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696A -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 Google Patents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696A
KR20220111696A KR1020227023494A KR20227023494A KR20220111696A KR 20220111696 A KR20220111696 A KR 20220111696A KR 1020227023494 A KR1020227023494 A KR 1020227023494A KR 20227023494 A KR20227023494 A KR 20227023494A KR 20220111696 A KR20220111696 A KR 2022011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hamber
vessel
vortex generating
d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호스폴
피터 제튼
Original Assignee
파이로텍,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로텍, 인크. filed Critical 파이로텍,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1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3/00Obtaining lead
    • C22B13/04Obtaining lead by wet processes
    • C22B13/045Recovery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2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3/00Obtaining lead
    • C22B13/02Obtaining lead by dry processes
    • C22B13/025Recovery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C22B7/003Dry processes only remelting, e.g. of chips, borings, turnings; apparatu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납 스크랩 조각을 용해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용기를 포함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가 용기 안에 배치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입구, 출구 및 납 조각을 받도록 구성된 개방 정상부를 포함한다. 펌프가 용기에 배치되며 용융 납을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에 보낸다. 드로스 댐(dross dam)이 용기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제2 영역에 배치되며, 도관이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출구와 제1 영역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전달 펌프가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용융 납을 용기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제1 영역에 있는 용융 납 욕(bath)의 표면으로부터 드로스가 걷어 내어질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2월 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2/945,736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래서 이 미국 가출원은 참조로 포함된다.
배경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정보가 종래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참조된 출판물이 종래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납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배터리 구성품으로부터의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산-납 배터리의 납 구성품을 용융시키는 것과 관련한 특별한 용례를 가지며 이를 특별히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다른 유사한 용례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납산 배터리(LAB)는 오늘날 사용되는 단일의 가장 큰 종류의 배터리이다. 이 납산 배터리는, 자동차 엔진의 시동, 데이터 센터에 대한 비상 백업 전력의 제공, 및 지게차 및 골프 카트와 같은 산업용 및 레크리에이션용 차량에 대한 동력 공급과 같은 용례에 필수적이다. 다른 배터리 유형과는 달리, LAB는 거의 100% 재활용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납은 선도적인 재활용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LAB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납이 풍부한 광석 매장량이 고갈됨에 따라, 광석으로부터 새로운 납을 생산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당연히, 납 재활용을 위한 새롭고 더 효율적인 방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사용된 배터리로부터 납을 회수하는 것은, 원료의 공급원으로서 그리고 유해 폐기물의 처리 문제 때문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수년 동안 배터리 재활용 공장은 배터리를 분해하고 산을 배출시키며 그리고 나머지 재료를 작은 크기로 분쇄했다. 압쇄 및 분쇄에 의해, 페이스트 부분의 대부분이 그리드로부터 분리되고 배터리의 플라스틱 구성품이 압쇄되었다. 일련의 습식 야금 처리 단계에서 페이스트는 배터리의 금속 납 및 플라스틱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배터리의 다른 재활용 불가능한 플라스틱, 유리 및 무기 구성품과 함께 염화물 함유 플라스틱의 대부분이 페이스트 및 금속 재료로부터 분리되었다.
사용된 배터리로부터 납을 회수하는 표준 방법은 표준 건식 야금 절차를 사용하여 반사로, 회전로, 용광로 또는 전기로에서 배터리의 납 함유 부분을 용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작은 조각으로 잘리고 금속이 액화될 때까지 가열된다. 비금속 물질은 연소되어, 슬래그 아암이 제거되는 정상부에 검은 슬래그를 남기게 된다.
