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80A -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080A
KR20220113080A KR1020210016831A KR20210016831A KR20220113080A KR 20220113080 A KR20220113080 A KR 20220113080A KR 1020210016831 A KR1020210016831 A KR 1020210016831A KR 20210016831 A KR20210016831 A KR 20210016831A KR 20220113080 A KR20220113080 A KR 2022011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ucher
terminal device
payment
customer
custo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플러스공유뱅크
이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플러스공유뱅크, 이승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플러스공유뱅크
Priority to KR102021001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080A/ko
Publication of KR2022011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를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들이 바우처 공유플랫폼에 등록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발행하고, 발행한 바우처를 상품결제 시 사용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과 상호 결제하는데 있어 전용 결제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방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는 상호 현금의존도를 낮추기 위하여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와 함께 5:5로 쓰도록 발행자가 바우처 공유플랫폼 상에서 등록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발행자끼리 상품 구입 시 바우처를 사용하고 각기 자기 고객에게도 바우처를 판매할 수 있으며, 구입한 고객은 발행자와 같은 자격으로 상품결제 시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각각의 바우처 발행자는 바우처 공유플랫폼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상품과 고객을 공유플랫폼 상에서 공유하고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를 함께 쓰게 되어 구매력이 배가되어 매출이 늘어나며, 현금의존도가 낮추어진다. 그리고, 바우처는 온/오프 사용처에서 사용 시 일부를 결제하고, 나머지 잔액은 다른 결제수단으로 간편하게 분할 결제할 수 있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System for operating voucher sharing platform based on social network credit and a method for making payment in installments using shared pay}
본 발명은 동네상점 등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누구나 현금기반이 아닌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공유플랫폼에서 발행하여 판매하고 고객은 구입하고, 상품거래 시 사용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과 상호 결제하는데 있어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방법이다.
바우처(voucher)는 "증서, 상품권, 할인권, 쿠폰"이란 뜻인데, 기업 등에서는 고객유치 및 상품 프로모션 등을 위해 고객에게 상품권을 발행하여 판매하거나 할인쿠폰을 발행하여 우수 고객에게 지급하고 있다. 이러한 바우처는 특정 사용처에서 고객이 구입을 원하는 상품을 결제(또는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데, 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정부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서비스)에 대한 지불 인증권을 의미한다. 즉, 정부가 수요자에게 쿠폰을 지급해 원하는 공급자를 선택하도록 하고, 공급자가 수요자에게서 받은 쿠폰을 제시하면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이때 지급되는 쿠폰을 바우처(voucher)라고 한다.
노인, 장애인, 산모, 아동 등 사회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일종의 이용권을 발급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서비스 바우처가 대표적이다. 또 문화 향유 기회가 적은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 바우처가 존재하며, 저소득층에게 임대료 일부를 지원해주는 주택 바우처 등 다양한 바우처가 존재한다.
그러나 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의 상품권은 기업의 이익을 위하여, 정부의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바우처는 예산안에서 발행이라는 규모와 지속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최종 현금 정산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등의 온라인 환경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 및 모바일 형태의 바우처가 활성화 되면서, 다양한 주체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바우처를 사용하여 그 종류와 사용 범위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으나 사용방법에 있어 종래의 바우처는 지정된 매장에서 특정 상품을 구입 할 경우, 바우처 금액 범위 내에서 구입 비용 전액을 결제하거나, 바우처 금액이 구입비용 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현금으로 환불 받거나 별도로 구입비용을 결제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바우처는 최종 현금기반의 정산과 일편 적인 결제방식 그리고 기능과 발행 효과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144호(공개일자: 2012.02.14.)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들이 현금의존도를 낮추고 매출을 늘리기 위하여, 바우처를 발행하고 발행자들끼리 서로 사용하고 이를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발행한 바우처를 취급하는 제휴점 체결의 운영서비스를 공유경제 시스템인 바우처 공유플랫폼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유경제의 이점인 최적의 비용으로 어떠한 사업자들도 바우처를 발행하여 보다 더 안정적인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와 공유 그리고 상품과 고객의 공유를 통한 공동구입, 공동판매, 공동이익의 경제공동체 구성을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과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술문화분야의 문화페이, 교육체육분야의 교육페이, 사회봉사분야의 봉사페이 등 상생과 나눔의 사회적페이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과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우처로 온, 오프매장의 상품구입 시 비대면 테이블오더 방식의 시대적인 기능을 분할결제와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과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바우처 공유플랫폼 전용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제내역을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매장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여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을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분할 결제부; 및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하고, 상기 결제내역을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매장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결제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 발행자들은 공유플랫폼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바우처를 발행하기에 상품과 고객을 공유한 매출 증대와 발행자가 직접 사용처에서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기에 현금의존도를 낮추고 바우처 판매에 따른 현금 유동성 확보 등 사업운영에 안정이 된다.
