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603A -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3603A KR20220113603A KR1020210017105A KR20210017105A KR20220113603A KR 20220113603 A KR20220113603 A KR 20220113603A KR 1020210017105 A KR1020210017105 A KR 1020210017105A KR 20210017105 A KR20210017105 A KR 20210017105A KR 20220113603 A KR20220113603 A KR 20220113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ping member
- gripping
- movement
- generating sourc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holder for a vehicle used to mount a mobile device in a vehicle.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특히 휴대전화, 이후는 휴대전화라고 표현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총칭함)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래서 차량의 운전자는 휴대전화를 소지한 채 차량을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차량과 휴대전화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통화나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활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 연동되게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러한 추세에 맞춰, 차량 내에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Vehicles and mobile devices (especially mobile phones, later referred to as mobile phones, bu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obile devices) have become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Therefore, it is common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drive the vehicle while carrying a mobile phone. In addition, there is a trend that the vehicle and the mobile phone are implemented to be mutually linked so that calls using the mobile phone or navigation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Accordingly, in line with such a trend, various technologies for mounting a mobile phone in a vehicle have begun to appear.
그런데, 종종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전화를 바꾸는 등에 의해 휴대전화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자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531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어느 특정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해 클램핑 조들의 클램핑 위치와 개방 위치를 기억하고, 차후 다른 휴대전화를 거치하기 위해 동일한 기억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휴대전화의 크기에 대응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전화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However,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may be changed by, for example, changing the mobile phone carried by the driver. In order to automatically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53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records the clamping position and open position of the clamping jaws to mount a specific mobile phone, We propose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responds to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in a way that repeats the same memory to hold the phone so that the driver can hold the mobile phone.
한편, 근래에는 삼성전자나 샤오미 등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폴더블폰을 제조함으로써 휴대전화의 넓이가 크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맞춰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도 그 파지폭이 가변될 수 있게 구현되는 구조가 모색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한 기종의 휴대전화가 넓이가 가변되도록 구현된 경우, 만일 종래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가변폭이 변경될 때마다 클램핑 위치를 다시 설정하여 기억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자주 발생하여 그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가변폭이 큰 휴대전화는 거치대의 파지폭 제한으로 폭이 넓어진 상태에서의 거치가 불가능하다.Meanwhile, in recent years, various mobile phone manufacturer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and Xiaomi, manufacture foldable phones so that the width of the mobile phone can be greatly change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a structure in which 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can be implemented with a variable gripping width will be sought. In this way, when a mobile phone of one type is implemented to have a variable width, if the prior art is to be applied, the inconvenience of re-setting and remembering the clamping position every time the variable width is changed occurs frequently,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mount a mobile phone with a large variable width in a wide stat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gripping width of the cradle.
본 발명은 별도의 파지위치를 기억할 필요가 없이 휴대전화를 적절히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나아가 휴대전화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그 가변된 크기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perly gripping a mobile phone without having to memorize a separate gripping position, and furthermore, can automatically grip the mobile phone in response to the variable size with a simple operation whe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can be changed. It was created out of concerns about technology.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제1 파지부재와의 간격이 벌려졌다 좁혀짐으로써 휴대전화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한다.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lding member provided to be able to return after moving in a left direction; A second gripping member fac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provided to move or return in the right direction, the second gripping member capable of gripping or releasing the mobile phone by widening and narrowing the gap with the first gripping member ; a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for generating a mov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mo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to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plac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Including, the controller i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oad amount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the amount of load sensed by the detecting means exceeds a set value;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ing unit that the load amount of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exceeds a set value. includes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1 벌림 간격보다 더 넓은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기; 를 더 포함한다.a spacer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first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gaping gap wider than the first gaping gap; further includes
상기 간격결정기는 궁극적으로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링크 또는 제2 링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한다.The spacer determiner may ultimately include a stopper for determining the first gaping distance and the second gaping gap by limit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or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the stopper to restrict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or the second link. includes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rotor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source; a first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or and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o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includes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좌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분; 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ripping member provided to be narrowed after being spread in a left direction; a second gripping member fac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provided to be narrowed after being spread in a right direction; a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for generating a mov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mo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to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plac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Including, the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rotor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source; and a conversion part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into linear motion of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includes
상기 전환부분은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or and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o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includes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한다.a detector for detec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Further comprising a,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from the sensor with preset value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파지위치를 기억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지부재가 벌어지는 간격과 모터 회전 수 또는 모터의 회전 시간과의 변환 대응에 따른 오차를 없앨 수 있다.First, since there is no need to memorize the gripp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error due to the conversion correspondenc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gripping members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or the rotation time of the motor.
