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913A -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913A
KR20220111913A KR1020210015313A KR20210015313A KR20220111913A KR 20220111913 A KR20220111913 A KR 20220111913A KR 1020210015313 A KR1020210015313 A KR 1020210015313A KR 20210015313 A KR20210015313 A KR 20210015313A KR 20220111913 A KR20220111913 A KR 2022011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rner
panel
wa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21001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913A/ko
Publication of KR2022011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성이 용이하며, 건물의 외벽 테두리 부분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후면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개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 및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Outer panel for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성이 용이하며, 건물의 외벽 테두리 부분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 및 외부에는 천정슬래브와 바닥슬래브 사이에 다수의 벽체가 형성되어 방이나 기타 공간을 구분 짓도록 하고 있으며, 외벽체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 외부를 구분 짓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한 후에는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함과 아울러 벽체를 보호하기 위해 대리석이나 화강석 같은 천연 석재 또는 인공 석재로 이루어진 석재패널, 각종 목재 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를 설치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2570호(2006.03.22 등록)는 알루미늄 외장판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부표면에는 코팅 및 미색작업으로 이루어진 일정형상의 판형태로서, 알루미늄 외장판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단면의 형상이 "Π"의 형태인 판넬몸체와 이러한 판넬몸체를 중심으로 좌,우 단부에 결합부와 삽입부로 각기 일체로 구성되고, 결합돌부와 인접하는 다른 알루미늄 외장판넬의 삽입홈부에 끼움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고정됨으로써, 기초프레임과 판넬이 고정되어 시공상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4449호(2007.03.31 등록)는 프레임의 수직설치로 시공이 용이한 외장재의 시공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구조물의 외벽에 시공하는 외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사각 기둥 모양의 사각 프레임, ‘L’ 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 베이스 보드가 구비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을 세워서 설치하되, 각 프레임의 측면에, 엘형지지편을 결합부재로 조립·설치하여, 이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프레임 수직설치 공정; 상기 베이스 보드를 상기 사각 프레임에 대고, 이를 결합부재로 박아서 전면에 걸쳐 상기 베이스 보드를 설치하는 베이스 보드 설치 공정; 상기 베이스 보드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에, 외장재를 상·하, 좌·우로 간격을 두어 부착하며, 상기 부착된 외장재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유지해주는 간격재를 결합부재로 박아서 설치하는 외장재 부착 및 간격재 설치 공정; 상기 접착제를 양생하고, 상기 간격재를 제거하는 접착제 양생 및 간격재 제거 공정; 상기 간격재를 제거한 외장재의 둘레를 따라 코킹재를 도포하여 건조하는 코킹 공정으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축용 외장재는, 획일적인 디자인을 가지게 되고, 지진, 태풍 등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패널이 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테두리 부분이 매끈하지 못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257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0444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성이 용이하며, 건물의 외벽 테두리 부분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후면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개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 및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부는, 표면에 복수개의 볼록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보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패널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볼트; 및 복수개의 통기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되,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패널부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개의 테두리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테두리커버부재는,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아웃코너커버; 및 건물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인코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아웃코너커버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웃코너바; 상기 아웃코너바의 양측에서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아웃코너 라인돌기; 및 상기 아웃코너 라인돌기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에 접착하기 위한 아웃코너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부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아웃코너커버는, 상기 아웃코너 라인돌기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패널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아웃코너 연장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코너커버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코너바; 상기 인코너바의 양측에서 바깥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인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코너 라인돌기; 및 상기 인코너 라인돌기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측면에 접착하기 위한 인코너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코너커버는, 상기 인코너 라인돌기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패널 연장부재와 결합되는 인코너 연장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에 복수개의 프레임부를 서로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프레임부 설치단계;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하는 패널부 배치단계;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커버부를 설치하는 커버부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단계 이후에, 보조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보조적으로 고정하는 보조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볼록패턴이 형성된 패널부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용이하게 시공 및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가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아웃코너커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아웃코너커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인코너커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인코너커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가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용 외장재(10)는, 프레임부(100), 패널부(200), 고정부(300),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건물의 크기에 따라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cm ~ 100cm 등)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전면에 복수개의 패널부(200)가 설치되도록 하고, 후면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패널부(200)가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0)는,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외벽에 고정 설치하거나, 측면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박아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0)는, 외벽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벽에 가로 방향으로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패널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건물의 외벽을 장식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사각형상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건물에 따라 크기 및 개수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상단과 우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패널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합된 부분에 후술할 고정부(300)를 삽입하여 패널부(200)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볼록패턴(210)을 포함한다.
