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18A -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 Google Patents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18A
KR20220114118A KR1020210017209A KR20210017209A KR20220114118A KR 20220114118 A KR20220114118 A KR 20220114118A KR 1020210017209 A KR1020210017209 A KR 1020210017209A KR 20210017209 A KR20210017209 A KR 20210017209A KR 20220114118 A KR20220114118 A KR 2022011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information
vehicle
parking are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2285B1 (en
Inventor
장성진
이동진
이지원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285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mart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disabled parking zon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mera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disabled parking zone; and a server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generating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arking zone based on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enforcement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parking zone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wherei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a vehicle has been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zone and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ked vehicle corresponds to a disabled vehicle, and the enfor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when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a disabled vehicle. Therefore, costs and time can be greatly reduced.

Description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비장애인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nforcement of parking spa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nforcement of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for controlling non-disabled vehicles to park in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장애인 주차구역이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주차장 내의 구역으로서, 주차된 차에 보행상장애가 있는 자가 탑승한 경우만 주차할 수 있다.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통행이 쉽게 주차공간이 넓고 입구와 가까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현행법상 장애인 주차구역에 장애인 표시없는 차량이 주차된 경우, 해당 차량에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The disabled parking area may mean a parking area exclusively for the disabled. The disabled-only parking area is an area in the parking lot created for the disabled or disabled, and can only be parked if a person with a walking disability is on board. The disabled-only parking area can have a wide parking space for easy passage and close to the entrance. Under the current law, if a vehicle without a disability sign is parked in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the vehicle may be subject to a fine for negligence.

이때 장애인이란, 보행 장애인을 의미하며 국가기관으로부터 장애인 자동차 표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이 허여된 자를 의미할 수 있다. 현행법상 장애인 자동차 표시가 표시된 차량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사용할 수 있고, 일반 차량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사용할 수 없다. In this case, the term "disabled person" means a person with a walking disability, and may mean a person who has been granted permission to use a vehicle display for the disabled by a n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vehicles marked with a disabled car sign can use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general vehicles cannot use the disabled parking space.

최근 들어 장애인의 권익보호가 요구됨에 따라 건물, 화장실, 엘리베이터, 계단, 보도 등 다양한 장소에 장애인에 대한 복지시설이 확충되고 있으며, 주차장의 경우에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Recently, as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disabled is requir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being expanded in various places such as buildings, toilets, elevators, stairs, and sidewalks.

통상적으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경우에는 해당 주차구역의 바닥면에 장애인 로고 등의 식별 표지가 도색 등을 통해 그려짐에 따라 해당 주차구역이 장애인 소유의 차량만 주차할 수 있는 구역임을 표시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an identification sign such as a logo for the disabled is drawn on the floor of the parking area through painting, indicating that the parking area is an area where only vehicles owned by the disabled can be parked.

그러나, 많은 차량으로 인한 주차문제로 인해 일부 비도덕적인 일반인 운전자들이 해당 주차구역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임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parking problem caused by many vehicles, some unethical ordinary drivers often park in the disabled-only parking area even though they are aware that the parking area is a disabled-only parking area.

이러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를 단속하기 위해 많은 단속인력이 투입되고는 있으나, 전국적으로 무수히 많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모두 감시하여 불법주차 차량을 적발하기에는 여건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바, 실제 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불법주차로 인해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이용할 수 없어 그 권익이 침해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many enforcement personnel are being put in to crack down on illegal parking in these parking areas exclusively for the disabled, it is difficult to detect illegally parked vehicles by monitoring countless parking space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Despite this, there are many problems in which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disabled are infringed because the disabled parking area cannot be used due to the illegal parking of the general public.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896호 (공개일자: 2011년 05월 18일)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20-2011-0004896 (Publication Date: May 18,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장애인 주차구역을 단속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stantly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through a camera,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captured data.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한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장애인 주차구역을 단속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crack down on disabled parking areas by providing a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camera including a special len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amera and the image data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and generates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image data, A server for generating enforcement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wherei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exists and the parked vehicle is disabled It may includ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the vehicle, and the enfor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when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abled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may generate the first information by learning the image data.

