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586A -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 Google Patents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586A
KR20220112586A KR1020210016302A KR20210016302A KR20220112586A KR 20220112586 A KR20220112586 A KR 20220112586A KR 1020210016302 A KR1020210016302 A KR 1020210016302A KR 20210016302 A KR20210016302 A KR 20210016302A KR 20220112586 A KR20220112586 A KR 2022011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nt
extension
plate
up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0443B1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김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환 filed Critical 김종환
Priority to KR102021001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44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5Devices for setting seeds in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for cat consump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t cultivator comprises: a seed fixing plate (100) in which seeds are introduced and which is configured to fix the seeds; and a cultivation frame (200) which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eed fixing plate (100). The seed fixing plate (100) includes: an upper fixing plate (110) through which at least one first hollow grid (111) is formed; a lower fixing plate (12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rough which at least one second hollow grid (121) is formed; first extension parts (130) which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second extension parts (140) which are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s (130) to extend outward and placed on the top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view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or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고양이 섭취용 식물 재배기{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본 발명은 고양이 섭취용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er for cat consumption.

고양이는 흔히 잡식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탄수화물 섭취가 필요하거나, 속이 불편할 때 섬유질을 섭취해 위 속의 상한 음식물이나 뭉친 헤어볼을 토하기 위해 식물을 뜯어먹는 경우가 있다.Cats are often known as omnivores, but sometimes they eat plants to vomit spoiled food or clumpy hairballs in their stomachs by consuming fiber when they need carbohydrates or have an upset stomach.

식물 재배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식물재배기는 고양이용으로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or used for plant cultiv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used for cats.

첫째로, 씨앗이 판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물을 교체할 때나 씨앗을 물로 씻을 때 씨앗이 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seeds are not fixed to th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eds are separated from the plate when the water is changed or the seeds are washed with water.

둘째로, 고양이가 식물을 씹게 되면 뿌리가 들려서 식물이 고사하며, 식물 잔해가 주변에 그대로 방치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Second, when a cat chews a plant, the root is lifted and the plant dies, and there is an aesthetic problem as the plant remains are left as it is.

셋째로, 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이 판으로부터 낮은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고양이용 식물의 최적 높이인 15cm 내지 20cm까지 재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Third, since the li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late is located at a low height from the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up to 15 cm to 20 cm, which is the optimal height of a cat plant.

현대 사회에서,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은, 반려동물을 넘어서 하나의 가족구성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종래 식물재배기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해결된 식물 재배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In modern society, companion animals such as cats are recognized as one family member beyond companion animals, and the need for a plant grower in which problems that have occurred in conventional plant growers are solved is increasing.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878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9-0002878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275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527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보호 커버에 의해 식물로의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식물이 충분한 높이까지 재배되기 이전에 외부 방해 요인에 의해 섭취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blocking access to the plant by a protective cover, a plant cultivation machine that prevents the problem of being ingested by external disturbance factors before the plant is grown to a sufficient height It is intended to do

또한, 재배 틀의 적어도 일측이 투명한 재질의 가시부를 포함하여, 식물 재배기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가시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machine in which at least one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includes a visible par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easily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또한,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의 중공 격자의 크기가 씨앗의 크기보다 작아서, 식물 재배기를 이동하는 과정 또는 씨앗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씨앗이 씨앗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양이가 새싹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가 흙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hollow grid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eds, the seeds are not separated from the seed fixing plate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lant growing machine or supplying moisture to the seeds, and the cat eats the sprou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grower in which the root of a plan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il.

또한,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에 자성체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에 대해 쉬이 분리되지 않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machine tha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stalling a magnetic material on the upper and lower fixed plates, respectively.

