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993A -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993A
KR20220109993A KR1020210013673A KR20210013673A KR20220109993A KR 20220109993 A KR20220109993 A KR 20220109993A KR 1020210013673 A KR1020210013673 A KR 1020210013673A KR 20210013673 A KR20210013673 A KR 20210013673A KR 20220109993 A KR20220109993 A KR 2022010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nti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고르
박승근
엄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993A/ko
Publication of KR2022010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에 대하여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위치 확인을 수행하여, 제1 제어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와 관련된 RNTI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RNTI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RNTI 및 상기 탐색된 RNT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1 제어신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MONITORING}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분석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5G 또는 NR 통신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들(multi-users)의 접속을 위해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또는 단말들에 대하여는, 시간 또는 주파수 등의 자원이 분할되어 할당될 수 있다. OFDM 또는 OFDMA 등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영역에서의 자원 할당은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특정 슬롯과 관련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물리적 채널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물리 채널을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라 할 수 있다. PDCCH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CI를 디코딩(decoding) 또는 복호하기 위해, DCI의 실제 위치와 관련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필요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거나 연결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DCI 디코딩 등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배경에서 고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셀 또는 기지국에 실제로 연결되거나 접속하지 않고도 PDCCH에서 DCI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 활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에 대하여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위치 확인을 수행하여, 제1 제어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와 관련된 RNTI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RNTI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RNTI 및 상기 탐색된 RNT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1 제어신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에서 모바일 트래픽의 양(amount) 및 스펙트럼 활용을 분석하는 등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셀 또는 기지국 등에 실제로 연결되지 않고도 제어채널 신호에서 제어신호를 획득 및 디코딩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 활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신호(이를테면, DCI 등)가 포함 또는 지시하는 정보들(이를테면, 셀 및 사용자 관점에서 UL, DL 등에 대한 스펙트럼 사용률, 효율성,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양, 리소스 예약 세부 정보, 또는 데이터 재전송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획득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테이블 구축 및 업데이트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RNTI 검증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RNTI 테이블 항목 관리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o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의 설정 및 관리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예를 들어, f(flexible)-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RLC(radio link control)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7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에서 모바일 트래픽의 양(amount) 및 스펙트럼 활용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실제로 연결되지 않고도 성공적으로 DCI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5G 또는 NR 등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다중 사용자들(multi-users)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resource)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노드들(이를테면, 단말, UE(user equipment), 및/또는 모바일 장치들)을 위해 분할 또는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은, 이를테면 시간 영역(time domain)의 자원 또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의 자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통신 노드들은 서로 다른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만약, 서로 다른 통신 노드들에 대해 동일한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을 할당될 경우, 코드(code)를 사용하여 할당을 분할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각 통신 노드들에 대해 서로 다른 코드(code)를 부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노드들에 대해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OFDM 또는 OFDMA 등의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에서의 자원 할당은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특정 슬롯과 관련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하나의 슬롯은 하나의 일반 또는 확장 CP(cyclic prefix)에 대하여 12개 또는 14개 배치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의 지속시간은 통신 시스템에 설정되는 뉴머롤로지(numerology)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각각의 슬롯의 지속시간은 OFDM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OFDM SCS가 15kHz, 30kHz, 60kHz, 120kHz 및 240kHz 등의 값을 가질 경우, 각각의 슬롯의 지속시간은 1ms, 0.5ms, 0.25ms, 0.125ms 및 0.0625ms 등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원 할당의 최소 단위를,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이라 칭할 수 있다.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의 자원 및 시간 영역의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 영역에서 1개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향링크(uplink, UL),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 등을 통하여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를테면, 기지국에서 단말 등을 향해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 등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단말 등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신호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 등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는, 물리적 상향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물리적 채널(PDCCH, PUCCH, PDSCH 또는 PUSCH 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하나의 슬롯은 하나 또는 복수의 PDSCH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 내에서 PDSCH 신호들의 위치는 PDCCH 등을 통해 각 단말들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하나 또는 복수의 PUSCH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 내에서 PUSCH 신호들의 위치는 PUCCH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PDCCH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할 수 있다. 