또한, 상기 카메라는 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generating the image data from an optical image, and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through hole in a sidewall, a len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hav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장애인 차량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list data of the disabled vehicle, and generate the second information based on the list data.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부착된 표식을 추출하고, 상기 부착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server may extract a mark attached to the parked vehicle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e the second information based on the attached mark.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mage data of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generating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image data, and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enforcement information on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on the basis,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is the first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a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whether the parked vehicle corresponds to a vehicle with a disability Including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enfor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when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a disabled vehicle.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may be a possible medium.

본 발명은 주차구역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는 비장애인 차량을 효과적으로 단속하여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cost and time by effectively controlling non-disabled vehicles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by constantly photographing the disabled parking area through a camera installed around the parking area.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오염물질에 강한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통하여 장애인 주차구역을 상시 촬영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오류를 줄이고 단속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errors and increasing the enforcement rate by acquiring clearer image data by always photographing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through a camera using a lens resistant to external pollutants.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is a view showing a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rk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mart disabled parking zone e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본체부(131), 카메라(132), 알림부(133)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구역은 장애인 주차구역(A1) 및 그 외 주차구역(A2)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unit 131 , a camera 132 , a notification unit 133 , and a server 130 . In addition, the parking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disabled parking area (A1) and other parking areas (A2). The camera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disabled parking area.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주차구역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32)는 본체부(131)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체부(131)는 카메라(132)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고, 배선 연결을 통하여 카메라(132)에 전력을 공급하며, 통신을 위한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체부(131)는 알림부(133)에 전력을 공급하고 알림부(133)를 제어하여 외부에 미리 정해진 표현(색상, 소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camera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parking area. The camera 13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31 to receive power. The main body 131 includes devices for controlling the camera 132 therein, supplies power to the camera 132 through a wiring conn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130 by including devices for communication therein. configuration that can be done. In addition, the main body 131 may supply power to the notification unit 133 and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133 to display a predetermined expression (color, sound, etc.)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본체부(131) 내부의 통신을 위한 장치들과 통신하며, 카메라(13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터 속 차량(V1)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er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devices for communication inside the main body 131 , and may receiv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32 . The server 130 may learn the image data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V1 in the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disabled vehicle based on the learned result.

서버(130)는 카메라(13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 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상태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V1)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주차된 차량(V1)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130 may generate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132 .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V1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exists and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ked vehicle V1 corresponds to the disabled vehicle.

주차 상태 정보는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주차구역에 차량(V1)이 주차되었는지에 대한 제1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는 주차구역에 특정 표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주차구역에 표시된 특정 표지가 차량(V1)에 의하여 가려지는 등 인식되지 않는 경우, 현재 주차구역에는 주차된 차량(V1)이 존재한다고 정의될 수 있다.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a vision recognition algorithm.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V1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vision recognition algorithm. 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a specific sign for the parking area. That is, when a specific sign displayed in the parking area is not recognized, such as being obscured by the vehicle V1, it may be defined that the parked vehicle V1 exists in the current parking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주차 방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방해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차량의 주차를 방해할만한 다른 물건이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값에 기초하여 주차 방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30)는 주차 방해 정보를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parking ob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data. The parking obstr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other objects that may obstruct the parking of the vehicle are locat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The server 130 may learn the image data and generate parking obstr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value. The server 130 may transmit parking obstruction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not shown) of the manag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된 차량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rk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제2 정보는 주차된 차량(V1)이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식은 차량(V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차량(V1)의 앞 유리 및/또는 뒷 유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식은 카메라(132)로부터 생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econ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image data including the parked vehicle V1. A mark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disabled person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V1. The mark may be attached to a windshield and/or a rear windshield of the vehicle V1. The mark may be recognized through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132 .

