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933A -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 Google Patents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933A
KR20220110933A KR1020210013948A KR20210013948A KR20220110933A KR 20220110933 A KR20220110933 A KR 20220110933A KR 1020210013948 A KR1020210013948 A KR 1020210013948A KR 20210013948 A KR20210013948 A KR 20210013948A KR 20220110933 A KR20220110933 A KR 20220110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te
cultural
cultural property
proper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2105B1 (en
Inventor
김명진
권호영
김은정
정봉구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라드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드피온 filed Critical (주)라드피온
Priority to KR102021001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05B1/en
Priority to KR1020220053277A priority patent/KR1025012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gebra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comprising: a physical storage in which private cultural assets, which are cultural assets owned by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re entrusted and actually managed and preserved; a cyber storage in which a system user can view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nd apply for rental of a private cultural asset by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or high-resolution two-dimensional photographs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and a control unit which is linked with and controls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The control unit, when the private cultural asset is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or the private cultural asset is loaned from the physical storage, automatically updates the cyber storage in conjunction with the cyber storage, such that the cyber storage is up to date, and when an application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 is received by the cyber storage from the system user, processes the private cultural asset to be loaned in conjunction with the physical storage.

Description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및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ysical storage for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owned by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nd having difficulties i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fferent valuations of private cultural assets while linking the cyber archives that allow private exhibitions or auctions to be held, for personal exhibitions and auctions, to browse, apply for rental, and to view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is physical storage. It relates to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문화재는 고고학, 선사학, 역사학, 문학, 예술, 과학, 종교, 민속, 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 활동의 소산을 말한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 자료로 분류되며, 유형 문화재는 건조물, 전적,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상 또는 예술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를 말한다. Cultural properties refer to the results of human cultural activities recognized as having cultural value in archaeology, prehistory, history, literature, art, science, religion, folklore, and lifestyle.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ultural properties are classifi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monuments, and folklore materials. It refers to the equivalent archaeological material.

이와 같은 문화재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보존 및 관리하는 문화재도 있지만, 개인, 문중 및 회사 등 민간이 문화재를 다수 소유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아래에서는 민간 문화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Some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are preserved and managed by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but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private sector, such as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owns a large number of cultural properties. Hereinafter,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 private cultural property.

민간 문화재는 잘 보존 및 관리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민간 문화재는 보존 및 관리가 소홀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전혀 보존 및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도자기나 서예작품 등 고미술품을 문중 내에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임의로 보관하거나 보존하여, 파손 위험성, 화재, 풍수해 등의 경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많은 실정이었다. In some cases,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re well preserved and managed, but most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re neglected or, in severe cases, not preserved and managed at all. For example, antiques such as ceramics and calligraphy works were stored or preserved in the clan without the help of experts, and there was a high risk of damage, fire, wind and flood damage, etc.

한편, 문중 내에서 오랫 동안 물려 받아서 보관하는 민간 문화재의 경우, 정확한 문화재 가치를 알지 못하고 단순히 물려 받아 왔기 때문에 계속 보관하거나 보존하는 경우다 다수 존재하였다. 상당한 문화재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필요한 경우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전문가가 보존하거나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문가 감정을 받는 것은 비용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감정을 하는 도중이나 감정을 받으로 가거나 오는 도중에 문화재가 파손되거나 문화재의 가치가 훼손될 우려 등으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ivate cultural assets that have been inherited and stored within the family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are kept or preserved because they have simply inherited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without knowing the exact value. If it has significant cultural value, it may make more sense to have it preserved or managed by experts, even if necessary, at a cost. However, in reality, it is not easy to receive an expert appraisal in terms of cost, time, and fear that cultural assets may be damaged or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may be damaged during the appraisal or on the way to or from the appraisal.