또한, 제1 연장부가 상부 고정판에 대해 피벗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식물 보호 모드 또는 식물 급여 모드로의 전환이 자유로운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is configured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that can be freely switched to a plant protection mode or a plant feeding mod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양이 섭취용 식물 재배기로서, 씨앗이 투입되어 상기 씨앗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씨앗 고정판(100)과, 상기 씨앗 고정판(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재배 틀(200)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 고정판(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중공 격자(111)가 관통 형성된 상부 고정판(110),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공 격자(121)가 관통 형성된 하부 고정판(120), 상기 상부 고정판(110)의 양측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0) 및 상기 제1 연장부(130)로부터 굽어져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제2 연장부(140)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ant grower for cat ingestion, a seed holding plate 100 configured to fix the seeds by putting seeds in it,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eed holding plate 100 Including a cultivation frame 200, the seed holding plate 100, at least one first hollow grid 111 is formed through the upper fixed plate 110, the upper fixed plate 1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econd 2 The hollow grid 121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ixed plate 120, the upper fixed plate 110 is formed through, and is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130 and the first extension 13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extends outwardly and provides a plant growe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140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ure frame 20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제1 회동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제2 회동 연결부(170)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by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160 ,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170 by a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17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6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되고,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7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round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160,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is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It may be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round 17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는 제1 자성체(11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성체(112)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부분에 상기 제1 자성체(112)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성체(122)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rst magnetic body 112 is installed on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first magnetic body ( A second magnetic body 122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112 may be insta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상기 제2 중공 격자(121)로부터 함몰 형성된 보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ower fixing plate 12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part 123 recessed from the second hollow grid 121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자(111)는 상기 제2 격자(121)보다 클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grating 11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grating 121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자(111)는 2.2mm 내지 2.4mm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2 격자(121)는 1.5mm 내지 2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grid 111 may have a size of 2.2 mm to 2.4 mm, and the second grid 121 may have a size of 1.5 mm to 2 m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30)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110)의 높이와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높이를 합한 거리에 떨어져 돌출된 고정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has a protruding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upper fixing plate 110 to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heigh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A fixing part 131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연장부(140)가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제1 위치 및 상기 고정부(131)가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 가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4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rangement frame 200 at a first position and the fixing portion 131 is the lower fixing plate Between a second posi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120 , it may be possible to pivotal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씨앗 고정판(100)과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300 to cover the top of the seed holding plate 100 and the cultivation frame 200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식물 재배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에 의해 식물로의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식물이 충분한 높이까지 재배되기 이전에 외부 방해 요인에 의해 섭취되는 문제가 방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cess to the plant is blocked by a protective cov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lant growing machine, so that the plant is ingested by an external obstacle before it is grown to a sufficient height. is prevented

또한, 재배 틀의 적어도 일측이 투명한 재질의 가시부를 포함하여, 식물 재배기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includes a visible par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e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또한,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의 중공 격자의 크기가 씨앗의 크기보다 작아서, 식물 재배기를 이동하는 과정 또는 씨앗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씨앗이 씨앗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양이가 새싹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가 흙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hollow grid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eds, the seeds are not separated from the seed fixing plate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lant growing machine or supplying moisture to the seeds, and the cat eats the sprouts to prevent the plant's roots from separating from the soil.

또한,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에 자성체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에 대해 쉬이 분리되지 않는다.In addition, magnetic materials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ixed plates, respectively,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제1 연장부가 상부 고정판에 대해 피벗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식물 보호 모드 또는 식물 급여 모드로의 전환이 자유롭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is configured to be pivot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so that it is free to switch to a plant protection mode or a plant feeding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섭취용 식물 재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보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재배 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물 재배기의 씨앗 고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씨앗 고정판의 상부 고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씨앗 고정판의 하부 고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에서, 식물 보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에서, 식물 급여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lant cultivator for cat inges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over of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of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ltivation frame of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of FIG. 1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ed fixing plate of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of FIG. 1 .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fixing plate of the seed fixing plate of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fixing plate of the seed fixing plate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lant protection mode in a plant cultiv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lant feeding mode in a plant cultiv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cas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focusing on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meaning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do.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Also, "a or an", "one", "the" and like related terms are used differently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섭취용 식물 재배기(1)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씨앗 고정판(100), 재배 틀(200) 및 보호 커버(300)를 포함한다.The plant cultivator 1 for cat inta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ultivating plants. Referring to FIG. 1 , it includes a seed holding plate 100 , a cultivation frame 200 , and a protective cover 300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귀리, 밀 또는 보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에서 재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First, the plant grown in the plant culti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ats, wheat or barley,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types of plants can be grown in the plant culti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o

