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028A - 기능성 소독제 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소독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28A
KR20220111028A KR1020210014155A KR20210014155A KR20220111028A KR 20220111028 A KR20220111028 A KR 20220111028A KR 1020210014155 A KR1020210014155 A KR 1020210014155A KR 20210014155 A KR20210014155 A KR 20210014155A KR 20220111028 A KR20220111028 A KR 2022011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container
container body
functional
upp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143B1 (ko
Inventor
김채영
Original Assignee
김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영 filed Critical 김채영
Priority to KR102021001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소독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제의 펌핑 사용시 살균효과 외에도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소독제의 변질을 방지함과 함께 혈액순환 개선 등과 다양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30)와, 상기 펌핑밸브(30)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캡(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소독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마개(20) 사이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한 고무패킹(50)이 구비되되, 상기 고무패킹(5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토르말린 중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소독제 용기{Functional disinfectant container}
본 발명은 소독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 물질을 부가시킨 기능성 소독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되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2020년 대유행에 따라 개인 위생을 위한 마스크, 손 소독제 등과 같은 개인 위생을 위한 제품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손 소독제는 손 세정제 또는 핸드 새니타이저라고도 하며, 물로 손을 씻는 것을 대신하는 대용제를 총칭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물로 손일 씻는 대용제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화학물질로 된 분사형, 즉 액체형 소독제나 젤 형태 소독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이러한 손 소독제의 주요 성분을 주로 에탄올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디스펜서 용기에 보관되어 손쉽게 펌핑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손 소독제 내의 에탄올의 함량 제한으로 인해 살균력이 떨어지는 한계점으로 상술한 신종 전염병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소독제는 단순한 살균 기능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외에도 소독제 사용 시 인체에 유익한 보다 다양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171390호(1999.12.04.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131458호(2020.11.24.공개)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2011-1898호(2011.02.2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소독제 용기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다양한 형태로 부가시켜서 내부에 보관되는 소독제의 펌핑 사용시 살균 효과와 함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와, 상기 상부마개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와, 상기 펌핑밸브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캡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소독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와 상부마개 사이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한 고무패킹이 구비되되, 상기 고무패킹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및 토르말린 중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독제 용기는, 용기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제의 펌핑 사용시 살균효과 외에도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소독제의 변질을 방지함과 함께 혈액순환 개선 등과 다양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용기 내부의 기능성 물질은 고무패킹, 구슬, 자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용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소독제 용기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소독제 용기의 가압캡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소독제 용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소독제 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용기 걸림부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소독제 용기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용기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용기 단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요부 단면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소독제 용기 구조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소독제 용기는,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 입구부(11) 개폐를 위해 나사치합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30)와, 상기 펌핑밸브(30)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캡(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상기 펌핑밸브(30)는 탄성스프링(31)에 의해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가압 작용에 의해 내부 소독제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디스펜서 용기에 적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마개(20) 사이에 기밀성 유지를 위한 탄성 고무를 주재료로 하는 고무패킹(50)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무패킹(50)은 성형 제작과정에서 고무 원료와 함께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토르말린 등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의 기능성(원적외선 방사 등) 성분이 혼합된다.
