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499A -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넌제로 삽입 기반의 변조 스킴 - Google Patents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넌제로 삽입 기반의 변조 스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499A
KR20220113499A KR1020227023975A KR20227023975A KR20220113499A KR 20220113499 A KR20220113499 A KR 20220113499A KR 1020227023975 A KR1020227023975 A KR 1020227023975A KR 20227023975 A KR20227023975 A KR 20227023975A KR 20220113499 A KR20220113499 A KR 2022011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coefficients
coefficient
adjacent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신
광휘 유
지안 후아
진 수
준 수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1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5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04L27/2631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with polyphas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1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reduc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r the mean power of the constellation; Arrangements for increasing the shape gain of a signal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신호 송신에서 피크 평균 전력 비율(PAPR)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입력 시퀀스에 대해,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의 출력에 대응하는 출력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갖는다. 방법은 출력 시퀀스를 사용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넌제로 삽입 기반의 변조 스킴
본 특허 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은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를 향해 세상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동 통신의 급속한 성장 및 기술에서의 발전은 용량 및 연결성에 대한 더 큰 수요로 이어졌다.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성, 및 레이턴시와 같은 다른 양태도 또한 중요하다. 더 높은 서비스 품질,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 특허 문서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신호 송신에서 피크 평균 전력 비율(Peak Average Power Ratio; PAPR)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시형태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기술을 설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입력 시퀀스에 대해,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convolutional modulation)의 출력에 대응하는 출력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non-zero coefficient)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power)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갖는다. 방법은 출력 시퀀스를 사용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갖는다. 방법은 입력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를 복조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그 상에 저장되는 코드를 포함한다.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이들, 및 다른 양태가 본 문서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플로우차트 표현이다.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플로우차트 표현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의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radio station)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섹션 표제(section heading)는 본 문서에서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각각의 섹션에서의 개시된 실시형태 및 기술의 범위를 그 섹션으로만 제한하지는 않는다. 소정의 피쳐는 5G 무선 프로토콜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의 적용 가능성은 5G 무선 시스템으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주파 무선 통신 시나리오에서, 경로 손실 및 섀도우 감쇠(shadow attenuation)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셀의 가장자리에 있는 일부 영역에서는 신호 대 노이즈 비율이 낮다. 또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의 효율성은 고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낮다. 신호 대 간섭 및 노이즈 비율(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을 개선하고 또한 유저 기기(UE)의 전력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UE가 더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PAPR)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단말 디바이스는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의 경우 전력 소비를 크게 감소시키기를 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시나리오에서,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유지 보수 팀을 파견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10년 이상의) 긴 배터리 수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단말 디바이스의 PA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송신된 신호는 더 낮은 PAPR을 가져야 한다. 특히, 많은 수의 유저 디바이스가 비직교 액세스를 획득하는 경우, SINR은 매우 낮다. 송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낮은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및 낮은 PAPR 신호 변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5세대(Fifth-Generation;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표준에서, DFT-s-OFDM 신호의 피크 대 평균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B5G 또는 6G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낮은 PAPR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이 특허 문서는, PAPR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변조 스킴을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의 플로우차트 표현이다. 방법(100)은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국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무선국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서 전자기기)는 방법(1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법(100)은, 동작(110)에서, 입력 시퀀스에 대해,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의 출력에 대응하는 출력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계수의 세트는 N 개의 넌제로 계수(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N은 1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갖는다. 