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797A -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797A
KR20220113797A KR1020227024400A KR20227024400A KR20220113797A KR 20220113797 A KR20220113797 A KR 20220113797A KR 1020227024400 A KR1020227024400 A KR 1020227024400A KR 20227024400 A KR20227024400 A KR 20227024400A KR 20220113797 A KR20220113797 A KR 2022011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display screen
air
assembly part
ai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잉 장
롱더 장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에어-파크 컴포지트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에어-파크 컴포지트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에어-파크 컴포지트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을 포함하고, 제1 조립부 및 제 2조립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배플판은 공기 완충 장치가 된다.

Description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본 발명은 포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장장치 및 그 배플(baffle) 구조 그리고 포장장치 및 배플을 포함하는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양식의 변화와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자제품, 화학제품, 의약품, 도자기, 유리 등 생활 필수품과 같은 많은 물품이 물류 형태로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들이 생산 과정에서 보관 및 운송되는데 압출, 충돌, 낙하 등이 불가피하게 발생하여 제품 손상 또는 변형으로 이어져 손해를 끼치며 특히 고가 품목의 손상 또는 변형으로 인해 더 큰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다.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보관 또는 운송하기 전에 사람들은 포장 상자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하고 제품에 일정한 완충 효과를 제공하여 보호 목적을 달성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 상자는 종이 포장 상자와 공기 충전 포장 백을 포함한다. 전통적인 종이 포장 상자는 좋은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없으며 좋은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를 운송하고 포장된 제품을 대기하기 전에 발포체(foam), 연성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어려 층으로 노트북을 포장한 다음 상자에 넣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 방법은 실제로 우수한 낙하 및 충돌 내성을 달성할 수 있지만 의심할 여지 없이 운송 비용을 증가시키고 포장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그것은 시간을 낭비하고 작업 효율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노동 비용을 증가시켜 더 이상 산업이 요구하는 현대적인 운송 수단과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 포장상자와 발포체 등의 완충재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 포장상자 및 발포체와 같은 완충재가 대량으로 폐기되어 제품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컴퓨터 호스트와 같은 일부 더 큰 품목, 특히 더 큰 크기와 평평한 모양을 가진 품목은 현재 발포 폴리스티렌(EPS)으로 포장되어 있다.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포장 상자는 규칙적인 모양과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류 운송에 도움이 되며 평평하고 규칙적인 모양과 구조는 또한 포장 품목과 포장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그래서 1회 발송 시 포장할 품목의 수량을 늘려 사용할 수 있어서 포장할 품목의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호스트를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든 포장 상자로 포장할 때도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은 포장되어 운송되기 때문에 포장 상자 안의 제품을 육안으로 볼 수 없다. 특히 동일한 물류 및 운송 과정에서 외부 레이블이 없으면 다른 제품이 동시에 운송되거나 동일한 제품의 다른 모델이 동시에 운송되는 경우가 많다. 제품은 외부 포장 상자로만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포장 상자에 제품 표시가 되어 있지 않으면 운송 중 실수를 하기 쉽다. 동시에 속도와 비용 절감을 위해 현대 물류는 대부분의 경우 중앙 집중식 배송을 채택한다. 이 경우 한 번 실수로 상품을 보내면 제 때에 회수하기가 쉽지 않고, 회수가 가능하더라도 회수 비용도 매우 커서 시간과 경제적 비용이 많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제품의 포장 상자에 개별적으로 상품이 표기되어 있어도, 상품을 직접 보는 것만큼 직관적이지 않고, 여러 국가의 언어로 서로 다른 상품 간의 차이가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경우, 운송인이나 하역인은 서로 다른 제품 간의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이 올바르게 구별되지 않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기 쉽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은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상자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폴리스티렌을 포장 상자로 사용하면 두께와 견고성이 비교적 강하지만 쿠션 성능이 충분하지 않고 표면 평탄도도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깨지기 쉬운 유리 제품이나 디스플레이 화면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평판 제품이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된 포장 상자에 포장된 경우, 화면 깨짐이나 긁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당업자는 선행 기술에서 언급된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해결책을 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로서,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baffle)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공기 완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간섭 맞춤(억지 끼움)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하단이 제1 수용 홈에 간섭 맞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간섭 맞춤(억지 끼움)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상단이 제2 수용 홈에 간섭 맞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를 갖고, 상기 제1 노치는 제1 조립부에 가까운 일측에 배열되고, 제1 조립부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제1 수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스는 상기 제1 노치에 내장되어 상기 배플이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은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완충체 각각은 일련의 열 밀봉에 의해 가스완충재로 만들어져 가스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완충체 가각은 팽창 가스가 가스 저장실로 들어가도록 하는 팽창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완충체는 큰 공기기둥 및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은 각각 상기 큰 공기기둥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플의 상단과 하단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완충체가 두꺼운 중간과 2개의 얇은 양단을 가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은 상기 작은 공기기둥에 의해 상기 배플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와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플은 공기 완충 장치이고, 상기 배플은 하나 이상의 공기 완충체로 구성되고, 각각의 공기 완충체는 일련의 평면 열 밀봉에 의한 가스 완충재로 만들어져 적어도 하나의 팽창 채널, 팽창 밸브 및 가스 저장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저장 챔버는 큰 공기 기둥과 2개의 작은 공기 기둥을 포함하고 큰 공기 기둥과 작은 공기 기둥은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큰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직경은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고,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은 큰 공기 기둥의 두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완충체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가스완충재는 가스로 충진되어 상기 배플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창 채널에 인접하는 상기 보강 구조물은 상기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과 상기 보강 구조물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연통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이 상기 작은 공기기둥 내의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구조물은 히트 실링 라인의 분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연결된 결합 공기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공기기둥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공기기둥의 길이는 30-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작은 공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은 공기기둥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큰 공기기둥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천이부를 포함하고, 천이부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15-80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30-2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의 크기,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큰 공기기둥은 400-20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에 의해 형성되는 큰 공기기둥은 200-100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32-98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가 각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측면은 제1 수용 공간에 간섭 맞춤으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하단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장착되며, 상기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를 가지며, 상기 제1 노치는 상기 제1 조립부에 가까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제1 수용홈에 배치되고 제1 보스 중 임의의 하나는 제1 노치에 내장되어 상기 배플이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구조물은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보강 구조물의 양측에 연통 