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059A -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59A
KR20220111059A KR1020210014239A KR20210014239A KR20220111059A KR 20220111059 A KR20220111059 A KR 20220111059A KR 1020210014239 A KR1020210014239 A KR 1020210014239A KR 20210014239 A KR20210014239 A KR 20210014239A KR 20220111059 A KR20220111059 A KR 2022011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image processing
scanner body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164B1 (ko
Inventor
이동훈
임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KR102021001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64B1/ko
Priority to PCT/KR2022/001616 priority patent/WO2022164267A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6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over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3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n instrument is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4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 A61B2090/0805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automatically, e.g. by means of magnetic, optical or photoelectric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4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 A61B2090/0806Instrument detectors with a removable part, e.g. working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doscop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와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는, 팁의 내부에 위치하는 식별체를 감지하여 해당 팁의 일련번호와 같은 고유정보를 식별하게 되며, 식별한 고유정보에 할당되는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함에 있어서 스캔의 대상이 되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구강을 스캔한 이후 팁이 탈거되고 장착되기까지의 일정한 경과시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 이미지 처리 장치의 스캔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팁의 교체시기를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환자의 구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다각도에서 촬영 카메라를 통해 구강 표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이나, X-ray 또는 CT 촬영을 통하여 구강 내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치료자의 진료 과정에서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였으며, 환자에게도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를 통해 환자의 구강 표면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3차원 구강스캐너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직접 인입 및 인출하여 환자의 치아, 치은 및 악궁에 대한 정보들을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3차원 구강스캐너는 스캔 과정에서 구강스캐너 일단에 형성된 팁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스캔 과정 중에 팁은 구강 내벽, 치아 또는 치은으로부터 비말, 구강내 조직이 팁 표면에 부착되고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오염이 발생한 팁은 구강스캐너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이 필요하다. 한편, 구강스캐너를 소정 횟수 이상 사용하면, 팁의 마모 등에 따라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 횟수 이상 팁을 사용한 이후에는 팁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팁의 사용횟수를 수동으로 메모를 남기는 방식으로 관리하였는 바, 관리상 비효율적이면서도 부정확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2921호 (2020.09.07 공고)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팁 내부에 위치된 식별체를 사용하여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착탈 확인 수단 및 팁 내부에 위치된 식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팁과 결합되는 스캐너 본체의 일단 착탈면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스캐너 본체로부터 착탈 결합되는 팁에 식별체가 배치되어, 식별체를 감지하는 과정을 통해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에 의해, 팁의 사용 정보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갱신된 팁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은 환자에게 위생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스캐너 본체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스캐너 본체에 팁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식별체는 3차원 모델로 변환되지 않으며, 따라서 신뢰도 높은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를 구성하는 착탈면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식별체와 함께 이중으로 팁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 정보의 갱신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팁이 탈거되었다가 장착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확인하고, 경과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캔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환자에게 위생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캐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스캐너 중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과 스캐너 본체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과 스캐너 본체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식별체를 감지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스캔 과정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식별체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과 스캐너 본체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 데이터 갱신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캐너(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를 포함한다. 스캐너 본체(120)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스캐너 본체(120)가 획득하는 데이터는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여 얻어지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팁(110)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부분이다. 팁(110)은 스캐너 본체(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스캐너(100)를 구성한다. 스캐너(100)는 3차원 스캐너(3-dimensional scanner)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팁(11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팁(110)을 통해, 스캔하고자 하는 스캔 대상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스캐너 본체(120)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팁(110)은 스캔 대상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스캐너 본체(120)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딩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스캔 대상체는 스캔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예시적으로, 스캔 대상체는 치아와 치은을 포함하는 환자의 실제 구강일 수 있다. 또한, 스캔 대상체는 환자의 구강을 알지네이트 등으로 인상채득(impressiong taking)하여 획득한 석고 모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스캔 대상체에 따라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팁(11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팁(110)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 및 인출되고, 환자의 치아, 치은, 볼의 내벽, 혀, 입천장 등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팁(110)은 인체에 무해하고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팁(110)은 예시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팁(110)의 재질은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는다. 