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831A -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 Google Patents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1831A KR20220111831A KR1020210015090A KR20210015090A KR20220111831A KR 20220111831 A KR20220111831 A KR 20220111831A KR 1020210015090 A KR1020210015090 A KR 1020210015090A KR 20210015090 A KR20210015090 A KR 20210015090A KR 20220111831 A KR20220111831 A KR 20220111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ture container
- amphibian
- monitoring device
- captur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4—Collecting-traps with tipping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2—Box traps with dropping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40—Monitoring or fighting invasive spec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인등을 향하여 모여드는 양서류가 지면에 매립된 포획용기에 빠지도록 하는 장치를 일정 구역마다 설치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종류 및 개체수를 파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nitoring amphibians using an induce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device for allowing amphibians that gather toward the attractor to fall into a trapping container buried in the ground in each predetermined area, amphibians living in the area It relates to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ment, etc., which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the type and number of amphibians.
멸종위기종이란 개체 수가 적어서 가까운 미래에 멸종할 위험이 높은 야생 동식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야생 동식물의 멸종을 방지하고자 정부 및 각종 단체들은 여러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 및 무분별한 택지개발로 인하여 이들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Endangered species are wild animals and plants that are at high risk of extinction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ir small numbers. To prevent such extinction of wild animals and plants, the govern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are trying to protect endangered species by preparing various systems, but their habitats are being destroyed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reckless development of housing sites.
특히, 양서류의 주 서식지는 저지대 습지 또는 경작지로, 이러한 양서류의 서식지가 산업단지 및 주택단지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훼손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맹꽁이 등을 포함한 양서류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에 양서류의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 대상지역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이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이주시키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habitats of amphibians are lowland wetlands or farmland, and the habitats of these amphibians are being damaged due to industrial complexes and housing complex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the number of amphibians, including the endangered macaque, is decreasing.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mphibians, an alternative method is to identify the number of amphibians inhabiting the development target area and migrate them to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inhabit.
종래에는 양서류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써,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서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의 지역을 소정 범위씩 구획한 후, 사람이 직접 그 구획 범위를 순차적으로 돌면서 양서류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현장조사방법을 이용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mphibians, as shown in FIG. 1, after dividing an area of an environment where amphibians can inhabit by a predetermined range, a person directly turns the partition range sequentially to determine the number of amphibians. An on-site survey method is used.
허나, 이와 같은 방식은 사람의 육안으로 양서류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놓칠 수 있는 개체들이 발생하게 되고, 양서류가 계속 이동하므로 동일한 개체가 중복으로 카운팅될 수 있으므로 개체수 카운팅이 부정확하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is method, objects that can be missed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mphibians with the human eye, and since the amphibians continue to move, the same object may be counted duplicately, 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is inaccurate.
또한, 전체 조사지역이 광범위할수록 다수의 조사인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인력낭비가 발생하고, 조사원들의 업무적 피로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the entire survey area is wider, a large number of investigators are needed, which results in wasted manpower and has problems in that the work fatigue of the surveyors is high.
또한, 동일한 구획을 조사하였을 때, 각 조사원의 관찰역량에 따라 모니터링되는 양서류 개체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구획의 개체수 파악에 대한 신뢰도가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ame compartment is investigated, the number of monitored amphibian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capability of each investigator,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identify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corresponding compartment is not constant.
또한, 제10-2056321호에 개시된 "양서류 간편 포획 장치"는 양서류를 적극적으로 유인하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지 않아, 짧은 기간 내에 양서류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imple capturing device for amphibians" disclosed in No. 10-205632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grasping the number of amphibians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it does not have any device for actively attracting amphibia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서류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놓칠 수 있는 개체들이 발생하지 않고, 동일한 개체가 이동하더라도 중복으로 카운팅 되지 않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bjects that can be missed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mphibians do not occur, and even if the same object moves, it is not counted as duplicate. To provide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또한, 조사지역이 광범위하더라도 다수의 조사인원이 필요하지 않아 이에 따른 인력낭비가 발생하지 않고, 조사원들의 업무적 피로도가 높지 않도록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incentives that do not require a large number of investigators, even if the survey area is wide, so that there is no waste of manpower and that the work fatigue of the investigators is not high.