또한, 상술한 제2 정보는 주차된 차량(V1)의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 번호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을 정리한 리스트는 서버(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버(130)는 상기 리스트와 상기 차량 번호를 대조하고, 일치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V1)을 장애인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130)는 상기 리스트와 상기 차량 번호를 대조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V1)을 장애인 차량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con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vehicle number written on the license plate of the parked vehicle (V1). A list of disabled vehicles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er 130 . The server 130 may compare the list with the vehicle number, and if they match, determine the parked vehicle V1 as a disabled vehicle. Conversely, the serv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parked vehicle V1 is not a disabled vehicle if the list and the vehicle number are not matched and there is a discrepancy.

비장애인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경우, 서버(13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주차된 차량(V1)의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불법 차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불법 차량 리스트는 별도의 외부 서버(경찰 서버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비장애인 차량의 차량 번호가 이미 불법 차량 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 서버(130)는 불법 차량 리스트에 등재된 횟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횟수를 함께 별도의 외부 서버(경찰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non-disabled vehicle is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the server 130 may extract the vehicle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V1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e an illegal vehicle list based on the extracted vehicle number. The illegal vehicle list may be transmitted to a separate external server (police server, etc.). If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non-disabled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lready exists in the illegal vehicle list, the server 130 extracts the number of times registered in the illegal vehicle list, and extracts the extracted number of times together with a separate external server (police server) etc.) can be trans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는 프로세서(1301), 메모리(1302) 및 통신 모듈(130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 모듈(130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프로세서(1301)는 통신 모듈(1303)을 통하여 카메라(132)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 , the serv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1301 , a memory 1302 ,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3 . The processor 1301 is a component capable of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2 to control other components.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amera 132 and/or the body unit 1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1301 may control the camera 132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2)에 저장된 명령어는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서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The processor 1301 may execut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2 .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2 may be pre-stored as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other configurations.

메모리(1302)는 서버(1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2)는 서버(1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02)에 저장되고, 서버(130)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301)에 의하여 상기 서버(13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memory 1302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erver 130 . The memory 1302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in the server 130 , data for operation of the server 13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server 13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lso,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302 , installed in the server 130 , and driven by the processor 1301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server 130 .

메모리(130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2)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1302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SSD), a silicon disk drive type (SDD),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such as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EEPROM) -only memory),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lso, the memory 1302 may includ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n the Internet.

통신 모듈(1303)은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통신 모듈(1303)은 카메라(132)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132) 및/또는 본체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amera 132 and/or the body unit 131 .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may transmit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132 to the camera 132 and/or the body unit 131 .

통신 모듈(1303)의 경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 또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130)와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통신 모듈(1303)은 변조부, 복조부,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base station or a server 130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an antenna.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may include a modulator, a demodulator, a signal processor, and the like.

무선 통신은, 통신사들이 기존에 설치해둔 통신 시설과 그 통신 시설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한 통신을 말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303)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1303)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상용화 중인 5G 통신 뿐만 아니라, 추후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는 6G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기설치된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may refer to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facility installed by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facility.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etc., may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3 may also be us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and the like. In addition, not only 5G communication, which is currently commercialized, but also 6G, which is scheduled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may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re-installed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tilized without being limited by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프로세서(1301)는, 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주로, 중앙 연산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PU, AP 또는 GPU는 그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 AP 또는 GPU는 작동 전압과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만, CPU 또는 AP는 직렬 처리에 최적화된 몇 개의 코어로 구성된 반면, GPU는 병렬 처리용으로 설계된 수 천 개의 보다 소형이고 효율적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1301 is a component capable of performing calculations and controlling other devices. Mainly, it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PU, AP, or GPU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therein, and the CPU, AP, or GPU may operate using an operating voltage and a clock signal. However, a CPU or AP may consist of a few cores optimized for serial processing, whereas a GPU may consist of thousands of smaller and more efficient cores designed for parallel processing.

프로세서(1301)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1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2 .

