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880A - A window filt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 window filt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880A
KR20220110880A KR1020210013825A KR20210013825A KR20220110880A KR 20220110880 A KR20220110880 A KR 20220110880A KR 1020210013825 A KR1020210013825 A KR 1020210013825A KR 20210013825 A KR20210013825 A KR 20210013825A KR 20220110880 A KR20220110880 A KR 2022011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ehicle
window
concent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9833B1 (en
Inventor
김정현
백기상
이수호
김건희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8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8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60H2003/0666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the filter element having non-rectangula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of a vehicle. The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omprises: a frame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 door; a filter of which one surface is cut in a glass window shape and the other surface is rolled in a roll shape to be stored inside the door; and a driving unit coming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ter and enabling the filter to ascend and descend. The driving unit comprises: a support of which one surface is fixated to a vehicle door and the other surface is fixated to the frame; a gea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and rotated by a motor; a rack fixated to the filter and engaged with the gear to enable the filter to ascend and desce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rotation of the motor.

Description

차량용 창문 필터{A window filter for vehicle}A window fil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 및 외부의 오염물질 농도에 따라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that controls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 먼지, 이산화탄소(CO2) 및 황사 등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 미세먼지는 직경이 10㎛ 내외의 공기 부산물을 의미하며,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사람들이 흡입한 경우 기도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대부분 폐포까지 침투하여 심장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유발하여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dust, carbon dioxide (CO 2 ) and yellow sand in the atmosphere is increasing. Among them, fine dust means air by-products with a diameter of around 10㎛, and although i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it cannot be filtered in the airways when inhaled by people, and most of it penetrates into the alveoli, causing heart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 which can increase early mortality. have.

특히 주행중인 차 내에서는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황산염, 질산염이 공기중에 탄소성분과 금속 화합물과 혼합되어 미세먼지가 2차 생성되어 그 위험도가 더욱 높다. In particular, in a driving car, the secondary generation of fine dust is higher because sulfate and nitrate generated from automobiles are mixed with carbon and metal compounds in the air.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3645호에서는 자동차 차체 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캐빈필터가 개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253호에서는 차량의 문에 설치가 가능한 차양막겸 방충망을 개시하고 있다. For this reas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113645 discloses a cabin filter that blocks pollutants flowing into a vehicle body, an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8-0002253, installation on the door of a vehicle is not possible. A possible awning screen and insect screen are disclosed.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은 하나의 차단수단만을 포함하여 주행 중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고, 해당 농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차단 환경을 조성하는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행 상황에 따라 오염물질의 차단정도를 조절가능한 차량용 창문 필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 above method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system tha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in real time while driving including only one blocking means and automatically creates a bloc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has not been implemented.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blocking of pollutants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3645호(2020.10.0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3645 (2020.10.0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253호 (2008.07.01.)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8-0002253 (2008.07.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물질의 농도와, 차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비교하여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 차량용 창문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elevation of the filter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external polluta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분진 포집율이 다른 필터를 다수 포함하여, 현재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분진 포집율을 갖는 필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having different dust collection rates, and selects and uses a filter having the most suitable dust collection rate in the current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창문 필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부에 부착되는 프레임, 일 면이 유리창 형상으로 재단되며, 타 면이 내부에 롤 형태로 감겨 도어 내부에 보관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일 면과 접촉하며, 상기 필터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 면은 자동차 도어에 고정되며, 타면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 면에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필터에 고정되며, 상기 기어에 맞물려 상기 필터를 승하강시키는 랙 및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vehicle window filter installed on a door of a vehicle, a fram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one side is cut into a glass window shape, and the other side is wound in a roll shape inside a filter stored inside a door, and a driving unit that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ter and elevates the filter; A gear formed on one surface and rotated by a motor, a rack fixed to the filter, engaged with the gear to raise and lower the filter, and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전송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에 따라 상기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e above aspect,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server, so as to adjust the elevation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창문 필터는 상기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와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one aspect, the vehicle window filter further comprises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and the pollution around the vehicle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substances,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filter can be adjusted.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투과율이 다른 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둘 이상의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다. In the one aspect, the filter includes two or more filters having different air permeability, and the driving unit may select one or more filters from among the two or more filters to raise and lower the filt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는 외부의 오염물질의 농도와, 차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비교하여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장 최적화된 실내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에만 집중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vehicle with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filter, thereby providing the most optimized indoor state for the driver, and driving.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focusing only 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및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unit of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window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and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may be exaggerated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는 일 면은 자동차 도어에 고정되며, 타면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 맞물려 상기 필터부를 승하강시키는 랙을 포함하여 필요시 자동차 창문을 덮을 수 있으며, 또는 롤 형태로 감겨 도어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a vehicle that is installed on a car door and provides an effect of blocking fine dust. Specifically, the filter has one side fixed to the car door,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upport fixed to the frame, a gear rotated by a motor, and a rack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filter unit by meshing with the gear to cover the car window if necessary. Alternatively, it may be wound in a roll form and stored inside the door.