또한, 각 조사원의 관찰역량에 상관없이 모니터링되는 양서류 개체수 파악에 대한 신뢰도가 일정한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incentives with a constant reliability for identifying the number of monitored amphibians regardless of the observation capability of each investigator.
또한, 짧은 기간 내에 양서류의 개체수를 파악할 수 있는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amphibia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모니터링 장치(1)는, 지면(G)에 매립되며, 상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포획용기(10), 포획용기(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둥(20), 기둥(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부(30), 고정부(30)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유인등(31), 고정부(30)에 연결되되, 고정부(30)로부터 포획용기(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연결로프(32), 및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되,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포획용기(10)의 상부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지는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에서, 포획용기(10)는 포획용기(10)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에서, 기둥(20)은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의 외측 지면(G)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포획용기(10)의 내측면에는 포획용기(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위치에 임의의 두께와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고, 기둥(20)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1)와 결착되는 체결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포획용기(10)에는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12) 및 테두리면(12)에 기둥(20)이 관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an monitoring apparatus using an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포획용기(10)와 기둥(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고정부(30)의 상부에는 덮개부(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an monitoring apparatus using an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유인등(31)은 양서류(A)를 유인할 수 있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ous monitoring apparatus using the attract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ac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서, 연결로프(32)는 뚜껑(40)의 무게중심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1은 해당 조사지역에 대한 종래의 양서류 개체수 현장조사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4-c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일정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포획용기와 체결부가 형성된 기둥의 결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포획용기와 체결부가 형성된 기둥의 결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면 및 관통구가 형성된 포획용기에 기둥이 결합되어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면 및 관통구가 형성된 포획용기와 기둥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와 기둥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양서류들이 유인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여 양서류가 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해당 조사지역에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method for on-site survey of the number of amphibians for the survey area.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e space is gradually reduced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the cap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the bottom surface 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ing space is gradually increased, and 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ing space is constant toward the bottom of the captur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of the catch container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of the catch container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with a column coupled to a capture container having an edge surface and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column and the capture container formed with an edge surface and a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apture container and th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formed.
10 is a view showing that amphibians are attracted by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mphibians are captured by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rradiation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성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가 지면(G)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는, 2 and 3, the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에 있어서, 지면(G)에 매립되며, 상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포획용기(10), 포획용기(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둥(20), 기둥(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부(30), 고정부(30)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유인등(31), 고정부(30)에 연결되되, 고정부(30)로부터 포획용기(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연결로프(32), 및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되,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포획용기(10)의 상부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지는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at least one of which is embedded in the ground (G),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form a capture space therein, the capture container (10),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upper rim of the capture container (10) The
포획용기(10)는, 상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포획용기(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부분에 평평한 바닥면이 형성된다. 이때, 포획용기(10)의 깊이는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을 타고 용이하게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깊이를 가진다.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획용기(10)의 수평방향 단면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원형 형태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포획용기(10)는 지면(G)에 매립되어 구비되도록 하되, 포획용기(10)의 상부면이 지면(G)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면(G)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융기 또는 침강되어 매립되어도 무방하다.The