씨앗 고정판(100)은 식물 재배기(1)에 투입된 씨앗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투입된 씨앗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씨앗 고정판(100)에 고정된 씨앗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새싹을 틔워 상측을 향해 자라게 된다.The seed holding plate 100 is configured to fix the seeds put into the plant growing machine (1). That is, it serves to support the input seeds, and the seeds fixed to the seed fixing plate 100 sprout and grow upwar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도 1 및 4를 참조하면, 씨앗 고정판(100)은 상부 고정판(110), 하부 고정판(120), 제1 연장부(130), 제2 연장부(140) 및 제3 연장부(150)를 포함한다.1 and 4, the seed holding plate 100 is an upper fixed plate 110, a lower fixed plate 120, a first extension 130, a second extension 140 and a third extension 150. include

상부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제1 중공 격자(111)가 관통 형성된다. 제1 중공 격자(111)는 예를 들어, 그물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1 중공 격자(111)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제1 중공 격자(111)가 서로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면서 상부 고정판(110)을 관통하는 구성이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first hollow grids 111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fixing plate 110 . The first hollow grid 111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a mesh shap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configura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applied to form the first hollow grid 111 . However, as long as the plurality of first hollow grids 111 ar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upper fixing plate 110 while being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with each oth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고정판(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배부(113a, 113b)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재배부(113a, 113b)에 해당하는 부분에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중공 격자(111)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t least one first cultivation part 113a, 113b is formed in the upper fixing plate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ultivation part 113a, 113b is formed in a mesh shap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ltivation part 113a, 113b. One hollow grid 111 may be disposed.

각각의 제1 재배부(113a, 113b)는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기설정된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재배부(113a, 113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의 씨앗이 투입되어 재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종류의 식물의 씨앗이 투입되어 재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Each of the first cultivation units 113a and 113b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eeds of different types of plants may be input and cultivated in each of the first cultivation units 113a and 113b, and the seeds of the same type of plants may be input and cultivat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제1 중공 격자(111)의 크기는 2.2mm 내지 2.4mm일 수 있다. 이는 재배 대상인 식물의 씨앗보다는 작고, 씨앗이 싹을 틔운 새싹의 직경보다는 커서, 씨앗이 제1 중공 격자(111)를 통해 상부 고정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는 않으면서도, 씨앗으로부터 자라나는 새싹은 제1 중공 격자(111)를 통과하여 상부 고정판(110) 상부를 향해 자랄 수 있는 구조이다The size of the first hollow grid 111 may be 2.2 mm to 2.4 mm. This is smaller than the seed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rout from which the seed has sprouted, so that the seed is not separated from the upper fixing plate 110 through the first hollow grid 111, but the sprout growing from the seed is the firs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grow toward the upper fixing plate 110 by passing through the hollow grid 111 .

상부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제1 자성체(112)가 설치된다. 제1 자성체(112)는 소정의 극성을 가지며, 후술하는 하부 고정판(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자성체(122)와 상호 인력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된다.A first magnetic body 11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 The first magnetic body 112 has a predetermined polarity, and is configured to cause a mutual attraction action with the second magnetic body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부 고정판(1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14)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손잡이(114)를 파지한 채 씨앗 고정판(100)을 이동시키거나, 상부 고정판(110)이 이에 연결된 다른 구성들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handle 1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user moves the seed fixing plate 100 while holding the handle 114, or the upper fixing plate 110 is connected thereto. You can do things that cause you to rotate about configurations.

하부 고정판(120)은 상부 고정판(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면에 다수의 제2 중공 격자(121)가 관통 형성되며, 제2 중공 격자(121)의 크기가 씨앗의 크기보다 작아서, 씨앗이 하부 고정판(120)의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분이다.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low grids 121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low grids 121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ed. Since it is small, it is a part for fixing the seed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고정판(120)은 상부 고정판(1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배부(113a, 1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재배부(123a, 123b)가 형성되고, 제2 재배부(123a, 123b)에 해당하는 부분에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중공 격자(121)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lower fixing plate 120 , second cultivation parts 123a and 123b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cultivation part 113a and 113b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 and the second A second hollow grid 121 formed in a mesh shape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units 123a and 123b.