본 발명에서 필터는 미세먼지, 먼지, 이산화탄소(CO2), 황사, 벌래 등 오염물질이 창문을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분진 포집율이 80 내지 95% 인 필터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refers to a filter that blocks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dust, carbon dioxide (CO 2 ), yellow sand, and bedbugs from entering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window, and preferably has a dust collection rate of 80 to 95% means a filter.

실제로 분진 포집율이 80% 미만인 필터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상기 필터의 분진 포집율이 80% 미만이면 오염물질의 차단효과가 현저히 감소하여 필터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상기 분진 포집율이 95%를 초과하면 창문의 투명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운전 시 시야확보가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필터의 분진 포집율은 8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진 포집율이 85 내지 92%일 수 있다. 또한,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분진 포집율이 서로 다른 필터를 다수 장착하여 주행환경 및 상황에따라 적합한 필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fact, as a result of manufacturing and testing a filter having a dust collection rate of less than 80%, if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filter is less than 80%, the blocking effect of contaminants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ilter cannot perform its function,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it exceeds 95%,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window was remarkably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during driving.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filter is 80 to 95%, and more preferably, the dust collection rate may be 85 to 92%. In addition,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filters having different dust collection rates can be installed, so that a suitable filter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환경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자동차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창문 필터는 필터 내 제어부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여 현재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분진 포집율을 갖는 필터를 선택하고,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and a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vehicle. Specifically, in the window filter for the vehicle, a control unit in the filter compa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select a filter having the most suitable dust collection rate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elevation can be adjust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필터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현재 주행환경에 적합한 필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filter suitable for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without the need to operate the filter by himself/herself.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unit of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1000)는 프레임(100), 필터(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window filter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100 , a filter 200 , and a driving unit 300 .

상기 프레임(100)은 자동차 도어(D) 상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도어(D)의 상부에서 필러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프레임(100)이 A필러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B필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frame 1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door D, and more preferably, may extend along the pillar 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 door D. 1 illustrates that the frame 100 extends in the A-pillar direction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xtend along the B-pillar.

상기 필터(200)는 자동차 도어(D)의 창문을 덮어 미세먼지, 먼지, 이산화탄소(CO2), 황사, 벌래 등 오염물질이 창문을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분진 포집율이 80 내지 95% 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200)의 분진 포집율이 80 내지 95% 로 한정되는 구체적인 이유는 앞서 설명하였기에 생략하도록 한다. The filter 200 means a filter that covers the window of the car door (D) and blocks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dust, carbon dioxide (CO 2 ), yellow sand, and bedbugs from entering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window, and more Preferably, the dust collection rate is 80 to 95%. The specific reason why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filter 200 is limited to 80 to 95%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omitted.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200)의 일 면은 유리창 형상으로 제단될 수 있으며, 타 면은 롤 형태로 감겨 상기 도어(D)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side of the filter 200 may be cut in the shape of a window, and the other side may be wound in a roll shape and stored inside the door (D).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필터(200)의 일 면과 접촉하여 상기 필터(2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0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ter 200 to raise and lower the filter 200 .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300)은 지지대(310), 모터(330), 기어(350), 랙(3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support 310 , a motor 330 , a gear 350 , a rack 370 ,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지지대(31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일 면이 자동차 도어(D)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면이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310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more preferably,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urface is fixed to the vehicle door D and the other surface is fixed to the frame 100 .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지지대(3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할 모터(330), 기어(350) 및 랙(370)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support 310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a motor 330 , a gear 350 , and a rack 3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tored therei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3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PC 글래이징(polycarbonate Glazin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플라스틱 또는 탄소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310 i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urethane (polyurethanes, PU), polystyrene (PS),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C), PC It may be made of plastic or carbon stee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zing (polycarbonate glazing).