둘째, 휴대전화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그 가변된 크기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좁은 폭으로 파지할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양 파지부재가 벌어지는 간격도 좁아질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시간이 짧아져서 사용의 편리성이 있다.Second, whe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can be changed, it can be automatically gripped in response to the changed siz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even when gripped with a narrow width, the gap between the gripping members can be narrowed accordingly. Therefore, the operation time is shortened, and there is convenience in use.
셋째, 폴더블폰과 같이 그 폭이 크게 가변되는 경우에도 양 파지부재의 간격이 그에 맞게 최대한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제품의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Third, even when the width is greatly changed like a foldable phone,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ncreased becaus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ap between both gripping members is widened as much as possible.
넷째, 링크를 적용하여 회전자의 회전력을 양 파지부재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 파지부재 간의 가변폭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variable width between both gripping members by having a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into linear movement force of both gripping members by applying a link and transmits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1 파지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2 파지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이동력 발생원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동력전달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안내부재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받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제어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간격결정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적용된 간격결정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간격결정기에 의한 위치 결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도 12와는 다른 예를 가진 간격결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폴더블 휴대전화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3 is an excerpt of a first gripping memb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FIG. 4 is an excerpt of a second gripping memb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5 is an excerpt of a source of movement force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6 is an excerpt of a power transmitt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7 is an excerpt of a guide memb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FIG.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memb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a vehicle of FIG. 1 .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l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cradle for a vehicle of FIG. 1 .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interval determin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of FIG. 1 .
11 is an excerpt of the spacing determiner applied to the mobile phone cradle for the vehicle of FIG. 1 .
1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ing structure by the spacer of FIG. 11 .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val determiner having an examp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12 .
14 shows a schematic example of a foldable mobile phone.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is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100, 이하 '거치대'라 약칭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대(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의 주요 구성들에 대하여 살펴본다.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main components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0)는 제1 파지부재(110), 제2 파지부재(120), 이동력 발생원(130), 동력전달기(140), 안내부재(150), 받침부재(160), 제어기(170) 및 간격결정기(180)를 포함한다.The
제1 파지부재(120)는 도 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파지단(111)과 한 쌍의 제1 안내봉(112a, 112b)을 포함한다.The
제1 파지단(111)은 그 위치에 따라서 휴대전화의 좌측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The first gripping
한 쌍의 제1 안내봉(112a, 112b)은 제1 파지부재(12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때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파지단(111)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A pair of first guide rods (112a, 112b) is provided so as to make a linear movement when the first gripping
제2 파지부재(120)는 제1 파지부재(110)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2 파지부재(120)도 도 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2 파지단(121)과 한 쌍의 제2 안내봉(122a, 122b)을 포함한다.The second gripping
제2 파지단(121)은 그 위치에 따라서 휴대전화의 우측단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The second gripping end 121 grips or releases the right end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its position.
