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337A -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337A
KR20230112337A KR1020220008468A KR20220008468A KR20230112337A KR 20230112337 A KR20230112337 A KR 20230112337A KR 1020220008468 A KR1020220008468 A KR 1020220008468A KR 20220008468 A KR20220008468 A KR 20220008468A KR 20230112337 A KR20230112337 A KR 2023011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tes
termite
remote monitoring
unit
communic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동식
정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엔디
Priority to KR102022000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337A/en
Publication of KR2023011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3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는, 내부가 중공되며, 흰개미가 출입 가능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유인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카트리지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를 통해 먹이 활동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having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ermites can enter and exit, a cartridge unit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includes an attractant that serves as food for termites, a cover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body from coming out indiscriminately, and a cover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artridge unit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ermites feeding through the decoy and determining whether termites are introduced,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a manager server.

Description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Termite surveillance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으로 가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흰개미의 존재 유무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to remote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without requiring a manager to directly go to the site and make a quick response.

일반적으로, 흰개미는 지구상에 2,050여 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흰개미는 규슈 흰개미로 몸길이가 2.3mm 정도이고 한 집에 1만~10만 마리 정도가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it is known that about 2,050 species of termites live on earth, and termites living in Korea are Kyushu termites, which have a body length of about 2.3 mm and are known to live in about 10,000 to 100,000 in one house.

흰개미는 사회생활을 하는 곤충으로, 왕 흰개미, 여왕 흰개미, 병정 흰개미, 일 흰개미가 무리를 지어 군집생활을 한다.Termites are social insects, and king termites, queen termites, soldier termites, and worker termites form groups and live in colonies.

일 흰개미는 흰개미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먹이를 찾고 가져와 유충과 병정 흰개미를 먹여 살리며, 어린 흰개미들을 키우고 병정들의 시중도 들고 집 청소도 하고, 집이 망가지면 수리하고 이사해야 할 일이 생기면 집도 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worker termites make up the bulk of the termites, and are known to forage and bring food, feed on the larvae and soldier termites, raise the young termites, attend on the soldiers, clean the house, repair the house when it is damaged, and build the house when it is time to move.

흰개미는 대부분 나무와 나뭇잎들을 먹어 치우고, 죽은 나무와 떨어진 나뭇잎들도 먹으며, 섬유질을 분해하여 글루코오즈를 흡수하여 영양을 얻고 여러 가지 유기물, 염류를 포함한 배설물을 내놓는다.Termites eat mostly trees and leaves, and also eat dead trees and fallen leaves, break down fiber to absorb glucose to obtain nutrients, and excrete various organic substances and salts.

이와 같이, 흰개미는 나무와 낙엽을 청소해주며 배설물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될 곤충이며, 생태 순환에서 포식자와 생산자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ermites are indispensable insects in the ecosystem because they clean trees and fallen leaves and help plants grow well with excremen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predators and producers in the ecological cycle.

그런데, 나무로 만든 중요 문화재, 즉, 목조 문화재가 흰개미의 먹이가 되어 훼손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However, as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made of wood, that is, wooden cultural properties, become food for termites and are damaged, it is becoming a big social problem.

대한민국의 통도사의 일 예를 살펴보면, 통도사 약사전에 있는 지름 50cm, 높이 3m의 기둥 8개 가운데 5개가 이미 흰개미에 의해 크게 훼손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밑둥을 갉아먹은 한 기둥에서는 손이 닿는 부분까지 속이 빈 소리를 내고 있고, 주춧돌과 기둥 사이에 손이 들어갈 정도의 구멍이 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ooking at an example of Tongdosa Temple in Korea, it is reported that 5 out of 8 pillars with a diameter of 50cm and a height of 3m in the Tongdosa Pharmacy Dictionary have already been severely damaged by termites.

그 외에도 전라남도 무위사의 극락보전, 전라북도 선운사의 대웅전, 충청남도 마곡사의 영산전, 충청북도 법주사의 대웅보전, 경상북도 은해사의 거조암과 영산전, 봉정사의 극락전과 임청각, 군자정 부석사 무량수전, 조사당, 강원도 객사문과 해운정, 그리고 오죽헌 등이 모두 흰개미에 의해 훼손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n addition, Geungnakjeon Hall in Muwisa Temple in Jeollanam-do, Daeungjeon Hall in Seonunsa Temple in Jeollabuk-do, Yeongsanjeon Hall in Magoksa Temple in Chungcheongnam-do, Daeungbojeon Hall in Beopjusa Temple in Chungcheongbuk-do, Geungnakjeon Hall and Yeongsanjeon Hall in Eunhaesa Temple in Gyeongsangbuk-do, Geungnakjeon Hall and Imcheonggak Hall in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in Buseoksa Temple in Gunjajeong, Josadang Hall, Gaeksamun Gate and Haeunjeong Pavilion in Gangwon-do Province, and Ojukheon Hall are reported to be damaged by termites.