관련한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에서는, "본 발명은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이나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영향으로 유물이 보관된 유물 수장대에 전달될 시 유물 수장대의 전도나 유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유물 수장대을 다른 유물 수장대에 서로서로 연결하는데, 서로 간의 충격이나 진동 감쇄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수단이 포함된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로 연결하여 넘어지거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As a related patent docu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28828 (published on November 17, 2020) (title of the in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ismic relic storage stand,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the relic storage unit from being overturned or falling of the relics when the relics are delivered to the relic storage unit where the relics are stored due to earthquakes or external vibrations, etc. Multiple relic storage p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other relic storage poles, and earthquake-resistant relic storage poles that can minimize tripping or shaking by connecting them with a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that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ans that can dampen each other's shock or vibration Installation structure"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에서는, "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주요 문화재의 산사태 및 낙석등 절토사면 또는 도난 및 유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안전과 기능적 정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중한 문화재의 보호 및 지속적 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12767 (published on Feb. 12, 2008) (title of invention: 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A ubiquitou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the protec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valuable cultural assets by detecting theft or loss of cultural assets in real time, such as landslides and rockfalls,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safe and functionally normal. .

하지만, 상술한 관련 특허문헌에서는, 본 발명과 달리,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및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related patent documents,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a physical storage for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owned by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nd having difficulties i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nd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Cyber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which can be viewed online or through an app, applied for rental, and interlocked with a cyber repository that enables private exhibitions and auctions, while also providing a plurality of various valuations of private cultural assets The storage system was not disclosed at al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28828 (published on November 17, 2020) (Title of the in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2767 (published on Feb. 12, 2008) (Title of the invention: 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및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를 상호 연동하는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r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 physical storag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fferent valuations of private cultural assets while linking the cyber archives that allow private exhibitions or auctions to be held online or through apps for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physical archives. It is to provide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propertie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은,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실제로 관리 및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버 수장고; 및 상기 물리적 수장고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수장고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사이버 수장고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서 연동하여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한다. The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entrusted with private cultural assets, which are cultural assets owned by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nd actually manages and manages them. a physical repository to preserve; a cyber storage in which a system user can view and apply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r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or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loaned from the physical storage. The cyber storage is linked to update and updated, and when an application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ceived from the system user to the cyber storage,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is interlocked in the physical storage to be loaned.

또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전문가 감정 정보를 포함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yber storage, a three-dimensional image or a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nam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a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information on a date analysis report, purchase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cluding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

Figure pat00001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
Figure pat00002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
Figure pat00003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three-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pictur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hap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and the information on the chronological analysis report,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civilian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value of the cyber is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he valu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storage system, and t1 is the difference in time from the date of transaction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assets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The 1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Department, which presents the valuation information of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t2 is a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nd Equation 3 below according to the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igure pat00003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cyber storage system and t3 is a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evaluated by an expert to the tim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may include; have.

한편,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4인

Figure pat00004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5인
Figure pat00005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6인
Figure pat00006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rvation state is classified by comparing the first image taken whil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with the second imag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reservation state score (PR, 0≤PR≤1) and a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for giving value and evaluating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re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includes a three-dimensional image or a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and the information on the age analysis report, on the basis of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04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civilian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value of the cyber is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he valu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storage system, and t1 is the difference in time from the date of transaction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assets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The 1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Department, which presents the valuation information of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05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t2 is a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nd Equation 6 below according to the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igure pat00006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cyber storage system and t3 is a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evaluated by an expert to the tim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may include; have.

또한,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경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경매 제공부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rough the cyber storage, an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online exhibition; and an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online auction through the cyber storage, wherein the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evaluates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nd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t an initial auction starting price. It is preferable to present all of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vailable in the sub,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unit.

또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 책정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st estim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st estimating unit for estimating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wherein the cost estimating unit includes the first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It is preferable to differentiate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vailable in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또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연계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urance linkage unit further includes an insurance linkage unit linking the insurance for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ith an insurance company system, wherein the insurance linkage unit includes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second 3 According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department, it is desirable to set the insurance cost for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ifferently.