프로세서(1301)는 카메라(132)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장애인 차량인지 여부는 비전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전 인식 알고리즘은 종래에 알려진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1 may receive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132 and recognize whether the parked vehicle is a disabled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Whether the vehicle is a disabled vehicle may be determined through a vision recognition algorithm. The vision recognition algorithm may utilize a conventionally known algorith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메라(132)는 카메라 모듈(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20)은 광 이미지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20)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1321) 및 렌즈(1321)를 구동하는 구동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렌즈(132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21)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4 , the camera 13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320 . The camera module 1320 may generate a video image from the optical image. The camera module 1320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through hole in a sidewall, a lens 1321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a driving unit 1323 for driving the lens 1321 .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lens 1321 . The lens 132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구동부(1323)는 렌즈(13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렌즈(1321)와 구동부(1323)는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연결되고 렌즈(1321)는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구동부(132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323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ens 1321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e lens 1321 and the driving unit 1323 may be connected in a conventionally known manner, and the lens 1321 may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1323 in a conventionally known manner.

다양한 영상 이미지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렌즈(1321)가 카메라 모듈(1320) 또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obtain various video images, the lens 1321 need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mera module 1320 or the hous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32)는 제1 지역(A1)을 직접 촬영해야 하므로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내오염성이 강한 렌즈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를 코팅하는 코팅층을 제안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In particular, since the camera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directly photograph the first area A1, it must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so a lens with strong contamination resistance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by proposing a coating layer for coating a lens.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1321)는 그 표면에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가 포함되는 코팅조성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lens 1321 may include an acrylic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on its surface; It may be coated with a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inorganic particles and a dispersing agent.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here,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n and m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from 1 to 100,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L 1 is a biphenylene group.

상기 코팅조성물로 렌즈(1321)가 코팅된 경우 우수한 발수성 및 내오염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렌즈(1321)가 오염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도로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When the lens 1321 is coated with the coating composition, it can exhibit excellent water repellency and stain resistance, so even if the lens 1321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is exposed to a polluted environment for a long time, images or images that can be used as road information are collected. can do.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입자는 렌즈(1321) 표면에 코팅층(1322)으로 형성 후, 물리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점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켜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70 to 10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fter the inorganic particles are formed as a coating layer 1322 on the surface of the lens 1321 , physical strength may be improved, and the viscosity may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to increase moldability.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ethyl ketone (MEK), toluene, and mixtures thereof, and preferably methyl ethyl keto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안정제로서 TEGO-Disperse 670 (제조사: EVONIK)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분산제는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As the dispersant, a polyester-based dispersant may be used, and specifically, as a polyester-based dispersion stabilizer composed of a copolymer of 2-methoxypropyl acetate and 1-methoxy-2-propyl acetate, TEGO-Disperse 670 (manufacturer : EVONIK), but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any dispersing agent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er as other additives, and the stabilizer may include a UV absorber, an antioxidant, etc.,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코팅층(1322)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1322,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more specifically, an acrylic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organic solvents, inorganic particles and dispersants.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무기 입자 20 내지 4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20 to 4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and 5 to 15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is expressed to the extent that the water repellency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has a critical significance,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1321)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1322)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1500 to 18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500 cP,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lens 1321, it flows down and the formation of the coating layer 1322 is not easy, and it exceeds 1800 cP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mation of a uniform coating layer 1322 is not easy.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무기입자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the acrylic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organic particles and a dispersing agent in methyl ethyl keton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here,

n 및 m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n and m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from 1 to 100,

L1은 바이페닐렌기이다.L 1 is a biphenylene group.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아크릴계 화합물acrylic compound 3030 4040 5050 6060 7070 무기입자inorganic particles 1010 2020 3030 4040 5050 분산제dispersant 1One 55 1010 1515 2020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2. 코팅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렌즈(1321)의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1322)을 형성하였다. The coating composition of DX1 to DX5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lens 1321 and 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1322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1.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1322)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1322)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layer 1322 was prepared, a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s to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1322 was formed was evaluated,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ХХ ХХ

코팅층(1322)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1321)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1322)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the coating layer 1322 is forme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a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lens 1321 , and after the cur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1322 .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1322 .