제2 중공 격자(121)의 크기는 제1 중공 격자(111)의 크기보다 작되, 그 크기는 1.5mm 내지 2mm일 수 있다. 이 역시 재배 대상인 식물의 씨앗보다는 작은 크기이다.The size of the second hollow grid 12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low grid 111 , and the size may be 1.5 mm to 2 mm. This is also smaller than the seed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하부 고정판(120)은 제1 회동 연결부(160)에 의해 상부 고정판(110)과 연결된다.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by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art 160 .

제1 회동 연결부(160)는 양 측에 연결된 구성이 상호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경첩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제1 회동 연결부에 연결된 양 구성이 상호에 대해 회전(힌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회동 연결부(16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은 서로에 대해 피벗 회전이 가능하다. 서로에 대해 피벗 회전이 가능한 각도는 적어도 180도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60도 내에서 피벗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unit 1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mponents connected to both sides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hinge may correspond to this, but if both component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hinge rotation), it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upper fixed plate 110 and the lower fixed plate 120 interconnected by the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160 can pivot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 angle capabl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may be at least 180 degrees or more, preferably pivoting within 360 degrees.

하부 고정판(120)의 일측에는 제2 자성체(122)가 설치된다. 제2 자성체(122)는 상부 고정판(110)에 설치된 제1 자성체(112)와 반대의 극성을 가져서, 상호 인력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하부 고정판(120)에도 손잡이(124)가 구비되며, 손잡이(124)를 파지한채로 하부 고정판(120)이 상부 고정판(110)에 가까워지도록 하부 고정판(120)을 회전시키면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서로에 대해 인력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이 기설정된 거리 이하로 이격된 경우,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 간의 상호인력 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하부 고정판(120)이 상부 고정판(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호인력 작용의 힘은 적어도 중력보다는 커서,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서로에 대해 분리되지 않는다.A second magnetic body 12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The second magnetic body 122 has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magnetic body 112 installed on the upper fixing plate 110 , thereby causing mutual attraction. A handle 124 is also provided on the lower fixing plate 120, and when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rotated so that the lower fixing plate 120 approaches the upper fixing plate 110 while holding the handle 124, the first magnetic body 111.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21 increases,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n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naturally formed by the mutual att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1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21 ( 110) can be attached. The force of the mutual attraction action is at least greater than gravity, so that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y are attached to each other.

하부 고정판(120)은 제2 재배부(123a, 123b)로부터 함몰 형성된 보관부(123)를 더 포함한다.The lower fixing plate 12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23 recessed from the second cultivation units 123a and 123b.

보관부(123)는 씨앗에 영양분 및 수분을 공급하는 흙이 보관되는 부분으로, 기설정된 양의 흙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즉, 보관부(123)에 먼저 흙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리는 형태로 식물의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storage unit 123 is a part in which the soil supplying nutrients and moisture to the seeds is stored, and is recessed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soil. That is, after the soil is first put into the storage unit 123 , the plant can be cultivated in the form of sown seeds thereon.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관부(123)에 흙이 아닌 물이 투입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물이 투입되는 경우 식물의 수경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ater, not soil,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 and when water is added, hydroponics of plants may be performed.

제1 연장부(130)는 상부 고정판(110)의 양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하부 고정판(120)과 마찬가지로, 제1 연장부(130)는 제2 회동 연결부(170)를 통해 상부 고정판(110)과 상호 연결된다.The first extension 130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to a predetermined length. Like the lower fixing plate 120 , the first extension 130 is interconnected with the upper fixing plate 110 through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170 .