상기 모터(330)는 상기 지지대(3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구동축을 이용하여 후술할 기어(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motor 330 may be fixed inside the support 310 , and may rotate a gear 3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a predetermined driving shaft.

상기 기어(350)는 상기 모터(330),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330)의 구동축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33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gear 350 may be fix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330 , more preferably the motor 330 , and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motor 330 .

상기 랙(370)은 상기 기어(350) 일 면과 접할 수 있으며, 타 면으로는 상기 필터(2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370)은 일 면에 소정의 피치로 가공된 형성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350)에 형성된 이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랙(370)과 상기 기어(350)는 통상적인 랙&피니언 기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The rack 37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gear 350 ,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combined with the filter 200 . Specifically, the rack 370 may b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teeth formed in the gear 35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rmed teeth machined to a predetermined pitch. That is, the rack 370 and the gear 350 may be combined in a conventional rack & pinion gear struct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otor.

상술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모터(330)의 회전운동을 상기 기어(350)를 통해 상기 랙(370)의 평행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필터(200)를 승하강(M) 시킬 수 있다.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the driving unit 300 may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330 into a parallel motion of the rack 370 through the gear 350 . Through this, the filter 200 can be raised and lowered (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창문 필터(1000)는 통신부(400) 및 측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vehicle window filt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measurement unit 500 .

상기 통신부(400)는 외부의 서버(S)로부터 상기 창문 필터(1000)가 장착된 자동차 주변부의 환경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경정보는 상기 자동차 주변부의 미세먼지, 먼지, 이산화탄소(CO2), 황사, 벌래 등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단순히 주변부에 농축된 오염물질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GPS를 연계하여, 상기 자동차의 현재 주행 속도에 따라 창문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rece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periphery in which the window filter 1000 is mounted from the external server S. In this ca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dust, carbon dioxide (CO 2 ), yellow sand, bedbugs, etc.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Thus, it may b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flowing into the window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환경정보는 외부의 서버(S)로부터 직접 전송된 정보일 수 있으며, 휴대폰 단말기 등을 통해 전송된 정보일 수 있다. Als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irectly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S), o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mobile phone terminal or the like.

상기 측정부(500)는 상기 창문 필터(1000)가 장착된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통신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00)는 오염물질 측정 및 전송이 가능한 장치라면 공지된 어떤 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500 ma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side the vehicle in which the window filter 1000 is mounted, and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 The measurement unit 500 can be used by applying any known device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nd transmitting pollutants.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통신부(400)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 및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 농도를 통해 상기 필터(200)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90 may receive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and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inside the vehic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 In addition,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filter 20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통신부(400)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전달받아 상기 필터(200)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may receiv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adjust the elevation of the filter 200 .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직경이 10㎛ 이상인 미세먼지) 기준 81 ㎍/㎥ 이상 또는 PM2.5(직경이 2.5㎛ 이상, 10㎛미만인 미세먼지) 기준 36 ㎍/㎥ 이상이면 상기 필터(200)가 완전히 창문을 덮을 수 있도록 모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is 81 μg/m3 or more based on PM 10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10 μm or more) or 36 μg/m3 or more based on PM 2.5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μm or more and less than 10 μm) The motor 330 may be driven so that the filter 200 completely covers the window.

