듈(310)과,
상기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의자 정보가 입력되는 메모리부(320)와,
상기 바코드 단말기(200)의 일정거리에 접근하였을 시 접촉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means 300 i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310 for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A memory unit 320 into which the holder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An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convenience for personal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unit 330 that generates a contact signal when the barcode terminal 200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단말기(200)는;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캔부(210)와,
스마트폰(10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 정보를 제공받는 제2통신모듈(220)과,
상기 바코드 스캔부(210) 또는 제2통신모듈(220)의 바코드 정보에서 개인정보를 추출한 다음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인증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code terminal 200;
A barcode scanning unit 210 for recognizing barcod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output barcode;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00 and receiving barcod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0;
and a personal authentication unit 230 that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barcode scanning unit 21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the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단말기(200)는 관리자가 직접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관리자 생성부(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자 생성부(400)는 개인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입력부(410)와,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바코드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420)와, 상기 바코드 생성부(420)를 통해 생성된 바코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인증 편의성이 향상된 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arcode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 manager generating unit 400 that allows the manager to directly generate a barcode.
The manager generation unit 400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unit 410 that can directly input personal information, a barcode generation unit 420 that generates a barcode by itself based on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barcode generation unit Bar code output unit 430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barcode to the outside through 420;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convenience for personal authent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KR1020210017264A 2021-02-08 2021-02-08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KR202201141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64A KR20220114140A (en) 2021-02-08 2021-02-08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64A KR20220114140A (en) 2021-02-08 2021-02-08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40A true KR20220114140A (en) 2022-08-17

Family

ID=8311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64A KR20220114140A (en) 2021-02-08 2021-02-08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14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59B1 (en) 2006-09-04 2007-01-29 김동규 Authentication system by using bar-code which OTP-code added, and its method
KR101187856B1 (en) 2012-02-2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지모빌리언스 Mobile phone payment system for using bar code generat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KR101234040B1 (en) 2011-06-30 2013-02-15 (주) 레몬봇 Method for generating barcodes and judging a validity of the bar-codes, bar-code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59B1 (en) 2006-09-04 2007-01-29 김동규 Authentication system by using bar-code which OTP-code added, and its method
KR101234040B1 (en) 2011-06-30 2013-02-15 (주) 레몬봇 Method for generating barcodes and judging a validity of the bar-codes, bar-code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187856B1 (en) 2012-02-2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지모빌리언스 Mobile phone payment system for using bar code generat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ulogun et al. RFID-based students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N107689871B (en) Internet of things mobile terminal with identity verification and person verification integrated verification method
CN107170093A (en) Authentication gate control system
Sarke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ple step authentication
US20150332038A1 (en) Secure entry of secrets
WO2017170384A1 (en) Biodata processing device, biodata processing system, biodata processing method, biodata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biodata processing program
CN206773785U (en) A kind of authentication gate control system
US11886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age verification
CN206274408U (en) A kind of intelligent caller machine
KR20220114140A (en)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KR102435206B1 (en) Kiosk simpl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CN212809322U (en) Hand vein face multi-mode identification entrance guard attendance all-in-one
KR20220098996A (en) Barcod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sonal authentication convenience
CN207382332U (en) The Internet of Things mobile terminal veritified with identity
TWM610179U (en) Device for identifying identity based on chip pre-stored image and real-time in vivo image
CN212647556U (en) Park visitor system
Ahmad et al. Smart Class Room Attendance System Based on Proprietary Automatic Student Sensing Classroom Chairs
KR20220114141A (en)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automatic barcode generation function
Addagatla Arduino-based-student-attendance-monitoring-system-using-GSM
KR102466519B1 (en) Atm devi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208477561U (en) A kind of identity authentication terminal
CN110826443B (en) Bill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device and medium based on in vivo detection
Edna Elizabeth et al. Intelligent Counter System for Generating Attendance
Ahiara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net of Things (NFC-IoT) Based University Examination Monitoring System
KR20170123964A (en) Entrance managing system for semin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