국립문화재연구소의 2011년 흰개미에 의한 문화재 파괴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 국보, 보물, 중요 민속 문화재 등에 대한 57건의 조사결과 39건의 피해가 있었으며, 그 피해율이 68.4%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by termites in 2011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39 cases of damage were reported as a result of 57 investigations on national treasures, treasures, and important folk cultural properties, and the damage rate reached 68.4%.

이와 같은 흰개미는 1920년대 충남 및 서부 지역 등 한반도 일부에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지구 온난화와 함께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흰개미의 개체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4년 조사에서 전국적으로 고르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외래종의 유입 또한 증가하고 있어 흰개미 방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Such termites were known to live only i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Chungcheongnam-do and western regions in the 1920s, but as the temperature of the Korean Peninsula rises with global warming, the population of termites that lik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s is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은 목조 문화재의 흰개미 방제 처리 방법으로서, 훈증법(fumigation), 목재 보존법(wood preservatives), 토양 처리법(soil treatment) 및 베이트법(baiting) 등이 있다.As termite control treatment methods for such wooden cultural assets, there are fumigation, wood preservatives, soil treatment, and baiting.

그 중, 베이트법은 흰개미를 유인하여 독성 물질을 먹이와 함께 섭취하게 하므로 개체 및 군체를 동시에 파괴시키는 방제방법으로 약제로 인한 토양 및 인체에 오염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Among them, the bait method attracts termites and ingests toxic substances together with food, so it is a control method that destroys individuals and colonies at the same time, and has the advantage of less contamination of the soil and human body due to chemicals.

이러한 베이트법에 의한 흰개미 방제 방법은, 토양 및 인체에 오염이 적다는 장점에 따라 주목받고 있으며, 상기 베이트법이 적용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문헌 특1994-0006459호에 개시된 바 있다.The termite control method using the bait method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the advantage of less soil and human contamination, and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4-0006459 as a prior art to which the bait method is applied.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문헌 특제1994-0006459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흰개미의 활동 조사를 위해 주기적으로 하우징에 수용된 카트리지를 갖는 미끼 스테이션을 매번 분리하여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흰개미 탐지나 예찰 또는 그 제어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994-0006459 has a problem in that termite detection, surveillance, or control thereof is not efficient because the bait station having the cartridge contained in the housing must be separated and observed periodically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termites.

또한, 종래의 흰개미 포획 또는 감시 장치들은 관리자가 매번 주기적으로 현장으로 출동하여 장치들을 직접 확인해야 함으로써, 시간 및 인력의 부담이 컸으며, 점검 상에서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효율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rmite trapping or monitoring devices require a manager to periodically go to the site and check the devices, which requir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and has many problems in terms of efficiency, such as missing during inspection.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064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4-000645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흰개미의 존재 유무 및 감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관리자 서버에 감시 신호가 원격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흰개미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is accurately monitored, and a monitoring signal is remotely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thereby enabling accurate and efficient monitoring of termit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는, 내부가 중공되며, 흰개미가 출입 가능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유인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와, 상기 카트리지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를 통해 먹이 활동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having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ermites can enter and exit, a cartridge unit including an attractant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serving as food for termites, a cover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body from coming out indiscriminately, and a cartridge unit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cartridge unit. When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perform feeding activities through the attractor,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is and determining whether termites are introduced,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to recei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 the signal to a manager server.

이때,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과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부와 하부에 단면이 확장된 형상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지지로드에 관통 구비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체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가 상향 이동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체는 상기 작동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형상에 변화가 발생될 경우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rtridge part is fitted into the body and is made of a hollow column shape, and includes a support rod having through holes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having an expanded cross s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elastic for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support rod so that the operating rod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attractor. A sieve may be included, and the attracting body may be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rod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support rod so that the operation rod may move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when a change in shape occurs due to feeding activities of termites.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부와 연계 가능한 자기식 센서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기식 센서와 연계 가능한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식 센서는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작동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자석부재의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unit, and includes a magnetic sensor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magne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and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or. The magnetic sensor sense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when the operation rod is moved upwar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an action caused by termite feeding activity, determines whether termites are introduced, and sends a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remotely monitor the management server. you can make it

이때, 상기 유인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단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로 구분되며, 외부에 위치되는 제1유인체 및 내부에 위치되는 제2유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인체는 상기 제2유인체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ttracting body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based on the central axis and i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parts, and includes a first attracting body located outside and a second attracting body located inside, and the first attracting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second attracting body.

또한, 상기 하부플랜지는 상단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유인체의 하단과 밀착되는 돌출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guard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or.

