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617A -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617A
KR20220113617A KR1020210017141A KR20210017141A KR20220113617A KR 20220113617 A KR20220113617 A KR 20220113617A KR 1020210017141 A KR1020210017141 A KR 1020210017141A KR 20210017141 A KR20210017141 A KR 20210017141A KR 20220113617 A KR20220113617 A KR 2022011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펫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펫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펫핀스
Priority to KR102021001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617A/ko
Publication of KR2022011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r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로부터,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Description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A Program for recording medium certification services for identification of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합 인증 기술을 이용한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반려동물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부에서도 반려동물등록제, 유기동물 보호소 운영과 같은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것이 사실이다. 특히 현재 시행되는 반려동물등록제의 경우, 반려동물들을 동물병원에서 등록하고 시, 군, 구청에서 별도의 신고를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고, 반려동물 등록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마이크로칩 시술,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부착 또는 인식표를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신원이 등록될지라도 마이크로칩 리더기가 전부 보급되어 있어야 하는 등 신원을 손쉽게 조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반려견을 외형으로 식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특히 반려동물의 보험관련 사기 등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에 보험사 측에서도 명확한 신분증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험 문제의 대응책으로 높은 비용의 보험료 가입 비용을 청구하거나, 좁은 보장범위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도 반려동물의 보험가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의 비문이나 홍채 등을 개별적으로 인식 처리하여 반려동물을 인증하는 기술들이 대두되고는 있다. 그러나, 각 기술의 완성도가 아직까지는 완벽하게 구동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반려 동물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화나, 질병, 상처 등에 따라 비문, 홍채 기타 다양한 생체적 특징정보들이 변하기 때문에, 보험을 위한 증명에 있어서 정확한 인증정보의 근거로서 활용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이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는 약 20년이 소요되는 바, 20년이라는 시간 동안 동일한 개체인지를 비문이나 홍채만으로 인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사하게 생긴 모견에서 태어난 형제견들 중 하나의 개체만 보험에 가입한 후, 다른 형제견의 의료비를 청구하는 등의 금융사기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해마다 10만마리 이상의 유기견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식별하여 처리하기 위해 정부기관 등에서는 매우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고 있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7821호 "마이크로칩과 DNA 혈통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4117호(20081023)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측정단말기에 태그 리더기, 비문 촬영수단, 홍채 촬영수단, 안면 촬영수단, 체온 측정수단 및 위치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반려동물의 개체 식별을 위한 복합 생체정보를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2 이상의 반려 동물 인증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복합 인증 기기의 다중 출력 정보를 이용하되, 다중 출력 정보의 각 인증 기술별 정확도에 대응하는 가변적 결정 로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조합 연산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이나 질병 등에 의한 변화에도 개체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 동물 인증 정보가 제공되는 복합 인증 기술을 이용한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반려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나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서 반려동물 개체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로부터,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로부터,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인증 정보 처리부;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는 복합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하면,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며, 상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2 이상의 반려 동물 인증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복합 인증 기기의 다중 출력 정보를 이용하되, 다중 출력 정보의 각 인증 기술별 정확도에 대응하는 가변적 결정 로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사전 설정된 조합 연산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이나 질병 등에 의한 변화에도 개체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려 동물 인증 정보가 제공되는 복합 인증 기술을 이용한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시간의 흐름이나 질병 등의 변화에도 이를 반영한 지속적인 개체 식별이 가능한 정확도 높은 반려 동물 인증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 유기의 예방, 금융 사기의 예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 동물에 대한 장기금융 상품이나 보험 상품등을 개발하는 데에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기관별 일치율 산출 정확도에 기초한 인증 서버의 관리, 데이터 보정 및 기관 리스트 수정 등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집단지성과 같은 방식의 고도화된 복합 일치율 산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복합 인증 서비스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 동물 인증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케이스별 데이터 구조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복합 인증 서비스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 이하, '휴대용 측정장치'와 혼용하여 명칭을 지칭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휴대용 측정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며,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복합 인증 즉, RFID를 포함하는 태그정보 리더기, 홍채인식, 비문인식, 안면인식, 체온측정, 위치정보측정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인증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사용자단말(300) 또는 통신망(AP)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장치(200)로 전달하고, 서비스 제공장치(200)는 자체 및 복수의 인증기관서버(400)를 통해 집단지성을 이용한 개체식별 분석 판단을 하고, 개체 식별 결과를 사용자단말(300) 및 상기 휴대용 측정장치(100)로 회신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의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용 측정장치(100)의 외형적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측정장치는,