방법(100)은, 동작(120)에서, 출력 시퀀스를 사용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는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와 동일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중간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β/N인데, 여기서 β는 입력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중간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4 또는 π/6이다(예를 들면, 중간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소정의 것에 대해 N = 1이고 중간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다른 소정의 것에 대해 N = 2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변조 동작은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중간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시간 도메인에서 순환 방식(circular manner)으로 시프트되는 순환 지연(circular delay) 또는 중간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시간 도메인에서 선형 방식으로 시프트되는 선형 지연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1일 때(즉, 하나의 넌제로 계수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됨),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이다.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p는 1 또는
Figure pct00001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1일 때(즉, 하나의 넌제로 계수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됨),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이다.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a| < 1이다. p는 1,
Figure pct00002
또는
Figure pct00003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2(즉,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삽입됨)인 경우, 넌제로 계수와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는 x(1) 및 x(2)이다.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x(1)과 x(2) 사이에 삽입되어 x(1), e(1), e(2), x(2)를 형성한다. x(1)과 e(1)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유사하게, e(2)와 x(2) 사이의 위상 차이 및 e(1)과 e(2) 사이의 위상 차이도 역시 π/6이다.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p는 1 또는
Figure pct00004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2(즉,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삽입됨)인 경우, 넌제로 계수와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는 x(1) 및 x(2)이다.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x(1)과 x(2) 사이에 삽입되어 x(1), e(1), e(2), x(2)를 형성한다. x(1)과 e(1)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유사하게, e(2)와 x(2) 사이의 위상 차이 및 e(1)과 e(2) 사이의 위상 차이도 역시 π/6이다.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a| < 1이다. p는 1,
Figure pct00005
또는
Figure pct00006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이한 지연 값을 사용하여 중간 시퀀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를 생성하는 것 및 복수의 값을 사용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의 가중된 합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경로(D-1, D0)가 주어지면, 다중 경로 지연 동작 이후, D-1 및 D0을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위상은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위상 사이에 있다. 또한, 출력 시퀀스의 모든 계수는 동일한 거듭제곱(또는 크기)을 가지며, 그에 의해, PAPR을 감소시킨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컨볼루션 변조의 동작은 필터 모듈에 의한 필터링 동작으로서 또한 지칭된다. 필터링 동작의 파라미터는 복수의 값에 대응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변조 스킴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컨스털레이션 포인트(constellation point)에 매핑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변조 스킴은 π/2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을 포함한다. 변조 스킴으로 π/2 BPSK를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시퀀스에서 각각의 인접한 두 개의 엘리먼트 사이의 위상이 π/2이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 이후, 데이터 경로를 중첩시킨 이후의 위상은 인접한 엘리먼트와 차이 0 또는 π/4(예를 들면, N = 1인 경우)0, 또는 대안적으로 0 또는 π/6(예를 들면, N = 2인 경우)를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 이후, 데이터 경로를 중첩시킨 이후의 위상은 차이 0 또는 π/4 또는 π/6를 갖는다(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소정의 것에 대해 N = 1이고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다른 소정의 것에 대해 N = 2임).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데이터 시퀀스 또는 기준 시퀀스(reference sequence)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제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로 계수는 입력 시퀀스의 각각의 계수 이전에 또는 이후에 삽입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시퀀스의 일부이다.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다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플로우차트 표현이다. 방법(200)은, 동작(210)에서,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퀀스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계수의 세트는 N 개의 넌제로 계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N은 1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갖는다. 방법(200)은, 동작(220)에서, 입력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를 복조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는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와 동일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중간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β/N인데, 여기서 β는 입력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중간 시퀀스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4 또는 π/6이다(예를 들면, 중간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소정의 것에 대해 N = 1이고 중간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중 다른 소정의 것에 대해 N = 2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변조 동작은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중간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시간 도메인에서 순환 방식(circular manner)으로 시프트되는 순환 지연(circular delay) 또는 중간 시퀀스의 엘리먼트가 시간 도메인에서 선형 방식으로 시프트되는 선형 지연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1일 때(즉, 하나의 넌제로 계수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됨),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이다.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p는 1 또는