또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물리적 수장고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digital object identifier used to uniquely identify an object is given to each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cyber storag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and manages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in conjunc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desirabl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에 따르면,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개인, 문중 및 회사가 소유하여 보존 및 관리에 애로를 가지고 있는 민간 문화재를 위탁 관리,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및 이 물리적 수장고에 보관된 민간 문화재를 온라인이나 앱으로 열람하거나 대여 신청하거나, 개인 전시회나 경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수장고를 상호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First, a physical storage that entrust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owned by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nd having difficulties i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nd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can be viewed or rented online or through the app, or private exhibitions It is possible to interlock a cyber repository that allows me to do auctions.

둘째,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개인별로 맞춤형의 수장고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Seco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ustomized storage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cyber storage.

셋째, 민간 문화재의 복수의 다양한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에 기초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예전 구입 정보에 기초한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fferent valuations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based on the 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based on previous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based on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have.

넷째,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고, 이와 같은 보존 상태 점수를 반영하여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Fourth, by comparing the first image taken whil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second imag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eservation state is classified, and the preservation state score (PR, 0≤PR≤1) It is also possible to evaluate the value of private cultural assets by reflecting these conservation status scores.

다섯째,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에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Fifth, in the cost estimating department that sets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the value evalu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available in the first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ation departmen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department,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differentially.

여섯째,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에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Sixth, in the insurance linkage department linking insurance for private cultural properties with the insurance company system, the value evalua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vailable in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section,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section,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insurance cost for private cultural properties differentially.

일곱째, 제어부가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물리적 수장고 및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Seventh,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nd manage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in conjunc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used to uniquely identify the object for each private cultural property.

여덟째, 본 시스템의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230) 및/또는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장이나 현실적으로 전시회를 하거나 경매를 할 경우, 고가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가 있는 민간 문화재를 실제로 전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경매로 진행할 경우 고가의 민간 문화재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좀 더 활발한 민간 문화재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Eighth, through the cyber storage 200 of this system, the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230 and/or the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240 that provides an online auction through the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230 and/or the cyber storage 200 is further provided. may include In the case of an on-site or realistic exhibition or auction, it is necessary to actually exhibit expensive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likely to be damaged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damage or loss of value.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ircul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will be more active.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yber storage system.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10)은, 물리적 수장고(100), 사이버 수장고(200), 제어부(300), 비용 책정부(400), 보험 연계부(500) 등을 포함한다. 1 and 2, the cyber storage system 10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ysical storage 100, a cyber storage 200, a control unit ( 300), a cost estimating unit 400, an insurance linkage unit 500, and the like.

여기서, 물리적 수장고(100)는,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실제로 관리 및 보존하는 시스템으로, 위탁 관리 및 보존되는 물리적인 장치와 IoT(사물인터넷)로 연계된 시스템을 말한다. Here, the physical storage 100 is a system for actually managing and preserving private cultural assets, which are cultural assets owned by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system that is linked to

이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에 대해서는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사이버 수장고(200)에서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해당 민간 문화재를 사이버나 디지털적으로 열람하고자 할 때나, 대여 신청을 할 때, 가상의 공간에서 구현하는데 활용된다. For the private cultural assets entrusted to this physical storage, 3D images or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s are taken and stored. It is used to implement in a virtual space when applying for a rental or when applying for a rental.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버 수장고(200)는 물리적 수장고(100)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yber storage 20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 system user to browse and apply for rental of private cultural assets by using a 3D image or high-definition 2D photo of private cultural assets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100. .