또한, 다양한 납 함유 제품의 제조 동안에 스크랩 납 재료가 얻어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납산 배터리의 제조시에 납은 고체 시트로 형성되며, 이 고체 시트로부터 구성품이 절단되거나 펀칭된다. 이 공정에서 시트의 잔여물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잔여물은 여기서 런-어라운드(run-around) 스크랩이라고 한다. 이 런-어라운드 스크랩은 일반적으로 온-케미스트리(on-chemistry)이기 때문에(즉, 스크랩 조각의 합금 조성이 용융 납의 욕의 합금 조성과 일치함), 그 용융 납의 욕 안으로 들어가는 장입 재료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톤의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데에 드는 고정 비용은 $1,000 내지 $2,000이다. 유럽 기업은 톤당 비용이 $300가 되기를 희망한다. 이상적으로, 이 비용은 운송을 포함할 것이지만, 상품의 이동 및 취급은 전체 비용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운송을 단순화하기 위해, 유럽 기업은 전략적 지리적 위치에 더 작은 처리 공장을 설립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완전하지만 사용된 납산 배터리의 수출을 금지하는 바젤(Basel) 협약 때문이다. 폐기되는 배터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기관 및 정부의 지원 없이도 재활용이 수익성 있게 해주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는 잘린 납 조각을 처리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깨끗한 용융 납이 얻어지는 제련 공정의 효율을 개선한다. 추가로, 이 재생 제련 공정은 온-케미스트리 런-어라운드 스크랩을 용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상세 내용이 이하에 요약되어 있다. 이 요약은 본 개시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또한 본 개시의 특정한 요소를 식별하고 그의 범위를 정하는 정하도록 의도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이 요약의 주 목적은, 이하에 주어지는 더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개시의 일부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소용돌이 발생 챔버를 규정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입구, 출구 및 납 조각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방 정상부를 포함한다. 펌프가 용기에 배치되고 용융 납을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에 보낸다. 드로스 댐(dross dam)이 용기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제2 영역에 배치되고 도관이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출구와 제1 영역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전달 펌프가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용융 납을 용기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용융 납의 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를 포함한다. 이 용기는 소용돌이 발생 챔버, 드로스 챔버 및 주 욕 영역으로 분할된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입구, 출구 및 납 조각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방 정상부를 갖는다. 제1 펌프가 주 욕 영역에 배치되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에 용융 납을 제공하도록 위치된다. 드로스 댐이 드로스 챔버를 주 욕 영역으로부터 분리한다. 도관이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출구와 드로스 챔버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용기로부터 용융 납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펌프가 주 욕 영역에 배치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납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욕 영역, 소용돌이 발생 영역 및 드로스 제거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 납이 용기에 도입된다. 그 용융 납의 흐름이 소용돌이 발생 영역에 도입된다. 고체 납 조각이 소용돌이 발생 영역의 용융 납 안으로 도입된다. 용융 납의 일부분이 소용돌이 발생 영역으로부터 드로스 제거 영역 안으로 안내하고 부유 드로스가 제거된다. 깨끗한 용융 납이 드로스 제거 영역으로부터 욕 영역으로 흐르고 하류 처리를 위해 그 욕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시되고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도 1은 납 스크랩 재활용 챔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납 스크랩 재활용 챔버의 상면도로, 뚜껑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부분적으로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납 스크랩 재활용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크랩 재활용 챔버의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배출 도관 분산 판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품, 공정 및 장치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들 도는 본 개시를 설명하는 편의 및 용이성에 기초한 개략도일 뿐이며, 따라서 장치 또는 그의 구성품의 상대적인 크기 및 치수를 나타내며 그리고/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를 규정 또는 제한하도록 의도되어 있지 않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명확성을 위해 특정한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러한 용어는 도면에서의 도시를 위해 선택된 실시예의 특정한 구조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규정하거나 한정하도록 의도되어 있지 않다. 아래의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기능의 구성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단수 형태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략,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 라는 용어는, 이러한 용어의 수식을 받는 요소 또는 숫자의 목적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적 또는 수치적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로 이루어지는" 및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포함하다", "포괄하다", "갖는", "갖다", "할 수 있다", "내장하다"라는 용어 및 그의 변형어는, 명명된 성분/단계의 존재를 요구하고 또한 다른 성분/단계의 존재를 허용하는 개방형 전이구, 용어 또는 단어인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은, 열거된 성분/단계 및 그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의 존재를 허용하고 다른 성분/단계는 배제하는 "∼로 이루어지는" 및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으로서 조성물 또는 공정을 또한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납산 배터리로부터 얻어지는 유형의 납 스크랩 재료의 재활용에 적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납 배터리의 재활용시에, 납은 압쇄, 절단 및 분리에 의해, 완성된 배터리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산 및 기타 재료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구성 요소의 일부 혼합 및 납 구성품의 일부 오염을 피하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납 구성품은 일반적으로 오염 물질을 거의 순수한 납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용융된다. 납 스크랩 조각의 대부분은, 납이 일반적인 산 납 배터리에 사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얇은 벽이다. 얇은 벽의 납 스크랩 조각을 용융시키는 것은 어려운데, 왜냐하면, 얇은 벽의 스크랩 조각이 용융 금속 상에 부유하기 때문에 용융 납에 빠르게 잠기는 것이 심하게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본 개시는 납 스크랩 조각이 공급되는 용융 장치를 제공하고, 용융 납의 표면으로부터 부유 드로스(dross)가 걷어 내어진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 납 재활용 챔버(10)가 나타나 있다. 재활용 챔버(10)는 노(furnace)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챔버(10)는, 챔버 벽의 가열 및 그 안에 있는 납의 용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기 또는 가스 가열기(11)를 구비할 수 있다. 시작량의 납이 고체 형태로 노에 도입되어 용해될 수 있거나 용융 상태로 도입되어 액체로 유지될 수 있다.