그리고 상기 돌출가드가 상기 제1유인체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제1유인체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1차적으로 상향 이동되되, 상기 돌출가드를 제외한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단면이 상기 제2유인체의 하단에 밀착되며, 상기 자기식 센서는 상기 자석부재의 1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초기 유입 단계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제2유인체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되어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2차적으로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자기식 센서는 상기 자석부재의 2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대량 유입 단계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gu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ant, as the shape of the first attractant changes due to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body, the operating rod is primari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excluding the protruding gu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ttractant. and transmits this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monitoring is performed remotely by the manager server.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hape of the second attractor due to termite feeding activity and the actuating rod is secondari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body, the magnetic sensor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secondary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to determine the step of mass inflow of termite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monitoring can be performed remotely in the manager server.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가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과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작동로드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일측과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rod, and includes a contact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as the operation rod moves upward. The contact sensor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so that when the operation rod moves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due to an activity of termites fee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is detected to determine whether termites have flowed in, and a termite inflow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Monitoring can be done remotely.

이때,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작동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상향 이동을 단계별로 감지하여, 흰개미의 초반 유입 및 대량 유입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sensors are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on rod, detect the upward movement of the actuation rod step by step, distinguish between an initial inflow of termites and a large influx of termites, and transmit a termite inflow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can remotely monitor the termites.

또한,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유인체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흰개미나 흰개미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plat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attractor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o block the inflow of termites or termite excrement.

그리고 상기 몸체는 섬유소가 함유된 재질로 이루어져, 흰개미를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cellulose and can serve to attract termit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ermite surveillance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주기적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흰개미에 대한 감시 신호를 원격으로 전달 받아 관리자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 인력 및 시간의 부담 없이 효율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go to the site regularly, the surveillance signal for termites can be received remotely and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manager server,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icient surveillance can be performed without burden of manpower and time.

둘째, 흰개미의 존재 유무를 사람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닌 센서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놓치는 부분 없이 정확한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through a sensor rather than directly checking by a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curate monitoring can be performed without missing parts.

셋째, 흰개미의 습성에 맞춰 초기 유입 및 대량 유입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각각의 상황에 맞는 확실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by detecting the initial inflow and mass influx according to the habit of termit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liable response can be made according to each situ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부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의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있어서, 흰개미의 초기 유입 및 대량 유입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rtridge unit and a sensing unit in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tridge unit in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ow an initial inflow of termites and a large influx of termites are classified and detected in stages in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관리자가 직접 현장으로 가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흰개미의 존재 유무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는 보호가 필요한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주변 지역에 일정 구간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지중에 설치되어 보호가 필요한 목조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주변에 흰개미가 출현하는지를 감시하고 이를 예찰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to remote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without a manager going to the site and checking the presence of termites so that prompt response can be made.

본 발명에 따른 흰개미 예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흰개미가 유입될 수 있도록 출입 가능한 통과홀(110)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며,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유인체(21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300)와, 상기 카트리지부(200)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210)를 통해 먹이 활동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부(400) 및 상기 커버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관리자 서버(700)로 전송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having a hollow interior to form a space and having a passage hole 110 through which termites can enter, a cartridge unit 200 including an attractant 210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0 and serves as food for termites, and a cartridge unit 20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The cover part 300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prevents termites from indiscriminately coming out of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the detecting part 400 and the cover part 300 that can be linked with the cartridge part 200 to detect when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feed through the attractor 210, and determine whether termites have entered the cover part 300 )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00 provided inside the sensor 400 to recei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400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manager server 700.

또한,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장입되되, 상기 몸체(100)와 상기 카트리지부(200) 사이의 공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카트리지부(200)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카트리지부(2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인체(210)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인체(210)를 먹는 흰개미의 배설물이 유입되거나 흰개미들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필러 플레이트(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formed in the body 100, and is located in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ttractor 21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unit 200 among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cartridge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cartridge unit 200, and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o attract the attractor 2. 10)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plate 600 capable of blocking excretion of termites that eat the termites from entering or moving termites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이때, 상기 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는 특성상 하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침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인 외형 역시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is preferably made of a round shape or a needle shape due to the nature of being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overall appearance is also preferab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ade of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triangular column, a square column, or a pentagonal column.

또한, 상기 몸체(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흰개미의 유인에 보다 유효하도록 섬유소를 함유한 재질, 예컨대,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10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or various other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cellulose, such as wood, to be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termites.

그리고 흰개미들은 공간을 이동하거나 습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보호를 위해 흰개미 배설물 등을 이용하여 터널 형상의 튜브를 만들어 그 안에서 이동하는 습성이 있는 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어 흰개미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통과홀(110)은 터널과 같은 튜브 형상을 가지도록 원형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ermites have a habit of making a tunnel-shaped tube using termite excreta for protection when moving in space or when humidity is insufficient, and moving there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hole 110 formed in the body 100 and allowing termites to flow into the body 100 is made of a circular hole to have a tube-like shape like a tunnel.