Figure pct00007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1일 때(즉, 하나의 넌제로 계수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됨), 넌제로 계수와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넌제로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이다.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a| < 1이다. p는 1,
Figure pct00008
또는
Figure pct00009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2(즉,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삽입됨)인 경우, 넌제로 계수와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는 x(1) 및 x(2)이다.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x(1)과 x(2) 사이에 삽입되어 x(1), e(1), e(2), x(2)를 형성한다. x(1)과 e(1)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유사하게, e(2)와 x(2) 사이의 위상 차이 및 e(1)과 e(2) 사이의 위상 차이도 역시 π/6이다.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p는 1 또는
Figure pct00010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N = 2(즉,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에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삽입됨)인 경우, 넌제로 계수와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는 x(1) 및 x(2)이다. 두 개의 넌제로 계수가 x(1)과 x(2) 사이에 삽입되어 x(1), e(1), e(2), x(2)를 형성한다. x(1)과 e(1)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이다. 유사하게, e(2)와 x(2) 사이의 위상 차이 및 e(1)과 e(2) 사이의 위상 차이도 역시 π/6이다.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a| < 1이다. p는 1,
Figure pct00011
또는
Figure pct00012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이한 지연 값을 사용하여 중간 시퀀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를 생성하는 것 및 복수의 값을 사용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의 가중된 합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경로(D-1, D0)가 주어지면, 다중 경로 지연 동작 이후, D-1 및 D0을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위상은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위상 사이에 있다. 또한, 출력 시퀀스의 모든 계수는 동일한 거듭제곱(또는 크기)을 가지며, 그에 의해, PAPR을 감소시킨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데이터 시퀀스 또는 기준 시퀀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입력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제로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시퀀스를 복조하는 것은, 입력 시퀀스에서 대응하는 엘리먼트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값을 사용하여, 시퀀스의 인접한 엘리먼트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계수의 입력 시퀀스는 변조 스킴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컨스털레이션 포인트에 매핑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변조 스킴에 따라 입력 시퀀스로부터 대응하는 매핑된 컨스털레이션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 및 매핑된 컨스털레이션 포인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결정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변조 스킴은 π/2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을 포함한다. 변조 스킴으로 π/2 BPSK를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시퀀스에서 각각의 인접한 두 개의 엘리먼트 사이의 위상이 π/2이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 이후, 데이터 경로를 중첩시킨 이후의 위상은 인접한 엘리먼트와 차이 0 또는 π/4(예를 들면, N = 1인 경우)0, 또는 대안적으로 0 또는 π/6(예를 들면, N = 2인 경우)를 가지며, 그에 의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의 피크 대 평균 비율(PAPR)을 감소시킨다. 또한, 출력 시퀀스의 모든 계수는 동일한 거듭제곱(또는 크기)을 가지며, 그에 의해, 출력 시퀀스의 피크 대 평균 비율(PAPR)을 감소시킨다.
π/2 BPSK의 변조 스킴이 경로 계수와 결합되는 경우, 경로(예를 들면, D-1 및 D0)의 데이터를 중첩시킨 이후, 데이터 시퀀스([s(k)])의 모든 엘리먼트 데이터의 모듈러스(modulus) 값은 동일하고, 인접한 엘리먼트 사이의 위상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고, 그에 의해, 데이터 시퀀스([s(k)])의 PAPR을 감소시킨다. 또한, 데이터 시퀀스([s(k)])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수신단은, 수신측에서 프로세싱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최대 비율 결합과 같은 상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시퀀스([x(i)])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데이터 시퀀스([x(i)])는 복조 동안 데이터 엘리먼트 사이에서 에러 전파를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s(k)]의 길이가 [x(i)]의 길이보다 두 배로 되며, 이것이 더 많은 물리적 리소스를 필요하지만, 신호 대 노이즈 비율(SNR)의 향상(예를 들면, 실험은 SNR이 3 dB 이상만큼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냄)은 송신 효율성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은 낮은 PAPR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 시퀀스를 조작하기 위한 유연한 스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경로 지연 동작 및 계수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에 기초하여 가변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시퀀스의 모든 엘리먼트의 모듈러스는 동일하다. 특히, 모듈러스는, PAPR을 감소시키는 1과 동일하게 되는 복수의 값에 의해 정규화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송신단 및/또는 수신단에 대해 낮은 복잡도를 또한 부과한다. 개시된 기술의 몇몇 예는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다.
실시형태 1
입력 데이터 시퀀스는 [x(i)] = [x(0), x(1), ..., x(I - 1)]이다. 계수의 세트는 N 개의 넌제로 계수를 포함한다. N 개의 넌제로 계수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x(i)])의 엘리먼트 사이에 삽입되어 제2 데이터 시퀀스([y(j)])를 형성한다. N은 1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한 정수이다. 입력 데이터 시퀀스([x(i)])의 엘리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N 개의 계수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한다:
1. N 개의 계수 각각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거듭제곱(또는 크기)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또는 크기)을 갖는다.