도2, 도4 내지 도7, 도9 내지 도11에는 포획용기(10)의 테두리가 지면(G)의 높이보다 돌출되도록 포획용기(10)가 매립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2, 4 to 7, and 9 to 11 show that the
이와 같은 포획용기(10)의 구성을 통하여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에 포획되는 것이 용이하고, 포획된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기둥(20)은, 포획용기(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장대의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기둥(20)의 단면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 외에 다양한 형상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두 개 이상의 기둥(20)을 하나의 축선상에 모이도록 지면(G)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인 채로 고정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둥(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부(30)가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둥(20)을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wo or
또한, 기둥(20)은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의 외측 지면(G)에 소정 깊이만큼 박힌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포획용기(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기둥(20)은 고정부(30)를 지면(G) 및 포획용기(1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Such a
고정부(30)는, 기둥(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배치되는 포획용기(10) 및 뚜껑(40)의 중심축선상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고정부(30)에 구비되는 유인등(31)의 위치가 고정부(30)의 하측에 구비되는 포획용기(10) 및 뚜껑(40)의 중심축선상의 상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인등(31)에 근접하는 양서류(A)를 용이하게 포획용기(10)로 빠뜨리기 위함이다.The
또한, 고정부(30)는 도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유인등(31), 연결로프(32) 및 덮개부(33)를 고정구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유인등(31)은 고정부(30)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것으로서, 양서류(A)를 유인할 수 있는 광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광원으로는 UVB광이 방출되는 LED등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양서류(A)를 유인할 수 있는 어떠한 광원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The
이때, 유인등(31)은 자연스럽게 벌레들을 유인하는 역할도 수행하므로, 벌레들을 잡아먹기 위하여 접근하는 양서류(A)가 유인되는 효과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ttracting
연결로프(32)는 고정부(30)에 연결되되, 고정부(30)로부터 포획용기(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연결로프(32)는 고정부(30)의 하측에 배치되는 포획용기(10)의 상부면이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는 뚜껑(40)에 의하여 온전히 커버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30)의 어떠한 지점에 연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획용기(10) 및 뚜껑(40)의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연결로프(32)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30)의 어느 지점에 연결로프(32)가 연결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necting
여기서, 연결로프(32)의 길이가 고정부(30)로부터 포획용기(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된 뚜껑(40)이 포획용기(10)의 상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연결로프(32)는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는 뚜껑(40)의 무게중심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양서류(A)가 뚜껑(40) 상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면, 무게중심점을 기준으로 뚜껑(40)이 기울게 되면서 양서류(A)가 뚜껑(40)의 상면으로부터 미끄러져서 포획용기(10)의 내부로 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ng
또한, 연결로프(32)는 양서류(A)가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투명한 낚시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뚜껑(40)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장력을 가지는 어떠한 실 또는 끈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여기서, 고정부(30)에는 양서류(A)를 면밀히 관찰하기 위한 녹화장치 등과 같은 어떠한 관찰장비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또한, 고정부(30)의 상부에는 적어도 고정부(3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액체 또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덮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33)는 파라솔과 같은 구성의 폴딩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었다 펴는 것이 용이한 어떠한 구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덮개부(33)는 고정부(30)에 고정구비되는 유인등(31) 및 녹화장비 등과 같은 전기장비들이 우천시에 젖는 것을 방지하고, 햇빛으로 인하여 전기장비들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뚜껑(40)은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되, 포획용기(10)의 개구된 상부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뚜껑(40)의 면적이 포획용기(10)의 개구된 상부면의 면적과 동일하면, 포획용기(10)와 뚜껑(40)의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양서류(A)가 함정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술하고자 하는 기둥(20)에 형성되는 체결부(21)가 포획용기(10)의 개구된 상부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고려하여 뚜껑(40)의 면적이 포획용기(10)의 개구된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뚜껑(40)은 양서류(A)의 피부와의 접촉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의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유인등(31)을 향해 몰려든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뚜껑(40)의 상면에 도달하게 되면, 뚜껑(40)의 상면에 달라붙지 않고 낙하하게 되므로, 양서류(A)의 포획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Here, the
이와 같은 뚜껑(40)은 유인등(31)을 향해 모여든 양서류(A)가 뚜껑(10)의 하부에 위치한 포획용기(10)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획용기(10)에 포획된 양서류(A)의 탈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uch a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10)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의 경사도가 완만해지게 되면,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을 타고 포획용기(10)로부터 탈출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의 경사도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완만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e space gradually decrease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10)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와 같은 형태의 포획용기(10)는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을 타고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e spac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bottom of the