본체부(1)와, 본체부(1)의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장착되는 손잡이(2)와, 손잡이(2) 하단부를 결합시켜 배터리 충전 모듈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USB포트를 구비한 충전 거치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에는 앞면부를 향하도록 한쌍의 적외선 카메라 센서(11, 12), 한쌍의 3D카메라 센서(21, 22), 하나의 영상 카메라 센서(31)가 설치되며, 배면에는 디스플레이부의 모니터(71)와, 사용자 조작버튼(5)이 구비되며, 본체부(1) 내부에는 태그 리더기와, GPS모듈,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장치들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측장장치(100)는, 하나의 휴대용 측정장치에, 복합 인증을 위한 태그인식, 홍채인식, 비문인식, 안면인식, 체온측정, 위치 측정을 위한 수단들을 모두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홍체인식을 위해서는 한쌍의 적외선 카메라 센서(11, 12)를 구비하며, 적외선 촬영정보로부터 체온 측정을 한다. 비문 및 안면 인식을 위해서는 입체적 영상 촬영을 위하여 한쌍의 3D카메라 센서(21,22)를 구비하고, 추가로 측정가이드를 위한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상 카메라 센서(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작 버튼(5)을 구비하고 조작버튼(5)을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각 복합 인증 정보 획득을 표시부(71)에 안내하면서 자동으로 복합 인증정보 획득 및 데이터 전송과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측정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측정장치는,
반려동물의 신체내에 주입시킨 전자적 개체식별 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전자적 개체 식별수단(태그) 리더기 모듈(40)과, 반려동물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한쌍의 적외선 카메라 센서(11, 12)를 포함하는 홍채 인식모듈(10)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 센서(11, 12)의 촬영정보로부터 체온정보를 획득하는 체온 측정부(50)와, 반려동물의 안면과 비문을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한쌍의 3D카메라 센서(21, 22)를 포함하는 비문인식 모듈(20)과, 영상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의 안면 및 전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카메라 센서(31)를 포함하는 영상센서 모듈(30)과, 촬영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GPS모듈(42)과, 주변의 무선통신 AP 또는 스마트폰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와이파이 또는/및 블루투스 통신용 통신모듈(80)과, 상기 영상센서 모듈(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한쌍의 홍채 촬용 카메라 센서(11, 12), 상기 한쌍의 3D 카메라 센서(21, 22)의 촬영 영역과 촛점 상태 및 촬영 가이드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부(7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조작 버튼(5)의 입력에 의해 측정장치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반려동물 안면영상을 출력하고, 각 측정모드별 측정 가이드를 제공함과 아울러 태그 식별정보, 홍채 촬영이미지, 비문 촬영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통신모듈(80)를 통해 전송하고, 회신된 개체 식별 인증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메인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RFID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고, 다중 출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는, 하나 이상의 조작버튼(5)을 포함하는 입력부, 표시부(7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부, 와이파이 또는/및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모듈(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모니터(71)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는, 전술한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는, 태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태그(예를 들어, NFC/RFID 태그)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태그 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에 사전 등록된 등록정보로서, 동물등록번호, 소유주 이름, 연락처, 주소, 동물명, 품종, 성별, 모색, 생년월일, 중성화 정보, 관할 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는 홍채 인식 센서 모듈(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홍채 인식 센서 모듈(10)은 적외선 센서 모듈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는 3D카메라 센서 모듈(20)이 포함되고, 3D카메라 센서 모듈(20)을 이용하여 비문 인식을 위한 비문 측정과, 안면 인식을 위한 안면 측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입체적 구성을 갖는 비문 및 안면 인식을 위하여 정확도 향상을 위한 3D 카메라 센서 모듈(20)을 이용한다. 3D 카메라 센서 모듈(20)은, 2 이상의 이미지 센서 모듈간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구성하고, 입체적 이미지로 측정하여, 비문 및 안면 인식을 위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안면 인식은,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는 인증 위치 정보는 GPS모듈(42)을 이용하여 촬영시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함께 시간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다중 출력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은 체온 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바, 적외센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홍채 측정과 동시에 체온 측정부(50)를 통해 체온을 측정한다. 체온 정보는 인증 정보로 이용되지는 않을 수 있으나,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등을 측정하는 데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체온 정보는 동물 병원의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되어, 동물의 건강 이력 정보를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홍채인식과 비문인식 및 안면인식은, 영상카메라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71)를 통해 표시하고, 반려동물의 안면전체에 촛점을 맞춰 확대되게 영상을 자동조절한다. 