구조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을 연결하는 3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baffle)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공기 완충 장치가 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는 포장 장치의 포장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 각각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배플의 하단 및 상단을 각각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에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 장치의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이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공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과 간섭 맞춤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공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과 간섭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이 배플의 하측 단부와 간섭 맞춤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홈이 배플의 상측 단부와 간섭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플은 공기완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 및 그 배플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플 구조체는 포장 장치 상에 탈착가능하게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면에 완충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포장 및 완충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여 운송 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배포 및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포장 장치 및 그 배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통기성 포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과도한 포장 온도로 인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역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면에 대해 평탄한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충격을 받을 때 완충 보호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면이 긁힘 등으로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자가 포장 장치를 분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포장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포장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류 요인을 고려하면서 운송 중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장 장치로 포장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배플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배플은 포장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포장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설정 효과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포장 장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플은 프레싱에 의해 포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배플 설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배플 구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배플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배플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배플의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d 및 도 8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다른 변형된 구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배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팽창된 배플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에서 팽창된 배플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개략적인 입체 구조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후술할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 대안, 수정, 균등물 및 응용물에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술 용어인 "세로", "측면", "상부", "하부", "정면", "후면", "좌측", "우측"과 "수직", "수평", "평면", "저면", "내부", "외부" 등으로 나타낸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성 및 단순화를 위한 것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구성요소는 일 실시예에서 하나일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여러 개일 수 있기 때문에, "하나"라는 용어는 그 수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주로 포장 장치(10)를 제공하고, 포장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포장하여 완충 보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포장 장치(10)는 배플(13)을 포함하고, 배플(13)은 에어 패키지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에어 버퍼 보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장치(10)에서, 포장 장치(10)는 제1 조립부(11), 제2 조립부(12) 및 배플(1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상하에 각각 끼워질 수 있고, 배플(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표면에서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 사이에 끼워질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포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조립부(11)는 제1 수용 공간(1101)을 갖는 카드 슬롯 형상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하부측면(21) 및 상부측면(22)을 포함한다. 제1 수용 공간(1101)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 측면(21) 또는 상부 측면(22)이 빠지지 않고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공간(1101)과 맞물릴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두께 및 폭에 맞게 되어 있다.
특히, 제1 조립부(11)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간섭 맞춤(억지 끼워 맞춤)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그 안으로 조립된 후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공간(1101)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포장 장치(10)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조립부(12)는 제2 수용 공간(1201)을 갖는 카드 슬롯 형상이고, 제2 수용 공간(1201)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두께 및 폭에 맞춰져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측면(21) 또는 상부측면(22)이 빠지지 않고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공간(1201)과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조립부(12)와 디스플레이 스크린(20)도 간섭 맞춤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공간(1201)에 조립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상부측면(22) 또는 하부측면(2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제2 조립부(12)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측면(21) 및 상부측면(22)은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에 의해 지지되고 세워져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의 구조, 제1 수용공간(1101)과 제2 수용공간(1201)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여 사용 중에 제1 조립부(11)와 제 2조립부(12)를 마음대로 교체할 수 있어 포장 장치(10)의 포장 난이도가 낮아진다.
또한, 당업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실제 형상,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의 구체적인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 측면(21) 및 상부 측면(22)이 비대칭 구조이면,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 측면(21) 및 상부 측면(22)에 따라 설계되어,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부 측면(21) 및 상부 측면(22)을 포장할 수 있다.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의 구조 및 형상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의 적절한 위치에 혼동 방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어서, 조립 시 작업자가 제1 및 제2 조립부(11, 12)의 위치를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 장치(10)의 포장 시간을 단축하고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 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배플(13)은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플(13)은 하단부(13A)와 상단부(13B)를 포함하고, 하단부(13A)와 상단부(13B)는 각각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배플(13)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조립부(11)는 제1 수용홈(1102)을 더 포함하고, 제1 수용홈(1102)은 제1수용공간(1101)의 전면에 위치하여 배플(13)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배플(13)의 하단(13A)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수용 홈(1102)에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조립부(12)는 제2 수용홈(1202)을 더 포함하고, 제2 수용홈(1202)은 제2 수용공간(1201)의 전면 및 제1 수용홈(1102)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플(13)의 양단부는 제1 수용홈(1102)과 제2 수용홈(1202)에 각각 배치되어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용홈(1102)과 제2 수용홈(120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가까운 제1 수용공간(1101)과 제2 수용공간(1201) 측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양단은 제1 수용공간(1101)과 제2 수용공간(1201)에 각각 배치되고, 배플(13)의 양단은 각각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에 배치될 때, 배플(13)은 디스플레이 전면에 바로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버퍼 보호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수용 홈(1102)의 크기는 배플(13)의 하단(13A)의 크기에 맞춰져, 배플(13)의 하단(13A)이 쉽게 풀리지 않고 제1 수용홈(1102)에 끼워진다.