둘째, 바우처 공유플랫폼을 통하여 제휴점을 확대하여 바우처 사용처를 확대할 수 있으며, 가맹점과 제휴점 그리고 오프라인과 온라인간의 상생구조가 만들어 진다.
셋째, 바우처 구입 사용자는 바우처를 활용하여 발행가맹점인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를 도울 수 있으며, 항상 최대 50% 상품할인으로 가계경제에 도움이 된다.
넷째,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는 가맹점과 제휴점을 사용처로 활용하여 바우처를 문화예술분야의 문화페이, 교육체육분야의 교육페이, 사회봉사분야의 봉사페이 등 사회적페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세계최초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로서 현금 또는 카드(신용 및 체크)와 함께 사용되어 구매력을 배가하여 매출을 증대시키며, 재화로만 최종 정산되는 한국형 바우처와 한국형 바우처 공유 플랫폼을 세계각국에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하여 수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를 제공하기 위한 각 구성들 간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첨부된 구성도(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 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 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 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인접하거나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게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열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있어서, “공유페이”란,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을 말하며, 바우처는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를 말한다. 사용처(매장)에서 고객이 구입을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교환(또는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 식료품, 의료, 복지와 같은 특정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상품권, 할인권, 쿠폰 등을 포함하는 바우처(Voucher)의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기반의 바우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우처 공유플랫폼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거래수단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바우처 발행을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의 사업체를 바우처 공유플랫폼에서 모집하여 등록하게 하고, 이러한 바우처 공유플랫폼 상에서 발행대행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의 사업체인 가맹점과 상품 또는 용역을 구매하는 사용자 사이의 결제 수단으로 이용되는 바우처(Voucher)를 발행 및 관리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의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에 소정의 플랫폼이용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바우처 발행을 요청하고, 상기 바우처 발행 서버에 의해 발행된 바우처를 사용자에게 판매 또는 제공하는 상기 바우처 공유플랫폼에 등록된 발행가맹점의 단말장치 및 상품 또는 용역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발행가맹점에 바우처를 지불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우처는 상기 발행가맹점이 최종 현금으로 교환되지 않고 재화로만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행가맹점은 다른 바우처 발행가맹점과의 거래에서 상품가격의 50%는 바우처로 지불하고, 나머지는 50%는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발행가맹점에 상품 가액의 50%는 바우처로 지불하고, 나머지 50%는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로 지불할 수 있으며, 상기 발행가맹점은 바우처를 판매하지 않고, 발행가맹점의 상품과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의 해외 제휴가맹점의 상품 및 면세 상품을 발행가맹점이 바우처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행가맹점이 발행한 바우처를 취급하는 제휴점을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가 모집하여 바우처 공유플랫폼에 등록하게 하고 바우처와 현금 또는 카드(신용, 체크)의 사용비율은 제휴점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데, 상기 발행가맹점은 상기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에 바우처 발행을 요청하면서 발행 바우처 액면가액 소정에 해당하는 현금을 바우처 공유플랫폼 이용 발행 수수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든 바우처 사용자는 상품 가액의 소정 금액에 해당하는 현금을 상기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에 플랫폼이용 사용수수료로 지불할 수 있으며, 상기 발행가맹점은 바우처 공유플랫폼 상에서 바우처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할 경우 모든 발행자와 동일하게 사용자에게 50% 할인 판매할 수 있다. 상기 바우처는 플라스틱 카드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래 가능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우처는 1만원, 2만원 및 3만원 단위와 이외 단위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와 협의 하에 충전 가능하며, 상기 바우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바우처는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 신유형상품권 표준 약관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상기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사의 서버는 발행가맹점 관리 정보 및 바우처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바우처 발행사업에 가입한 상품 및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의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발행가맹점 회원 정보 처리부와, 상기 발행가맹점으로부터 요청한 발행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발행가맹점 바우처 발행 처리부와, 사용자의 환전 요청에 따른 환전 정보를 저장하는 바우처 환전 처리부와, 발행된 바우처의 회수에 따른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바우처 폐기 처리부 및 바우처 사업 해외 거래처를 통한 해외 바터 무역에 따른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바우처 외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바우처를 자원봉사자 및 자원봉사단체들이 사회적 페이로 봉사활동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행가맹점은 가맹점에 고용된 근로사용자와 근로 임금액 대비 150%를 상향하고 지급은 바우처와 현금을 5:5로 지불하는 것의 공유형 일자리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는 