이어서 홍채 측정모드인 경우 반려동물의 두 눈에 대해 적외선 카메라 센서(11)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를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적외선 카메라센서에 의해 타겟팅되는 눈영역을 맞추어 자동 촛점이 맞도록 간격이나 방향을 조정하게 되며, 자동 촛점이 맞으면 자동 촬영을 한다. 즉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문 인식을 위한 측정은 3D 카메라센서가 촬영하기 위한 영역을 가이드하여 표시하고, 이 가이드 표시에 맞춰주 면 촛점이 맞으면 자동으로 촬영한다. 마찬가지로 안면 인식을 위한 촬영도 안면 영역이 표시되게 하고 이에 맞춰주면 자동 촛점에 의해 자동 촬영하게 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홍채인식이나, 비문인식 또는 안면인식을 위한 이미지 촬영시 자동 촛점에 의해 자동촬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자동 촛점에 의한 자동 촬영으로 획득되는 이미지가 반드시 홍채인식, 비문인식, 안면인식을 위한 판별용 이미지로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눈을 반쯤 감았거나, 촬영순간 움직여 촛점이 흐려졌거나, 다른 요건에 의해 이미지 판별이 어려운 이미지를 촬영할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장치는, 상기 홍채인식 센서모듈(10)과, 상기 3D 카메라 센서모듈(20)은, 각각 인증정보로서 유효한 영상으로 촬영된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영상 기준정보를 사전에 설정하여두고, 촬영된 영상이 영상 기준정보를 만족하는 영상을 획득하여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즉, 홍채 이미지인 경우, 개체식별을 위한 홍채 이미지의 기준정보를 설정한다. 예를들어 눈동자의 영역이 모두 보여야하고, 해상도가 적정 해상도 이상이여야하고, 촛점잘맞아 선명도가 설정된 선명도 이상이며, 발기나 기타 조건등등을 설정하여 두고, 촬영된 이미지가 상기 기준정보에 합당한 이미지인지를 판정하여 홍채 이미지 획득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비문인식과, 안면인식에도 적정 기준 정보를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이 기준정보에 합당한 경우만 해당 인식 이미지로 획득한다. 만약, 기준정보에 합당하지 못한 이미지는 버리고, 재촬영을 안내하여 재촬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 연속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연속 촬영하여 상기 기준 정보 조건에 합당한 이미지 프레임만을 추출하고, 이를 획득된 이미지로 선정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이미지만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된 수의 복수 이미지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게 할수도 있다.
또한, 홍채인식 센서모듈과 3D 카메라 센서모듈에서 상기 기준 조건에 만족하는 영상을 획득하되, 적어도 하나이상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여 다중 영상으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다중 영상에 대해 사전에 저장관리되는 개체식별 기준영상과 비교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영상을 선택하는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역다중화에 의해 선택된 현재 획득한 영상과 사전 저장관리되는 기준영상을 복수의 인증기관으로 보내고, 복수의 인증기관으로부터 분석결과를 수신받아 집단지성 판단에 의해 개체식별 판단 결과를 획득하여, 휴대용 장치로 회신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서는 상기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다중 출력 정보는 사전 구축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 구비된 모든 센서 모듈은 비접촉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반려 동물이 움직이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코로나(COVID-19) 등의 감염병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사전 구축된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가 근거리 네트워크(블루투스, 와이파이 등)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300)의 통신 모듈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접속되는 경로를 통해 사전 구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유 연결 경로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가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된 경우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며, 상기 하나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는 역다중화된 다중 출력 정보 중 처리 가능한 인증 정보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간 일치율 정보를 제공하는 각 인증 기능별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기관 서버(400)는, 각각의 인증 기능에 대응하여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인증 기관 서버, 제2 인증 기관 서버 등과 같이 복수 개 인증 기관 서버(400)들로부터 각 기관별 상이한 처리 방식에 기초한 다양한 일치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 인식의 경우, 비문 인식의 경우, 안면 인식의 경우 등과 같이 각각의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으며, 홍채 인식과 같은 동일한 종류의 인증 방식의 경우에도 각 기관이나 업체별로 다양한 인증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어느 기관도 현재 100프로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않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각 기관들의 인증 정보의 일치율을 조합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며, 상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서는 한 번의 기기 운용만으로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획득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인인증 기관 서버(400)들의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여 동일성 여부를 집단지성 검증 및 누적 학습 방식으로 판별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관리 및 보험 서비스 등에서 이용되는 개체 식별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바, 사용자 단말(300)은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등을 통해 상기 일치 여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전술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3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전술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의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한 반려 동물의 객체 식별 정보 및 일치 여부 정보와, 이에 기반한 건강 정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등록 정보 관리부(230), 생체 인증 정보 처리부(240),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 복합 인증 처리부(260), 서비스 제공부(270) 및 저장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서비스 제공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의 실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한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등록 정보 관리부(23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사용자 등록과,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를 통해 수집된 반려 동물 정보의 등록 및 계정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등록 정보 