제2 회동 연결부(170)는 양 측에 연결된 구성이 상호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경첩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제2 회동 연결부에 연결된 양 구성이 상호에 대해 회전(힌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 회동 연결부(17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 고정판(110)과 제1 연장부(130)은 서로에 대해 피벗 회전이 가능하다. 서로에 대해 피벗 회전이 가능한 각도는 적어도 180도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unit 1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mponents connected to both sides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hinge may correspond to this, but if both component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art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hinge rotation), it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upper fixed plate 110 and the first extension 130 interconnected by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170 can pivot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 angle capabl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may be at least 180 degrees or more.

제1 연장부(130)에는, 상부 고정판(110)과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부 고정판(110)의 높이와 하부 고정판(120)의 높이를 합한 거리에 떨어져 돌출된 고정부(131)가 형성된다.In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 a fixing part 131 protruding apart from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upper fixing plate 110 by a distance that is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heigh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formed.

고정부(131)가 상부 고정판(110)과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부 고정판(110)의 높이와 하부 고정판(120)의 높이를 합한 거리에 떨어져 형성됨에 따라, 식물 급여 모드(도 8 참조)에서 고정부(131)는 하부 고정판(1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1차적으로는 자성체(111, 121) 간의 상호 인력 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는 고정부(131)가 하부 고정판(120)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이 서로에 대해 분리되는 문제가 예방된다.As the fixing part 131 is formed at a distance that is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heigh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from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upper fixing plate 110, high in the plant feeding mode (see FIG. 8) The government 131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First, by the mutual attraction action between the magnetic bodies 111 and 121, secondarily, as the fixing part 131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The problem of these separa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is avoided.

제2 연장부(140)는 제1 연장부(130)에 대해 굽어져 형성되며, 제1 연장부(130)에 대해 81도 내지 99도, 구체적으로 90도 굽어져 연장된다. 그리고, 제3 연장부(150)는 제2 연장부(140)에 대해 굽어져 형성되며 제2 연장부(140)와 마찬가지로, 제2 연장부(140)에 대해 81도 내지 99도, 구체적으로 90도 굽어져 연장된다.The second extension 140 is formed by bend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130 , and extends by bending 81 degrees to 99 degrees, specifical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50 is formed b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and similarly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81 degrees to 99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specifically, It is bent 90 degrees and extended.

제2 연장부(140)는 식물 보호 모드(도 7 참조)에서 재배 틀(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의 직경은 재배 틀(200)의 직경보다 작아서 재배 틀(200) 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제2 연장부(140)는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재배 틀(200)의 상부에 걸리게 된다. 즉, 제2 연장부(140)는 식물 보호 모드에서는 재배 틀(200)에 걸리어 식물이 재배되는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이 재배 틀(200)의 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식물 급여 모드에서는 재배 틀(200)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extension 140 is a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in the plant protection mode (see FIG. 7 ). The diameters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ar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so that they can be accommodated in the cultivation frame 200 ,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includes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I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120 and is caught on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That is, in the plant protection mode,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is caught on the cultivation frame 200 so that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in which the plants are grown ar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Maintained state, and in the plant feeding mod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serves to support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from the bottom.

제3 연장부(150)는 식물 보호 모드에서 제2 연장부(140)가 재배 틀(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재배 틀(200)에 걸리어 단턱 역할을 수행한다. The third extension 150 is caught on the culture frame 200 so as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lture frame 200 in the plant protection mode, and serves as a step.

재배 틀(200)은 씨앗 고정판(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The cultivation frame 2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eed holding plate 100 .

재배 틀(200)의 직경은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의 직경보다는 커서,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이 재배 틀(20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제1 연장부(130)가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함에 따라 제2 연장부(140)와 제3 연장부(150)가 재배 틀(200)의 상부에 걸리는 식물 보호 모드 또는 제2 연장부(140)가 재배 틀(200)의 저면과 접촉하여 씨앗 고정판(100)이 재배 틀(200)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 급여 모드가 가능케 된다.The diameter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 and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cultivation frame 200 . In addition, as the first extension 130 pivots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 the second extension 140 and the third extension 150 are caught on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in a plant protection mode or The plant feeding mode in which the second extension 14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and the seed holding plat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is enabled.