한 쌍의 제2 안내봉(122a, 122b)은 제2 파지부재(1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 올 때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2 파지단(121)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A pair of second guide rods (122a, 122b) are provided so as to make a linear movement when the second gripping
이동력 발생원(130)은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동력 발생원(130)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M)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모터(M)의 구동력을 회전축(S)의 회전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각종 기어(G1 내지 G4)들을 가진다. 물론, 거치대(100)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으면, 회전축(S)에 모터(M)가 직접 동력을 입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The moving
동력전달기(140)는 이동력 발생원(130)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제1 파지부재(110) 및 제2 파지부재(120)로 전달함으로써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서로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기(140)는 도 6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회전자(141),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를 포함한다. The
회전자(141)는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최소가 되었을 때 대략 좌우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를 가지며, 그 중심에 있는 결합구멍(H)을 통해 회전축(S)에 결합되어서 회전축(S)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The
제1 링크(142)는 내측이 회전자(141)의 일 측 단에 힌지 결합되고, 외측이 제1 파지부재(110)의 상측 제1 안내봉(112a)의 대략 우측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The
제2 링크(143)는 내 측이 회전자(141)의 타 측 단에 힌지 결합되고, 외측이 제2 파지부재(120)의 하측 제2 안내봉(122b)의 대략 좌측 부위에 힌지 결합된다.The
위의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는 회전자(141)의 회전력을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분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제1 링크(142) 및 제2 링크(143)는 후술할 안내부재(150)와 함께 회전자(141)의 회전운동을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The
안내부재(150)는 도 7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위의 제1 안내봉(112a, 112b) 및 제2 안내봉(122a, 122b)이 삽입되는 4개의 안내홈(GG1 내지 GG4)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이동할 시에 제1 안내봉(112a, 112b) 및 제2 안내봉(122a, 122b)이 안내홈(GG1 내지 GG4)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이 직선 이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받침부재(160)는 도 8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에 의해 파지되거나 그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MP)의 밑단을 받친다.The
제어기(170)는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70)는 도 9의 구성도에서와 같이 감지수단(171), 판단수단(172) 및 제어수단(173)을 포함한다.The
감지수단(171)은 전류값을 통해 이동력 발생원(130)의 부하량(보다 정확히는 모터의 부하량)을 감지한다.The sensing means 171 senses the load amount (more precisely, the load amount of the motor) of the movement
판단수단(172)은 감지수단(171)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means 172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load sensed by the detection means 171 exceeds a preset set value.
제어수단(173)은 판단수단(172)에 의해 이동력 발생원(130)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력 발생원(1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The control means 173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간격결정기(180)는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 또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참고도 도 10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벌림 간격(D1)과 제2 벌림 간격(D2)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2 벌림 간격(D2)은 제1 벌림 간격(D1)보다 넓다. 그리고 제1 벌림 간격(D1)과 제2 벌림 간격(D2)은 사용자가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놓을 때 간섭 받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해 간격결정기(180)는 도 11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스토퍼(181)와 조작스위치(1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181)는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한다. 즉, 도 12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토퍼(181)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자(141)의 회전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제1 파지부재(110) 및 이에 연동하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81)가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1 링크(142)나 제2 링크(143)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직접 제1 파지부재(110) 또는 제2 파지부재(12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The
한편, 도 13은 간격결정기(180)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FIG. 1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도 13의 간격결정기(180)에 따르면, (a)에서와 같이 회전자(1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토퍼(181)가 회전자(141)의 회전을 제한시키지만, 회전자(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b) 및 (c)에서와 같이 회전자(141)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스토퍼(1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자(141)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회전자(141)와의 간섭이 제거되면, 스토퍼(181)는 스프링(182)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According to the