2. 발수각의 측정2. Measurement of water repellency angle

상기 렌즈(1321) 표면에 코팅층(1322)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1322 on the surface of the lens 1321,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ater repellency angle are shown in Table 3 below.

전진 접촉각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advancing contact angle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 정지 접촉각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
stop contact angle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
후진 접촉각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
receding contact angle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
TX1TX1 117.1±2.9117.1±2.9 112.1±4.1112.1±4.1 < 10< 10 TX2TX2 132.4±1.5132.4±1.5 131.5±2.7131.5±2.7 141.7±3.4141.7±3.4 TX3TX3 138.9±3.0138.9±3.0 138.9±2.7138.9±2.7 139.8±3.7139.8±3.7 TX4TX4 136.9±2.0136.9±2.0 135.6±2.6135.6±2.6 140.4±3.4140.4±3.4 TX5TX5 116.9±0.7116.9±0.7 115.4±3.0115.4±3.0 < 10< 1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1322)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3,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1322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X1 to TX5,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ontact angle was confirmed. For TX1 and TX5, the receding contact angle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10 degrees. That is, when it is out of the optimal range for preparing the coating com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a phenomenon in which water droplets are pinning occur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ening phenomenon did not occur in TX2 to 4, thereby exhibiting an excellent waterproof effect.

3. 내오염성 평가3. Pollution resistance evaluation

설비 외부에 상기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1322)을 형성한 렌즈(1321)를 모형카메라에 부착하고, 4일 간 일반도로 주행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비교예(Con)로는 코팅층(1322)이 형성되지 않은 동일한 렌즈(1321)를 사용하였으며, 각 실시예에 모형카메라는 차량의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였다.The lens 1321 having the coating layer 1322 form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 the outside of the facility was attached to the model camera, and exposed to the driving environment on a general road for 4 days. As the comparative example (Con), the same lens 1321 on which the coating layer 1322 was not formed was used, and in each embodiment, the model camera was attached to the same position of the vehicle.

그 뒤 실험 전후의 렌즈(1321)의 오염 정도를 유관으로 평가하였고,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코팅층(1322)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이다.Thereaft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lens 1321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evaluated as related, and for objective comparison, the result was evaluated as an index of 1 to 10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coating layer 1322 was not formed. shown in In the following index, the lower the number, the better the stain resistance.

ConCon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내오염성stain resistance 1010 77 33 33 33 88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렌즈(1321)에 코팅층(1322)을 형성하는 경우 외부 환경에 카메라를 설치하면서 렌즈(13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도 높은 내오염성을 오랜 기간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TX2 내지 TX4에 의하는 경우 코팅층(1322)에 의한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when the coating layer 1322 is formed on the lens 1321, the high contamination resistance is easily analyz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when the lens 1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camera is installed in an external environment. It can be seen that image data can be collec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X2 to TX4, it can be seen that the stain resistance by the coating layer 1322 is very excell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smart disabled parking zone e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법은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0),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0) 및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0)를 포함할 수 있다. 5, the e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mage data of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S1100), generating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S1200) and It may include a step (S1300) of generating enforcement information on the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이때, 주차 상태 정보는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속 정보는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ked vehicle corresponds to a disabled vehicle. In addition, the enforc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when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abled vehicle.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속 방법에 대한 내용 중 상술한 단속 시스템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me or overlapping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nforcement system among the contents of the e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el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It also includes modeling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is specif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respective configurations or functions.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30: 서버
131: 본체부
132: 카메라
133: 알림부
V1: 주차된 차량
130: server
131: body part
132: camera
133: notification unit
V1: Parked vehicle