한편, PUCCH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U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라고 할 수 있다. DCI 포맷에 따라서는, DL의 PDSCH 관련 정보만을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DL의 PDSCH 관련 정보 및 UL의 PUSCH 관련 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PDCCH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교환을 통해 구성되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라는 특정한 물리적 자원 내에서 할당될 수 있다. CORESET 자체는, 주어진 반송파에서 물리적 RB의 연속적인 집합에 해당하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BWP는 RRC 메시지 교환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 등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BWP가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서빙 셀(serving cell) 당 BWP 별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ORESET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말 등에 대해 최대 4개의 BWP가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서빙 셀(serving cell) 당 BWP 별로 최대 3개의 CORESET이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단말 등에 대해 총 12개의 CORESET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CORESET은 모든 BWP 중에서 고유한 식별자 또는 ID(identifier)를 가질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DCI를 수신하였을 경우 수신된 DCI에 대한 디코딩(decoding) 또는 복호화를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DCI는 셀 및/또는 사용자 관점에서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스펙트럼 사용률 및/또는 효율성,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양, 자원 스케줄링 세부 정보, 및/또는 데이터 재전송 등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 또는 지시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DCI를 디코딩함으로써, DCI에 포함되었거나 DCI가 지시하는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CI를 디코딩(decoding) 또는 복호하기 위해서, 제1 통신 장치는 DCI의 실제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야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CI를 디코딩하기 위해, DCI의 실제 위치를 지시하는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인덱스를 확인해야 할 수 있다. DCI의 실제 위치는 사전에 표시되거나 시그널링(signaling)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다양한 AL(aggregaition level)들, DCI 포맷들 등에 따른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은 PDCCH가 전달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PDCCH가 전달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블라인드 디코딩이 수행되는 공간을, '검색 공간'(search space)이라고 칭할 수 있다. 각각의 검색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CORESET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BWP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검색 공간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각각의 BWP에 대하여 최대 10개의 검색 공간들이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통신 장치는 DCI 디코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의 정보를 알아야 할 수 있다. C-RNTI는 RNTI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C-RNTI는, 이를테면 셀 내에서 단말 등을 구별하기 위해 할당 및 사용되는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셀에 접속하거나 RRC 연결에 성공하면서 C-RNTI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이를테면, gNodeB(gNB) 등)은 32비트 DCI 신호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을 위해 C-RNTI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DCI 신호의 CRC 마스킹을 위해 특정 C-RNTI가 사용되었을 경우, 해당 C-RNTI에 대응되는 특정 단말만이, 해당 C-RNTI 값 및 배타적 OR 연산 등에 기초하여 해당 DCI에 대한 CRC 또는 오류 검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RNTI 정보는 제어신호 수신 및 데이터신호 수신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획득한 PDCCH 신호 또는 DCI를 디코딩함으로써 제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 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는 셀 동기화 동작(S310)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S310 단계와 같은 셀 동기화 동작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셀 동기화 동작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를 구축 또는 확인하거나,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 SFN)를 식별하거나, 타임 슬롯 넘버(time slot number)를 식별하거나, 또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에서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데이터를 검색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위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S320). S320 단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슬롯 내의 모든 CCE들의 위치에 대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 번들(bundle)로부터 수집된 REG들에 대한 에너지 레벨 감지 등을 수행함으로써, 슬롯 내의 모든 CCE들의 위치에 대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CCE, 2개의 CCE, 4개의 CCE, 8개의 CCE 및 16개의 CCE 등에는 각각 AL(aggregaition level) 1, AL 2, AL 4, AL 8 및 AL 16 등의 레벨들이 대응될 수 있다. AL 1, AL 2, AL 4, AL 8 및 AL 16 등의 레벨들은, PDCCH에 할당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S310 단계 등을 통해 구축 또는 확인된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에서 CCE들의 위치에 대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채널 신호(예를들어, PDCCH)에서 CCE 위치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제어신호(예를들어, DCI 신호)를 확인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S320 단계 등을 통하여 확인 또는 획득된 제어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이하 설명될 S325 단계 내지 S380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들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 S325 단계 내지 S380 단계를 참조하여 제1 통신 장치(이를테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가 DCI를 디코딩하기 위한 동작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DCI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제어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이 존재하는지 또는 기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5). RNTI 테이블이 존재할 경우, RNTI 테이블에 대한 쿼리(query)가 수행될 수 있다(S330).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에서 식별된 CCE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RNTI 테이블에 대한 위치 기반(location-based) 쿼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에 대하여 수행된 쿼리의 결과로서, RNTI 테이블에서 관련된 RNTI의 정보를 발견하거나, 발견하지 못할 수 있다(S335).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로부터 RNTI의 정보 또는 RNTI 관련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가 획득한 RNTI는, 경우에 따라서 해당 PDCCH에 할당되는 DCI에 잠재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로부터 RNTI 정보, 및/또는 해당 RNTI와 관련된 BWP, CORESET, 검색 공간, AL, DCI 포맷 설정값 등의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RNTI 테이블은 소정의 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사전에 식별(identified) 및 검증된(validated) RNTI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검증 프로세스는 이를테면 도 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RNTI 검증 절차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RNTI 테이블은 BWP들의 구성, 할당(allocation), 또는 설정(configuration)에 관한 정보, 할당된 CORESET들의 정보, 및/또는 각 CORESET 정보와 관련된 검색 공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잇다. 이를테면, BWP 할당 또는 설정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범위로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CORESET 정보는 주파수 범위, 지속 시간(time duration), CORESET ID, 인터리브된(interleaved) CCE 또는 인터리브되지 않은 C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공간 정보는, 검색 공간의 유형, 단말별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USS), 공통 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모니터링 심볼, 후보 DCI 포맷, DCI 길이, 및/또는 CCE AL 레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획득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DCI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S340).