또한,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은 배플(13)의 하단부(13A)와 간섭 맞춤되어 배플(13)의 하단부(13A)가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에 설치된 후에 제1 조립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수용홈(1202)의 크기는 배플(13)의 상단(13B)의 크기에 맞춰져, 배플(13)의 상단(13B)이 제2 수용홈(1202)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홈(1202)과 배플(13)의 상단(13B)이 간섭 맞춤되어, 배플(13)의 상단(13B)이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홈(1202)에 설치될 때 배플(13)은 제2 조립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배플(13)의 하단부(13A) 및 상단부(13B)의 형상은 제1 수용 홈(1102) 및 제2 수용 홈(1202)의 형상에 각각 맞쳐져야 한다.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배플(13)의 하단부(13A)와 상단부(13B)의 형상이 동일하므로,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과 제2 수용홈(1202)의 형상이 동일하여 공정의 오류율을 감소시키고포장 장치(10)의 포장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배플(13)의 양단이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위치하는 한 당업자는 배플(13)의 구체적인 구조에 따라 제1 수용홈(1102)과 제2 수용홈(1202)의 구체적인 크기 및 구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이 채택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며, 본 발명이 달성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가 있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완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완충 보호 기능을 제공하고,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정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지지되고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의 재질을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제작하는 것과 같이 실제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시에 의해,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방안이 채택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며,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한 모든 것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배플(13)은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를 포함하는 공기완충장치이고, 각각의 공기완충체는 일련의 면열밀봉(planar heat seal)에 의한 가스완충재(130)로 구성된다. 가스완충재(130)는 제1 가스 저장막(1301) 및 제2 가스 저장막(1302)을 포함하고, 제1 가스 저장막(1301)과 제2 가스 저장막(1302) 사이에 형성된 가스 저장실(저장챔버)(135)을 가지며, 가스 저장실(135)에는 일정량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가스완충재(130)에 의해 형성된 가스 저장실(135)이 가스로 채워지지 않을 때, 가스완충재(130)의 제1 가스 저장막(1301)과 제2 가스 저장막(1302)은 서로 근접하여 가스완충재(130)는 평면 상태이다. 가스완충재(130)의 가스 저장실(135)에 적절한 양의 가스가 채워진 후, 제1 가스 저장막(1301)과 제2 가스 저장막(1302)은 그 사이에 저장된 가스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공기완충체는 완충 보호 기능을 갖게 된다.
공기 완충체는 팽창 채널(유로)(134)과 적어도 하나의 팽창 밸브(136)를 갖고, 팽창 채널(134)은 가스 저장실(135) 및 외부 환경과 연결되며, 외부 공기는 팽창 채널(134) 및 팽창 밸브(136)를 통해 가스 저장실(135)로 들어갈 수 있어서, 공기완충체가 완충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팽창 밸브(136)는 접착식 팽창 밸브로서 가스는 팽창 채널(134) 및 팽창 밸브(136)를 통해 가스 저장실(135) 내로 팽창된다. 이에 따라, 팽창 밸브(136)는 가스 저장실(135)을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어, 공기 완충체의 팽창이 정지된 후 가스 저장실(135) 내의 가스가 팽창 밸브(136) 및 팽창 채널(134)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 완충재(130)는 제1 가스 저장막(1301)과 제2 가스 저장막(1302)을 열 밀봉(heat sealing)하여 연결한 평평한 플라스틱 밀봉 유닛을 더 포함하여, 제1 가스 저장막(1301)과 제2 가스 저장막(1302) 사이에 가스 저장실(135)과 팽창 채널(134)을 형성하고, 가스 저장실(135)에 충전된 가스를 가스 저장실(135)에 유지하여 공기 완충체가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플(13)의 공기완충장치는 복수의 연속적인 공기완충체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완충체는 팽창 채널(13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공기 완충체는 큰 공기주(공기기둥)(131)와 2개의 작은 공기주(공기기둥)(132)를 포함하며, 2개의 작은 공기주(132)는 큰 공기주(131)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단(13B)과 하단(13A)을 형성하여, 공기 완충체의 중간은 두껍고 양 끝은 얇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공기완충체들이 배플(13)을 형성한 후, 배플(13)의 양단부는 작은 공기주(132)로 구성되고, 배플(13)의 중간 부분은 큰 공기주(131)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3) 양단의 작은 공기 기둥(132)은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과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홈(1202)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팽창된 작은 공기 기둥(132)은 제1 수용 홈(1102) 및 제2 수용 홈(1202)의 크기에 맞게 조정되므로 작은 공기 기둥(132)은 제1 수용 홈(1102) 및 제2 수용 홈(1102)에 배치된 후 자동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용홈(1102)과 제2 수용홈(1202)의 크기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배플(13)의 양단에서 작은 공기 기둥(132)의 구조와 크기도 동일하므로, 배플(13) 양단에서 작은 공기주(1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버퍼를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과 제2 조립부(11)의 제2 수용홈(1102)에 저절로 떨어져 나가는 것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을 위한 공기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은 공기주(132)는 각각 장착부(1321)와 천이부(1322)를 포함하며, 천이부(1322)는 장착부(1321)와 큰 공기주(131) 사이에 배치되며, 팽창 이후 장착부(1321)의 크기는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의 제1 수용홈(1102) 및 제2 수용홈(1202)의 크기와 일치하므로, 모든 배플(13)이 그 양단에서 작은 공기주(132)를 통해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 사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천이부(1322)는 장착부(1321)와 큰 공기주(131) 사이에 배치된다. 큰 공기주(131)는 원통형이고 그 직경이 장착부(1321)보다 크므로 천이부(1322)는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큰 공기주(131)과 장착부(1321) 사이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장착부(1321)는 원통형 스트립으로 구현되고, 장착부(1321)의 본체는 팽창된 후 원통형이며, 장착부(1321)의 상단에 원형 천이가 형성된다. 배플(13)은 제1 조립부(11) 및/또는 제2 조립부(12)의 제1 수용 홈(1102) 및/또는 제2 수용 홈(1202)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의 외측에 고정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상기 천이부(1322)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는 장착부(1321)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큰 공기 기둥(13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직경이 큰 공기 기둥(131)과 장착부(1321)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직경은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증가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천이부(1322)의 길이 방향 단면이 사다리꼴로 되어 장착부(1321)와 큰기둥(131)을 연결하여 배플(13)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에 의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내구성 있는 공기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장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소기둥(132)의 장착부(1321)의 직경은 15 내지 8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부(1321)의 직경은 20mm로 구현되고, 장착부(1321)의 높이는 30mm로 구현된다. 