가장 대표적인 형태인 바우처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및 그 구성과 처리과정에 대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공유페이가 바우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객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편의를 위해 구분하지 않고 상품으로 단일화하여 설명하지만, 상품으로 기재된 설명이 서비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바우처 서버(200),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 고객 단말장치(400), 매장 단말장치(500) 및 결제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이동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통신망(100)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망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서버(200)는, 바우처 발급, 사용승인, 결제처리 등의 바우처 관련 운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서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우처 서버(200)는 기본적인 바우처 운영社(예를 들면, 기업, 단체, 공공기관 또는 바우처 전문운영사)의 운영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고객(사용자)이 바우처를 신청할 경우 고객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바우처를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바우처를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구매하고자 할 경우, 고객의 등급 또는 판매하는 바우처의 종류(예를 들면, 사용처, 상품종류 등)에 따라 일정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무상으로 지급하는 바우처의 경우도, 고객(사용자)에 따라 바우처의 사용금액을 차등적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바우처 서버(200)는 이후 설명되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 및/또는 고객 단말장치(4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연결되는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우처 서버(200)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 및/또는 고객 단말장치(400)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도록, 웹/앱 상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바우처 서버(200)는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전송하는 바우처 신청(구매)정보를 기초로,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가 포함된 데이터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를 생성하여 바우처에 구비(내장)되도록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장치 정보는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 정보 또는 상기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 단말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상품(서비스 포함)를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내장)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매장 단말장치(500)를 통해 인식하여 구입비용의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바우처로 결제하고, 나머지(잔액 부담금)는 고객의 단말장치(400)를 이용하여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하여 결제 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매장에서 상품 구입 시, 바우처에 포함된 데이터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이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예를 들면, 고객의 단말장치에 저장된 전자지갑)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에 따라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바우처로 결제 가능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고,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는 잔액 부담금(구입비용 중 바우처로 결제하고 남은 금액)을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로 결제(결제수단 선택) 요청하면, 고객 단말장치(400)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고, 상기 잔액 부담금의 결제내역을 고객 단말장치(400) 및 매장 단말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 결제비율(바우처 부담금: 잔액 부담금)을 유동적으로 변동시켜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어, 고객의 지출부담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매장의 매출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잔액 부담금을 현금으로 결제할 경우, 현금영수증 처리와 현금지출내역을 기초로 하는 가계부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잔액 부담금을 고객이 지정하는 다른 사람이 대신 결제 할 수 있도록, 고객 지정 단말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로 연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바우처의 활성화 정보와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매장 체류시간(예를 들면, 식당 식사 시간, 커피숍 머무 시간)에 따라, 바우처 부담금 또는 잔액 부담금 중 일부를 할인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분할결제 시 일부를 고객의 설정 또는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기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장치(400)는,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자신이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서비스 포함)에 대하여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바우처로 결제하고, 나머지(잔액 부담금)는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결제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송수신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고객 단말장치(400)는 고객이 구매(또는 지급)한 바우처를 저장하며, 저장된 바우처에 내장된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하여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결제하고, 나머지 잔액(기타부담금)은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결제 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장치(400)는 