볼록패턴(210)은, 패널부(200)의 표면에 복수개의 볼록한 무늬로 형성되어, 강성이 높고 우수한 외관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볼록패턴(210)은, 색상, 재질, 무늬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외부에서 보았을 때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볼록패턴(210)이 구비된 패널부(200)를 조립 설치하여, 건물의 외관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300)는, 패널부(200)와 프레임부(100) 사이에 형성되며, 패널부(200)를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고정시켜 패널부(200)가 프레임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300)는, 고정피스로써, 패널부(200)를 관통하여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앵커볼트, 타카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300)는, 패널부(200)의 4개의 테두리 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테두리 부분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400)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태, 단면이 ‘ㄱ’자 또는 ‘T’자로 형성된 막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되,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여 패널부(200)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개의 테두리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테두리커버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아웃코너커버(420)와 건물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인코너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아웃코너커버(420)는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아웃코너 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인코너커버(430)는 건물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인코너 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니는 건축용 외장재(10)는,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볼록패턴(210)이 형성된 패널부(200)를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을 다양하고 미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용이하게 시공 및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커버부(400)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축용 외장재(10)는, 프레임부(100), 패널부(200), 고정부(300), 커버부(400), 보조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00), 패널부(200), 고정부(300), 커버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 고정부(500)는, 패널부(200)에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 ~ 50cm)을 두고 형성되어, 고정부(300)와 함께 패널부(200)를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보조적으로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부(500)는, 고정홀(510), 고정볼트(520), 마개(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홀(510)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패널부(200)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고정볼트(520)는, 고정홀(510)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볼트(520)는, 고정피스, 앵커볼트, 타카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530)는, 복수개의 미세한 통기홀이 구비되며, 고정볼트(520)가 삽입 고정된 고정홀(510)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개(530)는, 고정홀(510)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홀(51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건축용 외장재(10)는, 고정볼트(520)를 통해 패널부(200)의 고정력 및 보강력이 향상되어, 외력에 의해 패널부(200)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개(530)에 구비된 통기홀을 통해 통기성을 확보하여 습기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아웃코너커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웃코너커버(420)는, 아웃코너바(421), 아웃코너 라인돌기(422), 아웃코너 접착제(423)를 포함한다.
아웃코너바(421)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아웃코너에 설치되어, 건물의 아웃코너 부분과 아웃코너에 해당하는 패널부(200)를 커버한다.
아웃코너 라인돌기(422)는, 아웃코너바(421)의 양측에서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코너를 중심으로 왼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우측면에 하나의 아웃코너 라인돌기가 결합되고, 아웃코너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좌측면에 다른 하나의 아웃코너 라인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라인돌기(422)는, 패널부(20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거나, 패널부(200)의 두께보다 긴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아웃코너바(421)가 패널부(200)를 커버하면서 건물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라인돌기(422)는, 일측면이 패널부(200)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일말단이 건물의 아웃코너 외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라인돌기(422)는, 아웃코너바(4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웃코너 접착제(423)는, 아웃코너 라인돌기(422)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접착제(423)는, 건물의 아웃코너에 해당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하면서 패널부(200)와 아웃코너 라인돌기(42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접착제(423)는, 고내열성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접착제(423)는, 필요에 따라 아웃코너 라인돌기(422)의 일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아웃코너커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웃코너커버(420)는, 아웃코너바(421), 아웃코너 라인돌기(422), 아웃코너 접착제(423), 아웃코너 연장돌기(4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아웃코너바(421), 아웃코너 라인돌기(422), 아웃코너 접착제(423)는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아웃코너 연장돌기(424)는, 아웃코너 라인돌기(42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패널부(200)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연장부재(220)를 포함한다.