재활용 챔버(10)는, 정상이 개방되고 바닥이 폐쇄된 용기이다. 이 용기는, 용융 납에 대해 내성이 있고 최대 약 350℃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재료, 예컨대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는 기계식 순환 펌프(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펌프는 챔버(10)에 들어 있는 욕으로부터 용융 납을 도관(13)을 통해 스크랩 침지 챔버(14) 안으로 보내며, 이 챔버에서, 재활용될 납의 스크랩 칩이 용융물의 표면 상에 퇴적된다.
순환 펌프(12)는 US 5,470,201에 기재되어 있는 유형일 수 있으며, 그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용융 납 환경이 펌프가 설계된 용융 알루미늄 환경 보다 상당히 더 낮은 온도로 있기 때문에, 그 특허받은 순환 펌프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강 또는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스크랩 침지 챔버(14)는 강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크랩 침지 챔버(14)에서 나온 용융 납은 도관(20)을 통해 드로스 웰(well)(16) 안으로 유입하고, 그 드로스 웰에서, 드로스 형태의 불순물이 표면으로부터 걷어 내어진다.
드로스 웰(16)은 챔버(10)의 벽에 있는 2개의 분리된 지점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드로스 댐(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드로스 댐(18)은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드로스 웰을 구성하는 용기의 단면은 깨끗한 용융 납 욕을 구성하는 용기의 단면 보다 작을 것이다. 드로스 댐(18)은 용기(10)의 정상 가장자리로부터 그 용기의 바닥보다 적어도 약간 높은 곳까지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용기 바닥과 드로스 댐(18)의 바닥 가장자리 사이에는 챔버 높이의 10 내지 30% 또는 15 내지 25%와 같은 공간이 제공된다.
그 공간은 2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1) 배출 도관(20)이 스크랩 침지 챔버(14)로부터 용융 납을 드로스 웰(16) 안으로 보내게 할 수 있고, 그리고 2) 드로스보다 무거운 "깨끗한" 용융 납이 용기 바닥으로 침강하여 용융 납의 주 욕 안으로 유입하게 할 수 있다.
순환 펌프(12)는 용기(10)의 용융 납 욕에 위치되며 용융 납을 스크랩 침지 챔버(14) 안으로 들여 보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용융 납이 욕으로부터 펌프 안으로 끌려 들어가고 파이프(13)를 통해 스크랩 침지 챔버( 14)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순환 펌프(12)는 스크랩 침지 챔버(14)의 일체적인 구성품인 프레임(2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파이프(13)도 프레임(21)의 일체적인 구성품일 수 있어, 순환 펌프(12)의 설치/교체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그의 적절한 정렬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체적이라는 용어는, 구성품이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계속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램프(ramp)(24)가 스크랩 침지 챔버(14)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래서, 파이프(13)를 통해 펌핑된 용융 금속이 그 램프를 따라 위로 이동하여 내부 에지를 넘어 유출되고 출구(26)를 통해 나가 배출 도관(20)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램프(24)의 선두 가장자리는 스크랩 침지 챔버(14)에 대한 입구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챔버 입구는 측벽 또는 기부 벽에 위치될 수 있다. 챔버는 챔버 기부 벽에 있는 출구(26)를 규정하는 내부 칼럼(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내부 칼럼은 램프(24)의 증가하는 높이와 일치하도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챔버의 내부 형태는, 내부 칼럼과 측벽 사이에 램프가 형성된 바닥 또는 낮은 측벽 입구 및 바닥 출구로 설명될 수 있다. 램프는 챔버의 원주의 0 에서180°, 또는 270°또는 360°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배출 도관(20)의 출구(28)는 유동을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분산 판(29)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그 분산 판은 도관 출구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배출 도관(20)을 나갈 때의 용융 납 유동의 주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산 판은 그렇지 않으면 배출 도관으로부터의 유동에 의해 야기되는 표면 난류를 최소화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달 펌프(30)가 용기(10)의 주 욕 안에 제공된다. 이 전달 펌프는 미국 특허 4,940,384; 5,947,705; 9,506,346 또는 10,843,258에 기재되어 있는 유형일 수 있고, 이들 미국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전달 펌프(3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 용기로부터 깨끗한 용융 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의 다른 구성품과 마찬가지로, 전달 펌프는 강, 내화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당업자는 인식하는 바와 같이, 재활용되는 납 칩은 스크랩 침지 챔버(14) 내의 용융물의 표면 상에 퇴적된다. 납 스크랩 조각을 뚜껑(35) 내의 개구를 통해 스크랩 침지 챔버 내의 용용물 상으로 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크랩 공급 슈트(chute)(32)가 시스템의 일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소용돌이 발생 챔버 내에서 용융 납의 소용돌이는, 용융이 빠르게 일어나는 용융 납 욕의 표면 아래로 납 스크랩 조각을 끌어당기는 데에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폴딩(folding) 유동을 형성한다.