구매(또는 지급)한 바우처 금액을 저장하며, 저장된 바우처 금액 중 일부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입할 경우, 해당 바우처 정보와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상품에 대하여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결제하고, 나머지 잔액(기타부담금)은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결제 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장치(400)는 다른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바우처를 저장하며, 이러한 바우처에는 해당 바우처 정보만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고객(사용자)을 식별할 수 있도록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고객의 단말장치(400)의 전자지갑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바우처의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하여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결제하고, 나머지(잔액 부담금)은 전자지갑의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결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객 단말장치(400)는 바우처 서버(200),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 및/또는 매장 단말장치(500)로 바우처 관련 정보를 제공(입력)할 수 있고, 바우처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코드인 바코드, QR 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바코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수단 및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를 송수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됨)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단말장치(400)는 이동통신단말장치,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공지된 디지털 기기가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면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객 단말장치(4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문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장치(500)는, 고객에 의해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서비스 포함)의 결제비용을 해당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코드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장 단말장치(500)는, 고객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의 비용을 계산하고, 결제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매장 단말장치(500)에는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제공(활성화)하는 데이터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QR 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를 인식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광 파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 스캐너와 같은 이미지정보 인식장치(미도시됨)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장치(500)는,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RF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됨) 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매장 단말장치(500)는 신용카드 결제 단말장치(미도시됨)일 수 있으며, 이미지정보 인식장치와 무선통신 모듈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매장 단말장치(500)가 바우처를 발행하는 바우처 서버(200)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매장(가맹점) 자체가 사업자가 될 수 있어, 사업자간의 거래내역을 운영관리 하는 플랫폼 기술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프랜차이즈 방식을 통한 매장(가맹점)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서버(600)는, 고객 단말장치(400)에 의해 선택되는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스마트페이)]의 운영 서버 또는 상기 운영 서버와 연동되는 별도의 결제대행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서버(600)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과 결제 관련 제휴를 맺은 결제수단의 운영 서버로써, 이때, 결제서버(600)는 PG(Payment Gateway)와 같은 결제대행서비스 업체의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는데, 금융기관(카드사, 은행)과의 결제와 거래를 대행(가맹점 대행)해주는 업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희망하는 상품(서비스 포함)을 선택하여 구입비용을 결제하고자 할 때, 일부(바우처 부담금)를 바우처로 결제하고, 나머지(잔액 부담금)은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으로 분할결제 할 수 있는데, 이때, 결제서버(300)는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선택한 간편결제로 잔액 부담금을 결제하는 경우, 결제대행업체인 PG를 통해 지급결제 절차가 수행되고, PG업체는 이후 해당 매장과 VAN 사업자 사이에서 거래 및 승인을 중계하고 정산을 대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과 바우처 서버(2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을 바우처 서버(200)에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구성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정보 수집부(310), 분할 결제부(320), 결제 관리부(330), 부가서비스부(340), 데이터베이스(350), 통신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수집부(310), 분할 결제부(320), 결제 관리부(330), 부가서비스부(340), 데이터베이스(350), 통신부(360) 및 제어부(3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바우처 서버(200), 고객 단말장치(400), 매장 단말장치(500) 및/또는 결제서버(6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예를 들면,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예를 들면, 펌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310)는,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단말장치(500)를 통해 인식하여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수집부(310)는 매장 단말장치(400)를 통해 인식한 상기 데이터 코드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를 파악하고, 매장 