도4-c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일정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와 같은 형태의 포획용기(10) 또한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을 타고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e space is constant as the capture container goes to the bottom of the captur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riding on the inner surface to prevent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이 외에도 포획용기(10)에 포획된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o this, any shape that prevents the amphibians A captured in the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가 형성된 포획용기(10)와 체결부(21)가 형성된 기둥(20)의 결착을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가 형성된 포획용기(10)와 체결부(21)가 형성된 기둥(20)의 결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of the
도5 및 도6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는,5 and 6, the
포획용기(10)와 기둥(20) 간의 결착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포획용기(10)의 내측면에는 포획용기(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위치에 임의의 두께와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고, 기둥(20)의 일측면에는 포획용기(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1)와 결착되는 체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idify the bond between the
여기서, 돌출부(11)는 포획용기(10)의 내주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획용기(10)의 내측면의 상하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11)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기둥(20)이 포획용기(10)의 어느 외측면에 설치되더라도 포획용기(10)의 돌출부(11)와 기둥(20)의 체결부(21)가 결착되는 것이 용이하며, 포획용기(10)가 지면(G)으로부터 융기 또는 침강되어 매립되더라도, 포획용기(10)의 돌출부(11)와 기둥(20)의 체결부(21)의 결착도 용이해진다.Here, th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수직방향 단면은 "ㅡ"자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부(21)의 수직방향 단면은 돌출부(11)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vertical section of the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수직방향 단면은 "ㅡ"자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돌출된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부(21)의 수직방향 단면은 "ㄱ"자 형태의 돌출부(11)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의 아래 단부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허나, 도5 및 도6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포획용기(10)와 기둥(20)이 결착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의 돌출부(11)와 이에 대응되는 어떠한 형태의 체결부(21)가 형성되어도 된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5 and 6 , and a certain type of
이때, 체결부(21)는 기둥(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고정구비되거나 또는 기둥(20)의 어느 지점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기둥(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체결부(21)가 기둥(20)의 어느 지점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기둥(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돌출부(11)와 결착된 체결부(21)가 더 이상 회동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또한, 돌출부(11)와 결착된 체결부(21)로 인하여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는 체결부(21)가 차지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뚜껑(40)이 포획용기(10)의 개구된 상부면을 불완전하게 커버하게 되고, 뚜껑(40)의 시소운동이 방해되며, 포획된 양서류(A)의 탈출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40)의 형태 및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도5 및 도6에는, 두 개의 기둥(20)에 형성된 체결부(21)가 포획용기(10)에 형성된 돌출부(11)에 결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부(21)가 형성된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기둥(20)을 돌출부(11)가 형성된 포획용기(10)에 결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5 and 6, it is shown that the
이와 같은 포획용기(10)와 기둥(20)의 결착을 통하여 외부환경에 의하여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면(12) 및 관통구(13)가 형성된 포획용기(10)에 기둥(20)이 결합되어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면(12) 및 관통구(13)가 형성된 포획용기(10)와 기둥(2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도7 및 도8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는, 포획용기(10)에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12) 및 테두리면(12)에 기둥(20)이 관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13)가 형성될 수 있다.7 and 8, the
테두리면(12)은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구(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두리면(12)은 지면(G)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관통구(13)는 기둥(20)이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2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둥(20)이 관통구(13)를 관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관통구(13)의 면적은 기둥(20)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도7 및 도8에서는, 두 개 이상의 기둥(20)이 포획용기(10)의 테두리면(12)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관통구(13)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기둥(20) 및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관통구(13)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7 and 8, two or
이와 같은 구성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0)이 포획용기(10)의 테두리면(12)에 형성된 관통구(13)를 관통하여 지면(G)에 소정 깊이만큼 박힌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외부환경에 의하여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 , the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획용기(10)와 기둥(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도9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는, 포획용기(10)와 기둥(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포획용기(10)의 테두리 부분에 기둥(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포획용기(10)의 외측부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 in the