또한,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끼움 결합, 체결 결합, 흰지 결합 등 탈착이 가능하거나, 상기 몸체(100)의 상단이 개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카트리지부(200) 및 상기 감지부(400)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300 can be detached from the top of the body 100, such as fitting, fastening, or white paper, or can be coupled by applying any one of various methods in which the top of the body 100 can be opened. ) This is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and management of the cartridge unit 200 and the detection unit 400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이러한 상기 커버부(300)는 단순히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판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들이 움직이며 상기 통신부(500) 및 상기 감지부(400)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통신부(500) 및 상기 감지부(400)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part 300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structure capable of simply covering the top of the body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ver part 300 prevents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from moving and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unit 500 and the detection unit 400, as well as form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500 and the detection unit 400 can be accommodated so a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s. It is desirable.

이때,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상기 통신부(500) 및 상기 감지부(400)를 교체하거나 점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300)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캡(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replacement or inspe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500 and the detection unit 400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unit 300, a cover cap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unit 300 so that one side of the cover unit 300 can be open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부(200)와 상기 필러 플레이트(600)가 장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the body 100 may be equipped with the cartridge unit 200 and the filler plate 600 loaded therein.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상기 감지부(400)와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통과홀(11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상기 유인체(210)를 포함함으로써,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에 의해 상기 감지부(400)에서 흰개미의 출현 유무를 확인하고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카트리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가 중공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과 하면에는 관통공(251)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로드(250)와, 상부와 하부에 단면이 확장된 형상의 상부플랜지(220)와 하부플랜지(230)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251)을 통해 상기 지지로드(250)에 관통 구비되는 작동로드(240) 및 상기 상부플랜지(220)와 상기 지지로드(2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체(210)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향 이동될 수 있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rtridge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400 and includes the attractant 210 serving as food for the termites introduced through the passage hole 110 formed in the body 100, thereby performing a role of allowing the sensing unit 400 to check and detect whether termites appear or not by an action caused by the feeding activity of the termites. Such a cartridge unit 200 is shown in FIG. 3 Similarly, a support rod 250 which can be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has a hollow column shape with through holes 25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n upper flange 220 and a lower flange 230 having an expanded cross-s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operating rod 2 passing through the support rod 250 through the through hole 251 40) and an elastic body 260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220 and the support rod 250 and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so that the operating rod 240 can be moved upwar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attractor 210.

이때, 상기 카트리지부(200)에 포함되는 상기 유인체(210)는 상기 작동로드(240)에 관통되되, 지중에 매설되는 상기 몸체(100)에 흰개미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통과홀(110)과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 즉, 상기 하부플랜지(230)와 상기 지지로드(25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유인체(210)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될 경우, 상기 탄성체(2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기 지지로드(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ttractor 210 included in the cartridge unit 200 is passed through the operation rod 24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body 100, that is, between the lower flange 230 and the support rod 250 to correspond to the passage hole 11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so that termites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buried in the ground. When the shape of the attractor 210 is changed due to the feeding activity of the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60 causes the operating rod 240 to move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rod 250.

즉, 상기 탄성체(260)는 상기 상부플랜지(220)와 상기 지지로드(25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상기 유인체(210)가 흰개미의 먹이 활동에 의해 갉아 먹히며 점차 사라져 형상의 변화가 발생될 경우,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하측면을 밀어 올려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기 지지로드(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body 260 is provid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upper flange 220 and the support rod 250, and when the attractor 210 is eaten by termites and gradually disappears to change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20 is pushed up so that the operating rod 240 can be mov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250. it will

이때, 상기 지지로드(250)의 길이 방향은 상기 작동로드(24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250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rod 240 .

이를 위해 상기 탄성체(260)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대상(본 발명에서는 작동로드에 해당함)을 밀어 올릴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To this end, the elastic body 260 may be form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as shown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ny structure capable of pushing up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operating ro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ts own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이때, 상기 유인체(210)는 고등식물, 목화털, 여과지, 천연 섬유소, 목재 펄프 등과 같은 섬유소를 함유하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흰개미의 먹이 활동에 따른 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도록 펄프나 종이 또는 톱밥을 이용하여 형상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ttractor 2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ontaining cellulose, such as higher plants, cotton wool, filter paper, natural fiber, wood pulp, etc., and it is preferable to use pulp, paper, or sawdust to relatively easily transform according to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또한, 상기 카트리지부(200)에서 상기 유인체(21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흰개미에게 먹이로 인식되지 않도록 섬유소가 포함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유인체(210)의 소모로 작용되는 구동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ther components of the cartridge unit 200, except for the attractor 210, ar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cellulose so that termites do not recognize them as food, so that the attractor 210 is consu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와 상기 카트리지부(200) 사이 공간을 차단하여 흰개미 및 흰개미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필러 플레이트(6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중 상기 유인체(210)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 즉, 상기 카트리지부(200) 중에서도 상기 유인체(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로드(250)와 상기 몸체(10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210)를 먹는 활동에는 방해되지 않으면서 상기 유인체(210)가 구비되는 공간의 상부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흰개미의 배설물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240)가 흰개미 배설물에 포함된 유기물 등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면에 고착되지 않고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plate 600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cartridge unit 200 to prevent termites and termite excretions from entering,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attractor 210 among the spaces formed inside the body 100, that is, the support rod 250 and the body positioned above the attractor 210 among the cartridge unit 200 The operating rod 24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dies 100 and blocks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from mov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pace where the attractant 210 is provid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ctivity of eating the attractant 210, thereby preventing termites from moving indiscriminately inside the body 100 and preventing termite feces from flow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0) can be smoothly moved along the support rod 250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0 by organic matter included in termite excretion.