배플(13)의 작은 공기 기둥(132)의 길이는 30 내지 200mm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13)의 큰 공기 기둥(131)의 길이는 400mm 내지 2000mm이다. 상기 배플(13)은 복수의 연속적인 공기완충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플(13)의 폭과 복수의 공기완충체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폭은 200 내지 1000um의 범위에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위의 개시 내용을 기초로 하는 한 실제 상황에 따라 배플(13) 및 장착부(1321)에서 큰 공기 기둥(131) 및 작은 공기 기둥(132)의 대응하는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 한, 이 모든 것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고,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13)의 큰 공기 기둥(131) 및 작은 공기 기둥(132), 작은 공기의 장착부(1321) 및 천이부(1322)가 모두 다른 위치에서 가스 완충재(130)를 가열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 구현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3')의 장착부(1321')와 천이부(1322')는 일체형 구조, 즉 배플(13')의 작은 공기 기둥(132')은 일체형 구조이므로 배플(13')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립부(11) 및/또는 제2 조립부(12)의 제1 수용홈(1102) 및/또는 제2 수용홈(1202)을 작은 기주(132')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20)의 전면 외측에 고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소기둥(132')의 길이 방향 단면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며, 즉, 대기둥(131')은 소기둥(132')으로 전환되고, 소기둥(132')은 팽창된 후 그 상부에 반원형 천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소기둥(132')의 반원형 팁의 높이는 10mm로 구현되고, 소기둥(132')의 최소 단면지름은 20mm로 구현된다.
또한, 제1 수용홈(1102) 및/또는 제2 수용홈에 소형 기주(132)가 설치될 수 있는 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소형 기주(132)의 구체적인 구조 및 해당 크기를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제1 조립부(11) 및/또는 제2 조립부(12)의 제1 수용홈(1102) 및/또는 제2 수용홈(1202)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 외측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하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작은 공기 기둥(132)은 물결 모양 또는 기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효과가 달성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배플(13)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물(구조체)(133)을 더 포함하고, 보강 구조물(133)은 인접한 2개의 공기 완충체의 작은 공기 기둥(132) 사이에 배치되고, 보강 구조물(133)은 또한 가스로 팽창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 상에서 포장 장치(10)의 배플(13)의 전면 보호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소기둥(132) 양단의 천이부(1322)가 평평한 플라스틱 밀봉유닛을 통해 열융착되어 삼각형의 길이방향 단면을 형성하므로, 2개의 공기 완충체 사이의 2개의 인접한 단부에 있는 작은 공기 기둥(132) 간에 공기가 충전될 수 없는 간극(gap)이 있다. 따라서, 보강 구조물(133)은 간극에 배치되고 보강구조물(133)은 가스로 팽창될 수 있어, 인접한 두 공기 완충체 사이에서 팽창될 수 없는 가스 완충재(130)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보강구조물(133)은 인접한 두 개의 공기완충체 사이의 열 밀봉재를 가스로 채워 형성된 가스완충챔버로서, 포장장치(10)의 배플판(baffle plate, blocking plate)(13)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완충보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공기완충체의 일단부에만 팽창 채널(134)이 형성되고 배플(13)의 양단부에는 보강구조물(133)이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배플(13)의 양단에 위치하는 보강구조물(133)이 팽창 채널(134)을 통해 모두 팽창될 수는 없다. 따라서 팽창 채널(134)에 가까운 에어 버퍼 단부는 팽창 채널(134) 및 팽창 밸브(136)를 통해 보강구조물(133) 내부로 공기가 채워진다. 반면에 팽창 유로(134)와 그 인접한 작은 공기 기둥(13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에어 버퍼의 단부에 있는 보강 구조물(133)은 연통 구조(1300)(예를 들어, 연통공 또는 연통로)를 가지므로 소기둥(132)으로 유입되는 가스가 소기둥(132) 내부로 채워지게 되어 보강 구조물(133)은 공기 완충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보강 구조물(133)의 팽창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보강 구조물(133)이 개별적으로 팽창되거나, 보강 구조물(133)은 보강 구조물(133) 등에 인접한 소형 기주(132) 내부의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된 것이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구조물(133)은 인접한 2개의 소기둥(132)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보강구조물(133)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은 인접한 2개의 소기둥(132)의 형상에 종속되어 보강구조물(133)은 인접한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132)의 모양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은 유리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및 기타 깨지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배플(13)은 공기완충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보호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배플(13)의 본체를 큰 기주(131)로 하고 배플(13)의 양단을 작은 기주(132)로 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은 공기 기둥(132)은 접거나 구부리는 작업이 용이하여 제1 조립부(11)와 제 2조립부(12)에 배플(13)을 보다 편리하게 설치 및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포장 장치(10)의 포장 효율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의 변형 구현으로서,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서 배플(13)과 제1 조립부(11) 및/또는 제2 조립부(12)를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배플(13)은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에 접합 방식으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전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접합 또는 조립 수단에 의해 배플(13)과 제1 조립부(11) 및/또는 제2 조립부(12)를 고정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가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의 제1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크기 범위는 32-98인치이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상기 기술적 해결방안에 따라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포장 장치(10)를 사용해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이 변형된 실시예에서, 포장 장치(10'')의 배플(1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notch)(137)를 갖고, 제1 노치(137)는 배플판(13'')의 큰 공기주(131'')의 공기 흡입 방향에 수직인 측에 위치하며, 제1 조립부(11'')의 측면 부근에 위치한다.