팁(110)은 인체에 무해하고 경량의 재질을 가지는 어떠한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팁(110)은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팁(11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팁(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팁(110)은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111)는 팁(11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1 개구부(111)는 스캔 대상체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개구부(111)는 팁(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팁(110)의 길이방향이란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112)는 팁(110)의 타단에 형성된다. 팁(110)의 타단에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됨으로써, 팁(110)의 내측에는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12)가 연통될 수 있고,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12)가 연통됨으로써 내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통 구조로 형성된 팁(110)의 내부를 통해 광이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 본체(120) 내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제2 개구부(112)로부터 제1 개구부(111) 방향으로 조사되거나, 스캔 대상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이 제1 개구부(111)를 통해 제2 개구부(112) 방향으로 인입되어 스캐너 본체(120)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팁(110)은 광학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113)는 팁(110)의 내면(115)에 구비될 수 있다. 광학부재(113)는 팁(110)의 내부로 입사한 광을 굴절 또는 반사함으로써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예시적으로, 제1 개구부(111)를 통해 광학부재(113)로 입사한 광은, 광학부재(113)의 법선을 중심으로 입사각과 동일한 반사각을 가지도록 반사될 수 있다. 광학부재(113)로 입사한 광은, 스캔 대상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것이 팁 내부로 인입된 것일 수 있다. 광학부재(113)에 의해 경로 변경된 광은 제2 개구부(112) 측에 형성된 스캐너 본체(12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광학부재(113)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거울 또는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사한 광을 굴절 또는 반사하는 등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광학부재(113)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일종일 수도 있다. 광학부재(113)는 제1 개구부(111)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2 개구부(112) 측으로 경로 변경시키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팁(110)은 제2 개구부(112) 측에 수용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16)은 후술할 스캐너 본체(120)의 착탈 확인 수단(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홈(116)은 착탈 확인 수단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착탈 확인 수단을 수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함몰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캐너 본체(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스캐너 본체 중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스캐너 본체(120)는 스캐너 본체(120) 내부의 부품들을 감싸는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스캐너(100)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외면을 형성하고, 하우징(121)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21)은 내식성이 강하고 경량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21)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플라스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하우징(121)은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120)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2)는 팁(110)을 통해 유입되는 광을 렌즈에서 수용할 수 있다. 카메라(122)는 카메라(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징 센서(미도시)로 수용된 광을 전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징 센서는 예시적으로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는 2차원의 평면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122)는 하나의 카메라(122a 또는 122b)를 구비한 싱글-캠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2)는 제1 카메라(122a) 및 제2 카메라(122b)를 구비한 2 이상의 멀티-캠(multi-cam)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120)는 광 프로젝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프로젝터(123)는 카메라(1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광 프로젝터(123)는 광을 생성하여 스캐너 외부를 향해 상기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프로젝터는 스캐너 본체(12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광 프로젝터(123)로부터 생성된 광은 광학부재(113)와 제1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광은 스캔 대상체의 표면에 도달하여 반사된 후 스캐너 본체(120)에 내장된 카메라(122)에 수용될 수 있다.
광 프로젝터(123)에서 출력되는 광은 다양한 파장 영역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광 프로젝터(123)에서 출력되는 광은 구조광일 수 있으며, 구조광은 광 프로젝터(123)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패턴 마스크를 통과하거나 전자적 어레이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통과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구조광은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조광이 가지는 패턴은 세로 스트라이프 패턴 또는 가로 스트라이프 패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조광이 조사된 상태로 획득되는 스캔 대상체의 이미지 데이터는 깊이(depth) 정보를 가지게 되어, 2차원의 이미지 데이터를 3차원 모델로 변환할 수 있다.
스캐너 본체(120)는 일단에 팁(110)과 결합하기 위한 착탈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면(124)은 팁(110)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으며, 착탈면(124)은 스캐너 본체(120)가 팁(110)의 제2 개구부(112)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팁(110)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면(124)에 의해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결합되어 일체의 스캐너(10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착탈면(124)에는 팁(11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착탈 확인 수단(125)이 형성될 수 있다.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에 안정적으로 장착(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의 착탈에 기초하여,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에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착탈 정보를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착탈 정보란 팁(110)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또는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 확인 수단(125)에 의해 팁(110)이 장착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착탈 확인 수단(125)은 압력 변화에 따라 착탈을 확인하는 수단, 또는 광 감지에 따른 착탈을 확인하는 수단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에 의해 가압되어 팁(110)의 장착을 인식하는 압력 센서, 및 광 감지에 의해 팁(110)의 장착을 인식하는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포토 센서는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포토 센서, 빔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의 결합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한다. 