2. N 개의 계수의 위상 값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위상 값 사이에 있다.
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N = 1이다. e(i)는 각각의 계수(x(i)) 뒤에 삽입되어 [y(j)] = [x(0), e(0), x(1), e(1), ..., x(I - 1), e(I - 1)]을 형성한다. 따라서, y(0) = x(0)이고, y(1) = e(0)이고, y(2) = x(1)이고, y(3) = e(1)이고, ..., 그리고 J = 2I이다. 대안적으로, e(i)는 각각의 계수(x(i) 및 [y(j)])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기 이전에 삽입될 수 있다. |x(0)|2 ≤ |x(1)|2일 때, e(0)의 2승(the 2nd power)은 |x(0)|2 ≤ |e(0)|2 ≤ |x(1)|2(또는 |x(0)| ≤ |e(0)| ≤ |x(1)|)을 충족한다. 또는, |x(1)|2 ≤ |x(0)|2일 때, e(0)의 2승은 |x(1)|2 ≤ |e(0)|2 ≤ |x(0)|2(또는 |x(1)| ≤ |e(0)| ≤ |x(0)|)을 충족한다. 또한, e(0)의 위상 값은 x(0)과 x(1)의 위상 값 사이에 있다.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e(0)과 x(0) 사이의 위상 차이는 e(0)과 x(1) 사이의 위상 차이와 동일하다.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e(i) = (x(i) + x(i + 1))/√2이다.
그 다음, 데이터 시퀀스([y(j)])는 복수의 값에 따라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경로 지연이 2의 탭을 가질 때(즉, 두 개의 지연 경로가 있음), 복수의 값은 [p, p]일 수 있는데, 여기서 p = 1이거나 또는
Figure pct00013
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사이클릭 지연 동작일 수 있다:
(1) 제1 경로에서, 데이터 시퀀스([y(j)])는 0의 지연 값을 갖는 사이클릭 지연을 겪는다. p를 승산한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는 다음의 것이다: [x(0), e(0), ..., x(I - 1), e(I - 1)]×p.
(2) 제2 경로에서, 데이터 시퀀스([y(j)])는 1의 지연 값을 갖는 사이클릭 지연을 겪는다. p를 승산한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는 다음의 것이다: [e(I - 1), x(0), e(0), ..., x(I - 1)]×p. 엘리먼트(e(I - 1))는 지연 동작의 사이클릭 또는 순환적 성질에 기인하여 시퀀스의 시작으로 시프트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지연 경로에 대한 지연 값은 또한 (-1, 0), (1, 2), 등등과 같은 다른 값일 수 있다. 지연 동작은 또한 다중 경로 선형 지연 동작일 수 있다. 두 개의 경로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 시퀀스를 더한 이후, 데이터 시퀀스([s(k)])는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s(k)] = p[e(I - 1) + x(0), x(0) + e(0), ..., x(I - 1) + e(I - 1)], K = J = 2I.
s(k)의 인접한 엘리먼트 사이의 위상 차이는 0 또는 4/π일 수 있다(예를 들면, N = 1).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정규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p의 값은 1 또는 1/√2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모든 엘리먼트에 대해 동일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시퀀스의 상이한 엘리먼트에 대해 변할 수도 있다.
데이터 시퀀스([s(k)])는 송신을 위한 물리적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반송된다. 물리적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송신할 때, 리소스를 절약하기 위해, s(K) 엘리먼트 중 일부를 폐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실시형태 2
입력 데이터 시퀀스는 [x(i)] = [x(0), x(1), ..., x(I - 1)]이다. 계수의 세트는 N 개의 넌제로 계수를 포함한다. N 개의 넌제로 계수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x(i)])의 엘리먼트 사이에 삽입되어 제2 데이터 시퀀스([y(j)])를 형성한다. N은 1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한 정수이다. 입력 데이터 시퀀스([x(i)])의 엘리먼트 사이에 삽입되는 N 개의 계수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한다:
1. N 개의 계수 각각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거듭제곱(또는 크기)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또는 크기)을 갖는다.