또는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31 내지 80 ㎍/㎥ 또는 PM2.5 기준 16 내지 35 ㎍/㎥ 이면, 상기 필터(200)가 창문을 일부만 덮을 수 있도록 모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O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is based on PM 10 Based on 31 to 80 μg/m3 or PM 2.5 If it is 16 to 35 μg/m 3 , the motor 330 may be driven so that the filter 200 partially covers the window.

또는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0 내지 30 ㎍/㎥ 또는 PM2.5 기준 0 내지 15 ㎍/㎥ 이면, 상기 필터(200)가 창문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모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Or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is based on PM 10 0 to 30 μg/m3 or PM 2.5 standard If it is 0 to 15 μg/m 3 , the filter 200 may drive the motor 330 to completely open the window.

본 명세서에서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정도를 3가지 단계로 나누었으나, 단계를 더 세밀하게 나누어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로써 자명하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gree of driving the motor is divided into three step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otor can be driven by dividing the steps more precisely.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와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필터(200)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elevation of the filter 200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inside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around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자동차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에 비해 더 높으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필터(200)로 상기 창문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모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vehicle, the controller 390 may drive the motor 330 to completely block the window with the filter 200 .

반대로 상기 자동차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에 비해 더 높으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필터(200)의 일부를 개방시키도록 모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ide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the controller 390 may drive the motor 330 to open a part of the filter 200 .

이상 상기 자동차 내부와 주변부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필터를 개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오염물질이 미세먼지인 것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이산화탄소(CO2), 먼지, 황사, 벌래 등의 다른 오염물질 또한 상기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A method of opening the filte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side and around the vehicle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ly fine dus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pollutants such as carbon dioxide (CO 2 ), dust, yellow sand, and bedbugs can also drive the motor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e above. It is self-evident tha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및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and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window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1000)는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분진 포집율이 80 내지 95% 인 필터를 다수 보유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다.5 to 6 , the window filter 10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filters having a dust collection rate of 80 to 95%,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r more filter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lters through the driving unit to raise and lower the filte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창문 필터(1000)는 분진 포집율이 서로 다른 제1 필터(200a), 제2 필터(200b) 및 제3 필터(200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필터(200a), 제2 필터(200b) 및 제3 필터(200c)는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vehicle window filter 1000 may include a first filter 200a, a second filter 200b, and a third filter 200c having different dust collection rates, and the first filter ( 200a ), the second filter 200b , and the third filter 200c may be independently driven by respective driving units.

예를 들어, 제1 필터(200a)는 제1 모터(330a) 및 제1 기어(350a)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제1 랙(370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필터(200b)는 제2 모터(330b) 및 제2 기어(350b)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제2 랙(370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200c)는 제3 모터(330c) 및 제3 기어(350c)와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제3 랙(370c)에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ilter 200a may be fixed to the first rack 370a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motor 330a and the first gear 350a, and the second filter 200b is the second filter 200b. It may be fixed to the second rack (370b)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motor (330b) and the second gear (350b) to elevate. In addition, the third filter 200c may be fixed to the third rack 370c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being coupled to the third motor 330c and the third gear 350c.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90)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통신부(400)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 및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필터(200a)와 결합되는 제1 모터(330a), 상기 제2 필터(200b)와 결합되는 제2 모터(330b) 및 상기 제3 필터(200c)와 결합되는 제3 모터(330c)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터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unit 390 may receive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and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inside the vehicl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90 compares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s, a first motor 330a coupled to the first filter 200a, a second motor 330b coupled to the second filter 200b, and One or more of the third motors 330c coupled to the third filter 200c may be selected and operated.