스캐너 본체(120)의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수용홈(116)에 수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결합되는 중에 착탈면(124)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착탈 확인 수단(125)이 수용홈(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착탈 확인 수단(125)이 수용홈(116)에 수용될 수 있고, 이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의 수용홈(116)에 수용됨으로써, 팁(110)이 올바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팁(110)에 수용홈(116)이 형성되고, 수용홈(116)에 착탈 확인 수단(125)이 수용되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미지 처리 장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캐너 본체(120)에 홈이 형성되고, 착탈 확인 수단(125)은 스캐너 본체(120)의 홈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압력 센서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토 센서 또는 다른 센서를 착탈 확인 수단(125)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센서에 대응되는 동작에 의해 팁(11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팁(11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제공하는 식별체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110)의 사시도(도 5(a))와 B-B’ 단면도(도 5(b) 및 도 5(c))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팁(110)은 그 일면에 고유정보를 가지는 식별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체(114)란, 특정 물체가 다른 물체와 구분되도록 나타내는 표식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체(114)는 팁(110)의 고유정보를 가질 수 있다. 고유정보란 팁(110)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예시적으로 상기 팁(110)의 제조사, 시리얼 넘버, 제조번호, 제조일자 등일 수 있다. 팁(110)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별체(114)를 가진 팁(110)들은 각각 상이한 고유정보를 가진다. 식별체(114)는 팁(110)의 고유정보를 담고 있는 어떠한 표시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식별체(114)는 바코드(Bar code), QR-코드, 일련번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식별체(114)가 카메라(122)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별체(114)의 배치되는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식별체(114)는 팁(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114)는 팁(110)의 내면(115)에 배치될 수 있다. 식별체(114)가 팁(110)의 내면(115)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팁(110)을 스캐너 본체(120)에 결합하기 이전에 카메라(122)로 식별체(114)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122)가 식별체(114)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식별체(114)는 제2 개구부(112)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식별체(114)가 제2 개구부(112)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c)를 참조하면, 식별체(114)는 제1 개구부(111)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식별체(114)가 내면(115)에 배치됨으로써, 팁(110)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오염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팁(110)의 외면(미도시)은 환자의 구강 내부와 접촉함으로써 오염 또는 마모될 수 있는데, 팁(110)의 내면(115)은 오염 또는 마모로부터 보호되므로, 식별체(114) 또한 오염 또는 마모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별체(114)와 광학부재(113)의 배치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과 스캐너 본체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별체(114)는 광학부재(11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114)가 형성되는 광학부재(113)의 일측은 제1 개구부(111) 측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스캐너 본체(120)의 카메라(122)는 광학부재(113)로부터 굴절 또는 반사된 광과, 식별체(114)의 이미지를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즉, 식별체(114)는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와 결합되었을 때, 스캐너 본체(120)에 형성된 카메라(122)의 화각(angle of view)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부재(113)의 둘레로부터 일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식별체(114)가 광학부재(113)의 일측에 배치됨으로서, 사용자는 팁(110)을 스캐너 본체(120)에 결합한 후에 자동으로 식별체(114)가 카메라(122)에 의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식별체(114)가 카메라(122)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식별체(114)가 카메라(122)에 의해 감지된 후에, 스캔 동작이 끝나면 제어부는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스캐너의 전원을 켜면 카메라(122)가 켜지고, 카메라(122)는 식별체(114)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팁(110)의 사용 정보 갱신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122)가 식별체를 감지하고,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조정함으로써 3차원 모델을 형성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식별체를 감지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스캔 과정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카메라(122)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되는 부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2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가 도시된다. 식별체(114)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카메라(122)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500)을 가진다. 한편, 입력영역(500)은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510)은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500) 중, 팁(110)의 내부로 인입된 광이 광학부재(113)를 통해 카메라로 수용되어 형성된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510)은 팁(110)의 내부로 인입된 광이 광학부재(113)를 통해 반사되어 카메라(122)에 수용되고,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2 영역(520)은 입력영역(500)에서 제1 영역(5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또는 제1 영역(510)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영역(520)은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500) 중, 팁(110)의 내면(115)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광학부재(113)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카메라(122)에 수용되고,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영역(520)은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제1 영역(510)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는 광학부재(113) 뿐만 아니라, 광학부재(113)에 인접한 팁의 내면(115) 일부가 포함된다. 즉,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는 광학부재(113)와 식별체(114)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체(114)는 이미지 데이터 상에서 제1 영역(510)의 외곽에 형성된 제2 영역(520)에 위치할 수 있다. 식별체(114)는 제2 영역(520), 즉 제1 영역(510)의 외측에서 감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체(114)를 감지하는 과정에서의 관심영역(ROI)은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을 포함하는 입력영역(500) 전체일 수 있고, 제2 영역(52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12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가 도시된다. 스캔 과정을 수행하는 시점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관심영역(ROI)이 조정된 후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너 본체(120)가 스캔 대상체에 대한 스캔 과정을 수행할 때, 관심영역(ROI)은 제1 영역(510)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때, 광학부재(113)를 통해 수용된 스캔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만이 3차원 모델로 변환될 수 있다. 