특히, 고무패킹(50)은 용기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원통부(51)가 일정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내부 소독제와 접촉면적이 증가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마개(20) 외측면에는 "ㄴ"형상의 걸림턱(21)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돌출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가압캡(40)의 내주면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걸림돌기(41)가 돌출 구비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가압캡(40)의 회동에 따른 걸림턱(21)과 걸림돌기(41) 상호간의 걸림 작용의 온/오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2는 펌핑밸브(30)에서 분사되는 소독제의 외부 분출이 이루어지는 통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기능성 소독제 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소독제 용기는 내부에 일정 수위로 소독제가 보관되는 가운데 평상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가압캡(40) 내주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돌기(41)가 상부마개(20) 외주면에 돌출 구비된 걸림턱(21)에 걸려진 상태를 이루어서 가압캡(40)의 누름동작이 제한되게 되며, 소독제를 분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캡(40)을 살짝 돌려주게 되면 걸림돌기(41)가 걸림턱(21)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누름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용기를 거꾸로 하여 용기본체(10)를 눌러주게 되면 가압캡(40)과의 가압작용에 의해 펌핑밸브(30)가 눌려지면서 내부에 보관되는 소독제의 펌핑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통공(42)을 통한 소독제의 외부 분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용기본체(10) 내부에서 소독제는 고무패킹(50)의 원통부(51)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고무패킹(5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토르말린 등의 원적외선 방사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제의 변질 및 변색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성분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항균 작용이 향상됨과 함께 펌핑밸브(30)의 분사공의 막힘현상 및 오염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독제 용기는, 용기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제의 펌핑 사용시 살균효과 외에도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소독제의 변질을 방지함과 함께 혈액순환 개선 등과 다양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본체(10) 내부에는 자석(60)이 바닥면에 부착 구성되며, 상기 자석(6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토르말린 등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용기본체(10) 내부에서 소독제가 자석(60)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서 자석에 혼합된 기능성 물질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에 따른 소독제의 변질이 방지되는 등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자석(60)이 구성됨으로 인해 자력 작용에 따른 소독제에 혼힙된 금속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짐과 함께 소독제의 변질 방지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본체(10) 내부에는 구슬 형상의 구체(70)가 구비되되, 상기 구체(7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토르말린 등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용기본체(10) 내부에서 구체(70)가 굴러다니는 등 유동되면서 소독제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구체(70)에 혼합된 기능성 물질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에 따른 소독제의 변질이 방지되는 등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유동이 자유로운 구체(70)이 구성됨으로 인해 소독제와의 마찰작용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되어 소독제의 변질 방지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본체(10) 내부에는 구체(7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철망 형태의 가이드망(8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망(80)에는 구체(70)의 접촉에 따른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코팅층(81)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완충 코팅층(81)은 실리콘수지 20~40중량%, 폴리유산 10~30중량%,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10~30중량%, 폴리 우레아 10~20중량%, 황산제이철 1~10중량%, 알긴산 칼슘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가이드망(80)의 구성으로 인해 구체(70)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되어 구체(70)와 용기본체(10) 내벽면과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감소시킴과 함께 구체(70)의 분실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망(80)에는 완충 코팅층(81)이 코팅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7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짐에 따른 소음 및 마찰 발생이 감소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완충 코팅층(81)에는 합성 고분자 성분의 폴리유산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작용력을 강화시키며,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는 코팅층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외부 충격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함께 혼합된 폴리 우레아는 혼합물 상호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코팅층의 공극 발생을 방지하며, 황산제이철 및 알긴산 칼슘은 각각 실리콘수지의 내열성 증대 및 촉매 기능에 따른 활성화를 통한 완충 코팅층(81)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소독제 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소독제 용기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하향으로 소독제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바로 세운 상태에서 가압캡을 눌러서 상향으로 소독제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소독제의 상향 안내를 위한 스트로우 형태의 대롱이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입구부
20 : 상부마개 21 : 걸림턱
30 : 펌핑밸브 31 : 탄성스프링
40 : 가압캡 41 : 걸림돌기
42 : 통공 50 : 고무패킹
51 : 원통부 60 : 자석
70 : 구체

Claims (7)

  1.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30)와, 상기 펌핑밸브(30)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캡(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소독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마개(20) 사이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한 고무패킹(50)이 구비되되, 상기 고무패킹(5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및 토르말린 중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50)은 용기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이루는 원통부(51)가 일정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내부 소독제와 접촉면적이 증가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3.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30)와, 상기 펌핑밸브(30)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캡(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소독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자석(60)이 구비되되, 상기 자석(6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및 토르말린 중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4. 내부에 소독제가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20)와, 상기 상부마개(20)에 구비되어 가압작용에 따른 소독제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펌핑밸브(30)와, 상기 펌핑밸브(30)에 대한 가압력 전달을 위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캡(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소독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구슬 형상의 구체(70)가 구비되되, 상기 구체(70)에는 티타늄, 게르마늄, 셀레늄, 테라헤르츠, 헤마타이트 및 토르말린 중 1종 이상의 기능성 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구체(7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망(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망(80)에는 구체(70)의 접촉에 따른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코팅층(8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완충 코팅층(81)은 실리콘수지, 폴리유산,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폴리 우레아, 황산제이철 및 알긴산 칼슘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20) 외측면에는 "ㄴ"형상의 걸림턱(21)이 돌출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가압캡(40)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걸림돌기(41)가 돌출 구비됨으로써, 가압캡(40)의 회동에 따른 걸림턱(21)과 걸림돌기(41) 상호간의 걸림 작용의 온/오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독제 용기.