예를 들어, 상기 제1 필터(200a)의 분진 포집율이 85%, 제2 필터(200b)의 분진 포집율이 88%, 제3 필터(200c)의 분진 포집율이 92%인 것을 가정하였을 때,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31 내지 80 ㎍/㎥ 또는 PM2.5 기준 16 내지 35 ㎍/㎥ 이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제1 모터(330a)를 작동하여 분진 포집율이 가장 낮은 제1 필터(200a)로 창문을 덮을 수 있다. For example, it would have been assumed that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first filter 200a is 85%,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second filter 200b is 88%,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third filter 200c is 92%.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is based on PM 10 Based on 31 to 80 μg/m3 or PM 2.5 When it is 16 to 35 μg/m 3 , the control unit 390 operates the first motor 330a to cover the window with the first filter 200a having the lowest dust collection rate.

또한,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81 내지 100 ㎍/㎥ 또는 PM2.5 기준 36 내지 50㎍/㎥ 이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제2 모터(330b)를 작동하여 분진 포집율이 중간 정도인 제2 필터(200b)로 창문을 덮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is 81 to 100 μg/m3 based on PM 10 or 36 to 50 μg/m3 based on PM 2.5 , the control unit 390 operates the second motor 330b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rate. The window may be covered with the second filter 200b having an intermediate level.

또한,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101 내지 120 ㎍/㎥ 또는 PM2.5 기준 51 내지 60㎍/㎥ 이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제3 모터(330c)를 작동하여 분진 포집율이 가장 높은 제2 필터(200b)로 창문을 덮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is 101 to 120 μg/m3 based on PM 10 or 51 to 60 μg/m3 based on PM 2.5 , the control unit 390 operates the third motor 330c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rate. The window may be covered with the second highest filter 200b.

또한, 상기 자동차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120 ㎍/㎥ 을 초과 또는 PM2.5 기준 61㎍/㎥ 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제1 모터(330a), 제2 모터(330c) 및 제3 모터(330c)를 작동하여 분진 포집율이 서로 다른 필터를 ?횻?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vehicle exceeds 120 μg/m3 based on PM 10 or 61 μg/m3 based on PM 2.5 ,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first motor 330a and the second motor 330c. And by operating the third motor (330c), the dust collection rate is different from the filter? Can be used.

본 명세서에서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3가지 방법으로 나누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상황과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of driving the motor is divided into three method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modify the mot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와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제1 필터(200a), 제2 필터(200b) 및 제3 필터(200c) 중 가장 적합한 필터를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inside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around the vehicle, the first filter 200a, the second filter 200b, and the third filter 200c) You can decide for yourself which filter is most suitable for you.

이상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에 대해 설명하였다. The window filters for veh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기존의 자동차용 오염물질 차단 필터는 사용자가 오염물질의 농도를 일일히 확인하고, 필터 장착 여부를 제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행 중 변화하는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향상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Existing pollutant blocking filters for automobile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user has to check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daily and control whether the filter is installed or not.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that changes during driv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s improved because the driver cannot concentrate on driving.

하지만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창문 필터는 외부의 오염물질 농도와 내부의 오염물질 정보를 자동으로 비교하여 필터의 승하강 정도 또는, 분진 포집율이 다른 다수의 필터 중 가장 적합한 필터를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window fil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ompares the external pollutant concentration and the internal pollutan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filter among a plurality of filters with different levels of elevation or dust collection rate of the filter and can b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이를 통해, 특별히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차 내외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스스로 최적의 상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드라이브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운전에 집중할 수 있어 사고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driving environment to the user by providing an optimal state by itself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ithout special manipulation, and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probability of an acciden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차량용 창문 필터
100: 프레임
200: 필터
300: 구동부
310: 지지대
330: 모터
350: 기어
370: 랙
400: 통신부
500: 측정부
1000: car window filter
100: frame
200: filter
300: drive unit
310: support
330: motor
350: gear
370: rack
400: communication department
500: measurement unit