스캔 과정을 수행할 때의 관심영역(ROI)이 제1 영역(510)에 제한되므로, 제2 영역(520)에 배치된 식별체(114)는 3차원 모델로 변환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체를 감지하는 과정의 관심영역과 스캔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의 관심영역이 다르게 적용되므로, 식별체(114)가 3차원 모델로 변환되어 부정확한 3차원 모델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식별체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식별체(114)는 특수 인쇄물질로 형성되어 소정 환경에서 변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114)는 고온, 고압 상태에서 밝아지는 잉크를 통해 인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환경에서 식별체(114)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그 패턴이 흐려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식별체(114)는 변색 부분(C)을 가지며, 변색 부분(C)이 소정 범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카메라는 식별체(114)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식별체(114)가 감지될 수 없을 때, 이미지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등의 방법으로 팁(110)을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식별체(114)에 의해 팁(110)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의 스캔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이미지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팁(110)을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별체(114)와 착탈 확인 수단(125)이 함께 포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결합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팁(110)에는 식별체(114)가 배치될 수 있고, 스캐너 본체(120)에는 착탈 확인 수단(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과 스캐너 본체(120)가 올바르게 결합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식별체(114)를 인식함으로써 각각의 팁(110)에 대한 사용 정보를 구분하여 갱신할 수 있는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 한편, 착탈 확인 수단(125)의 동작에 의해 팁(110)이 탈거되었다가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측정하여, 팁(110)의 세척 및 살균 여부를 판단하고, 팁(110)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팁(110)의 세척 및 살균 여부를 판단하고 팁(110)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제어부(200)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식별체를 감지하고,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 11(a)와 같이 스캐너 본체(120)에 내장된 프로세서로 기능할 수도 있고, 도 11(b)와 같이 스캐너 본체(120)와 물리적으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0)가 형성된 위치는 스캐너 본체(120) 내부일 수도 있고 외부일 수도 있으며, 형성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식별체(114)로부터 팁(110)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체 감지부(210)와,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팁(110)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체 감지부(210)는 카메라(122)에 의해 수용된 광으로부터 식별체(114)를 감지할 수 있다. 식별체 감지부(210)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별체(114)가 입력된 부분을 읽어내며, 해당 식별체가 포함하고 있는 팁(110)의 고유정보를 시스템 상에 로드할 수 있다. 식별체 감지부(210)는 각각의 팁들에 대해 개별화된 고유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식별체 감지부(210)를 통해 식별체가 가지는 고유정보가 로드되면, 해당 고유정보에 대응되는 사용 정보가 함께 로드될 수 있다. 사용 정보는 식별체 감지부(210)에 의해 로컬 저장 장치에 저장된 내역이 로드되는 것이거나,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저장된 내역이 로드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고유정보에 대응되는 사용 정보는 팁의 변색 여부, 사용횟수 등일 수 있다. 이 중, 사용횟수가 팁의 사용 정보에 대한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횟수는 해당 팁(110)이 스캔을 수행한 횟수를 표현하며, 사용횟수는 팁의 마모와 관련되어 환자의 위생과 직접 연관된 것이다.
데이터 갱신부(220)는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것은, 데이터 갱신부(220)가 식별체를 1회 감지하고 1회의 스캔 과정이 종료됨에 따라 사용횟수 정보를 1회 가산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갱신부(220)가 1회의 스캔 과정이 종료된 후 사용횟수를 1회 가산하거나 가산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스캔 대상체의 종류 및/또는 팁이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팁의 사용 정보가 선택적으로 갱신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갱신부(220)는 전술한 착탈 확인 수단(125)을 통해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로부터 탈거되었다가 장착되었을 때, 스캔이 이루어지고 해당 팁(110)에 대한 살균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착탈 확인 수단(125)은 식별체(114)와 함께 팁(110)의 사용 정보 갱신에 이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식별체(114)를 감지하는 과정은, 스캐너 전원의 온/오프 동작 직후, 스캐너 본체(120)에 형성된 카메라(1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식별체(114)를 감지하는 과정은 착탈 확인 수단(125)에 의해 팁(110)의 장착이 감지된 이후 카메라(122)의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식별체(114) 없이 착탈 확인 수단(125)만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착탈 확인 수단(125)에 의해 팁(110)의 장착이 감지되고, 1회의 스캔 과정이 종료됨에 따라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예시적으로, 팁의 사용횟수를 1회 가산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갱신부(220)가 1회의 스캔 과정이 종료된 후 사용횟수를 1회 가산하거나 가산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착탈 확인 수단(125)은 팁(110)의 착탈에 기초하여, 제어부(200)에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에 탈거 또는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착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착탈 정보에 따라 팁이 장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착탈 확인 수단(125)이 제공한 착탈 정보에 의해 팁의 착탈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팁(110)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0)에서, 제어부(200)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를 감지하는 대상체 감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 감지부(230)는 스캔된 스캔 대상체가 어떤 물체인지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캔 대상체는 환자의 실제 구강 내부이거나, 인상채득한 석고 모형일 수 있다. 대상체 감지부(230)는 카메라(122)에 수용되는 광으로부터 스캔 대상체의 색상, 질감, 반사율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지 또는 석고 모형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상체 감지부(230)는 데이터 갱신부(220)와 연동될 수 있다. 대상체 감지부(230)와 연동된 데이터 갱신부(220)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팁의 사용횟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실제 구강인 경우, 팁(110)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어 그 표면이 환자의 타액을 포함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팁(110)은 스캐너 본체(120)로부터 분리되어 세척, 살균되어야 한다. 반면,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인 경우 팁(110)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세척, 살균이 불필요하며, 팁(110)을 탈거할 필요 또한 없다. 다만,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에서 환자의 실제 구강으로 변경되는 경우, 팁(110)의 세척, 살균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 감지부(230)와 연동된 데이터 갱신부(220)는 팁(110)의 식별체(114)를 감지하여 해당 팁의 고유정보를 획득하고, 스캔을 수행하였을 때의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고유정보에 할당된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정보가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는 해당 고유정보를 가지는 팁(110)이 교체할 시기가 되었다는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 신호(소리, 점등, 진동 등)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팁의 교체주기를 알려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사용 정보는 팁(110)의 사용횟수일 수 있다.