관리부(23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반려 동물의 기본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기본 정보 및 초기 인증 정보는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로 제공되어, 이후의 다중 출력 정보로부터 처리되는 인증 정보와의 기관별 일치율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인증 정보 처리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의 상기 다중 출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생체 인증 정보는, 전술한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체온 정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증 정보 처리부(240)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서 획득된 생체 정보를 다중 출력 정보로부터 분류 처리하여 각각의 인증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업체 및 기관별로 동일한 종류의 인증 방식이라 하더라도, 세부 프로세스는 상이할 수 있으며, 각 기관별 정확도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사전 설정된 인증 기관 서버 리스트를 인증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 등록 처리할 수 있으며, 복수 개 등록된 인증 기관 서버(400) 각각에 반려 동물의 초기 인증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상기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수신된 인증 정보와의 일치율을 상기 인증 기관 서버(400)에 각각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인증 기관 서버(400)의 상기 일치율 정보의 인증 정보별 평균 값을 연산하고, 상기 인증 정보별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 간 우선 순위 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270)는,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복합 일치율과 관계 없이 상기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홍채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홍채를 상기 비문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비문을 상기 안면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는 순차적 결정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우선적 결정을 위해, 우선 가중치 정보가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그:홍채:비문의 가중치는 기술 정확도에 따라 3:2:1일 수 있으나 이는 추후 기술 발전에 따른 정확도 변경에 의해 가변될 수 도 있다.
반면,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서비스 제공부(270)는, 상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기관 서버(400)별 일치율 들의 복합적인 평균 연산 및 우선 순위 연산을 통해, 복합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성이 보장된 복합 일치율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일치율에 의한 동일성 여부 정보는, 하나가 아닌 복수의 각 기관 서버(400)들의 공통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업체 및 기관들의 인증 정확성이 리니어하게 향상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식의 정확도는 익스퍼넨셜하게 향상되게 된다.
다만, 기관 서버(400) 중 오류가 발생되거나, 다른 기관 서버(400)들보다 일치율이 극단적으로 낮게 도출되는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인증 기관 서버의 상기 일치율 정보가 일정 수치 이하인 하위 인증 기관 서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하위 인증 기관 서버를 인증 기관 서버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에서는 이러한 인증 기관 서버(400)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합리적인 복합 일치율이 산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로직 프로세스는 평균 값의 복합 연산이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각 인증 정보 카테고리별 일치율 정보를 취합하여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카테고리별 일치율 평균 값에 대한 평균 연산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최종 복합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태그 정보와 같이, 정확도가 보장되어 있어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의 일치율은, 보다 높은 가중치가 할당되거나, 로직 구성에서의 1차 판단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1차적으로 시간 및 위치 정보와, 태그 정보를 검출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태그 정보가 판독되지 않는 경우에는 2차적으로 홍채, 비문 또는 안면 인증 정보를 검출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상기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품종 정보, 성별 정보, 중성화 여부 및 나이 정보를 획득하고, 품종 정보, 성별 정보, 중성화 여부 및 나이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학습된 인증 정보별 보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보정 값을 상기 복합 일치율 연산 프로세스에 적용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다중 출력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저장부(290)에 사전 학습된 사전 학습된 인증 정보별 보정 값과, 상기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다중 출력 정보로부터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로 제공되는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 값의 보정 값을 산출하여, 복합 일치율 연산 프로세스 처리시 적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반려 동물의 품종, 성별, 중성화 여부 및 나이 정보와, 기존 등록된 등록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생체 인증 정보를 예측하고,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각 인증 기관 서버(400)에서, 상기 예측된 인증 정보와의 일치율을 연산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따라,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시간의 흐름 등에 의해 변화되는 반려 동물의 생채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다양한 동물 개체 식별 및 인증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27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될 반려 동물 정보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 등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70)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서 요청되는 동물 관리 정보, 등록 정보, 인증 정보, 복합 일치율 기반 동일여부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주기적인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알림 서비스, 인증 정보의 등록 및 관리 서비스, 보험상품 가입, 갱신 및 보험금 청구 안내 서비스, 포인트 적립 서비스, 보험료 할인 서비스, 반려동물을 매개로 하는 예금, 적금, 신탁, 할부 등 기타 장기금융상품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90)는 전술한 제어부(210)의 동작 및 상기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각 목적에 따른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반려 동물의 초기 인증 정보를 등록한다(S101).