이때, 상기 필러 플레이트(600) 역시 상기 유인체(210)를 제외한 다른 상기 카트리지부(200)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흰개미가 먹이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플라스틱이나 경질 고무와 같은 섬유소가 포함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ller plate 600 is also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cellulose such as plastic or hard rubber to prevent termites from recognizing it as food, similarly to the material of the cartridge unit 200 other than the attractor 2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부(200)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유인체(210)의 형상 변화에 따른 상기 작동로드(240)의 이동을 감지하여 흰개미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감지부(400)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3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500)와 연계 가능한 자기식 센서(410) 및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기식 센서(410)와 연계 가능한 자석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40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cartridge unit 200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24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attractor 210, can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unit 300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220 and may include a magnet member 420 that can be linked with the magnetic sensor 410.

예컨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상기 통과홀(11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210)를 통해 먹이 활동을 하고, 그에 따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인체(210)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하면서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작동로드(2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일측,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재(420)가 상기 작동로드(240)와 함께 기존의 위치에서 상향 이동되게 되며, 이와 같은 상기 자석부재(420)의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상기 자기식 센서(410)를 통해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passage hole 110 formed in the body 100 feed through the attractor 210 and the operation rod 240 moves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while the shape of the attractor 210 changes due to the action, the upper flange 220 provided on the top of the operating rod 240 One side,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the magnet member 4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lange 220 is moved upward from the exist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ng rod 240, and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420 is sensed through the magnetic sensor 410.

이를 통해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몸체(100)에 흰개미가 유입되어 왔음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자기식 센서(410)는 상기 통신부(500)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감지부(400)에서 감지하여 판단된 흰개미의 유입에 대한 정보를 신호화 하여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상기 관리자 서버(70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현장에 주기적으로 직접 출동하여 하나하나 직접 검사하지 않더라도 상기 관리자 서버(700)를 통해 원격으로 흰개미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sensing unit 400 can determine that termites have flowed into the body 100. At this time, the magnetic sensor 410 makes it possible to link with the communication unit 500, so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low of termite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400 is signal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7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0, so that the manager is dispatched to the site periodically and directly one by one. Even without direct inspec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can be detected remotely through the manager server 70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 모습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구조 상에서 상기 몸체(100)에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 활동에 의한 작용에 의해 흰개미의 존재 유무를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의 구동 원리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bined appearance of each component of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는 단순하게 흰개미의 존재 유무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흰개미의 유입을 단계별로 나누어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흰개미에 대한 대응 강도를 선택하여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does not simpl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but rather detects the influx of termites in stages, so that an appropriate response can be made by selecting the intensity of response to termites.

예컨대, 군집생활을 하는 흰개미는 그 특성 상 초반에는 소수의 일 흰개미들이 먹이를 찾아 움직이며, 이러한 일 흰개미들이 먹이가 있는 것을 파악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대량의 흰개미들을 불러와 본격적인 먹이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For example, due to the nature of termites living in colonies, a small number of worker termites move in search of food in the beginning, and after these worker termites find out that there is food, they call in a large number of termites and start full-scale feeding activities.

이와 같은 흰개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흰개미에 대한 대응도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바, 흰개미의 유입이 초기 단계인지 대량 유입 단계인지를 정확하게 감지한다면, 흰개미를 박멸하거나 보호가 필요한 목조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대한 대비가 과하거나 모자라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인해 그만큼 인력 및 대응에 소모되는 물자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ermites, countermeasures against termites must be appropriately made. If termites are accurately detected in the initial stage or in the mass influx stage, termites can be exterminated or preparations for wooden buildings or structures requiring protec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 or insufficient, so that manpower and materials consumed in response can be efficiently used.

이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부(200)에서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상기 유인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단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외부에 위치되는 제1유인체(211) 및 내부에 위치되는 제2유인체(212)로 나뉘어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the attractant 210 serving as food for termites in the cartridge unit 200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based on a central axis and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parts.

이때, 상기 제1유인체(211)는 상기 제2유인체(212)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 다시 말해 상기 제2유인체(212)보다 상대적으로 양이 적도록 이루어져 초반에 유입되는 소수의 흰개미에 의한 먹이 반응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ttractant 211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second attractant 212, that is, made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amount than the second attractant 212. It is preferable to accurately detect the food response by the small number of termites introduced at the beginning.