또한, 비위생적인 스캔 환경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팁(110)의 살균여부를 판단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의 스캔 동작이 제한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200)는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에 착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 확인부(240)는 착탈 확인 수단(125)을 통해 팁(110)의 착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탈 확인부(240)는, 스캐너(100)가 스캔 대상체를 스캔한 후,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로부터 탈거되고,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 일단에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경과시간은, 해당 팁(110)이 스캐너 본체(120)로부터 탈거되어 일정한 시간 이상의 세척 및 살균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이면서, 스캔 대상체가 구강이었던 경우에는 충분한 세척, 살균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과시간이 살균 세척에 필요한 최소시간 이하인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0)의 이후 스캔 동작을 제한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경과시간을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위생적인 스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필요한 탈착 행동을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 갱신부(220)는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가산)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과시간이 5초 이내일 경우, 이는 팁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데이터 갱신부(220)가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가산)할 수 있다.
전술한 팁의 고유정보, 팁의 사용 정보, 입력영역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 안내메시지 등은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팁의 고유정보, 팁의 사용 정보, 이미지 데이터, 안내메시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팁의 고유정보, 팁의 사용 정보 등이 나타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700, user interface) 상에 이미지 처리 장치의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700)에는 스캐너 정보(701), 팁 정보(702), 팁 사용 정보(703), 초과 스캔 제한(704), 및 팁 사용횟수 상한(705)이 나타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700)에 표시되는 스캐너 정보(701)는 연결된 스캐너의 모델명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정보(701)는 일종의 시리얼 넘버와 같이 표시될 수도 있으나, 제품명이 간략하게 표시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식별체로부터 추출된 고유정보를 팁 정보(702)에 표시하며, 팁의 고유정보는 팁의 제조사, 모델명,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팁 정보(702)는 팁의 고유정보의 일 예시이며, 다양한 형태로 팁의 고유정보가 유저 인터페이스(700)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팁의 사용 정보(703)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팁의 사용 정보(703)는 팁의 사용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팁의 사용 정보(703)의 값이 갱신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캔 대상체를 스캔한 이후 팁의 사용 정보(703)는 1 가산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초과 스캔 제한(704)을 포함하여, 소정 조건에서 스캐너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팁의 사용 정보(703)의 값이 팁 사용횟수 상한(705)을 초과하면 스캐너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스캐너의 동작을 제한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enabled) 또는 비활성화(disabled)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팁 사용횟수 상한(705)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팁의 사용횟수 상한(705)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팁의 사용횟수 상한(705)은 사용자 및 환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팁의 사용 정보(703)의 값이 팁의 사용횟수 상한(705)을 초과하였을 때 알림메시지(706)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팁의 사용횟수 상한(705)이 20 회이고 팁의 사용 정보(703)의 값이 21 회인 경우, 알림메시지(706)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팁을 사용할 것을 권장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706)는 스캐너의 스캔 과정 이전에 표시되거나 스캔 과정 이후에 표시될 수 있다. 알림메시지(706)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팁의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팁을 교체함으로써 환자에게 위생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저 인터페이스(700)는 팁이 탈거되었다가 장착되기까지의 경과 시간(elapsed time)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과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인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700) 상에 팁의 충분한 세척 및 살균을 권장하는 추가적인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따라,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팁의 사용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여 중첩되는 부분의 경우 그 기재를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팁의 고유정보를 식별하는 고유정보 식별 단계(S110)와, 고유정보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미지 처리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는 팁의 고유정보를 식별(S110)한다. 고유정보를 식별한다는 것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는 팁의 일면에 부착된 식별체를 감지하여 팁의 제조사, 모델명 등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팁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는 팁의 내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식별체는 스캐너 본체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한편, 고유정보 식별 단계(S110)는, 입력영역 내에 존재하는 식별체를 감지하는 식별체 감지 단계(S111)와, 식별체 감지 단계(S111)에서 획득한 식별체로부터 팁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고유정보 추출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체 감지 단계(S111)에서, 제어부는 팁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체를 감지할 수 있다. 식별체는 팁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는 후술하는 광학부재의 둘레 외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식별체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별체는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의 화각 범위 내에 포함되는 어떠한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팁은 일단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타단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의해 연통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팁은 연통된 구조에 의해 내면을 가지고, 팁은 그 내면에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재는 스캔 대상체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팁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 상기 광을 카메라를 향해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는 광을 수용하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징 센서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데이터는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을 가진다. 