여기서, 초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 연락처 정보, 사용자 주소 정보와, 동물 사진 정보, 동물 등록 번호 정보, 동물등록증 사본 정보, 동물 분양 혹은 입양증 사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에서 획득된 초기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한다(S103).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S105).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400)로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를 각각 전송하며(S107),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S109).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고(S111),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한다(S113).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복합 일치율 및 상기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15).
이러한 처리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정확도 대비 검출 시간은 최소화하면서 각 기관별 복합 일치율 산출방식에 따라 생체정보 획득 실패율을 낮출 수 있으며, 정확도 미흡으로 인한 등록 실패율, 타인 수락률이나 본인 거부율을 낮추고, 인증 시간 자체는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는, 동물 병원이나 공공기관, 금융기관의 각 지점에 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의 수의사 등의 사용자는 동물병원에 방문한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체중 및 체온을 측정할 때 상기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초기 인증 정보를 등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다중 출력 정보에는 홍채의 변화, 비문의 변화, 체온의 변화, 체내에 고정되었던 내장칩의 탈락으로 생긴 칩의 위치 변화 등과 같이 건강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 정보가 포함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의 다중 출력 정보에 기초한 부가 서비스로서 상기 건강 정보의 모니터링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거나, 별도 등록된 반려 동물 보호자의 단말로 상기 건강 정보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 동물 인증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케이스별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출력 정보는 시간 정보, 위치 정보, 태그 정보(RFID 등), 홍채 정보, 비문 정보, 안면 정보, 체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관 업체별(X사, A~D사), 인증 정보 카테고리별 일치율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각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사전 등록 정보는 보호자명 정보, 주민번호 정보, 반려 동물 이름 정보, 동물등록번호 정보, 이미지 학습 분석 또는 별도 입력에 따라 결정된 종류 정보, 품종 정보 또는 나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각 인증 정보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세로열과, 기관 서버(400)별 산출된 일치율 정보를 나타내는 가로행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사전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들을 조합 연산한 최종 복합 일치율이 임계치(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에만,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 정보와 일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사전 등록된 유전자 검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정보보다 최우선적인 일치 여부를 산출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 검사 비용이 낮아지고 및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유전자 검사 결과 정보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치율 판별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조합 연산값에 기초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먼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한 일치율을 우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동일한 반려 동물에 대한 촬영 시간은 동일한데 서로 다른 장소로 식별되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판단 불가 처리 또는 불일치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 프로세스는 신용카드의 도용여부 검출 시스템과 같은 FDS 검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정보 측정장치(100)의 촬영 시간 및 장소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불일치 응답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일치율의 정확도가 높은 인증 정보 카테고리로부터 정확도가 낮은 순서로 우선 순위 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낮은 생체 정보의 경우에는 이상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300)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기존 인증 정보 대비 홍채 정확도가 낮게 산출되는 경우, 홍채의 건강이 나빠지는 징후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300)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체온이 변화 정보도 함께 산출할 수 있다.