2. N 개의 계수의 위상 값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한 엘리먼트의 위상 값 사이에 있다.
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N = 2이다. e(i) 및 e(i + 1)는 각각의 계수(x(i)) 뒤에 삽입되어 [y(j)] = [x(0), e(0), e(1), x(1), e(2), e(3), ..., x(I - 1), e(2I - 2), e(2I - 1)]를 형성한다. 따라서, y(0) = x(0)이고, y(1) = e(0)이고, y(2) = e(1)이고, y(3) = x(1)이고, ..., 그리고 J = 3I이다. 대안적으로, e(i) 및 e(i + 1)는 각각의 계수(x(i) 및 [y(j)])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기 이전에 삽입될 수 있다. |x(0)|2 ≤ |x(1)|2일 때, e(0)의 2승은 |x(0)|2 ≤ e(0)2 ≤ |x(1)|2(또는 |x(0)| ≤ |e(0)| ≤ |x(1)|)을 충족한다. 또는, |x(1)|2 ≤ |x(0)|2일 때, e(0)의 2승은 |x(1)|2 ≤ |e(0)|2 ≤ |x(0)|2(또는 |x(1)| ≤ |e(0)| ≤ |x(0)|)을 충족한다. |x(0)|2 ≤ |x(1)|2일 때, e(1)의 2승은 |x(0)|2 ≤ e(1)2 ≤ |x(1)|2(또는 |x(0)| ≤ |e(1)| ≤ |x(1)|)을 충족한다. 또는, |x(1)|2 ≤ |x(0)|2일 때, e(1)의 2승은 |x(1)|2 ≤ |e(1)|2 ≤ |x(0)|2(또는 |x(1)| ≤ |e(1)| ≤ |x(0)|)을 충족한다. 또한, e(0) 및 e(1)의 위상 값은 x(0)의 위상 값과 x(1)의 위상 값 사이에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e(0)과 x(0) 사이의 위상 차이, e(0)과 e(1) 사이의 위상 차이, 및 e(1)과 x(1) 사이의 위상 차이는 동일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위상 차이는 π/6이다.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Figure pct00014
이고
Figure pct00015
이다.
그 다음, 데이터 시퀀스([y(j)])는 복수의 값에 따라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겪는다. 예를 들면, 다중 경로 지연이 3의 탭을 가질 때(즉, 세 개의 지연 경로가 있음), 복수의 계수는 p[a, 1, a]일 수 있는데, 여기서 |a| < 1이다. p는 1,
Figure pct00016
또는
Figure pct00017
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선형 지연 동작이다:
(1) 제1 경로에서, 데이터 시퀀스([y(j)])는 -1의 지연 값을 갖는 선형 지연을 겪는다. 값 pa를 승산한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는 다음의 것이다: pa×[x(0), e(0), e(1), ..., e(2I - 1), 0]. 제1 엘리먼트(x(0))는 지연 동작의 선형 성질에 기인하여 시간 도메인 포지션(t = -1)으로 선형적으로 시프트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2) 제2 경로에서, 데이터 시퀀스([y(j)])는 0의 지연 값을 갖는 선형 지연을 겪는다. 지연 값이 0이기 때문에, 이 경로의 데이터 시퀀스는 [y(j)]로서 유지된다. p를 승산한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는 p×[0, x(0), e(0), e(1), 0, ..., x(I - 1), e(2I - 2), e(2I - 1)]이다. 시퀀스가 시간 도메인 포지션(t = -1)으로부터 시작하는 제1 시퀀스와 정렬될 수 있도록 선행 제로(leading zero)가 시퀀스에 추가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3) 제3 경로에서, 데이터 시퀀스([y(j)])는 1의 지연 값을 갖는 선형 지연을 겪는다. pa를 승산한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pa×[0, 0, x(0), e(0), ..., x(I - 1), e(2I - 2), e(2I - 1)]. 시퀀스가 시간 도메인 포지션(t = -1)으로부터 시작하는 제1 시퀀스와 정렬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선행 제로가 시퀀스에 추가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지연 경로에 대한 지연 값은 또한 (-2, -1, 0), (0, 1, 2), 등등과 같은 다른 값일 수 있다. 지연 동작은 또한 다중 경로 사이클릭 지연 동작일 수 있다. (1), (2), 및 (3)에서 세 개의 경로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 시퀀스를 더한 이후, 데이터 시퀀스([s(k)])는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s(k)] = [pax(0), pae(0) + px(0), pa(e(1) + x(0)) + pe(0), ..., pae(2I - 1)], K > J = 3I.
s(k)의 인접한 엘리먼트 사이의 위상 차이는 0 또는 6/π일 수 있다(예를 들면, N = 2일 때). 위상 차이는 또한, N > 2인 경우 6/π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정규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p의 값은 1,
Figure pct00018
, 또는
Figure pct00019
일 수 있는데, 여기서 |a| < 1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모든 엘리먼트에 대해 동일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는 시퀀스의 상이한 엘리먼트에 대해 변할 수도 있다.