뚜껑(35)은 안전을 제공하고, 용융 납 욕에서 열을 유지시킨다. 그 뚜껑(35)은 펌프 구성품의 높이를 수용하도록 용기(10) 위쪽에 적절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 부분(37)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35)은 다른 시스템의 구성품(예를 들어, 순환 펌프(12)의 모터 마운트(39))의 요소와 조합하여 작동하여, 그 안에 들어 있는 용융 납 욕에 대해 시스템을 대기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납 칩이 스크랩 침지 챔버 안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개구(41)가 그 스크랩 침지 챔버(14) 위쪽에 제공될 수 있다. 드로스를 드로스 웰의 표면으로부터 걷어 낼 수 있도록 그 드로스 웰(16)에 접근할 수 있기 위해 개구(43)가 측벽(37)에 제공될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분명히, 앞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하면 수정 및 변경이 다른 사람에게 일어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특허청과 본 출원 및 결과적인 특허의 독자가 여기에 첨부된 청구 범위를 해석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하기 위한 수단" 또는 "∼하기 위한 단계" 라는 단어가 특정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출원인은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청구항 요소 중의 어느 것도 35 U.S.C. 112(f)를 원용할 의도가 없다.

Claims (20)

  1.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소용돌이 발생 챔버를 규정하는 용기를 포함하고,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입구, 출구 및 납 조각을 받도록 구성된 개방 정상부를 포함하며, 용융 납을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에 제공하기 위한 순환 펌프가 상기 용기에 배치되며, 드로스 댐(dross dam)이 상기 용기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도관이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출구와 제1 영역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전달 펌프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용융 납을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드로스 댐 및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강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분산 판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위에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이 뚜껑은 상기 소용돌이 챔버 위에 있는 개구 및 상기 전달 펌프를 달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스 댐은 상기 용기 내부에 있는 용융 납 욕의 표면 위쪽으로부터 용기의 바닥 위쪽까지 연장되어 있는,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반경 방향 램프(ramp)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상기 순환 펌프를 수용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순환 펌프의 출구와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 사이에서 전달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9.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용융 납의 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이 용기는 소용돌이 발생 챔버, 드로스 챔버 및 주 욕 영역으로 분할되며, 소용돌이 발생 챔버는 입구, 출구 및 납 조각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방 정상부를 포함하며, 제1 펌프가 상기 주 욕 영역에 배치되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입구에 용융 납을 제공하도록 위치되며, 드로스 댐이 상기 드로스 챔버를 주 욕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며, 도관이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의 출구와 드로스 챔버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용기로부터 용융 납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펌프가 상기 주 욕 영역에 배치되는, 납 조각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원통형인,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스 챔버의 부피는 주 욕 용역의 부피 보다 작은, 시스템.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드로스 챔버 내부의 출구 단부에서 분산 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9 항에 있어서,
    파이프가 상기 제1 펌프와 소용돌이 발생 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파이프는 접선 할선 또는 각진 할선으로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와 교차하는, 시스템.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뚜껑을 더 포함하며, 이 뚜껑은 상기 소용돌이 발생 챔버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개구 및 상기 드로스 챔버에의 겁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개구를 갖는, 시스템.
  16. 납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욕 영역, 소용돌이 발생 영역 및 드로스 제거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용융 납을 상기 용기에 도입하는 단계; 용융 납의 흐름을 상기 소용돌이 발생 영역에 도입하는 단계; 고체 납 조각을 상기 소용돌이 발생 영역의 용융 납 안으로 도입하는 단계; 용융 납의 일부분을 소용돌이 발생 영역으로부터 드로스 제거 영역 안으로 안내하고 부유 드로스를 제거하는 단계; 용융 납이 드로스 제거 영역으로부터 욕 영역으로 흐르게 하는 단계; 및 하류 처리를 위해 욕 영역으로부터 용융 납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납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납 조각은 재활용되는 납산 배터리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납 조각은 납 구성품 제조물의 스크랩 잔여물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327.5℃ 내지 600℃로 유지되는,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댐이 상기 드로스 제거 영역을 욕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용융 납은 상기 댐 아래로 흐르는, 방법.