또한, 상기 하부플랜지(230)는 상기와 같이 외부와 내부가 상기 제1유인체(211) 및 제2유인체(212)로 이루어져 다단 형성되는 상기 유인체(21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단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가드(2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돌출가드(231)는 상기 제1유인체(211)의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guard 231 may be protru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ttracting body 210 formed in multiple stages, consisting of the first attracting body 211 and the second attracting body 212, and the protruding guard 231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ing body 211.

예컨대, 상기 유인체(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부플랜지(23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가드(23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외부로 구분되어 다단 형성되는 상기 유인체(210) 중 상기 제1유인체(211)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에 초반에 유입되는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제1유인체(211)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240)는 상기 탄성체(260)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상향 이동되되, 상기 돌출가드(231)를 제외한 상기 하부플랜지(230)의 상단면이 상기 제2유인체(212)의 하단에 밀착되게 되며, 이때, 상기 자기식 센서(410)는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재(420)의 1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초기 유입 단계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통신부(500)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700)로 전송되도록 함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서버(700)를 확인하여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를 설치한 위치에 초반 소수의 흰개미가 나타났음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rotruding guard 231 formed on the lower flange 23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attractor 210 is divided into internal/extern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or 211 among the multi-staged attractants 210, and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at the beginning cause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first attractant 211. The operating rod 240 is primarily moved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by the elastic body 2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30 excluding the protruding guard 23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ttractor 21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nitial introduction stage of termites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by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communication unit 500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700, the manager can check the manager server 700 and remotely confirm that a small number of termites appeared at the location where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was installed.

또한, 상기 제1유인체(211)를 먹은 흰개미들이 먹이를 확인하여 되돌아가 군집을 이루는 대량의 흰개미들을 불러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 대량의 흰개미가 왕성한 먹이 활동을 함에 따라, 상기 제2유인체(212)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되어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기 탄성체(260)에 의해 2차적으로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상향 이동되게 되며, 상기 자기식 센서(410)는 상기 자석부재(420)의 2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대량 유입 단계임을 판단하고, 이를 상기 통신부(500)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70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됨으로써, 상기 관리자 서버(700)를 확인한 관리자는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량의 흰개미가 나타났음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tes that ate the first attractor 211 identify food and return to call a large amount of termites forming a colony, and as the large amount of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actively feed, the shape of the second attractor 212 changes, so that the operating rod 240 is moved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secondarily by the elastic body 260. The magnetic sensor 410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secondary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420, determines that a large amount of termites is introduc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5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r server 700. Thus, the manager who has checked the manager server 700 can remotely confirm that a large number of termites have appeared at the location where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이때, 상기 자석부재(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랜지(220)의 상단 또는 일측에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상부플랜지(220) 자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부재(420)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magnet member 420 may be formed in the form provid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220 as described above, but the upper flange 220 itself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can serve as the magnet member 420.

이러한 상기 유인체(210)의 다단 구성에 따른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의 구동 모습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termite guarding device according to the multi-stage configuration of the decoy 21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8 .

이와 같이 흰개미의 유입을 초기 단계와 대량 유입 단계로 구분하여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흰개미에 대한 대응을 초기에 바로 박멸을 하거나, 초기 발견 이후에 몰려올 대량 흰개미에 대한 예찰이 이루어져 흰개미에 대한 효과적인 박멸이 이루어질 수 있는 준비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by dividing the influx of termites into an initial stage and a mass influx stage so that accurate detection can be made, the countermeasure against termites can be eradicated immediately at the beginning or a large number of termites that will come after the initial discovery can be observed.

또한, 상기 감지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식 센서(410) 및 자석부재(420)의 연계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 외에도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로드(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상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로드(250)와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센서(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by the linkage of the magnetic sensor 410 and the magnet member 420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400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4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rod 240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250 while moving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as shown in FIG. 3 (b).

예컨대, 상기 접촉센서(430)는 상기 작동로드(24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작동로드(240)가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지지로드(25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51)의 내주면 일측과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500)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700)에 흰개미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서버(700)를 확인한 관리자가 원격으로 흰개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ontact sensor 4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240, so that when the operating rod 240 moves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due to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body 100, it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through hole 251 formed in the support rod 25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etermine whether termites have entered the communication unit 50. 0) to transmit the termite inflow signal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termites to the manager server 700, so that the manager who has checked the manager server 700 can remote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s.

이때, 상기 접촉센서(430)는 상기 작동로드(240)의 외측면에 상기 작동로드(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240)의 상향 이동을 단계별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별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흰개미의 습성에 따라 흰개미의 초반 유입 및 대량 유입을 구분하여 판단하는 기준이 됨으로써, 흰개미의 존재에 대한 초기 대응 및 대량의 흰개미에 대한 정확한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sensor 430 is continuous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tuating rod 2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ing rod 240, so that the upward movement of the actuating rod 240 can be sensed step by step, and this step-by-step detection i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initial inflow and mass influx of termites according to the habit of the termite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itial response to the existence of termites and the accurate response to the large amount of termites can b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can make it happen.