단말장치(500)에서 제공하는 결제정보(구입하고자 하는 상품 비용, 상품 종류, 할인율 등)를 수집하여 고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장치 정보는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 정보 또는 상기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 단말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우처에 포함된 데이터 코드는, 바우처 발급 시,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는, 타인(다른 고객 단말장치)으로부터 전달 받은 바우처의 경우로, 바우처에 내장된 기존의 데이터 코드에는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고객의 단말장치(400)에 저장하여(일 예로, 전자지갑), 상기 바우처를 사용할 경우, 해당 전자지갑에 저장된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통해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400)에 저장(전자지갑 포함)된 데이터 코드는, 바우처의 활성화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해당 매장에 입장하면서 상기 바우처를 1차 활성화하고, 이후 상품 계산을 위하여 2차 활성화하면 해당 매장에서 체류한 시간(또는, 체류를 시작한 시간)이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어, 상기 산출된 체류시간 정보(체류시작 시간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 코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해당 매장에 입장하면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 기능에 의해 맵 정보 상에서 해당 매장의 위치에 입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바우처가 1차 활성화(정보 송수신 상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바우처를 선택(클릭)하여 자신이 해당 매장에 입장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1차 활성화 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에도 해당 매장 입장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와 대조하는 확인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해당 매장에서 상품(식사를 마친 후) 계산을 위하여 상기 바우처를 2차 활성화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2차 활성화 과정에서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매장에서의 체류시간이 산출되고, 산출된 상기 체류시간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 코드가 생성되어 매장 단말장치(500)에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2차 활성화 과정에서 상기 1차 활성화 과정의 시간정보(체류시작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데이터 코드가 생성될 수 있고, 이를 인식한 매장 단말장치(500)에서는 해당 단말장치에 고정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인식된 상기 1차 활성화 시간부터 상기 2차 활성화까지의 고객 단말장치(400)의 매장 체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매장 체류시간 정보는, 생성된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바우처 부담금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 중 일정액을 할인하여 주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할인 금액은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결제부(320)는, 상기 데이터 정보 수집부(310)에서 수집된 바우처정보, 고객정보 및/또는 결제정보를 기초로 바우처와 잔액을 분할결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장에서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400)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매장에서 고객이 10,000원짜리 상품을 구입하게 위하여 바우처 부담금(바우처로 결제할 수 있는 금액)이 상품비용의 최대 50%인 5,000원인 경우, 5,000원짜리 바우처를 사용하여 결제하고, 나머지 5,000원의 잔액 부담금 정보를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고객 단말장치)으로 전송하여,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의 선택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결제비율(바우처 부담금: 잔액 부담금)의 예시로 1:1(5,000원:5,000원)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제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합리적으로 그 비율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어, 고객의 지출부담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매장의 매출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코드에는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의 스마트폰(고객 단말장치)으로 결제수단의 요청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400)는,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400)가 지정하는 다른 사람의 고객 단말장치일 수도 있는데, 해당 고객이 아닌 다른 사람이 잔액 부담금을 대신 결제 할 수 있어, 고객은 자신의 지불은 최소하면서 바우처와 타인의 도움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관리부(330)는, 고객 단말장치(400)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하고, 결제처리 된 상기 결제내역을 고객 단말장치(400)와 매장 단말장치(5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 관리부(330)는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선택한 결제수단에 따라 결제처리 된 잔액 부담금의 결제내역 및 바우처로 결제된 바우처 부담금 결제내역을 합산하여 분할결제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매장 단말장치(500)로 제공하여 매장에서는 해당 고객이 구입을 요청한 상품에 대한 결제처리 과정을 확인한 후, 판매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은 고객 단말장치(400)를 통해 상세한 결제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부(340)는, 고객이 상기 매장에 입장하면서 고객 단말장치(400)의 바우처를 1차 활성화하고, 매장 단말장치(500)를 통해 인식하기 위해 2차 활성화하면,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에 체류시간(머무른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바우처 부담금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 중 일정액을 할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할인 금액을 증가시켜 매장의 회전율을 향상하여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부(340)는 고객 단말장치(400)의 결제수단이 현금일 경우, 매장 단말장치(500)로부터 현금수령 여부를 확인한 후, 자동으로 상기 현금에 대한 현금영수증을 