Claims (4)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차량용 창문 필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부에 부착되는 프레임;
일 면이 유리창 형상으로 재단되며, 타 면이 내부에 롤 형태로 감겨 도어 내부에 보관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일 면과 접촉하며, 상기 필터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 면은 자동차 도어에 고정되며, 타면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 면에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상기 필터에 고정되며, 상기 기어에 맞물려 상기 필터를 승하강시키는 랙; 및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
In the vehicle window filter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vehicle,
a fram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a filter whose one side is cut in the shape of a window and the other side is wound in a roll shape and stored inside the door;
It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lter and includes a driving uni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ilter,
the driving unit
One side is fixed to the car door, the other side is a support fixed to the frame;
a gea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and rotated by a motor;
a rack fixed to the filter and engaging the gear to elevate the filter; and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전송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에 따라 상기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server,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on of the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창문 필터는 상기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와 상기 자동차 주변의 오염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필터의 승하강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window filter further includes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A window filt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of elevation of the filter is adjusted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the vehicle with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round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투과율이 다른 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둘 이상의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여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문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includes two or more filters having different air permeability,
The driving unit selects any one or more filters among the two or more filters and raises and lowers th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window filter.
KR1020210013825A 2021-02-01 2021-02-01 A window filter for vehicle KR102539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25A KR102539833B1 (en) 2021-02-01 2021-02-01 A window filt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25A KR102539833B1 (en) 2021-02-01 2021-02-01 A window filt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880A true KR20220110880A (en) 2022-08-09
KR102539833B1 KR102539833B1 (en) 2023-06-02

Family

ID=8284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825A KR102539833B1 (en) 2021-02-01 2021-02-01 A window filt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83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53U (en) 2006-12-26 2008-07-01 윤선화 Sunscreen-mosquito net for vehicle
JP2008260353A (en) * 2007-04-11 2008-10-30 Kanto Auto Works Ltd Automobile door
KR20180122938A (en) * 2017-05-05 2018-11-14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Ventilation system in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ntilation system in a mobile device
KR20190010329A (en) * 2017-07-21 2019-01-30 강세희 Vehicle window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window insect window of window glass
KR20200113645A (en) 2019-03-26 2020-10-07 (주)시프트디자인컨설팅 Environmentally friendly cabin filter development for minimal inflow into car interi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53U (en) 2006-12-26 2008-07-01 윤선화 Sunscreen-mosquito net for vehicle
JP2008260353A (en) * 2007-04-11 2008-10-30 Kanto Auto Works Ltd Automobile door
KR20180122938A (en) * 2017-05-05 2018-11-14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Ventilation system in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ntilation system in a mobile device
KR20190010329A (en) * 2017-07-21 2019-01-30 강세희 Vehicle window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window insect window of window glass
KR20200113645A (en) 2019-03-26 2020-10-07 (주)시프트디자인컨설팅 Environmentally friendly cabin filter development for minimal inflow into car interi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833B1 (en)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0247B1 (en) Roof module for vehicles
US5000506A (en) Sun shades for automobiles
KR20220110880A (en) A window filter for vehicle
CN107780753B (e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ar window
KR101960386B1 (en) Vehicle window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window insect window of window glass
CN113500898B (en) Automobile driving assembly and control method
CN211736990U (en) Electric sunshade curtain control system
KR20170136216A (en) rain gaurad
CN220096100U (en) Automatic window shade system for front windshield
KR970004322Y1 (en) Remote controlled rear visor for a vehicle
CN2589613Y (en) Automatic window
KR101282444B1 (en) electric bind dor automobile
CN217415430U (en) Skylight of changeable function
CN112081236B (en) Building capable of controlling shading degree for old people and method thereof
JP2002213141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controller for automobile
CN116160827A (en) Sightseeing vehicle roller shutt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66511B1 (en) Crossroads watch apparatus for a car
KR200203863Y1 (en) Structure of double window for automobile door
JP2010120416A (en) Light control glass device
DE102021116938A1 (en) ASSISTANCE SYSTEM FOR MOTOR VEHICLES
JPS644578Y2 (en)
JP2510059Y2 (en) Wind regulator mechanism in a door with a window for a lorry
JP2556335Y2 (en) Automotive window regulator
JP2010112105A (en) Shutter structure of building
CN102086739A (en) Alarm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