입력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팁의 외부로부터 인입된 광이 광학부재를 통해 카메라로 수용되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영역이다. 제2 영역은, 팁의 내부 표면에서 반사된 광이 광학부재를 통하지 않고 카메라로 수용되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나머지 영역을 의미하며, 제2 영역은 입력영역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식별체는 광학부재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제2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식별체를 감지할 때, 카메라의 관심영역(ROI)은 제2 영역 만을 포함하거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영역 범위에 해당하고, 스캔 과정을 수행할 때, 카메라의 관심영역은 제1 영역에만 해당한다. 식별체가 제2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식별체는 스캔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카메라의 관심영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3차원 모델로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식별체가 3차원 모델로 변환되어 부정확한 3차원 모델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고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체 감지 단계(S111)에서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식별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체는 바코드(Bar code), QR-코드,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이후, 고유정보 추출 단계(S112)에서, 제어부는 식별체로부터 팁의 고유정보를 추출한다. 예시적으로, 팁의 고유정보는 팁의 제조사, 시리얼 넘버, 제조번호,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식별체 감지 단계(S111)와 고유정보 추출 단계(S112)를 포함하는 고유정보 식별 단계(S110)가 수행된 후, 데이터 갱신 단계(S120)에서 제어부는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갱신 단계(S120)는 제어부가 식별체를 1회 감지하고 1회의 스캔 과정이 종료됨에 따라 팁의 사용횟수 정보를 1회 가산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 데이터 갱신 단계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과 동일한 고유정보 식별 단계(S210)와 데이터 갱신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데이터 갱신 단계(S230) 이전에, 스캐너 본체가 스캔한 스캔 대상체를 감지하는 대상체 감지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 감지 단계(S220)는 스캔된 스캔 대상체가 어떤 종류의 물체인지 감지하는 단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대상체는 환자의 실제 구강일 수도 있고, 환자의 구강을 인상채득하여 획득한 석고 모형일 수도 있다. 대상체 감지 단계(S220)를 통해,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팁의 고유정보가 식별되는 고유정보 식별 단계(S210)가 수행되고,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는 스캔 단계(미도시)가 수행될 때, 대상체 감지 단계(S22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스캔 대상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데이터 갱신 단계(S230)는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S231), 및 사용 정보 갱신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S231)에서, 제어부는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실제 구강인 경우 팁을 실질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S231)에 의하여 스캔 대상체의 종류가 판단되면,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사용 정보 갱신 단계(S232)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실제 구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가산) 될 수 있다. 한편,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인 경우, 세척, 살균과정이 불필요하므로 팁의 사용 정보가 갱신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된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정보가 갱신됨으로써, 팁의 사용 정보가 불필요하게 갱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는, 착탈 확인 수단에 의해 팁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 확인 단계는 팁이 스캐너 본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착탈 확인 수단은, 팁에 의해 가압되어 팁의 장착을 인식하는 압력 센서 및 팁의 장착 여부에 따른 광 감지에 의해 팁의 장착을 인식하는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착탈 확인 단계에 따라, 팁이 스캐너 본체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었는지 확인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 고유정보 식별 단계 대신에 팁의 스캐너 본체에서의 착탈여부를 확인하는 착탈 확인 단계(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 확인 단계에서, 팁이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면, 데이터 갱신 단계(S120, S230)에서, 제어부는 팁의 사용횟수 정보를 1회 가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과 동일한 고유정보 식별 단계(S320), 대상체 감지 단계(S34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팁의 스캐너 본체에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S310)로부터, 스캐너의 스캔 대상체 스캔 후 팁이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팁이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는 경과시간 획득 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과시간 획득 단계(S330)는 착탈 확인 단계(S310)에서 착탈 확인 수단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과시간 획득 단계(S330)는 착탈 확인 수단으로부터 팁이 스캐너 본체에서 탈거된 시간을 시작시간, 팁이 스캐너 본체에 다시 장착된 시간을 종료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경과시간 획득 단계(S330)는 시작시간과 종료시간 사이의 경과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경과시간은 초 단위로 획득될 수 있으며, 경과시간은 스캔을 수행한 팁이 세척, 살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과시간은 팁이 사용되지 않고, 사용자가 습관적인 탈착 행동을 수행하였다고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과시간이 5초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팁을 구강 스캔에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스캔 대상체의 종류와 경과시간의 길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제어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 단계(S350)는 대상체 감지 단계(S340)로부터 감지된 스캔 대상체의 종류를 판단한다(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 S351).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S351)가 수행된 후, 판단된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사용 정보 갱신 단계(S352)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 정보 갱신 단계(S352)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인 경우, 스캔 과정 이후에도 특별한 세척 및 살균 과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위생상의 이유로 팁의 세척 살균 과정을 강제할 수 없다. 따라서,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인 경우, 제어부는 팁의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팁의 세척, 살균이 필요하며, 소정 횟수 이상 구강을 스캔하면 팁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제어부는 팁의 사용횟수 정보를 갱신(가산)할 수 있다.