처리하여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금 지출내역을 기초로 하는 가계부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부(340)는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는 과정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는 과정에서, 고객 단말장치(400)가 설정한 일정액을 기부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부액은 고객이 설정하여 변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50)는, 바우처 정보, 고객정보, 상품정보, 결제정보, 할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350)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50)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과 별개로 구성하거나 바우처 서버(2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35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60)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내부 구성들이 바우처 서버(200), 고객 단말장치(400), 매장 단말장치(500) 및/또는 결제서버(6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70)는, 정보 수집부(310), 분할 결제부(320), 결제 관리부(330), 부가서비스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및 통신부(3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7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정보 수집부(310), 분할 결제부(320), 결제 관리부(330), 부가서비스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및 통신부(3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주문자에 관한 정보를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과정(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 하기 위한 과정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이 자신의 고객 단말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바우처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는 과정에 대하여, 바우처 서버(200),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 고객 단말장치(400), 매장 단말장치(500) 및 결제서버(600) 간에 데이터 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를 제공하기 위한 각 구성들 간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매장에 방문한 고객(사용자)이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고른 후, 이를 결제하기 위하여 계산대에서 자신의 고객 단말장치(400)에 저장된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 이때, 흐름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객이 해당 매장에 입장하면서 상기 바우처를 1차 활성화하고, 이후 상품 계산을 위하여 2차 활성화하면 해당 매장에서 체류한 시간이 고객 단말장치(4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어, 데이터 코드에 반영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매장 체류시간은 이후 데이터 코드(체류시간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 코드)에 따른 바우처 부담금 또는 잔액 부담금 중 일부를 할인하여 주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할인 금액은 증가할 수 있다.
이어서, 계산대의 매장 단말장치(500)는 상기 데이터 코드를 인식하는 과정(S20)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인식 과정(S20)은 활성화된 데이터 코드가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이미지 코드일 경우, 이를 인식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광 파장을 검출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와 같은 이미지정보 인식장치(미도시됨)를 사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데이터 코드가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일 경우, 이를 인식하기 위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RF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됨)을 사용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이러한 매장 단말장치(500)는 바코드 리더기와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코드에는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 및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인식 과정(S20)을 통해 인식된 데이터 코드는,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으로 전송되는 과정(S30)을 수행하며,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에서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으로,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은 별도의 잔액 결제 금액으로 분할하여 산출하는 과정(S4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의 결제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할결제 산출과정(S40)을 통해 산출된 바우처 결제 금액만큼, 상기 바우처로 결제를 요청하는 과정(S50)과 이를 승인하는 과정(S60)을 바우처 서버(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할결제 산출과정(S40)을 통해 산출된 잔액 결제 금액만큼, 별도의 결제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400)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과정(S7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결제수단 선택 과정(S80)을 수행하여 고객은 고객 단말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바우처가 아닌 다른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결제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액 부담금을 고객이 지정하는 다른 사람이 대신 결제 할 수 있도록, 고객 지정 단말장치(미도시됨)로 연계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고객 단말장치(400)로부터 선택된 잔액 부담금의 결제수단이 현금결제일 경우(S90, yes), 매장 단말장치(500)로 현금결제 과정(S100)을 수행하도록 하여, 고객 단말장치(400)의 고객으로부터 오프라인 상으로 잔액 부담금을 현금지급 받을 수 있다(S110).
이어서, 현금으로 지급된 상기 잔액 부담금은,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을 통해 현금영수증 발급이 자동으로 신청되는 과정(S120)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장치(400)로 현금영수증이 발급될 수 있다(S130).