데이터 시퀀스([s(k)])는 송신을 위한 물리적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반송된다. 물리적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송신할 때, 제1 데이터 엘리먼트(s(0))는 이전 데이터 블록과 중첩되어 송신되고, 마지막 데이터 엘리먼트(s(K - 1))는 나중의(latter) 데이터 블록과 중첩되어 송신된다.
실시형태 3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의 시퀀스를 예시한다. 송신될 유저 데이터 시퀀스([b(m)])는, 먼저, 컨스털레이션 포인트에 의해 변조되어 데이터 시퀀스([x(i)])를 생성한다. 컨스털레이션 변조는 π/2 BPSK, π/4 QPSK, QPSK, 16QAM, 및/또는 APSK를 포함한다. 그 다음, 계수의 세트로부터의 N 개의 넌제로 계수(N ≥ 1)가 데이터 시퀀스([x(i)])에 삽입되어 데이터 시퀀스([y(j)])를 생성한다. N 개의 계수는 데이터 시퀀스([x(i)])의 각각의 엘리먼트 이전에 또는 이후에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시퀀스([y(j)])는 복수의 값(예를 들면, [p, p], p[a, 1, a])으로 컨볼루션 변조되어 데이터 시퀀스([s(k)])를 생성한다. 컨볼루션 변조는 원형 컨볼루션, 선형 컨볼루션, 사이클릭 지연 동작, 또는 선형 지연 동작을 포함한다.
실시형태 4
도 3의 컨볼루션 변조가 순환 컨볼루션 변조(circular convolution modulation)인 경우, 사이클릭 컨볼루션 변조는 데이터 시퀀스([y(j)]) 및 복수의 값(예를 들면, [p, p], p[a, 1, a])의 순환 컨볼루션을 포함한다. 상이한 다중 경로 지연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 시퀀스(f(n))의 상이한 사이클릭 시프트가 구현될 수 있다. 컨볼루션 변조의 다른 세부 사항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송신을 위해 데이터 시퀀스([s(k)])가 물리적 시간-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반송되기 이전에, 데이터 시퀀스([s(k)])에서 기준 시퀀스를 추가하는 것, 데이터 시퀀스([s(k)]) 이전에 또는 이후에 기준 시퀀스를 추가하는 것,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수행하는 것, 주파수 성형을 수행하는 것, 역 FFT(Inverse FFT; IFFT)를 수행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 시퀀스([s(k)])의 필터링과 같은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 BS)(405a, 405b),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410a, 410b, 410c, 410d), 및 코어 네트워크(4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5a, 405b)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섹터 내의 무선 디바이스(410a, 410b, 410c 및 410d)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기지국(405a, 405b)은 상이한 섹터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지향성 빔을 생성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42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405a, 405b)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425)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성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410a, 410b, 410c, 및 410d)에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405a)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반면, 제2 기지국(405b)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405a 및 405b)은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현장에서 함께 위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410a, 410b, 410c, 및 410d)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 및 실시형태는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또는 UE)와 같은 무선국(505)은, 본 문서에서 제시되는 무선 기술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기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505)은 안테나(5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랜스시버 전자기기(5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505)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505)은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프로세서 전자기기(510)는 트랜스시버 전자기기(5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기술, 모듈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국(505)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본 문서는 신호 송신에서 PAPR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다양한 무선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낮은 PAPR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문헌에서 설명되는 개시된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 모듈 및 기능 동작은, 디지털 전자 회로부(circuitry)에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본 문헌에 개시된 구조 및 그들의 구조적 등가물을 비롯한, 하드웨어로,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 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스토리지 기판, 메모리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전파 신호에 영향을 끼치는 재료의 조성,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예로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비롯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 및 머신을 포괄한다. 장치는, 하드웨어 외에,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면,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된 신호는,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의 송신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생성되는 인공적으로 생성되는 신호, 예를 들면, 머신 생성의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 신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 또한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식(compiled) 또는 인터프리트식 언어를 비롯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그것은,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다른 유닛으로서 배치되는 것을 비롯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반드시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예를 들면,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유지하는 파일의 부분에서, 해당 프로그램에 전용되는 단일의 파일에서, 또는 다수의 협력 파일(coordinated file)(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분을 저장하는 파일)에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인터커넥트되는 다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 및 출력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을 수행할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로직 플로우는 또한, 특수 목적 로직 회로부,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주문형 집적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또한,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절한 프로세서는,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둘 모두,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리드 온리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모두로부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엘리먼트는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스토리지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할 것이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또는 이들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또는 둘 모두를 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디바이스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예를 들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또는 착탈식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CD ROM 및 DVD-ROM 디스크를 비롯한, 모든 형태의 불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에 의해 보충될 수 있거나, 또는 그에 통합될 수 있다.