여기서, 도9에는 한 개의 기둥(20)이 포획용기(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포획용기(10)에 다수개의 기둥(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although it is shown in FIG. 9 that one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G)에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에 의하여 양서류(A)들이 유인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G)에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에 의하여 양서류(A)가 포획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해당 조사지역(R)에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amphibians (A) are attracted by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installed on the ground (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amphibian A is captured,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도10 내지 도12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를 이용한 양서류(A) 포획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사지역(R)을 소정의 범위씩 구획한 후, 각 구획 지역의 지면(G)에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를 각각 설치한다.The method of capturing amphibians (A) using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After dividing the irradiation area (R) by a predetermined range, the ground of each division area Install the
이때,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로부터 임의의 반경에 울타리를 설치하고, 울타리의 일측부에 유입로를 설치하면 양서류(A)의 포획이 용이하다.At this time, if a fence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radius from the
이렇게 설치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1)의 유인등(31)을 점등하면, 유인등(31)에 의하여 양서류(A)가 모여들게 되고, 모여든 양서류(A)가 유인등(31)의 하측에 구비된 뚜껑(40) 상면에 도달하게 되면, 양서류(A)의 무게에 의하여 뚜껑(40)이 기울게 되면서 양서류(A)가 포획용기(10)의 내측으로 낙하하게 되고, 뚜껑은 다시 평형을 맞추기 위하여 수평선상으로 돌아가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양서류(A)를 포획하여 개체수 파악을 하는 것에 있어서 인력낭비를 줄이면서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obtain reliable results while reducing manpower wastage in capturing the amphibians (A) and grasp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not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but in particular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10 : 포획용기
11 : 돌출부
12 : 테두리면
13 : 관통구
20 : 기둥
21 : 체결부
30 : 고정부
31 : 유인등
32 : 연결로프
33 : 덮개부
40 : 뚜껑
A : 양서류
G : 지면
R : 조사지역1: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0: capture container 11: protrusion
12: edge surface 13: through hole
20: pillar 21: fastening part
30: fixed part 31: manned light
32: connecting rope 33: cover part
40 : lid
A : Amphibian G : Ground
R: Survey area
Claims (9)
지면(G)에 매립되며, 상부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포획공간이 형성되는 포획용기(10);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둥(20);
상기 기둥(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부(30);
상기 고정부(30)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유인등(31);
상기 고정부(30)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30)로부터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연결로프(32); 및
상기 연결로프(32)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부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면적을 가지는 뚜껑(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In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1),
The capture container 10 is embedded in the ground (G),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form a capture space therein;
at least one or more pillars 20 installed along the upper rim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 fixing part 30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0;
Inducing light 31 tha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30;
a connecting rope (32)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0) and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fixing part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nd
a lid (4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pe (3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nd having an area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포획용기(10)는 상기 포획용기(10)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포획공간의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ture container (10) is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pture space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상기 기둥(20)은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의 외측 지면(G)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e 20 is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ground (G) of the upper edg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상기 포획용기(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위치에 임의의 두께와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와 결착되는 체결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protrusion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end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nd protrudes by an arbitrary thickness and length, and on one side of the pillar 20, the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21 to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1 is formed.
상기 포획용기(10)에는 상기 포획용기(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면(12) 및 상기 테두리면(12)에 상기 기둥(20)이 관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ture container 10 has an edge surface 12 formed by being bent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upper edge of the capture container 10 and at least allowing the pillar 20 to pass through the edge surface 12 .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through-holes (13) are formed.
상기 포획용기(10)와 상기 기둥(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 container (10) and the pillar (2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고정부(30)의 상부에는 덮개부(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part 3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30 .
상기 유인등(31)은 양서류(A)를 유인할 수 있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tracting light 31 is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attracting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light source capable of attracting the amphibians (A).