한편, 고객 단말장치(400)로부터 선택된 잔액 부담금의 결제수단이 현금이 아닐 경우(S90, no), 결제서버(600)로 잔액 부담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과정(S14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결제수단은 예를 들면,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어서, 결제서버(600)에서 고객이 선택한 결제수단에 대하여 결제 처리하여 승인하는 과정(S150)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제서버(600)는 금융기관(카드사, 은행)과의 결제와 거래를 대행(가맹점 대행) 해주는 업체로써, PG(Payment Gateway)와 같은 결제대행서비스 업체의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어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은 바우처 부담금 및 잔액 부담금의 결제승인 정보를 취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할결제 과정(S160)을 완료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결제내역을 고객 단말장치(400) 및 매장 단말장치(500)로 각각 전송(S171, S172)하여, 매장 단말장치(500)에서는 고객이 구입하고자 하는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처리(S180)하여, 고객은 해당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 하기 위한 과정 중에서, 잔액 부담금을 현금으로 결제할 경우, 현금영수증 처리와 현금지출내역을 기초로 하는 가계부를 생성하여 고객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우처로 결제하는 과정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분할결제 시, 일부를 고객의 설정(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일정액을 기부할 수도 있다.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 하는 과정의 예시(바우처 구매과정 포함)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객이 바우처를 구매한 후, 구매한 바우처를 이용하여 실제 상품을 분할결제 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 예로 고객이 바우처를 50% 할인하여 구매하고, 이를 이용하여 '000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여 식사한 후, 바우처에 내장된'QR코드'를 이용하여 음식비용 중 절반은 바우처로 결제하고, 나머지 절반(잔액)은 스마트페이로 결제하는 분할결제 과정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이 자신의 고객 단말장치(400)를 이용하여 바우처 서버(200)로부터 100,000원짜리 'OOO식당 바우처(10)'를 50% 할인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이때, 구매된 'OOO식당 바우처(10)'는 고객 단말장치(400)에 저장될 수 있는데, 구매 시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를 입력하여 구매한 경우, 'OOO식당 바우처(10)'자체에 바우처 정보와 고객 정보가 모두 포함된 데이터 코드인 QR코드(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OOO식당 바우처(10)'를 구매한 고객이 가족들과 해당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식당(30)에 가서 4인 음식을 주문하여 식사를 한 후, 음식 비용 총 200,000원을 결제하기 위하여 자신의 고객 단말장치(400)에 저장된 'OOO식당 바우처(1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우처(10)에는 바우처 정보와 고객 정보가 모두 포함된 데이터 코드인 QR코드(20)가 내장되어 있어, 매장 단말장치(500)에서는 QR코드(20)를 바코드 리더기로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QR코드(20)를 인식한 매장 단말장치(500)는 해당 바우처(10)가 100,000원 금액이며, 고객이 식사한 음식비용(200,000원)의 최대 50%까지 지불이 가능하다는 정보(바우처 부담금)를 매장 단말장치(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총 결제비용 중 바우처 사용가능 금액(바우처 부담금)은 바우처 구입 시 고정된 설정값일 수 있으나, 해당 식당(매장)마다 또는 음식(상품)마다 다르게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으로 전송되는데, 매장 단말장치(500)에서 인식한 QR코드(20) 정보는 결제정보인 음식비용(200,000원)와 함께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으로 전송되어 분할결제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코드인 QR코드(20)에 포함된 바우처 정보(바우처 사용가능 매장, 바우처 금액, 사용가능 기간 등)와 고객 정보[고객 단말장치 정보(전화번호), 성명 등]를 기초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300)에서는 해당 바우처(10)로 바우처 부담금 100,000원을 결제처리하고, 총 음식비용(200,000원)에서 바우처(10) 금액(100,000원)을 제외한 100,000원에 대한 잔액 부담금 결제를 고객 단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액 부담금 100,000원에 대하여 50% 할인이 추가로 적용되어 실제 결제금액은 50,000원만을 지출할 수 있다.