이 특허 문헌이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발명의 또는 청구될 수도 있는 것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고유할 수도 있는 피쳐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 문헌에서 별개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피쳐는 단일의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피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피쳐가 소정의 조합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될 수도 있고 심지어 초기에 그와 같이 주장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쳐는 몇몇 경우에 조합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으로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작이 도면에서 특정한 순서로 묘사되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이 도시되는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 특허 문헌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모든 실시형태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몇몇 구현예 및 예만이 설명되며, 다른 구현예, 개선예 및 변형예가 본 특허 문헌에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2)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입력 시퀀스에 대해,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convolutional modulation)의 출력에 대응하는 출력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중간 시퀀스는 상기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non-zero coefficient)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상기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power)과 상기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상기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상기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가짐 - ; 및
    상기 출력 시퀀스를 사용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볼루션 변조는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기 중간 시퀀스의 계수가 시간 도메인에서 순환 방식(circular manner)으로 시프트되는 순환 지연(circular delay) 또는 상기 중간 시퀀스의 계수가 시간 도메인에서 선형 방식으로 시프트되는 선형 지연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이한 지연 값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 시퀀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값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연된 경로의 가중된 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넌제로 계수와 상기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상기 넌제로 계수와 상기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인,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넌제로 계수와 상기 중간 시퀀스의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인,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0인,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4인,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인, 무선 통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하되, |a| < 1인, 무선 통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p = 1,
    Figure pct00020
    , 또는
    Figure pct00021
    인, 무선 통신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퀀스는 변조 스킴(modulation scheme)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컨스털레이션 포인트(constellation point)에 매핑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스킴은 π/2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퀀스는 데이터 시퀀스 또는 기준 시퀀스(reference sequenc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제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의 세트는 상기 입력 시퀀스의 각각의 계수 이전에 또는 이후에 삽입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모든 계수는 동일한 거듭제곱을 갖는, 무선 통신 방법.
  2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값과 중간 시퀀스 사이의 컨볼루션 변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중간 시퀀스는 입력 시퀀스의 계수 사이에 계수의 세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계수의 세트의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제1 인접 계수와 제2 인접 계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넌제로 계수는 (1) 상기 제1 인접 계수의 제1 거듭제곱과 상기 제2 인접 계수의 제2 거듭제곱 사이에 있는 거듭제곱 및 (2) 상기 제1 인접 계수의 제1 위상 값과 상기 제2 인접 계수의 제2 위상 값 사이의 위상 값을 가짐 - ; 및
    상기 입력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시퀀스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볼루션 변조는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두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세 개의 지연 경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기 중간 시퀀스의 계수가 시간 도메인에서 순환 방식으로 시프트되는 순환 지연 또는 상기 중간 시퀀스의 계수가 시간 도메인에서 선형 방식으로 시프트되는 선형 지연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경로 지연 동작은:
    상이한 지연 값을 사용하여 상기 중간 시퀀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지연된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값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지연된 경로의 가중된 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넌제로 계수와 상기 제1 인접 계수 사이의 제1 위상 차이 및 상기 넌제로 계수와 상기 제2 인접 계수 사이의 제2 위상 차이는 π/4인, 무선 통신 방법.