이 변형 실시예에서, 제1 조립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boss)(111)를 갖고, 제1 보스(111)는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홈(1102'')에 배치되고, 제1 보스(111)의 개수 및 위치는 제1 노치(137)의 개수 및 위치와 일치하므로, 제1 보스(111) 중 어느 하나가 제1 노치(137)에 스냅(snap)되어 배플(13'')이 제1 수용 홈(1102'')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배플(13'')의 제1 노치(137) 및 제1 조립부(11'')의 제1 보스(111)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배플(13'')도 제2 조립부( 12'')에 가까운 쪽에 노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것이므로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d 및 도 8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된 구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배플(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전방위(all-around) 쿠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플(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감싸도록 구현되며, 배플(13''')은 2개의 광폭 공기 기둥(138)을 더 포함하고, 광폭 공기 기둥(13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측면의 폭보다 작지 않으며, 2개의 광폭 공기 기둥(13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2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2개의 측면이 2개의 광폭 공기 기둥(138)에 의해 둘러싸여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2개의 측면에 대한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배플(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후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후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배플 13'''에 의해 포장된 제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배플(13''')의 제1 노치(137')를 2개로 구현하여 배플(13''')과 제1 조립부(11)의 조립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완충 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당업자는 3개의 제1 노치(137)를 사용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완전히 포장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 상에서 제1 노치(137)의 개수 및 위치와 배플(13)의 포장 정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포장 장치(10)는 제1 조립부(11), 제2 조립부(12) 및 배플(13C)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조립될 수 있고, 배플(13C)은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 사이에 조립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표면에 위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배플(13C)은 하나 이상의 공기 완충체를 포함하는 공기 완충 장치이며, 임의의 공기 완충체는 일련의 평면 열 밀봉을 통해 가스 완충재(130C)로 형성된다. 가스 완충재(130C)는 제1 가스 저장막(1301C) 및 제2 가스 저장막(1302C), 제1 가스 저장막(1301C)과 제2 가스 저장막(1302C) 사이에 형성된 가스 저장실(135C)을 포함하고, 가스 저장실(135C)에는 일정량의 가스가 채워진다.
공기 완충체는 팽창 채널(134C) 및 적어도 하나의 팽창 밸브(136C)를 더 갖고, 팽창 채널(134C)은 가스 저장 챔버(135C) 및 외부 환경과 연결되고, 외부 공기는 팽창 채널(134C) 및 팽창 밸브(136C)를 통해 들어가서 에어 버퍼가 완충 보호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가스 완충재(130C)는 평평한 플라스틱 밀봉 유닛을 더 포함하고, 평평한 플라스틱 밀봉 유닛은 제1 가스 저장막(1301C)과 제2 가스 저장막(1302C)을 열 밀봉 및 연결하여 제1 가스 저장막(1301C)과 제2 가스 저장막(1302C) 사이에 가스 저장실(135C) 및 팽창 채널(134C)을 형성하고, 가스 저장실(135C)에 충전된 가스가 유지되도록 하여 에퍼 버퍼가 완충 보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13C)의 공기 완충장치는 연속적인 복수의 공기완충체(1303C)를 포함하며, 공기완충체는 팽창유로(134C)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공기 완충체는 큰 공기 기둥(131C)과 2개의 작은 공기 기둥(132C)을 포함하며,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132C)은 큰 공기 기둥(131C)의 양단에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공기 완충체가 두꺼운 중간 구조를 갖는다. 배플(13C)이 복수의 공기완충체로 형성된 후, 배플(13C)의 양단부는 작은 공기주(132C)에 의해 형성되고, 배플(13C)의 중간부는 큰 공기주(131C)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배플(13C)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물(133C)을 더 포함하고, 보강 구조물(133C)은 2개의 인접한 공기 완충체의 작은 공기 기둥(132C) 사이에 배치되며, 보강 구조물(133C)도 가스로 채워지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0) 상의 포장 장치(10)에서 배플(13C)의 전면 보호 효과를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소기둥(132C)의 양단이 편평한 플라스틱 밀봉 유닛을 통해 열융착되어 삼각형의 길이방향 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접한 두 끝의 작은 공기 기둥(132C) 사이에 가스로 채워질 수 없는 간극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보강 구조물(133C)은 간극에 배치되고 보강 구조물(133C)은 가스로 팽창될 수 있으므로, 인접한 두 완충체 사이에서 팽창될 수 없는 가스완충재(130C)가 없다.