KR1020227023494A 2019-12-09 2020-12-09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KR20220111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5736P 2019-12-09 2019-12-09
US62/945,736 2019-12-09
PCT/US2020/063942 WO2021119085A1 (en) 2019-12-09 2020-12-09 Molten lead scrap submergenc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96A true KR20220111696A (ko) 2022-08-09

Family

ID=7633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494A KR20220111696A (ko) 2019-12-09 2020-12-09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37016A1 (ko)
EP (1) EP4045691A4 (ko)
JP (1) JP2023504212A (ko)
KR (1) KR20220111696A (ko)
AU (1) AU2020402024A1 (ko)
BR (1) BR112022009440A2 (ko)
CA (1) CA3162912A1 (ko)
MX (1) MX2022006106A (ko)
WO (1) WO2021119085A1 (ko)
ZA (1) ZA202207478B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607B2 (en) * 2001-09-07 2005-05-17 Premelt Systems, Inc. Elevated discharge gas lift bubble pump and furnace for use therewith
JP4854385B2 (ja) * 2006-05-24 2012-01-18 古河電池株式会社 金属鉛の回収方法
US9643247B2 (en) * 2007-06-21 2017-05-09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and degassing system
US7727461B2 (en) * 2007-08-29 2010-06-01 Morando Jorge A Furnace filtration system for molten metal
JP6393256B2 (ja) * 2012-04-16 2018-09-19 パイロ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溶融金属浸漬装置
ES2804539T3 (es) * 2013-04-12 2021-02-08 Frank Riedewald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reciclar baterías y placas de circuito impreso de desecho en sales fundidas o metales fundidos
US10138892B2 (en) * 2014-07-02 2018-11-27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Rotor and rotor shaft for molten metal
JP6412848B2 (ja) * 2015-11-04 2018-10-24 株式会社宮本工業所 溶解炉の渦室
CN109642773B (zh) * 2016-08-29 2020-11-20 派瑞泰克有限公司 废料浸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5691A1 (en) 2022-08-24
MX2022006106A (es) 2022-06-14
ZA202207478B (en) 2023-09-27
EP4045691A4 (en) 2023-10-18
JP2023504212A (ja) 2023-02-01
BR112022009440A2 (pt) 2022-08-09
WO2021119085A1 (en) 2021-06-17
US20230037016A1 (en) 2023-02-02
AU2020402024A1 (en) 2022-06-02
CA3162912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0149B1 (en) Metal scrap submergence system for scrap charging/melting well of furnace
Schmitz Handbook of aluminium recycling
US6074455A (en) Aluminum scrap melting process and apparatus
CN111876795B (zh) 一种回收稀土熔盐渣中电解质的方法
US4486228A (en) Metal scrap reclamation system
KR20220111696A (ko) 용융 납 스크랩 침지 장치
EP0129975A1 (en) Recovery of aluminium scrap
GB2086941A (en) Recovery of materials from low concentrations
EP0119094A2 (en) Metal scrap reclamation system
Bhakta Recent technology and trends in automotive recycling
CN107937718B (zh) 一种冶炼方法
CN106676282A (zh) 一种废铝熔炼浮渣回收装置及其高回收率回收方法
JP2006206965A (ja) 高純度金属の製造方法及びシステム
CN209619414U (zh) 一种铝熔炼浮渣回收装置
US20230010888A1 (en) Vacuum Smelting of Sorted Aluminum
Bell et al. Final report on refining technologies of magnesium
CN220187428U (zh) 一种新型铝渣分选装置
US5441556A (en) Metal processing or recovery and apparatus
CN217067893U (zh) 一种铝灰辅助回收装置
KR101536431B1 (ko) 알루미늄 회수 용해로
CN220439697U (zh) 一种干法锂二次电池回收装置
Schlesinger Recycling of Aluminum
KR100202732B1 (ko) 알루미늄 폐캔으로부터재생 알루미늄 지금 및 합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WŁOCH et al. WAYS OF DISPOSING OF METAL WASTE FROM THE AUTOMOTIVE INDUSTRY
Yamaguchi Zinc recycling from molten zinc pl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