재배 틀(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재배 틀(200)의 측면에는 투명한 유리 재질의 가시부(210)가 형성되어, 재배 틀(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300)를 제거하는 작업 없이도, 가시부(210)를 통해 씨앗 고정판(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rangement frame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visible portion 210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and the visible portion 210 is formed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30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plant grown in the seed holding plate 100 through.

보호 커버(300)는 씨앗 고정판(100)과 재배 틀(200)의 상부 개구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The protective cover 3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seed holding plate 100 and the cultivation frame 200 .

종래의 식물 재배기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300)에 대응되는 구성이 부재하여, 식물이 충분한 높이로 재배되기 이전에 고양이가 섭취함으로써 재배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호 커버(300)로 인해 씨앗 고정판(100)의 상부 개구가 커버됨으로써, 식물이 충분한 높이로 재배되기 이전에 외부 방해 요인(예를 들어, 고양이의 섭취 동작)에 의해 새싹이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plant grower, there is no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ective co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cultivation is reduced by ingesting the cat before the plant is grown to a sufficient heigh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By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seed holding plate 100 due to the cover 3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prout is removed by an external disturbance factor (for example, the eating action of a cat) before the plant is grown to a sufficient height. have.

보호 커버(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중공 격자(311)가 관통 형성된다. 제3 중공 격자(311)는 예를 들어, 그물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3 중공 격자(311)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제3 중공 격자(311)가 서로 열과 행을 이루며 배열되면서 보호 커버(300)을 관통하는 구성이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t least one third hollow grid 311 is formed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300 . The third hollow grid 311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a mesh shap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configura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applied to form the third hollow grid 311 . However, if the plurality of third hollow grids 311 ar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protective cover 300 while being arranged in columns and rows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보호 커버(300)에 제3 중공 격자(311)가 관통 형성됨에 따라,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 틀(200) 내부의 공간과 외기 사이에 유체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식물은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As the third hollow grid 311 is formed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300, fluid circulation can be made between the space inside the cultivation frame 200 in which the plants are grown and the outside air, and the plants can be supplied with fresh air. have.

또한, 보호 커버(300)의 저면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313)를 포함하고, 돌출부(313)는 재배 틀(20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측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보호 커버(300)가 재배 틀(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300 includes a protrusion 313 protruding downwardly, and the protrusion 31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is caus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300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frame 200 .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를 사용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rocess of using the plant cultiv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하부 고정판(120)의 보관부(123)에 흙 또는 물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재배 대상인 식물의 씨앗을 투입한다. 투입된 씨앗이 하부 고정판(120)의 제2 중공 격자(121) 상부에 위치되도록 보관부(123)에 투입되는 흙 또는 물의 양은 적어도 보관부(123)의 수용 용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관부(123) 구성이 생략되고, 재배 틀(200)에 흙 또는 물이 투입될 수도 있으며, 씨앗은 상부 고정판(110)과 하부 고정판(120) 사이에 위치되어 재배 틀(200)에 투입된 흙 또는 물로부터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재배될 수도 있다.First, after putting soil or water into the storage unit 123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the seeds of a plant to be cultivated are put thereon.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soil or water input to the storage unit 123 is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23 so that the input seeds ar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hollow grid 121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unit 123 is omitted, soil or water may be put into the cultivation frame 200, and the seeds are locat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lower fixing plate 120 and the cultivation frame ( 200) can be grown while receiving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soil or water.

상부 고정판(110)의 제1 재배부(113a, 113b)와 하부 고정판(120)의 제2 재배부(123a, 123b)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제2 연장부(140)가 재배 틀(200)의 상부에 놓여지게 한다. 이후, 보호 커버(300)를 덮고 주기적으로 재배부에 수분을 공급하면서 씨앗으로부터 새싹이 재배되게 한다(식물 보호 모드).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ultivation parts 113a and 113b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second cultivation parts 123a and 123b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extension part 140 is formed in the cultivation frame. (200) to be placed on top. Thereafter, while covering the protective cover 300 and periodically supplying moisture to the cultivation unit, the sprout is grown from the seed (plant protection mode).