조작스위치(182)는 스토퍼(18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182)와 스토퍼(18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2)를 조작하여 스토퍼(181)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벌려질 때 제1 벌림 간격(D1)으로 벌려지거나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려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벌림 간격(D)과 제2 벌림 간격(D2)은 양 파지단(111, 121) 간의 간격으로 정의된다.The
참고로 도 2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속부재(4)를 구비하고, 구속부재(4)에 하측 제1 안내봉(112b)에 구비된 제1 구속돌기(R1)와 상측 제2 안내봉(122a)에 구비된 제2 구속돌기(R2)가 삽입되는 제1 구속홈(4a)과 제2 구속홈(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속홈(4a)은 우측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좌측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폐쇄된 부위에 제1 구속턱(J1)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구속홈(4b)은 좌측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우측 방향으로는 폐쇄되어 폐쇄된 부위에 제2 구속턱(J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 간의 간격이 벌려질 때 양 파지부재(110) 간의 최대 간격인 제2 벌림 간격(D2)은 제1 구속턱(J1)과 제2 구속턱(J2)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1 구속턱(J1)과 제2 구속턱(J2)이 제1 구속돌기(R1)와 제2 구속돌기(R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가 제2 벌림 간격(D2)보다 더 넓게 벌어지는 것이 제한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파지부재(110)와 제2 파지부재(120)의 최대 벌림 간격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기구적인 설계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구속부재(4)가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양 파지부재(110, 120)가 최대한 벌려지는 간격이 제2 벌림 간격(D2)이 되도록 기구적으로 구현되면 족하다.2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a
계속하여 도 1의 거치대(100)의 사용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use and operation of the
사용자는 도 14의 (a) 및 (b)에서와 같이 제1 폭(W1)과 제1 폭(W1)보다 더 넓은 제2 폭(W2)으로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휴대전화(MP)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폭(W1) 상태로 거치대(100)에 거치시키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4 , the user selects a mobile phone MP that can be selectively changed into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wider than the first width W1. Can be used. In this case, a case in which the user mounts the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0)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1 벌림 간격(W1)으로 벌어지도록 설정한 뒤, 벌림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제1 벌림 간격(W1)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벌림스위치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조작스위치(180)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user manipulates the
양 파지부재(110, 120)간의 간격이 제1 벌림 간격(D1)으로 벌어지면, 모터(M)의 부하량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수단(173)은 모터(M)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은 제1 벌림 간격(D1)인 상태가 된다. 이 후, 사용자는 휴대전화(MP)의 밑단이 받침부재(160)에 의해 받혀지도록 얹어 놓는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gripping
그리고 사용자는 파지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명령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73)은 모터(M)를 역회전시켜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한다. 그래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양 파지부재(110, 120)의 파지단(111, 121)이 각각 휴대전화(MP)의 좌측 단과 우측 단에 닿게 되면, 모터(M)의 부하량이 증가하면서 제어수단(173)이 모터(M)를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MP)는 거치대(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스위치는 별도 조작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놓으면 인식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structs the gap between the
한편, 사용자가 제2 폭(W2) 상태로 휴대전화(MP)를 거치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조작스위치(180)를 조작하여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양 파지부재(110, 120)는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을 가지도록 최대한 벌어지게 된다. 그래서 양 파지부재(110, 120)가 제2 벌림 간격(D2)으로 벌어지면, 사용자가 제2 폭(D2)의 휴대전화(MP)를 받침부재(160)에 얹어 놓는다. 그리고 이어서 양 파지부재(110, 120)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양 파지부재(110, 120)가 휴대전화(MP)의 좌우 양 단을 파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hold the mobile phone MP in the second width W2 state, the user operates the
위와 같은 동작 상태를 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폭(W1). 제2 폭(W2), 제1 벌림 간격(D1), 제2 벌림 간격(D2)의 길이 관계는 제2 벌림 간격(D2) > 제2 폭(W2) > 제1 벌림 간격(D1) > 제1 폭(W1) 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1 폭(W1)의 휴대전화(MP)를 파지할 시에도 양 파지부재(110, 120)의 벌림 간격을 그에 맞게 최소화시킴으로써 파지 동작의 신속성을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above operation state, the first width W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relation between the second width W2, the first gap D1, and the second gap D2 is the second gap D2 > the second width W2 > the first gap D1 > the second gap D2.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W1 is 1, which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참고적인 사항><References>
1.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 2, 3은 거치대의 외곽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의 부속품들이고, 부호 5a와 5b는 무선 충전 코일이다.1.