또한,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개인별로 맞춤형의 수장고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별로 다른 인터페이스, 사이버 수장고 상의 레이아웃, 색상 등을 개인별로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ustomized storage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cyber storage 200 . It is possible to customize a different interface, layout, color, etc. on the cyber storage for each individual.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술한 물리적 수장고(100) 및 사이버 수장고(200)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구성이다. 제어부(300)는, 민간 문화재가 물리적 수장고(100)에 위탁되거나, 또는 물리적 수장고(100)로부터 해당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사이버 수장고(200)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사이버 수장고(200)에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물리적 수장고(100)에서 연동하여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한다. Next, the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to control and manage the physical storage 100 and the cyber storage 200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300 automatically updates and updates the cyber storage 200 in conjunction with the private cultural assets when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100 or when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loaned from the physical storage 100, In addition, when a system user receives an application for rental of private cultural assets from the cyber storage 200 ,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loaned in conjunction with the physical storage 100 .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하는 것은, 사이버 수장고(200)에서 대여 신청이 접수되는 경우, 해당 민간 문화재의 대여를 위한 배송을 담당하는 복수의 미리 등록된 문화재 전문 배송 회사의 시스템에 몇 가지 조건을 포함한 배송 의뢰의 청약을 보내고, 해당 배송 의뢰의 조건 등을 포함하여 배송 의뢰의 청약을 수락하는 문화재 전문 배송 회사의 답신을 선착순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계약이 디지털적으로, 온라인에서 성립되도록 한다. When a rental application is received from the cyber storage 200, the processing of private cultural assets to be loaned includes several conditions in the system of a plurality of pre-registered delivery companies specializing in private cultural assets in charge of delivery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fter sending an offer for a delivery request, a reply from a cultural property delivery company that accepts the delivery request including the conditions of the delivery request is judg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so that the delivery contract is finally established digitally and online.

이와 같은 사이버 수장고(200)에는,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및 문화재 전문가의 감정 정보를 포함한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uch a cyber storage 200, three-dimensional images or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s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names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information, age analysis report information, purchase inform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cluding the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expert.

또한, 사이버 수장고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별도로 부여하고, 제어부(300)는 이와 같은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물리적 수장고(100) 및 사이버 수장고(200)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digital object identifier used to uniquely identify an object is separately assigned to each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cyber storage, and the control unit 300 links the physical storage 100 and the cyber storage 200 according to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It is desirable to control and manage it.

또한,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220)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내지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220 for evaluating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o a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형상수치계측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and the information of the chronological analysis report,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7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여기서,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Here,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It is the average annual value increase rat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cyber storage system, and t1 refers to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date of transaction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assets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여기서,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를 판정하는 방법은,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형상수치계측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비교하는 민간 문화재간 정보의 차이값에 가중치를 곱한 값들을, 모두 더한 값이 가장 적은 값인 민간 문화재를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로 판단하는 것이다. Her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most similar private cultural property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is a three-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 analysis report and the chronological analysis report, the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between the compar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by a weight are judg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ith the smallest sum.

가중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인공지능을 통해서, 설정한다. 즉, 이미 가장 유사한 민간 문화재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데이터 집합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하여 가중치를 설정한다. 가중치 초기값을 설정하고, 가중치를 변경해 가면서, 최적의 가중치 설정값을 찾아간다. The method of setting the weight is se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the weights are set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a data set that already knows what the most similar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re. By setting the initial weight value and changing the weight, the optimum weight setting value is found.

또한,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In addition,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is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8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여기서,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Here,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an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and t2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또한,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In addition,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the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following Equation 3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9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여기서,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Here,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of the cyber storage system an increase rate, and t3 refers to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receives expert appraisal until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한편, 민간 문화재의 보존 상태를 반영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고, 이를 상술한 가치평가 금액에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value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reflecting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In other words, the preservation state is classified by comparing the first image taken whil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with the second imag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reservation state score (PR, 0≤PR≤1) It is possible to give , and multiply it by the above-described valuation amount.

여기서 보존 상태 점수를 비교할 때,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즉 원래 제작 시점의 상태로 복원한 제 2 영상과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시 테두리 부분이 영상에서 떨어져 나간 비율을 보존 상태 점수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원한 3차원의 제 2 영상과 3차원의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에서 떨어져 나간 부피(체적)의 비율로 보존 상태 점수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서예 작품에서 글자, 통상 한자의 복원한 2차원의 제 2 영상과 2차원 제 1 영상 간의 객체 식별시 글자를 구성하는 2차원적인 면적의 탈락 비율을 보존 상태 점수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when comparing the preservation state scores, it is better to calculate the ratio of the edge part falling off from the image when the object is identified between the second image and the first imag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the state at the time of original production as the preservation state score. It is possibl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preservation state score as the ratio of the volume (volume) separated from object identification between the reconstructed 3D second image and the 3D first imag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dropout ratio of the two-dimensional area constituting the character when identifying the object between the two-dimensional second image and the first two-dimensional image restored by the character in a calligraphy work, usually Chinese characters, as a preservation state score.