KR1020210014155A 2021-02-01 2021-02-01 기능성 소독제 용기 KR10242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55A KR102426143B1 (ko) 2021-02-01 2021-02-01 기능성 소독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55A KR102426143B1 (ko) 2021-02-01 2021-02-01 기능성 소독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28A true KR20220111028A (ko) 2022-08-09
KR102426143B1 KR102426143B1 (ko) 2022-08-31

Family

ID=8284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155A KR102426143B1 (ko) 2021-02-01 2021-02-01 기능성 소독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14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90U (ko) * 1994-07-26 1996-02-17 김형달 뚜껑결합나사부를 일체로 형성한 용기패킹의 결합구조
KR200171390Y1 (ko)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KR20000016384U (ko) * 1999-01-30 2000-08-25 최동민 원적외선 방출 자석
JP2003070539A (ja) * 2001-08-31 2003-03-11 C'bon Co Ltd 化粧品容器
KR100614186B1 (ko) * 2005-12-22 2006-08-22 권혁탁 항균 용기
KR20110001898A (ko) 2009-06-29 2011-01-06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KR20150002427U (ko) * 2013-12-13 2015-06-23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860257B1 (ko) * 2017-02-07 2018-06-27 지병욱 스킨케어 디스펜서
KR20200131458A (ko) 2019-05-14 2020-11-24 구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펜서 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90U (ko) * 1994-07-26 1996-02-17 김형달 뚜껑결합나사부를 일체로 형성한 용기패킹의 결합구조
KR20000016384U (ko) * 1999-01-30 2000-08-25 최동민 원적외선 방출 자석
KR200171390Y1 (ko) 1999-08-31 2000-03-15 주식회사연우 온도관리가 용이한 디스펜서용기
JP2003070539A (ja) * 2001-08-31 2003-03-11 C'bon Co Ltd 化粧品容器
KR100614186B1 (ko) * 2005-12-22 2006-08-22 권혁탁 항균 용기
KR20110001898A (ko) 2009-06-29 2011-01-06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KR20150002427U (ko) * 2013-12-13 2015-06-23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860257B1 (ko) * 2017-02-07 2018-06-27 지병욱 스킨케어 디스펜서
KR20200131458A (ko) 2019-05-14 2020-11-24 구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펜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143B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45149B (zh) 鼻腔冲洗液喷射容器
KR101855457B1 (ko) 유체 디스펜서 헤드 및 그러한 디스펜서 헤드를 구비한 디스펜서
US20150043958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Equipped With A Removable Cap
US20120312840A1 (en) Container closure system with integral antimicrobial additives
EA024363B1 (ru) Флакон с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защитой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подлежащей капельному дозированию
KR102426143B1 (ko) 기능성 소독제 용기
JP2008143529A (ja) エアレスポンプ付流体容器
CA2836199A1 (en) Antibacterially-acting moulded article, method for sterilisation of formulations, storage vessel and also use of the storage vessel
JP2019501081A (ja) 内容物排出ポンプ
CN203359111U (zh) 一种高适用型食物保鲜盖
CN207322501U (zh) 一种驱蚊喷雾存储罐
RU2491099C2 (ru)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ру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049340B2 (ja) 磁石付き分配装置を収容する包装
CN108057537A (zh) 一种喷雾器头
CN203064402U (zh) 按压式液体泵
CN114026298B (zh) 用于将含有至少一种活性物质的液体分配至能够由顶盖覆盖的坐便器中的装置
JP2007197087A (ja) 逆流防止口栓及び容器
CN204016150U (zh) 一种2%葡萄糖酸洗必泰抗菌湿巾
KR101743898B1 (ko) 기능성 미스트 분사장치
KR200456787Y1 (ko) 내용물 정량/정회 배출용기
JP5924483B2 (ja) ポンプ式製品用のポンプ構造ユニット,このポンプ構造ユニットを含むポンプ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用の操作部ユニット
KR200350220Y1 (ko) 나노실버 세탁볼
CN208429360U (zh) 一种方便使用的洗面奶盛放瓶
JPH1111549A (ja) 吐出容器の吐出口
CN217960783U (zh) 喷雾擦拭两用消毒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