구체적으로, 제1 히트 실링 라인(1304C)은 인접한 공기 완충체(1303C)의 큰 공기 기둥(l31C) 사이에 각각 히트 실링 연결을 통해 형성되고, 보강 구조물(133C)의 양측은 히트 실링되어 인접한 작은 공기 기둥(132C)과 연결되어 제2 히트 실링 라인(1305C)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히트 실링 라인(1304C)과 제2 히트 실링 라인(1305C)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강구조물(133C)은 나란히 팽창되는 2개의 팽창 밸브(136C)를 포함하고, 2개의 팽창밸브(136C) 사이에 히트 실링에 의해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이 형성되고,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의 일단이 팽창 채널(134C)의 가장자리에 있고, 타단은 제1 히트 실링 라인(1304C)을 향해 연장되고 제1 히트 실링 라인(1304C)의 꼭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구조물(133C)은 균일한 완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을 축으로 하는 대칭 구조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배플(13)의 보강구조(133)는 팽창밸브(136C) 중 하나를 포함하고, 중간에 히트 실링 라인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3 히트실링 라인(1306C)은 보강구조물(133C)을 히트실링하여 형성되며, 팽창된 보강구조물(133C)은 제1 보강기둥(1331C), 제2 보강기둥(1332C) 및 결합기둥(1333C)으로 구분되고, 제1 보강기둥(1331C) 및 제2 보강기둥(1332C)은 서로 연결되어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의 양측에 위치하고, 결합기둥(1333C)은 제1 히트 실링 라인(1304C)와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보강 공기 기둥(1331C) 및 제2 보강 공기 기둥(1332C)과 각각 연결된다.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은 복수의 보강 공기 기둥(제1 보강 공기 기둥(1331C) 및 제2 보강 공기 기둥(1332C))을 형성하기 위해 다중일 수 있으며, 여기서 결합 공기 기둥(1333C)은 각각 보강 공기 기둥을 연결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보강구조물(133C)은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에 의해 다수의 보강 기둥과 결합기둥으로 구분되므로 보강구조물(133C)의 두께가 감소되어 설치가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강 구조물(133C)의 보강 공기 기둥들 중의 하나에 팽창 밸브(136C)를 하나 이상 배치함으로써 모든 보강 공기 기둥 및 결합 공기 기둥(1333C)을 팽창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팽창은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보강구조물(133C)은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C)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개의 보강공기주(제1 보강공기주(1331C) 및 제2 보강공기주(1332C))와 적어도 2개의 보강공기주와 연결되며 그 길이가 D인 결합 공기 기둥(1333C)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공기 기둥(1333C)의 길이, 즉 거리(D)의 크기는 실제 포장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므로, 팽창된 보강 구조물(133C)의 제1 보강 공기 기둥(1331C), 제2 보강 공기 기둥(1332C) 및 결합 공기 기둥(1333C)의 상대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거리(D)의 크기가 팽창된 보강구조(133C)의 완충 성능 및 강도를 결정한다. 거리(D)가 너무 작으면, 팽창된 보강 구조물(133C)의 제1 보강 공기 기둥(1331C) 및 제2 보강 공기 기둥(1332C)이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고 구부러져 완충 효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거리(D)가 너무 크면 팽창된 보강구조물(133C)의 결합기둥(1333C)의 강도가 저하되어 파손되거나 누출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공기 기둥(1333C)의 길이(거리 D)는 30-80mm의 범위에 있다. 물론, 일부 실행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거리 D는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공기완충장치는 일단에만 공기팽창유로(134C)를 구비하고, 배플(13C)의 양단에는 보강구조체(133C)가 각각 위치하므로, 배플(13C)의 양단에 위치한 보강구조체(133C)는 공기 팽창 채널(134C)을 통해 모두 팽창될 수 없다. 따라서 팽창유로(134C) 부근의 공기완충체 일단부에서는 팽창유로(134)와 팽창밸브(136C)를 통해 보강구조체(133C)로 공기가 공급되고, 팽창유로(134C)로부터 떨어진 공기완충체의 일단부에 위치한 보강구조물(133C)와 보강구조물(133C)에 인접한 소형기둥(132C)은 연통구조(1300C)를 가져 소형 공기주(132C)로 유입되는 가스가 보강 구조물(133C) 내로 충진되어 보강 구조물(133C)이 공기 완충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배플(13)에서, 배플(13)은 배플 연속체를 형성하기 위해 자동화된 생산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배플(13)은 절개선에 의해 연결되어 절개선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생산 공정에서 배플 연속체는 세팅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생산된 배플 연속체는 생산 과정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말려질 수 있어 배플(13)의 대량 생산 및 보관이 용이하다.
사용시 각 배플(13)을 절개선에서 떼어내면 하나의 배플(13)을 부풀릴 수 있으며, 포장장치(10)는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와 함께 형성되는데, 이는 취급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팽창시키기에도 편리하며 배플 연속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배플 연속체에 포함된 배플을 연결하는 다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배플 연속체에서. 즉, 상기한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은 효과가 달성되는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D)의 제3 실시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D)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보강구조체(133D)가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양측에 연통 구조(1300D)와 연결되어 보강 구조체(133D)가 두 개의 인접한 측면에서 작은 공기 기둥(132D)으로부터 팽창될 수 있으므로 보강 구조체(133D)가 공기 완충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D)의 제3 실시예에서, 배플(13D)의 상단(13B)은 적어도 하나의 제4 히트 실링 라인(1307D)을 더 포함하고, 배플(13D)의 상단(13B)의 보강 구조물(133D)은 제3 히트 실링 라인(1306D)과 제4 히트 실링 라인(1307D)에 의해 연결된 3개의 공기 기둥으로 균일하게 분할된다.