  28.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넌제로 계수와 상기 중간 시퀀스의 대응하는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인, 무선 통신 방법.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0인, 무선 통신 방법.
  30.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4인, 무선 통신 방법.
  31.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두 개의 인접 계수 사이의 위상 차이는 π/6인, 무선 통신 방법.
  32.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값은 [p, p]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값은 p[a, 1, a]를 포함하되, |a| < 1인, 무선 통신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p = 1,
    Figure pct00022
    , 또는
    Figure pct00023
    인, 무선 통신 방법.
  35. 제21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변조 스킴에 따라 상기 입력 시퀀스로부터 대응하는 매핑된 컨스털레이션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컨스털레이션 포인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스킴은 π/2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21항 내지 제36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퀀스는 데이터 시퀀스 또는 기준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제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21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의 세트는 상기 입력 시퀀스의 각각의 계수 이전에 또는 이후에 삽입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21항 내지 제39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퀀스의 모든 계수는 동일한 거듭제곱을 갖는, 무선 통신 방법.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서 기재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42.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에서 기재되는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23975A 2019-12-13 2019-12-13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넌제로 삽입 기반의 변조 스킴 KR20220113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25216 WO2021093073A1 (en) 2019-12-13 2019-12-13 Non-zero insertion based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499A true KR20220113499A (ko) 2022-08-12

Family

ID=7591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975A KR20220113499A (ko) 2019-12-13 2019-12-13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넌제로 삽입 기반의 변조 스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77604B2 (ko)
EP (1) EP4073989A4 (ko)
KR (1) KR20220113499A (ko)
CN (1) CN114747185B (ko)
CA (1) CA3164394A1 (ko)
WO (1) WO20210930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640A (en) * 1996-04-04 1998-09-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modulated signals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7599327B2 (en) * 2004-06-24 2009-10-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043491B (zh) * 2006-03-20 201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部分发送序列方法及其装置
GB0818989D0 (en) * 2008-10-16 2008-11-26 Univ Glasgow A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JP5892073B2 (ja) * 2013-01-15 2016-03-23 アイコム株式会社 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FR3026907B1 (fr) 2014-10-03 2017-11-24 B<>Com Procede d'emission d'un signal multi-porteuses, procede de reception, dispositifs, et programmes d'ordinateurs associes
WO2016089056A1 (ko) * 2014-12-02 201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프리엠블 시퀀스의 생성 방법
WO2017078607A1 (en) * 2015-11-06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cessing a constant amplitude sequence for transmission
CN107645459A (zh) * 2016-07-21 2018-01-30 索尼公司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设备
US10868704B2 (en) * 2016-10-31 2020-1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US10735225B2 (en) * 2017-05-04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00907B2 (en) * 2017-07-12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for millimeter wave new radio
CN107800662B (zh) * 2017-12-05 2021-01-19 上海无线电设备研究所 一种降低扩频ofdm信号峰值平均功率比的方法
CN111262805B (zh) * 2018-11-30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9861939B (zh) * 2019-01-25 2021-09-10 西安思丹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oqpsk频域均衡无线数据传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47185A (zh) 2022-07-12
CN114747185B (zh) 2024-02-06
US11677604B2 (en) 2023-06-13
WO2021093073A1 (en) 2021-05-20
EP4073989A1 (en) 2022-10-19
US20220385514A1 (en) 2022-12-01
EP4073989A4 (en) 2023-03-22
CA3164394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2622B2 (en) Spread-spectrum coding of data bursts
US10116479B2 (e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controll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f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21435A1 (en) Ofd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fdm communication method
US20220311651A1 (en) Frequency-domain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US11770282B2 (en)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PAPR)
US11962451B2 (en)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PAPR)
CN114747185B (zh) 用于低峰值平均功率比的基于非零插入的调制方案
JP7464714B2 (ja) 低ピーク平均電力比に関する時間ドメイン変調スキーム
KR10231534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 심벌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688299B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基站
CN10996275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22084326A1 (en) Dual-carrier index modulation (dc-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