Claims (7)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A camera that generates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for the disabled; and
A server that receives the image data, generates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image data, and generates enforcement information on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The parking status information is
It includes first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a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ked vehicle corresponds to a disabled vehicle,
The enforcement information is
If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abled vehicle, the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including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By learning the image data to generate the first information,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is
A camera module that generates the image data from an optical image;
The camera module,
a housing including a through hole in the sidewall;
a len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which includes, a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애인 차량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I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list data of the disabled vehicle, and generates the second information based on the list data,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부착된 표식을 추출하고, 상기 부착된 표식을 기초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Extracting a mark attached to the parked vehicle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the second information based on the attached mark,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system.
장애인 주차구역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대한 단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정보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 차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부여되는 패널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 방법.
Receiving image data of the disabled parking area;
generating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image data; and
Including; generating enforcement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parking area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The parking status information is
It includes first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a vehicle parked in the disabled parking area and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parked vehicle corresponds to a disabled vehicle,
The enforcement information is
When the parked vehic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abled vehicle, the smart disabled parking area enforcement method including penalty information given to the parked vehicle.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6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instructions, comprising: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erein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of claim 6 .
KR1020210017209A 2021-02-08 2021-02-08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KR102472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en) 2021-02-08 2021-02-08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en) 2021-02-08 2021-02-08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18A true KR20220114118A (en) 2022-08-17
KR102472285B1 KR102472285B1 (en) 2022-11-29

Family

ID=8311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209A KR102472285B1 (en) 2021-02-08 2021-02-08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28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378A (en)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How to clean the front window of outdoor surveillance camera
KR20060116757A (en) * 2006-05-17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Automatic police enforcement method of illegal-stopping and parking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100830844B1 (en) * 2007-10-29 2008-05-20 (주)고려다이나믹스 The parking system by using cameras
KR20110004896U (en) 2009-11-11 2011-05-18 이주현 Apparatus for preventing unlawful parking of a handcapped person's parking zone
KR101050449B1 (en)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ntelligence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handicappe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186974B1 (en) * 2018-12-27 2020-12-07 주식회사 디파인 Smart cctv system for analysis of park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378A (en)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How to clean the front window of outdoor surveillance camera
KR20060116757A (en) * 2006-05-17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Automatic police enforcement method of illegal-stopping and parking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100830844B1 (en) * 2007-10-29 2008-05-20 (주)고려다이나믹스 The parking system by using cameras
KR20110004896U (en) 2009-11-11 2011-05-18 이주현 Apparatus for preventing unlawful parking of a handcapped person's parking zone
KR101050449B1 (en) * 2010-06-23 2011-07-1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ntelligence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handicappe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186974B1 (en) * 2018-12-27 2020-12-07 주식회사 디파인 Smart cctv system for analysis of pa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285B1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9983C2 (en) World-driven access control
US20150170425A1 (en) Managing vehicle parking
DE112017003828T5 (en) TRUSTED VEHICLE TRANSMISSION TRANSMISSION VIA TRANSPARENT DISPLAY
CN111178357B (en)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004269A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KR102472285B1 (en) Sy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abled parking zone
AU2015282375B2 (en) One-to-many-surfac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US10583828B1 (en) Position determination
KR102548941B1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art
KR102527689B1 (en) Power schedul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cluding kiosk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including kiosk
KR101895155B1 (en) Vehicle block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3927877B (en) Motor vehicle image information storage reading method and system
WO2014115646A1 (en) Transparent resin film, transfer film, conductive film laminate, capacitive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612189B1 (en) Bus boarding guide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KR102596992B1 (en) SYSTEM FOR ENFORCEMENT OF unauthorized PARKED VEHICLE BASED ON AUTONOMOUS DRIVING
US9773178B2 (en) Vehicle tracking
KR102536461B1 (en) Traffic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N105683995A (en) Man-vehicle information correl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KR20220117719A (en) Facial recognition thermo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using the same
US20230164254A1 (en) Hybrid smart phone smart camera system based on methods and system for modifying a smart phone
KR20230073619A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nign vehicle information using face recogn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5438368A (en)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removal based on private zone logic
KR20230105231A (en) System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CN107037994B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toner supply device
KR20230105217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fines using electronic sign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