즉, 아웃코너 연장돌기(424)와 패널 연장부재(220)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이들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별도로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틈새를 메우지 않더라도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 연장돌기(424)는, 표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패널 연장부재(22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인코너커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코너커버(430)는, 인코너바(431), 인코너 라인돌기(432), 인코너 접착제(433)를 포함한다.
인코너바(431)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인코너에 설치되어, 건물의 인코너 부분과 인코너에 해당하는 패널부(200)를 커버한다.
인코너 라인돌기(432)는, 인코너바(431)의 양측에서 바깥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인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너를 중심으로 왼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우측면에 하나의 인코너 라인돌기가 결합되고, 인코너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설치된 패널부(200)의 좌측면에 다른 하나의 인코너 라인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라인돌기(432)는, 패널부(20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거나, 패널부(200)의 두께보다 긴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인코너바(431)가 패널부(200)를 커버하면서 건물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라인돌기(432)는, 일측면이 패널부(200)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일말단이 건물의 인코너 외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라인돌기(432)는, 인코너바(4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코너 접착제(433)는, 인코너 라인돌기(432)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접착제(433)는, 건물의 인코너에 해당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하면서 패널부(200)와 인코너 라인돌기(432)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접착제(433)는, 고내열성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접착제(433)는, 필요에 따라 인코너 라인돌기(432)의 일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인코너커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코너커버(430)는, 인코너바(431), 인코너 라인돌기(432), 인코너 접착제(433), 인코너 연장돌기(4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코너바(431), 인코너 라인돌기(432), 인코너 접착제(433)는 도 6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인코너 연장돌기(434)는, 인코너 라인돌기(43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패널부(200)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연장부재(220)를 포함한다.
즉, 인코너 연장돌기(434)와 패널 연장부재(220)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이들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별도로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틈새를 메우지 않더라도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 연장돌기(434)는, 표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패널 연장부재(22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은,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 패널부 배치단계(S200), 고정단계(S300), 커버부 설치단계(S4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는, 복수개의 프레임부(100)를 건물의 크기에 따라 서로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cm ~ 100cm 등)을 두고 건물의 외벽에 설치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0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는, 건물의 외벽에 복수개의 프레임부(100)를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전면에 복수개의 패널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세로로 설치된 복수개의 프레임부(100) 사이에 프레임부(100)를 가로 방향으로 더 설치할 수도 있다.
패널부 배치단계(S200)는,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에서 설치된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패널부(200)를 배치한다.
여기서, 패널부(200)는, 사각형상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건물에 따라 크기 및 개수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표면에 복수개의 볼록한 무늬로 형성되어, 강성이 높고 우수한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패턴(210)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볼록패턴(210)은, 색상, 재질, 무늬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외부에서 보았을 때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단계(S300)는, 패널부 배치단계(S200)에서 배치된 패널부(200)와 프레임부(100) 사이를 고정부(30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단계(S300)는, 고정피스인 고정부(300)를 패널부(200)를 관통시켜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할 수 있으며, 이 외에 앵커볼트, 타카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커버부 설치단계(S400)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커버부(400)를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 설치단계(S400)는, 복수개의 커버부(400)를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시킨 후, 고정피스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되,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여 패널부(200)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개의 테두리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테두리커버부재는,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아웃코너커버(420), 건물 외벽의 인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인코너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코너커버(420)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아웃코너바(421), 