또한, 상기 작동로드(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센서(430)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흰개미의 유입을 초반 및 대량 유입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단순히 하나의 상기 유인체(210)가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그 부피가 줄어드는 형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체(260)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250)를 따라 점차 상향 이동되는 상기 작동로드(240)의 이동 거리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인체(210)가 제1유인체(211) 및 제2유인체(212)로 구분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단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230)의 상단면에 상기 돌출가드(23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흰개미의 단계별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act sensor 430 is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rod 240 so that the inflow of termites can be detected by dividing them into an initial stage and a large-scale inflow stage. This can be detected simply through the moving distance of the operating rod 240, which is gradually moved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250 by the elastic body 260 according to a change in shape in which the volume of the attractor 210 is reduced due to the feeding activity of the termit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the attractor 210 is divided into the first attractant 211 and the second attractant 212 and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protruding guard 2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30 to correspond thereto, so that termites can be detected step by step more accurately.

상기와 같이 접촉센서(430)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지부(400)와 상기 카트리지부(200)의 연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흰개미의 원격감시는 도 6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monitoring of termites achiev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unit 400 composed of the contact sensor 430 and the cartridge unit 20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through FIG. 6 .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를 통해 흰개미의 유입을 원격으로 감지한 관리자는 초기 유입 단계 및 대량 유입 단계로 구분되어 나타난 흰개미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소량의 박멸 또는 대량의 박멸을 위한 살충제를 구비하여 원격감시 신호가 전송된 위치로 출동하여 흰개미가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 박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트리지부(200)에 포함되어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상기 유인체(210)의 내부에 살충용 약제가 포함되도록 구비함으로써, 흰개미의 감시 및 예찰은 물론 왕성한 먹이 활동을 하는 흰개미에 대한 박멸까지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who remotely senses the influx of termites through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identify the presence of termites, which are divided into an initial inflow phase and a large inflow phase, and may be equipped with an insecticide for a small amount or a large amount of eradication to dispatch to the location where the remote monitoring signal is transmitted and eradicate the termites so that they do not spread fur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0), it is possible to naturally perform not only monitoring and observation of termites but also eradication of termites that actively feed.

그 이후 관리자는 흰개미가 감지된 신호를 전송한 흰개미 예찰장치가 설치된 지역으로 가서 흰개미의 박멸을 확인하고, 상기 카트리지부(200)나 상기 유인체(210)를 새롭게 교체함으로써,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that, the manager goes to the area where the termite surveillanc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signal detected by termites is installed, confirms the eradication of termites, and replaces the cartridge unit 200 or the attractor 210 with a new one, so that continuous and efficient operation can be achie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몸체 110 : 통과홀
200 : 카트리지부 210 : 유인체
211 : 제1유인체 212 : 제2유인체
220 : 상부플랜지 230 : 하부플랜지
231 : 돌출가드 240 : 작동로드
250 : 지지로드 251 : 관통공
260 : 탄성체 300 : 커버부
400 : 감지부 410 : 자기식 센서
420 : 자석부재 430 : 접촉센서
500 : 통신부 600 : 필러 플레이트
700 : 관리자 서버
100: body 110: through hole
200: cartridge unit 210: lure
211: first lure 212: second lure
220: upper flange 230: lower flange
231: protruding guard 240: operating rod
250: support rod 251: through hole
260: elastic body 300: cover part
400: sensing unit 410: magnetic sensor
420: magnet member 430: contact sensor
500: communication unit 600: filler plate
700: manager server

Claims (10)