이어서, 고객 단말장치(400)는 잔액 50,000원에 대한 결제수단(예를 들면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일 예로 간편결제 방식인 스마트페이를 선택하여 결제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PG과 같은 결제서버(600)에서 고객 단말장치(400)에서 선택된 잔액 50,000원에 대하여 스마트페이로 결제가 승인되면, 고객 단말장치(400)와 매장 단말장치(500) 각각에 결제내역이 전송되어 고객은 자신이 50,000원에 구매한'OOO식당 바우처(10)'및 잔액 부담금으로 결제한 50,000원을 합하여 총 100,000원의 지출로 식당(30)에 가족동반 4인 음식비용 총 200,000원을 결제완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우처를 기반으로 분할결제 하는 구성요소의 상세한 과정은 상술된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바우처 서버
300: 바우처 분할 결제시스템
310: 정보 수집부
320: 분할 결제부
330: 결제 관리부
340: 부가서비스부
350: 데이터베이스
360: 통신부
370: 제어부
400: 고객 단말장치
500: 매장 단말장치
600: 결제서버

Claims (10)

  1.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을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는 과정; 및
    결제내역을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매장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은 현금, 신용카드, 간편결제, 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결제수단이 현금일 경우, 상기 현금에 대한 현금영수증을 처리하며,
    상기 현금 지출내역을 기초로 하는 가계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면서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바우처를 1차 활성화하고, 상기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기 위해 2차 활성화하면,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에 체류한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류시간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 코드가 생성되며,
    생성된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바우처 부담금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 중 일정액을 할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할인 금액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드는,
    바코드, QR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 정보 또는 고객 지정 단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는 과정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 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 단말장치가 설정한 일정액을 기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에 포함된 데이터 코드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에서 구입 또는 지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는, 다른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전자지갑에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 코드는, 상기 바우처 활성화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7. 통신망 상에서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으로서,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바우처에 포함되거나,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를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여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바우처 부담금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바우처로 결제하고, 상기 데이터 코드 및 상기 바우처 결제 금액을 기초로, 상기 상품 구입비용 중 나머지 잔액 부담금을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에 포함된 고객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결제수단 선택을 요청하는 분할 결제부; 및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라 상기 잔액 부담금을 결제처리하고, 결제내역을 상기 고객 단말장치와 상기 매장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결제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면서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바우처를 1차 활성화하고, 상기 매장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기 위해 2차 활성화하면,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에 체류한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체류시간 정보가 반영된 데이터 코드가 생성되며,
    생성된 상기 데이터 코드를 기초로, 상기 바우처 부담금 또는 상기 잔액 부담금 중 일정액을 할인하는 부가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할인 금액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코드는,
    바코드, QR코드, 근거리 무선통신 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 정보 또는 고객 지정 단말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처에 포함된 데이터 코드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에서 구입 또는 지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바우처와 연동되는 데이터 코드는, 다른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고객 단말장치의 전자지갑에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 코드는, 상기 바우처 활성화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KR1020210016831A 2021-02-05 2021-02-05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KR20220113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31A KR20220113080A (ko) 2021-02-05 2021-02-05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31A KR20220113080A (ko) 2021-02-05 2021-02-05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80A true KR20220113080A (ko) 2022-08-12

Family

ID=8280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831A KR20220113080A (ko) 2021-02-05 2021-02-05 사회적 네트워크 신용으로 발행하는 바우처 공유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바우처 공유플랫폼 앱인 공유페이를 이용하여 분할결제 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0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144A (ko) 2010-08-04 2012-02-14 웹케시 주식회사 통합 바우처카드 운용 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144A (ko) 2010-08-04 2012-02-14 웹케시 주식회사 통합 바우처카드 운용 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3226B2 (en) Systems for processing electronic transactions
JP5784246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用いた製品およびサービスの個人化された買い物体験および個人化された価格設定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24141B1 (en) Encoding a magnetic stripe of a card with data of multiple cards
US100431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etween a merchant and a cardholder
US8688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ontext based payment system
JP2019145163A (ja) 還元ポイントを用いるモバイル支払システム
US7318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11599863B1 (en) Selection of a financial account associated with a proxy object
US20220222635A1 (en) One card
US20130046603A1 (en) Method of providing an offer based on a projected path triggered by a point of sale transaction
US20110218849A1 (en) Cloud platform for multiple account management & automated transaction processing
US201300733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ering targeted deals to customers and real-time automatic redemption thereof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US201402789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yment options
JP2002024668A (ja) ポイント取引サービスの方法及びそのサービスシステム
US8423463B1 (en) Personal financial manager with gift cards aggregation
US11354650B2 (en) Payment card asset construction service
KR101275115B1 (ko) 결제 정보 처리 방법
US20150235309A1 (en) Business services platform solution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JP2014137811A (ja) ポイントサービス装置、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サービス方法
US201500519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ce matching
US20170004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in real-time for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30179249A1 (en) System for selectively generating and redeeming electronic coupons
US202001261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customers achieve purchase goals
KR102313173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