아웃코너바(421)의 양측에서 안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아웃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아웃코너 라인돌기(422), 아웃코너 라인돌기(4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하기 위한 아웃코너 접착제(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코너커버(43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코너바(431), 인코너바(431)의 양측에서 바깥쪽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건물 외벽의 인코너를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코너 라인돌기(432), 인코너 라인돌기(43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패널부(200)의 일측면에 접착하기 위한 인코너 접착제(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은,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 패널부 배치단계(S200), 고정단계(S300), 보조 고정단계(S500), 커버부 설치단계(S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 설치단계(S100), 패널부 배치단계(S200), 고정단계(S300), 커버부 설치단계(S400)는 도 8의 단계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 고정단계(S500)는, 보조 고정부(500)를 이용하여 패널부(200)와 프레임부(100) 사이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고정부(500)는, 고정홀(510), 고정볼트(520), 마개(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홀(510)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패널부(200)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고정볼트(520)는, 고정홀(510)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볼트(520)는, 고정피스, 앵커볼트, 타카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530)는, 복수개의 통기홀이 구비되며, 고정볼트(520)가 삽입 고정된 고정홀(510)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개(530)는, 고정홀(510)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홀(51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즉, 고정볼트(520)를 고정홀(510)을 관통시켜 프레임부(100)에 삽입 고정시킨 후에, 복수개의 통기홀이 구비된 마개(530)를 고정홀(510)에 억지 끼움함으로써, 프레임부(100)와 패널부(200) 사이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건축용 외장재
100 : 프레임부
200 : 패널부
210 : 볼록패턴
220 : 패널 연장부재
300 : 고정부
400 : 커버부
420 : 아웃코너커버
421 : 아웃코너바
422 : 아웃코너 라인돌기
423 : 아웃코너 접착제
424 : 아웃코너 연장돌기
430 : 인코너커버
431 : 인코너바
432 : 인코너 라인돌기
433 : 인코너 접착제
434 : 인코너 연장돌기
500 : 보조 고정부
510 : 고정홀
520 : 고정볼트
530 : 마개

Claims (5)

  1.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후면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개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 및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어,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표면에 복수개의 볼록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보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되,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패널부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개의 테두리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5. 건물의 외벽에 복수개의 프레임부를 서로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프레임부 설치단계;
    패널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하는 패널부 배치단계;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건물 외벽의 테두리 부분에 커버부를 설치하는 커버부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 시공방법.
KR1020210015313A 2021-02-03 2021-02-03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11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13A KR20220111913A (ko) 2021-02-03 2021-02-03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13A KR20220111913A (ko) 2021-02-03 2021-02-03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13A true KR20220111913A (ko) 2022-08-10

Family

ID=8284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13A KR20220111913A (ko) 2021-02-03 2021-02-03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91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70Y1 (ko) 2005-09-28 2006-03-29 정운탁 알루미늄 외장판넬
KR100704449B1 (ko) 2006-06-01 2007-05-02 김기태 프레임의 수직설치로 시공이 용이한 외장재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70Y1 (ko) 2005-09-28 2006-03-29 정운탁 알루미늄 외장판넬
KR100704449B1 (ko) 2006-06-01 2007-05-02 김기태 프레임의 수직설치로 시공이 용이한 외장재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20100139210A1 (en) Surface coverings including decorative strips
CA2666284C (en) Caisson ceiling system
KR20220111913A (ko)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20220064679A (ko)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213291Y1 (ko) 건축공사용 방음, 분진 및 낙하물 차단 패널
KR1009580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200411564Y1 (ko) 건물의 벽체 패널과 이 패널의 설치구조
KR200368436Y1 (ko) 조립식 문틀 장식용 마감부재
KR20120025137A (ko) 외벽 일체화 시공을 위한 마감보드
JP4570978B2 (ja) 外壁面材の脱着式取付け構造
KR20120032094A (ko) 조립식 거푸집 문틀
CN109930945B (zh) 隐藏副套的安装方法
KR100955106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패널 시공 조립체
KR20100002171U (ko) 욕실용 천장패널
KR20110008339U (ko) 벽체 구조
JPS6361454B2 (ko)
KR100787107B1 (ko) 건축물 돌출현관의 스톤코트 상부구조물
KR20090067642A (ko) 건축용 실내외장재 패널의 설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