새싹이 기설정된 높이 이상만큼 재배된 경우, 제1 연장부(130)를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시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 씨앗 고정판(100)은 재배 틀(200) 외부에 노출된 상태여서, 고양이가 쉬이 씨앗 고정판(100)에서 재배되는 새싹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식물 급여 모드). 고양이의 식물 섭취가 완료되면 다시 제1 연장부(130)를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시켜,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고양이의 식물 섭취가 필요할 때에는 식물 급여 모드로 제1 연장부(130)를 회전시키고, 식물 섭취가 필요없을 때에는 식물 보호 모드로 제1 연장부(130)를 회전시키게 된다.When the sprout is grown as much as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the first extension 13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so as to be in the same state as in FIG. 8 . At this time, since the seed holding plat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frame 200 , it is possible for the cat to easily ingest the sprouts grown in the seed holding plate 100 (plant feeding mode). When the cat's plant intake is completed,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gain, so that the state as shown in FIG. 7 is obtained. That is, when the cat needs plant inges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is rotated in the plant feeding mode, and when the plant intake is not necessary, the first extension part 130 is rotated in the plant protection mod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식물 재배기 100: 씨앗 고정판 110: 상부 고정판 111: 제1 중공 격자 112: 제1 자성체 113a, 113b: 제1 재배부 114: 손잡이 120: 하부 고정판 121: 제2 중공 격자 122: 제2 자성체 123a, 123b: 제2 재배부 124: 손잡이 130: 제1 연장부 131: 고정부 140: 제2 연장부 150: 제3 연장부 160: 제1 회동 연결부 170: 제2 회동 연결부 200: 재배 틀 210: 가시부 300: 보호 커버 310: 상면 311: 제3 중공 격자 313: 돌출부1: Plant Grower 100: seed plate 110: upper fixing plate 111: first hollow lattice 112: first magnetic material 113a, 113b: first cultivation part 114: handle 120: lower fixing plate 121: second hollow lattice 122: second magnetic material 123a, 123b: second cultivation part 124: handle 130: first extension 131: fixed part 140: second extension 150: third extension 160: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art 170: second rotation connection part 200: cultivation frame 210: thorn 300: protective cover 310: upper surface 311: third hollow lattice 313: protrusion

Claims (10)

고양이용 식물 재배기로서, 씨앗이 투입되어 상기 씨앗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씨앗 고정판(100)과, 상기 씨앗 고정판(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재배 틀(200)을 포함하고,상기 씨앗 고정판(100)은,적어도 하나의 제1 중공 격자(111)가 관통 형성된 상부 고정판(110);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공 격자(121)가 관통 형성된 하부 고정판(120);상기 상부 고정판(110)의 양측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0); 및상기 제1 연장부(130)로부터 굽어져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제2 연장부(140);를 포함하는,식물 재배기.A plant grower for cats, comprising a seed holding plate 100 configured to receive seeds and fixing the seeds, and a cultivation frame 200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eed holding plate 100, wherein the seed holding plate 100 includes, At least one first hollow lattice 111 is formed through the upper fixed plate 110; The lower fixed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ed plate 110, at least one second hollow lattice 121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art a first extension 13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110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extension 140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130 and extending outwardly placed on the growing frame 200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제1 회동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 연결되고,상기 제1 연장부(130)는 제2 회동 연결부(170)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 연결되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by a first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16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0 by a second rotational connection portion (170)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Plant grower.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상기 제1 회동 연결부(16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되고,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회동 연결부(17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되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fixing plate 12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round the first rotation connection portion 160,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0 is the second rotation connection portion (170) is pivo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around, Plant grower. 제3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고정판(110)에는 제1 자성체(112)가 설치되고,상기 제1 자성체(112)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부분에 상기 제1 자성체(112)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성체(122)가 설치되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3, A first magnetic body 112 is installed on the upper fixing plate 110, The first magnetic body ( 112)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22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is installed, Plant grower. 제4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고정판(120)은 상기 제2 중공 격자(121)로부터 함몰 형성된 보관부(123)를 더 포함하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4, The lower fixing plate 120 further comprises a storage portion 123 recessed from the second hollow grid 121, Plant grower.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111)는 상기 제2 격자(121)보다 큰,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id (111) is larger than the second grid (121), Plant grower.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격자(111)는 2.2mm 내지 2.4mm의 크기를 가지고,상기 제2 격자(121)는 1.5mm 내지 2mm의 크기를 가지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grid 111 has a size of 2.2mm to 2.4mm, The second grid 121 has a size of 1.5mm to 2mm, Plant grower.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장부(130)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110)과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110)의 높이와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높이를 합한 거리에 떨어져 돌출된 고정부(131)가 형성된,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0 has a protruding distance away from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upper fixing plate 110,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110 and the height of the lower fixing plate (120). The fixing part 131 is formed, plant cultivation machine.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연장부(140)가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제1 위치 및 상기 고정부(131)가 상기 하부 고정판(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110)에 대해 피벗 회전 가능한,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0,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4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rangement frame 200,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xing portion 131 is the lower fixing plate Pivot-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fixing plate (110)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120), Plant grower. 제1항에 있어서,상기 씨앗 고정판(100)과 상기 재배 틀(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300)를 더 포함하는,식물 재배기.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300 for covering the top of the seed holding plate 100 and the cultivation frame 200, Plant grower.
KR1020210016302A 2021-02-04 2021-02-04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KR102610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02A KR102610443B1 (en) 2021-02-04 2021-02-04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02A KR102610443B1 (en) 2021-02-04 2021-02-04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86A true KR20220112586A (en) 2022-08-11
KR102610443B1 KR102610443B1 (en) 2023-12-06