상응하게, 배플(13D)의 하단(13A)에 있는 보강 구조물(133D)도 적어도 하나의 제5 히트 실링 라인(1308D) 및 제6 히트 실링 라인(1309D)을 포함하여, 제5 히트 실링 라인(1308D) 및 제6 히트 실링 라인(1309D)은 배플(13D)의 하단에 위치한 보강 구조물(133D)을 3개의 상호 연결된 작은 공기 기둥으로 균일하게 분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D)의 제3 실시예에서, 연통 구조(1300D)의 폭(H)은 10 내지 30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배플(13D)의 하단(13A)에는 2개의 제1 노치(137D)가 형성되어 배플(13D)과 제1 조립부(11) 사이의 정합 안정성을 향상시켜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서 배플(13D)의 완충 보호 효과를 향상시킨다. .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장치(10D)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3차원 구조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배플(13D)의 하단(13A)의 보강 구조물(133D)은 제5 히트 실링 라인(1308D)만을 포함하여, 제5 히트 실링 라인(1308D)이 배플(13D)의 하단에 있는 구조물(133D)을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작은 공기 기둥으로 분리한다.
또한, 당업자는 보강 구조물(133D)의 연통 구조(1300D)의 개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거나 보강 구조물(133D)의 공기 기둥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실제 상황에 따라 배플(13D)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보강 구조물(133D)의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것이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 장치(10)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10)의 포장 방법을 더 제공하며, 포장 장치(10)의 포장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001: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공간(1101)과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공간(1201)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측과 상측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1002: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홈(1102) 및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홈(1202)에 배플(13)의 하단(13A) 및 상단(13B)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계 1001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011: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공간(1101)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측을 설치하는 단계
10012: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공간(1201)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상측을 설치하는 단계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의 포장 방법은 제1 조립부(11)와 제2 조립부(12)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설치되는 순서가 순차적이지 않다.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20)에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의 설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의 포장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단계 1002는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021: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홈(1102)에 배플(13)의 하부 측면 상의 작은 공기 기둥(132)를 설치하는 단계
10022: 제2 조립부(12)의 제2 수용 홈(1202)에 배플(13)의 상부 측면 상의 작은 공기 기둥(132)를 설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10021 단계에서, 배플(13)은 공기포장장치(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포장장치(10)는 편평한 플라스틱 밀봉 유닛을 가진 열 밀봉에 의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플(13)은 손상되거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휠 수 있다. 배플(13)의 상측과 하측은 배플(13)의 본체 즉, 대기둥(131)에 비해 소기둥(132)으로 이루어지며, 대기둥(131)은 쉽게 구부러져서 제1 조립부(11) 및 제2 조립부(12)의 제1 수용홈(1102) 및 제2 수용홈(12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포장 장치(10)의 포장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순서를 실제 상황에 따라 변경하거나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하측(21)이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 공간(1101)에 배치되고 배플(13)의 하측이 제1 조립부(11)의 제1 수용홈(1102)에 장착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상측이 포장되고 배플(13)의 상측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채택하고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고, 본 발명과 같은 기술적 효과가 달성되는 것이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든 실시예의 특징이 본 발명의 포장 장치(10)에 적절하게 결합되어 다단계 쿠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적 및 구조적 원리는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변형 또는 수정은 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1)

  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에 있어서,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baffle)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공기 완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간섭 맞춤(억지 끼움)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하단이 제1 수용 홈에 간섭 맞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간섭 맞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상단이 제2 수용 홈에 간섭 맞춤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를 갖고, 상기 제1 노치는 제1 조립부에 가까운 일측에 배열되고, 제1 조립부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제1 수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스는 상기 제1 노치에 내장되어 상기 배플이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완충체 각각은 일련의 열 밀봉에 의해 가스완충재로 만들어져 가스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완충체 가각은 팽창 가스가 가스 저장실로 들어가도록 하는 팽창 채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완충체는 큰 공기기둥 및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은 각각 상기 큰 공기기둥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플의 상단과 하단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완충체가 두꺼운 중간과 2개의 얇은 양단을 가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작은 공기기둥에 의해 상기 배플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와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공기 완충 장치이고, 상기 배플은 하나 이상의 공기 완충체로 구성되고, 각각의 공기 완충체는 일련의 평면 열 밀봉에 의한 가스 완충재로 만들어져 적어도 하나의 팽창 채널, 팽창 밸브 및 가스 저장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저장 챔버는 큰 공기 기둥과 2개의 작은 공기 기둥을 포함하고 큰 공기 기둥과 작은 공기 기둥은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큰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직경은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고,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은 큰 공기 기둥의 두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완충체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가스완충재는 가스로 충진되어 상기 배플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채널에 인접하는 상기 보강 구조물은 상기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과 상기 보강 구조물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연통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이 상기 작은 공기기둥 내의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은 히트 실링 라인의 분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연결된 결합 공기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공기기둥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기기둥의 길이는 30-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작은 공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공기기둥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큰 공기기둥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천이부를 포함하고, 천이부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15-80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30-2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의 크기,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큰 공기기둥은 400-20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에 의해 형성되는 큰 공기기둥은 200-100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32-98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5. 제11항에 있어서,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가 각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측면은 제1 수용 공간에 간섭 맞춤으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하단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장착되며, 상기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를 가지며, 상기 제1 노치는 상기 제1 조립부에 가까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제1 수용홈에 배치되고 제1 보스 중 임의의 하나는 제1 노치에 내장되어 상기 배플이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은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보강 구조물의 양측에 연통 구조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을 연결하는 3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장치.