상술했던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4로, 수학식 2는 수학식 5로, 수학식 3은 수학식 6으로 변경된다. Equation 1 described above is changed to the following Equation 4, Equation 2 is changed to Equation 5, and Equation 3 is changed to Equation 6.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civilian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value of the cyber is the average annual value increase rat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storage system, and t1 is the difference in time from the date of trading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ctually traded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t2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cyber storage system , and t3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receives expert appraisal until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한편, 본 시스템의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230) 및/또는 사이버 수장고(200)를 통해서,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cyber storage 200 of the present system, the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230 and/or the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240 that provides an online auction through the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230 and/or the cyber storage 200 is further provided. may include

현장이나 현실적으로 전시회를 하거나 경매를 할 경우, 고가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가 있는 민간 문화재를 실제로 전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경매로 진행할 경우 고가의 민간 문화재의 파손이나 가치의 훼손 우려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좀 더 활발한 민간 문화재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on-site or realistic exhibition or auction, it is necessary to actually exhibit expensive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likely to be damaged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damage or loss of value.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ircul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will be more active.

여기서, 온라인 경매 제공부(240)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술한 바 있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240 is the initial auction starting pri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private properties available in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esent all of th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한편,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비용 책정부(400)는, 상술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하여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st estimating unit 400 that sets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The cost estimating unit 400 entrust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cost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또한,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500)를 더 포함하고, 이 보험 연계부(500)도, 상술한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surance linkage unit 500 for linking the insurance for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ith the insurance company system is further included, and the insurance linkage unit 500 also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ccording to the Ministry, and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department,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lly set the insurance cost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즉, 보험 연계부(500)는, 테러, 지진, 습기, 화재 등 다양한 보이지 않는 훼손 위험에 대해서 평가를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위험을 판단하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is, the insurance linkage unit 500 must evaluate various invisible damage risks such as terrorism, earthquake, moisture, and fire.

한편, 보험 연계부(500)는,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하면서 형상치수계측 분석(크기, 종류, 재질 정보 데이터 등 분석)을 진행하고, 촬영한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것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한다. 보존 상태 분류에 따라서, 상술한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에 비율로 곱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nsurance linkage unit 500 performs shape dimension measurement analysis (analysis of size, type, material information data, etc.) while warehousing it in a physical warehouse, and compares the captured image with the original state rest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eserves it Categorize the status. Depending on the conservation status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multiply the above-described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by a ratio.

예를 들어, 상술한 문화재의 가치 평가액이 10억이라고 할 때, 보존 상태 분류에 따라서, 상중하 등급에서 하 등급을 받은 경우, 하 등급에 배정된 0.3을 곱하여 3억으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중하 등급에서 상 등급을 받은 경우 상 등급에 배정된 1.0을 곱하여 10억 그대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value of the above-mentioned cultural property is 1 billion won, depending on the conservation status classification, if it receives a lower grade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ades, it is possible to evaluate it to 300 million by multiplying the lower grade by 0.3 assigned to the lower grade. In the case of receiving a prize grade in the grade, it is possible to evaluate it as it is 1 billion by multiplying the grade by 1.0 assigned to the prize grade.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not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corresponding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100...물리적 수장고
200...사이버 수장고
210...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
220...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230...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240...온라인 경매 제공부
300...제어부
400...비용 책정부
500...보험 연계부
10...Cyber Storage System
100...physical storage
200...cyber vault
210...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department
220...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Department
230...Online Exhibition Provisioning Department
240...Online Auction Provider
300...control unit
400...costing
500...Insurance Liaison Department

Claims (8)