상기 연결로프(32)는 상기 뚜껑(40)의 무게중심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등을 활용한 양서류 모니터링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rope (32) is an amphibian monitoring device using an indu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d (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090A KR102533700B1 (en) | 2021-02-03 | 2021-02-03 |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090A KR102533700B1 (en) | 2021-02-03 | 2021-02-03 |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1831A true KR20220111831A (en) | 2022-08-10 |
KR102533700B1 KR102533700B1 (en) | 2023-05-17 |
Family
ID=8284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090A KR102533700B1 (en) | 2021-02-03 | 2021-02-03 |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3700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3100A (en) * | 1997-04-29 | 2001-11-20 | ペル レンナウ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mice, mice, etc. |
KR20090101626A (en) * | 2008-03-24 | 2009-09-29 | 김길호 | Exterminating method of injurious insect for farmland by flog |
US20100154287A1 (en) * | 2008-12-22 | 2010-06-24 | Irons Stephen D | Snake trap system |
KR101309632B1 (en) *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
KR20160102796A (en) * | 2015-02-23 | 2016-08-31 | 박병근 | Apparatus for catching mouse |
CN107372402A (en) * | 2017-09-18 | 2017-11-24 | 张彬彬 | Plant's trap lamp of band diffuse reflector |
KR102056321B1 (en) | 2019-03-26 | 2020-01-14 |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 Amphibians and reptile trapping device |
KR102099403B1 (en) * | 2018-07-17 | 2020-04-09 | 김호림 | Rat trapping device |
-
2021
- 2021-02-03 KR KR1020210015090A patent/KR1025337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23100A (en) * | 1997-04-29 | 2001-11-20 | ペル レンナウ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mice, mice, etc. |
KR20090101626A (en) * | 2008-03-24 | 2009-09-29 | 김길호 | Exterminating method of injurious insect for farmland by flog |
US20100154287A1 (en) * | 2008-12-22 | 2010-06-24 | Irons Stephen D | Snake trap system |
KR101309632B1 (en) *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
KR20160102796A (en) * | 2015-02-23 | 2016-08-31 | 박병근 | Apparatus for catching mouse |
CN107372402A (en) * | 2017-09-18 | 2017-11-24 | 张彬彬 | Plant's trap lamp of band diffuse reflector |
KR102099403B1 (en) * | 2018-07-17 | 2020-04-09 | 김호림 | Rat trapping device |
KR102056321B1 (en) | 2019-03-26 | 2020-01-14 |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 Amphibians and reptile trapp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3700B1 (en) | 2023-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36251B2 (en) | Trapping system utilizing video attractants | |
US1936644A (en) | Insect trap | |
US1302160A (en) | Poison-containing trap. | |
GB2249249A (en) | Rodent poison bait holder | |
KR20220111831A (en) | Amphibious monitoring devices using decoy lamps | |
US10076108B2 (en) |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KR20230112337A (en) |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 |
US1743664A (en) | Insect trap | |
JP2001017053A (en) | Method and apparatus to count flying insect pest by pheromone trap | |
JP2003219788A (en) | Animal barrier system, net for animal barrier and ring for fixing animal barrier net | |
Dargan et al. | An experiment with snake trapping | |
US20190075775A1 (en) | ONE WAY Mosquito trap | |
JP2020065523A (en) | Large-insect trap | |
Pietz et al. | Effects of predator exclosure design on duck brood movements | |
US1139501A (en) | Animal-trap. | |
Kasili et al. | Comparative attractiveness of CO (2)-baited CDC light traps and animal baits to Phlebotomus duboscqi sandflies. | |
KR102358679B1 (en) | Apparatus for ridding farm land of birds | |
Williams et al. | Protection of in situ sea turtle nests from depredation | |
US878123A (en) | Animal-trap. | |
KR102698449B1 (en) | Attractant tension type termite surveillance device | |
KR102567475B1 (en) | Nature-simulating shelter for cats | |
WO2013056410A1 (en) | Insect trap | |
US1361417A (en) | Flytrap | |
Buyaskas |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ttractants to increase detection probabilities in northeastern mammals | |
Tansey et al. | A novel trapping system for monitoring insect flight heigh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