  27.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baffle)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공기 완충 장치가 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는 포장 장치의 포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 및 상기 제2 조립부 각각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배플의 하단 및 상단을 각각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에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장치의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이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29. 재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과 간섭 맞춤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공간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측과 간섭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이 배플의 하측 단부와 간섭 맞춤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홈이 배플의 상측 단부와 간섭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 및 제2 조립부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플은 공기완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로 구성되어, 각 공기완충체는 큰 공기기둥 및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은 각각 상기 큰 공기기둥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배플의 상단과 하단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완충체가 두꺼운 중간과 2개의 얇은 양단을 가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후면을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 감싸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배플의 휘어짐은 광폭 공기기둥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방법.
  36.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대한 쿠션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포장 장치의 배플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공기 완충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로 구성되어, 각각의 공기완충체는 일련의 면열 밀봉에 의해 가스완충재로 만들어져 팽창 채널, 팽창 밸브 및 가스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 저장실은 큰 공기 기둥과 2개의 작은 공기 기둥을 포함하고 큰 공기 기둥과 작은 공기 기둥은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큰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직경은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고, 두 개의 작은 공기 기둥은 큰 공기 기둥의 두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37. 제36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완충체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가스완충재는 가스로 충진되어 상기 배플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채널에 인접하는 상기 보강 구조물은 상기 팽창 채널과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과 상기 보강 구조물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연통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 채널과 떨어져 있는 보강 구조물이 상기 작은 공기기둥 내의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은 히트 실링 라인의 분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적어도 두 개의 보강 공기기둥과 연결된 결합 공기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공기기둥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기기둥의 길이는 30-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2.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은 공기기둥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작은 공기기둥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공기기둥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큰 공기기둥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천이부를 포함하고, 천이부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15-80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30-2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6.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작은 공기기둥의 크기,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큰 공기기둥은 400-2000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8. 제4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기완충체에 의해 형성되는 큰 공기기둥은 200-100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4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32-98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50. 제36항에 있어서,
    제1 조립부, 제2 조립부 및 배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장하는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조립부와 제2 조립부가 각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 및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측면은 제1 수용 공간에 간섭 맞춤으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홈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플의 하단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장착되며, 상기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치를 가지며, 상기 제1 노치는 상기 제1 조립부에 가까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제1 수용홈에 배치되고 제1 보스 중 임의의 하나는 제1 노치에 내장되어 상기 배플이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5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물은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보강 구조물의 양측에 연통 구조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을 연결하는 3개의 작은 공기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KR1020227024400A 2020-01-08 2021-01-08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KR20220113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16715.1A CN113086421A (zh) 2020-01-08 2020-01-08 包装装置、挡板及其包装方法
CN202010016715.1 2020-01-08
PCT/CN2021/070908 WO2021139781A1 (zh) 2020-01-08 2021-01-08 包装装置、挡板及其包装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797A true KR20220113797A (ko) 2022-08-16

Family

ID=7666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400A KR20220113797A (ko) 2020-01-08 2021-01-08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113797A (ko)
CN (1) CN113086421A (ko)
MX (1) MX2022008217A (ko)
WO (1) WO2021139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4591B (zh) * 2021-12-16 2023-04-11 刘鑫 一种防护性能高的易碎节能材料运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148A (ja) * 2000-12-14 2002-06-26 Sanyo Engineering Kk 包装構造
WO2012023258A1 (ja) * 2010-08-17 2012-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緩衝装置および緩衝装置を用いて梱包した映像表示装置
CN206734980U (zh) * 2017-04-27 2017-12-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平板电视保护装置
CN207434147U (zh) * 2017-10-30 2018-06-01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一种电视机的气柱袋包装结构
CN207917586U (zh) * 2018-01-16 2018-09-28 深圳市兆驰股份有限公司 一种泡沫与气柱片混合式电视机缓冲包装结构
CN108408247B (zh) * 2018-03-23 2019-12-27 昆山亚比斯环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空气密封体
CN208360918U (zh) * 2018-06-28 2019-01-11 重庆新瑞丽包装印务有限公司 一种电视包装用底衬座及电视包装结构
CN208915853U (zh) * 2018-11-05 2019-05-3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缓冲气垫
CN305972135S (ko) * 2020-02-24 2020-08-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9781A1 (zh) 2021-07-15
CN113086421A (zh) 2021-07-09
MX2022008217A (es)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76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having improved shock absorbing capability
KR100995179B1 (ko) 접을 수 있는 다단 완충포장백
US741005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EP3059184B1 (en) Packaging for use in the shipping of articles
US10961041B2 (en) Method for producing packing sheet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storage properties
US9027756B2 (en) Structure of inflatable packaging device
US9174788B2 (en) Buffering cushion with suspending layer hung between inward-bent air columns
EP2013108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1351072B1 (ko) 단일 공기 주입에 의하여 내(內)완충부와 외(外)완충부로 구성된 2중 완충 구조가 형성되는 포장백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220113797A (ko) 포장장치, 배플 및 그 포장방법
CN204624246U (zh) 气柱式缓冲底座或封头包装结构
US8813961B2 (en) Automatically retracting cushioning device
US10138044B2 (en) Airtight sheath for packing a bottle
US7204278B2 (en) Structure of check-val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inflatable air-packing device using same
CN110963167A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108535A (zh) 一种角套吊床式缓冲结构
KR20040029801A (ko) 공기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EP3392164B1 (en) Airtight sheath for packing a bottle
CN212386967U (zh) 一种用于周边防护的缓冲气柱袋
JP2013199276A (ja) 梱包材
US8123038B1 (en) Floater packaging
CN110217492B (zh) 具有检验功能的包装箱
WO2024045762A1 (zh) 充气缓冲包装装置及其生产方法
EP2921425B1 (en) Buffering cushion with suspending layer hung between inward-bent air columns
CN210162458U (zh) 新型纸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