개인, 문중 및 회사를 포함하는 민간이 소유한 문화재인 민간 문화재를 위탁받아서 관리 및 보존하는 물리적 수장고;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된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민간 문화재를 열람하고, 대여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버 수장고; 및
상기 물리적 수장고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위탁되거나, 또는 상기 물리적 수장고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사이버 수장고가 연동하여 업데이트 되어 최신화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상기 민간 문화재의 대여 신청을 받는 경우,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서 연동하여 상기 민간 문화재가 대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a physical repository for entrusted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cultural properties owned by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individuals, families, and companies;
a cyber storage in which a system user can view and apply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by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r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update and update the cyber storage in connection with the cyber storage when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is entrusted to the physical storage or when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is loaned from the physical storage, and from the system user to the cyber storage. In the case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rental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o th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is loaned in conjunction with the physical storage,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고화질의 2차원 사진, 상기 민간 문화재의 이름, 형상수치계측 정보, 소유자 정보,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 구입 정보, 전문가 감정 정보를 포함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정보를 저장하는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yber storage, a three-dimensional image or high-definition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nam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owner inform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information, age analysis report information, purchase information, expert appraisal Further comprising; a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cluding information;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인
Figure pat00013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인
Figure pat00014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3인
Figure pat00015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departm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and the information of the age analysis report,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tually trade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among them,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13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civilian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value of the cyber is the average annual value increase rat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storage system, and t1 is the difference in time from the date of trading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ctually traded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a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meth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14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t2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method; and
Equation 3 below according to the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igure pat00015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cyber storage system , and t3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receives expert appraisal until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nd a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가 상기 물리적 수장고에 입고되면서 촬영한 제 1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원 상태 복원한 제 2 영상과 비교하여, 보존 상태를 분류하고, 보존 상태 점수(PR, 0≤PR≤1)를 부여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를 가치 평가하는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는,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의 3차원 영상 또는 2차원 사진, 상기 형상수치계측 정보, 상기 특성 분석 성적서의 정보, 상기 연대 분석 성적서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4인
Figure pat00016

(P1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similar는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1은 실제로 거래된 민간 문화재 가운데 상기 민간 문화재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정한 민간 문화재의 거래일로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5인
Figure pat00017

(P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0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의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2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구입될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민간 문화재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6인
Figure pat00018

(P3은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의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상기 Pappraise는 상기 민간 문화재의 전문가 감정 정보에 따른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액이고, W는 상기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의 민간 문화재의 연평균 가치 증가율이고, t3는 상기 민간 문화재가 전문가 감정을 받은 때부터 상기 민간 문화재가 열람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
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가치 평가 정보를 제시하는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image taken while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stored in the physical storage is compared with the second imag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eservation state is classified, and a preservation state score (PR, 0≤PR≤1) is given. do,
Further comprising; a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evaluate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departm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photograph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hape numerica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report, and the information of the age analysis report,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tually trade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of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among them,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16

(P1 is the value of the first civilian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erused, Psimilar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determin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mong the actually traded private cultural properties, and W is the value of the cyber is the average annual value increase rate of private cultural assets in the storage system, and t1 is the difference in time from the date of trading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determined to be most similar to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ctually traded until the private cultural assets are perused)
a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method;
Based on the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17

(P2 is the value of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0 is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valu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 the cyber storage system, , t2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purchased to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appraisal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method; and
Equation 6 below according to the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torage unit
Figure pat00018