또한,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추가적으로 팁이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었다가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확인하는 경과시간 판단 단계(S353)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경과시간 판단 단계(S353)에서는, 경과시간 획득 단계(S330)에서 획득된 경과시간이 경과시간 임계값 이하인 경우, 팁의 세척 및 살균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S351)와 경과시간 판단 단계(S353)의 판단으로부터 스캔의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구강 내부이고, 경과시간이 경과시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충분한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후의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한하는 동작 제한 단계(S354)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지 않은 팁을 통한 후속적인 스캔을 제한함으로써, 환자는 위생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동작 제한 단계(S354)는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한 단계(S354)는 스캐너의 스캔 동작을 완전히 제한하는 대신, 해당 팁을 세척, 살균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팁의 고유정보 및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팁에 식별체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고, 소정 기준에 따라 스캐너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팁이 스캐너 본체에 착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S410)를 포함한다. 착탈 확인 단계(S410)에서 팁이 스캐너 본체에 착탈되었는지 여부는 스캐너 본체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착탈 확인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 및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착탈 확인 단계(S410)는 제3 실시예의 착탈 확인 단계(S310)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탈 확인 단계(S410)의 판단에 기초하여, 팁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경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 정보 갱신 단계(S450)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은 팁의 사용횟수를 갱신(가산)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 정보 갱신 단계(S450)는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대상체를 감지(S430)하고, 대상체를 판단(S440)하는 과정은 전술한 동일한 명칭의 단계와 동일하다.
또한, 착탈 확인 수단에 의해 팁이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었다가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이 획득(S420)될 수 있다. 획득한 경과시간을 기초로,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과시간 판단 단계(S460)에서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인지를 판단하고, 대상체 판단 단계(S440)에서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구강 내부인지를 판단하여, 스캔 대상체가 환자의 구강 내부이면서,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충분한 세척 및 살균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한하는 동작 제한 단계(S47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들의 동작 과정은 전술한 동일한 명칭의 단계들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이미지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팁의 사용 정보에 따라 알림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점 또한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팁 111: 제1 개구부
112: 제2 개구부 113: 광학부재
114: 식별체 115: 내면
116: 수용홈 120: 스캐너 본체
121: 하우징 122, 122a, 122b: 카메라
123: 광 프로젝터 124: 착탈면
125: 착탈 확인 수단 200: 제어부
210: 식별체 감지부 220: 데이터 갱신부
230: 대상체 감지부 240: 착탈 확인부
300: 디스플레이부 500: 입력영역
510: 제1 영역 520: 제2 영역
700: 유저 인터페이스 701: 스캐너 정보
702: 팁 정보 703: 팁 사용 정보
704: 초과 스캔 제한 705: 팁 사용횟수 상한
706: 알림메시지
S110: 고유정보 식별 단계 S111: 식별체 감지 단계
S112: 고유정보 추출 단계 S120: 데이터 갱신 단계
S210: 고유정보 식별 단계 S220: 대상체 감지 단계
S230: 데이터 갱신 단계 S231: 스캔 대상체 판단 단계
S232: 사용 정보 갱신 단계
S310: 착탈 확인 단계 S320: 고유정보 식별 단계
S330: 경과시간 획득 단계 S340: 대상체 감지 단계
S350: 동작 제어 단계 S351: 대상체 판단 단계
S352: 경과시간 판단 단계 S353: 동작 제한 단계
S410: 착탈 확인 단계 S420: 경과시간 획득 단계
S430: 대상체 감지 단계 S440: 대상체 판단 단계
S450: 사용 정보 갱신 단계 S460: 경과시간 판단 단계
S470: 동작 제한 단계

Claims (30)

  1.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캐너 본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팁; 및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 본체 및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팁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은, 상기 팁의 착탈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착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 본체가 상기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스캔 동작을 제한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 본체가 상기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결과시간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대상체의 종류를 인식하는 대상체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 감지부는,
    상기 스캔 대상체가 석고 모형인 경우,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은 압력 센서 및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포토 센서는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포토 센서, 빔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7.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캐너 본체;
    일면에 고유정보를 가지는 식별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팁; 및
    상기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스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서 수용하기 위해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체는 상기 광학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팁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스캔 대상체 및 상기 식별체에 대한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광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광학부재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수용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광학부재를 통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에 수용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체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스캔 대상체 및 상기 식별체에 대한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체는 소정 환경에서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변색된 상기 식별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식별체에 대한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팁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식별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체로부터 상기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체 감지부;
    상기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 및
    스캔 대상체의 종류를 인식하는 대상체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 또는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팁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착탈 확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은 압력 센서 및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포토 센서는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포토 센서, 빔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 또는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팁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착탈 확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팁의 상기 스캐너 본체에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 확인부는,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상기 스캔 대상체 스캔 후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며,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일 때 스캔 동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7.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는 스캐너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팁의 고유정보를 식별하는 고유정보 식별 단계; 및