반면, RFID 태그 스캔된 동물등록번호 정보와 같이, 일치율의 정확도가 높은 카테고리는 동물등록번호 15자리와 매핑하여 0% 아니면 100%로서 우선적으로 먼저 판별될 수 있다. 15자리중 1자리가 맞지 않는다고 하여 95% 일치율이 아니며, 이 경우에는 0% 아니면 100%로만 판별될 수 있다. 즉,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검출에 따른 생체 정보가 100%인 경우가 존재하며, 나머지 인증 정보와의 복합 일치율 연산에 따라 95.2%가 도출되고,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B)와 같이 태그 인식된 생체 정보가 0%인 경우에는 사전 등록된 동물등록번호와 다른 동물이므로,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별도의 복합 일치율 연산시 0%가 포함된 평균 연산을 처리하게 되며, 임계값 90%이하의 69.1%라는 수치를 보이는 바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인증 처리부(260)는, 동물 체내에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 전자칩(RFID)을 태그하는 바, 내장칩이 탈락하여 체내에서 이동될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로 동물의 신체 전부를 스캔하여 태그함으로써 내장칩의 변경된 위치를 확인함으로서 사고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나머지 홍채, 비문 및 안면 정보를 우선 가중치에 따라 평균값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산출된 값이 95.7%인 경우 임계값을 초과하므로, 복합 인증 처리부(260) 일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정보가 존재하더라도, 홍채, 비문, 안면 결과 수치가 크게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일치로 판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관에서는 높은 일치율을 보이나 특정 업체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일치율을 산출하는 하위 업체를 그 편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 이상 편차가 높은 업체를 식별하여, 기관 리스트에서 제외 또는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기관 정보 처리부(250)는 각 인증 기관 서버(400)의 품질 관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있어서,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을 위하여 반려동물의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인식을 위한 각각의 기준 인증정보와 개체식별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인증정보 등록단계;
    반려 동물용 복합 인증 기기로부터, 태그, 홍채, 비문, 안면, 위치, 시간,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출력 정보를 역다중화 처리하여 복수의 반려 동물용 생체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복수의 인증 정보와, 이에 대응된 기준 인증정보를 각각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 상기 획득된 인증 정보 및 대응되는 기준 인증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증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일치율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품종 정보 및 나이 정보에 대응하여 사전 학습된 인증 정보별 보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각각 수신된 일치율 정보의 조합 연산값에 상기 보정 값을 적용하여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복합 일치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반려 동물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인증 로직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인증 기관 서버의 상기 일치율 정보의 인증 정보별 평균 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별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인증 정보 간 우선 순위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복합 일치율과 관계 없이 상기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우선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를 상기 홍채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홍채를 상기 비문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비문을 상기 안면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하는 순차적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결정된 제1 인증 정보의 일치율 평균 값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복합 일치율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출력 정보가 사전 등록된 반려 동물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17141A 2021-02-06 2021-02-06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20113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41A KR20220113617A (ko) 2021-02-06 2021-02-06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141A KR20220113617A (ko) 2021-02-06 2021-02-06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617A true KR20220113617A (ko) 2022-08-16

Family

ID=8306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141A KR20220113617A (ko) 2021-02-06 2021-02-06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6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21B1 (ko) 2005-11-22 2007-02-02 (주)우리진 마이크로칩과 dna 혈통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KR20080094117A (ko) 2007-04-06 2008-10-23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21B1 (ko) 2005-11-22 2007-02-02 (주)우리진 마이크로칩과 dna 혈통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KR20080094117A (ko) 2007-04-06 2008-10-23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verifying one or more individuals using facial recognition
KR102346381B1 (ko) 경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인증 시스템
CA2782071A1 (en) Liveness detection
US20190035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User Biometrics as a Boarding Pass for Public Transportation
US10970953B2 (en) Face authentication based smart access control system
KR20220113604A (ko) 반려동물의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 인증정보 측정 휴대용 장치
CN109002748A (zh) 混合虹膜及面部生物识别系统
JP2022022083A (ja) 入退場管理装置、入退場管理方法、入退場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210017753A (ko) 반려동물 등록/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건강보험 적용 인증지원 시스템
CN110689644A (zh) 业务办理管理系统、方法、服务器和闸机
KR101334744B1 (ko) 무인대출 처리방법
JP2013190934A (ja) 窓口認証システム、窓口認証サーバー、プログラムおよび窓口認証方法
KR20190059148A (ko) 신원 확인 기관에서의 비문 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 방법
KR20220113617A (ko)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20113608A (ko)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KR20220113613A (ko) 반려 동물 복합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KR20220113607A (ko) 복합 인증 기술을 이용한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3609A (ko)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20113614A (ko) 반려 동물 복합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20113616A (ko) 반려 동물 개체 식별을 위한 인증 서비스 프로그램
KR20220113615A (ko)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13612A (ko) 반려 동물 복합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13610A (ko) 복합 인증정보 측정장치를 이용한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113611A (ko) 복합 인증 기술을 이용한 반려 동물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47662A (ko)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을 위한 신원 확인증 발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