(P3 is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Pappraise is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amount according to expert appraisal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 is the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of the cyber storage system , and t3 is the time difference from when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receives expert appraisal until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read)
and a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at presents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전시회를 제공하는 온라인 전시회 제공부;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통해서, 온라인 경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경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경매 제공부는, 초기 경매 시작 가격으로,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를 모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 online exhibi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online exhibition through the cyber storage; and an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n online auction through the cyber storage.
The online auction providing unit presents, as an initial auction starting price, all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thir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책정하는 비용 책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 책정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위탁 관리 및 보존의 비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st estimating unit for estimating the cost of the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heritage, wherein the cost estimating unit includes: the first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heritage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thi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st of consignme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dif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vailable from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department,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민간 문화재에 대한 보험을, 보험사 시스템과 연계하는 보험 연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연계부는, 상기 제 1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상기 제 2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 및 상기 제 3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부에서 이용 가능한 민간 문화재 가치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민간 문화재의 보험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and an insurance linkage unit linking the insurance for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with an insurance company system, wherein the insurance linkage unit includes the first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the second privat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nd the third private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rance cost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is dif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ivate cultural property available in the cultural property value evaluation unit,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수장고에 저장된 상기 민간 문화재마다 고유하게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객체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객체 식별자에 따라서 상기 물리적 수장고 및 상기 사이버 수장고를 연동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digital object identifier used to uniquely identify an object is given to each of the privat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cyber storag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and manages the physical storage and the cyber storage by interworking according to the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ng,
A cyber storage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private cultural properties.

KR1020210013948A 2021-02-01 2021-02-01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KR1024321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48A KR102432105B1 (en) 2021-02-01 2021-02-01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KR1020220053277A KR102501263B1 (en) 2021-02-01 2022-04-29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48A KR102432105B1 (en) 2021-02-01 2021-02-01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277A Division KR102501263B1 (en) 2021-02-01 2022-04-29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933A true KR20220110933A (en) 2022-08-09
KR102432105B1 KR102432105B1 (en) 2022-08-12

Family

ID=828038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48A KR102432105B1 (en) 2021-02-01 2021-02-01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KR1020220053277A KR102501263B1 (en) 2021-02-01 2022-04-29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277A KR102501263B1 (en) 2021-02-01 2022-04-29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1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9425A (en) 2004-09-29 2006-04-13 Hitachi Software E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torage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KR20200093914A (en) 2019-01-29 2020-08-06 이승환 Sharing economy platform for sharing all things and its sha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9425A (en) 2004-09-29 2006-04-13 Hitachi Software E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torage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KR20200093914A (en) 2019-01-29 2020-08-06 이승환 Sharing economy platform for sharing all things and its shar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767호(2008.02.12. 공개)(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문화재 보호 관리시스템(Ubiquitou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8828호(2020.11.17. 공개)(발명의 명칭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105B1 (en) 2022-08-12
KR102501263B1 (en) 2023-02-17
KR20220111216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ide et al. Why be honest if honesty doesn't pay
Brodie The internet market in antiquities
Brodie The market in Iraqi antiquities 1980–2009 and academic involvement in the marketing process
US200600204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d managing novelty deeds or fractional interests in property
JP6689932B2 (en) Insurance business support system, contractor identif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432105B1 (en)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Hanson Ancient artefacts and modern conflict: A case study of looting and instability in Iraq
US20150019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fractional ownership of physical goods
US20230196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smart contracts for multiple ledger non-fungible token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same
Yildiz Object-based modeling of restrictions on the sale of agricultural land
Timothy Plundering the past: Tourism and the illicit trade in archaeological remains
Kremer et al. Protecting Antiquities: A Role for Long-Term Leases?
Bolz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Art Market?: Authenticity, Forgeries and the Role of Art Experts
Knapman et al. Profit and loss: Scientific networks and the commodification of Indigenous Ancestral Remains
KR20230169574A (en) Cyber storage system of preserving and distributing private cultural assets
Brodie The Looting and Trafficking of Syrian Antiquities Since 2011 1
Phelps Preserving Preservation Easements: Preservation Easements in an Uncertain Regulatory Future
Amadi-Echendu et al. A study on data and information integration for conveyancing, cadastre and land registry automation
Lewis The PAS–a rather British solution. The mandatory reporting and voluntary recording of archaeological objects in England and Wales
Dmitričenko et al. Countering Online Antiquities Trafficking Networks Financing Terrorism in Syria and Iraq
Bolz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Art Market
Macquisten Should the art market be more transparent?
EP2989587B1 (en) Next-generation secure electronic real estate and personal property title (timmop)
Navias Finance and Security: Global Vulnerabilities, Threats and Responses
de Haan et al. The role of livelihood, social capital, and market organization in shaping rural-urban interactions (post-pr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