내부가 중공되며, 흰개미가 출입 가능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흰개미의 먹이가 되는 유인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흰개미가 무분별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
상기 카트리지부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유입된 흰개미가 상기 유인체를 통해 먹이 활동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부; 및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아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 body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having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ermites can enter and exit;
a cartridge unit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including an attractant serving as food for termites;
a cov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from coming out indiscriminately;
a sensing unit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cartridge uni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ermites are introduced by detecting when termites introduced into the body feed through the attractor;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ver unit to recei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transmit the signal to a manager server;
Termite surveillance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과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로드;
상부와 하부에 단면이 확장된 형상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지지로드에 관통 구비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인체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가 상향 이동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체는,
상기 작동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형상에 변화가 발생될 경우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rtridge part,
A support rod fitted into the body and formed in a column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having through-holes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n operating rod provided with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having an expanded cross-section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support ro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support rod and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operating rod moves upwar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attractor;
including,
The attractor,
It is provided through the operating rod, bu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support rod so that the operating rod moves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when a change in shape occurs due to termite feeding activity.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부와 연계 가능한 자기식 센서;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기식 센서와 연계 가능한 자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식 센서는,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작동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자석부재의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a magnetic sensor provided inside the cover unit and capable of being linked wit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magne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and capable of being linked with the magnetic sensor;
including,
The magnetic sensor,
When the actuating rod is mov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activity of termites feed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is detected to determine whether termites have flowed in, and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that transmits a termite inflow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remotely monitors the termit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단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로 구분되며,
외부에 위치되는 제1유인체; 및
내부에 위치되는 제2유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인체는 상기 제2유인체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ttractor,
It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based on the central axis and i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parts,
A first lure located outside; and
A second lure located inside;
including,
The first attractant has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second attracta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는,
상단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유인체의 하단과 밀착되는 돌출가드;
를 더 포함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ower flange,
A protruding guard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or;
Termite surveillance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드가 상기 제1유인체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유입된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제1유인체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1차적으로 상향 이동되되, 상기 돌출가드를 제외한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단면이 상기 제2유인체의 하단에 밀착되며, 상기 자기식 센서는 상기 자석부재의 1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초기 유입 단계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상기 제2유인체의 형상에 변화가 발생되어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2차적으로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자기식 센서는 상기 자석부재의 2차 변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대량 유입 단계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protruding gu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attractant, as the shape of the first attractant changes due to the feeding activity of termites that have flowed into the body, the operating rod is primari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excluding the protruding gu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ttractant. , This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monitoring is performed remotely from the manager server,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hape of the second decoy due to termite feeding activity and the actuating rod is secondarily moved upward by the elastic body, the magnetic sensor sense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secondary displacement of the magnet member, determines that a large amount of termites are introduc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remotely monitors termi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가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과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작동로드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 가능하여, 흰개미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상향 이동될 경우,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일측과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여 흰개미의 유입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rod and is made of a contac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as the operating rod moves upward,
The contact sensor,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so that when the operating rod moves upward along the support rod due to an activity of termites fee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rmite inflow is determin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termite inflow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remotely monitors the termit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작동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상향 이동을 단계별로 감지하여, 흰개미의 초반 유입 및 대량 유입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로 흰개미의 유입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원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act sensor,
A termite monitoring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rod, dete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step by step, distinguishing between initial and large-scale influx of termites, and transmitting a termite influx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server remotely monitors the termi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흰개미 예찰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유인체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로드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흰개미나 흰개미의 배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러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te monitoring device,
a filler plat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ttractor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o prevent termites or termite droppings from entering;
Termite surveillance device having a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섬유소가 함유된 재질로 이루어져, 흰개미를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원격감시 통신기능을 갖는 흰개미 예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body,
A termite surveillance devic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cellulose and hav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 that serves to attract termites.
KR1020220008468A 2022-01-20 2022-01-20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KR202301123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68A KR20230112337A (en) 2022-01-20 2022-01-20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468A KR20230112337A (en) 2022-01-20 2022-01-20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337A true KR20230112337A (en) 2023-07-27

Family

ID=8743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468A KR20230112337A (en) 2022-01-20 2022-01-20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33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59A (en) 1992-09-08 1994-04-25 엘 소온 바바라 Termit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59A (en) 1992-09-08 1994-04-25 엘 소온 바바라 Termite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536B1 (en) Subterranean termite monitor and method
Clark et al. Brown tree snakes: methods and approaches for control
Cook A historical review of management options used against the stable fly (Diptera: Muscidae)
Le Vieux et al. Prospects for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control the vine mealybug, Planococcus ficus, in South African vineyards
CN101147479B (en) Method and device for catching and killing mouse and rabbit
KR20130069909A (en) Trap 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insects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Petit et al.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aluminium box, wire cage, and pitfall trapping, handling, and temporary housing of small wild rodents and marsupials
KR101945815B1 (en) Ground install Type_ Disposable soil pests trapping device
Acebes‐Doria et al.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trunk traps to monitor movement of H alyomorpha halys nymphs on host trees
US20140250766A1 (en) Arthropod monitoring trap
US20090031611A1 (en) Monitor and bait delivery system for insects
EP3241436A1 (en) Insect trap
KR20230112337A (en)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KR20160143161A (en) Pest trapping traps of the pots structure for preventing bursaphelenchus xylophilus disease
KR20230112340A (en) Termite forecast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function
KR101387149B1 (en) Termite monitering and control apparatus
JP2002315493A (en) Termite catcher, termite detection and termite extermination using the same
Pérez et al. Soft tick sampling and collection
JPH0717802A (en) Exterminating method of termite
KR20160139865A (en) Spring coil type spiral insect trapping device
US20080313951A1 (en) Pest control apparatus and systems
AU2021105631A4 (en) A house infestatio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along with identification of harmful pest.
Oludairo et al. Control and prevention of biodeteriation caused by termites (Isoptera
Kaczmarski et al. Ants biting amphibians: a review and new observ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