    상기 고유정보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상기 고유정보에 할당된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식별체는, 상기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고유정보 식별 단계는,
    상기 식별체를 감지하는 식별체 감지 단계; 및
    상기 식별체로부터 상기 팁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고유정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팁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스캔 대상체 및 상기 식별체에 대한 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광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에 대응되는 입력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광학부재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수용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광학부재를 통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에 수용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체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식별체는 상기 광학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단계 이전에,
    상기 스캔 대상체를 감지하는 대상체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갱신 단계는 상기 대상체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스캔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단계는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고유정보에 대하여 할당된 상기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팁의 상기 스캐너 본체에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 확인 단계는 상기 스캐너 본체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은 압력 센서 및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포토 센서는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포토 센서, 빔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팁의 상기 스캐너 본체에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 확인 단계는,
    상기 스캔 대상체 스캔 후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며,
    상기 착탈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일 때 스캔 동작을 제한하는 동작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5.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팁의 상기 고유정보 및 상기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6. 스캔 대상체를 스캔하는 스캐너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착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확인 단계; 및
    상기 착탈 확인 단계에 의해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경우 상기 팁의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 정보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 갱신 단계는,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사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착탈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스캐너 본체 및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착탈 확인 수단을 통해 감지되며,
    상기 착탈 확인 수단은 압력 센서 및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포토 센서는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포토 센서, 빔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착탈 확인 단계는,
    상기 스캔 대상체 스캔 후 상기 팁이 상기 스캐너 본체로부터 탈거되고 다시 장착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스캔 대상체가 구강인 경우, 상기 경과시간이 임계값 이하일 때 스캔 동작을 제한하는 동작 제어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30.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팁의 사용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 정보에 따라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0210014239A 2021-02-01 2021-02-01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55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39A KR102559164B1 (ko) 2021-02-01 2021-02-01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PCT/KR2022/001616 WO2022164267A1 (ko) 2021-02-01 2022-01-28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39A KR102559164B1 (ko) 2021-02-01 2021-02-01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59A true KR20220111059A (ko) 2022-08-09
KR102559164B1 KR102559164B1 (ko) 2023-07-28

Family

ID=8265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39A KR102559164B1 (ko) 2021-02-01 2021-02-01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9164B1 (ko)
WO (1) WO20221642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984A (ko) * 2005-09-08 2007-03-13 (주)덱스코윈 휴대형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장치
KR20120133246A (ko) * 2011-05-31 2012-12-10 서동석 치과 기공용 무선 전기 조각도
JP2018149187A (ja) *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測定装置、歯科用測定装置の先端部および歯科用測定システム
KR102152921B1 (ko) 2019-03-28 2020-09-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 스캐너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84B1 (ko) * 2014-10-08 2016-05-09 주식회사 굿닥터스 다목적 의료용 카메라 장치
US20220133447A1 (en) * 2019-02-27 2022-05-05 3Shape A/S Scanner device with replaceable scanning-tips
US20200288959A1 (en) * 2019-03-11 2020-09-17 Palodex Group Oy Intraoral scanner and tip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984A (ko) * 2005-09-08 2007-03-13 (주)덱스코윈 휴대형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장치
KR20120133246A (ko) * 2011-05-31 2012-12-10 서동석 치과 기공용 무선 전기 조각도
JP2018149187A (ja) * 2017-03-14 2018-09-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測定装置、歯科用測定装置の先端部および歯科用測定システム
KR102152921B1 (ko) 2019-03-28 2020-09-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 스캐너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4267A1 (ko) 2022-08-04
KR102559164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0696B1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AU2014211764B2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EP2950694B1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JP6253665B2 (ja) 歯の領域を測定する装置
EP3403568B1 (en) Scanning of cavities with restricted accessibility
CN102026574A (zh) 可提供图像信息的便携式体温计
JP2019093167A (ja) 耳検査装置及び被験体の耳の状態を決定する方法
JP6702906B2 (ja) 歯科用測定装置、歯科用測定装置の先端部および歯科用測定システム
EP4062866A2 (en) Method for investigating optical element embedded in intraoral scanner, and system using same
EP2549226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US20190142257A1 (en) Scanning of cavities with restricted accessibility
JP6352896B2 (ja) プローブ、および口腔内スキャナ
JPH0472162B2 (ko)
KR102559164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CN114831762B (zh) 盖、摄像装置、数据生成系统以及数据生成方法
JPH0243487B2 (ko)
WO2012086134A1 (ja) 光断層画像取得装置
KR20230061757A (ko) 접촉식 설유두 및 설태 측정 장치
KR101665123B1 (ko) 치아 관리용 칫솔 및 치아 관리 시스템
WO2016084065A1 (en) 3d scanners for simultaneous acquisition of multiple 3d data sets of 3d object
JP6822656B2 (ja) 鼻息検査用具
EP3232900A1 (en) Calibrated medical imag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2011092233A (ja) 口腔内測定装置用保護カバー体と、それを用いた口腔内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