2. 거치대(100)가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도 당연히 가지고 있지만, 그에 관해서는 여러 형태가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2. Th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모터(M)의 동작을 위한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부분을 더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only wit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o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
110 : 제1 파지부재
120 : 제2 파지부재
130 : 이동력 발생원
140 : 동력전달기
141 : 회전자
142 : 제1 링크
143 : 제2 링크
150 : 안내부재
160 : 받침부재
170 : 제어기
171 : 감지수단
172 : 판단수단
173 : 제어수단
180 : 간격결정기
181 : 스토퍼
182 : 조작스위치
100: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110: first holding member
120: second holding member
130: source of movement force
140: power transmission
141: rotor 142: first link
143: second link
150: guide member
160: support member
170: controller
171: detection means 172: judgment means
173: control means
180: interval determiner
181: stopper 182: operation switch
Claims (7)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되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제1 파지부재와의 간격이 벌려졌다 좁혀짐으로써 휴대전화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부하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a first gripping member provided to be returned after moving in the left direction;
A second gripping member fac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provided to move or return in the right direction, the second gripping member capable of gripping or releasing the mobile phone by widening and narrowing the gap with the first gripping member ;
a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for generating a mov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mo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to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plac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including,
the controller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oad amount of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the load amount sensed by the detecting means exceeds a set value; and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means that the load amount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exceeds a set value; contain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1 벌림 간격보다 더 넓은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간격결정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a spacer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first gap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gaping gap wider than the first gaping gap; further compris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간격결정기는 궁극적으로 상기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1 벌림 간격과 상기 제2 벌림 간격을 결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1 링크 또는 제2 링크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제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cer determiner may ultimately include a stopper for determining the first gaping distance and the second gaping gap by limit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or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the stopper to restrict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or the second link; contain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tter
a rotor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source;
a first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or and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o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contain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제1 파지부재와 대향되며, 우측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력 발생원;
상기 이동력 발생원에 의해 발생된 이동력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2 파지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
상기 이동력 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 사이에 놓인 휴대전화의 밑단을 받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는
상기 동력발생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분; 을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a first gripping member provided to be narrowed after being widened in a left direction;
a second gripping member facing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provided to be narrowed after being spread in a right direction;
a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for generating a mov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power transmitter transmitting the mo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ving force generating source to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mo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force generating sourc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placed between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including,
The power transmitter
a rotor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source; and
a conversion part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into linear mo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contain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전환부분은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일 측 단과 상기 제1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및
양 측이 상기 회전자의 타 측 단과 상기 제2 파지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version part
a first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or and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a second link having both side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o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containing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온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파지부재 및 제2 파지부재의 이동 및 그 이동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a detector for detec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from the sensor with preset value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gripping member and the second gripping member and the amount of movement thereof.
Mobile device cradle for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en) | 2021-02-05 | 2021-02-05 |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en) | 2021-02-05 | 2021-02-05 |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3603A true KR20220113603A (en) | 2022-08-16 |
KR102486188B1 KR102486188B1 (en) | 2023-01-11 |
Family
ID=8306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105A KR102486188B1 (en) | 2021-02-05 | 2021-02-05 |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618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0313A1 (en) * | 2022-12-05 | 2024-06-13 | 东莞市派凡电子科技有限公司 | Gravity hol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7073A (en) * | 2014-02-18 | 2015-08-26 |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 A smart phone holder for car |
KR101924395B1 (en) * | 2018-08-30 | 2018-12-03 |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 Charging Cradle for Vehicles |
KR20200125229A (en) * | 2019-04-26 | 2020-11-04 | 강경석 |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
-
2021
- 2021-02-05 KR KR1020210017105A patent/KR1024861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7073A (en) * | 2014-02-18 | 2015-08-26 |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 A smart phone holder for car |
KR101924395B1 (en) * | 2018-08-30 | 2018-12-03 |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 Charging Cradle for Vehicles |
KR20200125229A (en) * | 2019-04-26 | 2020-11-04 | 강경석 |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0313A1 (en) * | 2022-12-05 | 2024-06-13 | 东莞市派凡电子科技有限公司 | Gravity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6188B1 (en) | 2023-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13603A (en) |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 |
US6824161B2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baby carriage with the same | |
JPWO2007102252A1 (en) | Monit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 |
WO2018001308A1 (en) | Stabilizer and stabilizer control method | |
JP4717405B2 (en) | X-ray apparatus and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C-arm of X-ray apparatus | |
JP2017089271A (en) | Binding machine | |
JP3825449B2 (en) | Gripping device | |
US6777903B1 (en) | Wedge type parallel jaw gripper for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 |
US4664589A (en) | Two-handed robot device | |
JP4628045B2 (en) |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 |
CN210998790U (en) | Self-clamping clamp holder | |
JP4640027B2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WO2017082002A1 (en) | Binding machine | |
JPWO2020161920A1 (en) | Mounting member | |
CN210543088U (en) | Running machine | |
JP7160955B2 (en) | Winders, cradles and mounting systems | |
JP4258060B2 (en) | Lens drive device | |
CN220842383U (en) | Clamping support and vehicle | |
CN115278434B (en) | Flip device | |
JP2018193742A (en) | Vehicle opening/closing member control device | |
WO2017082360A1 (en) | Binding machine | |
JP5062424B2 (en) | Robot control system | |
JP4826926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recording control method thereof | |
JP4202672B2 (en) | camera | |
JP4370643B2 (en) | Operation device for TV camera zoom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