Family

ID=8280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302A KR102610443B1 (en) 2021-02-04 2021-02-04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44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33B1 (en) * 2010-07-06 2010-12-28 마소영 Multi-cultivating apparatus
KR200485275Y1 (en) 2016-06-24 2017-12-14 김필주 Apparatus For Breeding Plants
KR20180096390A (en) * 2017-02-21 2018-08-29 조준래 Carrying device for port tray
KR20190002878U (en) 2018-05-11 2019-11-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Plant Cultivation B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33B1 (en) * 2010-07-06 2010-12-28 마소영 Multi-cultivating apparatus
KR200485275Y1 (en) 2016-06-24 2017-12-14 김필주 Apparatus For Breeding Plants
KR20180096390A (en) * 2017-02-21 2018-08-29 조준래 Carrying device for port tray
KR20190002878U (en) 2018-05-11 2019-11-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Plant Cultivation Bed
KR200491618Y1 (en) * 2018-05-11 2020-05-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알가팜텍 Plant Cultivation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443B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3857B2 (en) Multi-part hydroponic tower with hinged tower faces
JP2012110285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0966939B1 (en) case device having an animal and plant growing function
US20160309670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102610443B1 (en) Plant Growers for Cat Consumption
JP2018191560A (en) Simple hydroponic device for general household
TW442256B (en) Cultivation device
KR101321741B1 (en) Implement to prow epiphyte orchid without culture medium
JP6771172B2 (en) Plant holder for hydroponics
US20010034974A1 (en) Portable modular plant growing system
JP6296515B2 (en) Simple hydroponics equipment for general households
KR20090008270U (en) Seeding cultivation apparatus
TWM631432U (en) Organic cultivation kit
KR102486017B1 (en) Cat grass
JP3028381B2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CN213427231U (en) Agricultural is with cultivating planting frame
CN217242207U (en) Observation box is raised to natural enemy insect of aphid
CN217407488U (en) Insect feeding device
CN213343600U (en) Greenhouse seedling growing device convenient to place in layers
CN114830943B (en) Pasture breeding frame convenient to transplant
JP3041687U (en) Greenhouse planters
KR102010990B1 (en) The supporter for arrangement-convertible insect breeding boxes by own weight
KR200288895Y1 (en) Box for Sapling
JPH02227012A (en) Seedling-supporting tool
JP2540191Y2 (en) Plant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