한편, 만약 S325 단계에서 RNTI 테이블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S335 단계에서 RNTI 테이블에 대하여 수행된 쿼리의 결과로서 관련 RNTI의 정보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주어진 CCE 범위에서 RNTI에 대한 학습 및 RNTI 테이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350). 여기서 RNTI 테이블 업데이트 동작은, 이를테면 도 4 등을 참조하여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RNTI 테이블 구축 및 업데이트 절차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55). 만약, RNTI 테이블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관련 CCE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60). 일례로, 제1 통신 장치는 후속 절차 또는 후속 프로세스들에서 RNTI 테이블이 추가적인 항목들 또는 엔트리들을 포함하게 될 것을 위해 관련 CCE 저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장치는 S320 단계에서와 같은 CCE 위치 확인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만약 RNTI 테이블이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에서 획득된 RNTI 정보 및 RNTI 관련 정보 등에 대한 쿼리(query)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쿼리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DCI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S340). 이를테면, 쿼리된 정보는 DCI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는 PDCCH 심볼들에 대한 채널 추정 및 균등화가 수행된 이후, 쿼리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DCI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DCI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만약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디코딩된 DCI 정보를 저장 또는 기록할 수 있다(S380). 저장 또는 기록된 DCI 정보는, 추후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 장치는 S320 단계에서와 같은 CCE 위치 확인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345 단계에서 DCI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주어진 CCE 범위에서 RNTI에 대한 학습 및 RNTI 테이블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350). 이를테면, S345 단계에서 DCI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셀에 새로운 단말이 접속하였고, 주어진 CCE가 새로 접속한 단말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RNTI 학습이 수행되어야 할 수 있다. S310 단계 내지 S38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각 시간 슬롯의 모든 CCE가 처리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추가 처리를 위해 저장된 CCE에 대한 최종 시도는 마지막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일련의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들을 통하여, 제어신호(이를테면, DCI 등)에 대한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통신 장치는 제어신호(이를테면, DCI 등)가 포함 또는 지시하는 정보들(이를테면, 셀 및 사용자 관점에서 UL, DL 등에 대한 스펙트럼 사용률, 효율성,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양, 리소스 예약 세부 정보, 또는 데이터 재전송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획득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에서 모바일 트래픽의 양(amount) 및 스펙트럼 활용을 분석하는 등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테이블 구축 및 업데이트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에 대한 구축 및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통신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주어진 CCE 세트에 대하여 RNTI 테이블에 대한 구축 및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S350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3의 S350 단계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RNTI 테이블 구축 및 업데이트 동작은, 이를테면 도 3의 S325 단계에서 RNTI 테이블이 확인되지 않거나, S335 단계에서 RNTI 테이블에 대하여 수행된 쿼리의 결과로서 관련 RNTI의 정보가 발견되지 않거나, 또는 S345 단계에서 DCI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등의 상황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주어진 CCE 세트에 대하여 RNTI 테이블에 대한 구축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DCI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BWP, CORESET, DCI 포맷, 및/또는 AL 등 DCI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다(S410).
이어서, 제1 통신 장치는 후보 RNTI(candidate RNTI) 획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20). 제1 통신 장치는, 논리적 배타적 OR(exclusive OR, XOR) 연산과 함께 디마스킹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후보 RNTI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채널 부호화에 사용되는 코드(이를테면 폴라코드(polar code) 등)를 사용한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 후, 24비트 CRC를 가진 DCI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검색할 수 있다. CRC는 기지국 등 송신노드 측에서 16비트 RNTI로 마스킹되었을 수 있다. RNTI를 검색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는 DCI를 나타내는 비트에 대하여 CRC를 계산하고, 수신된 CRC와 XOR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리 연산의 결과로서, 24비트의 비트 시퀀스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24비트의 비트 시퀀스는, 이를테면 하나의 후보 RNTI를 나타내는 처음의 LSB(least significant bit)들 16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RNTI는 검증(validation) 절차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RNTI에 대한 검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30).
RNTI에 대한 검증 절차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해당 RNTI가 유효한지(valid) 또는 유효하지 않은지(invalid)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5). RNTI에 대한 검증 절차의 중요성은 높을 수 있다. 이를테면, 만약 특정 RNTI가 유효하지 않은데도 착오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DCI 디코딩 또는 DCI 정보 해석이 정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특정 RNTI가 유효하지 않은데도 착오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을, '거짓 양성'(false positive)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소정의 검증 프로세스를 통하여 RNTI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소정의 검증 프로세스는 이를테면 도 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RNTI 검증 절차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RNTI에 대한 검증 절차에서, 제1 통신 장치는 각 RNTI가 유효한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5).
만약 특정 RNTI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RNTI에 대한 정보, 및/또는 해당 RNTI와 연관된(related) 정보 등이 RNTI 테이블에 추가될 수 있다(S440). 이를테면, 특정 RNTI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와 관련된 BWP, CORESET, DCI 포맷, DCI 길이, AL, 및/또는 검색 공간 등에 대한 정보들이 RNTI 테이블에 추가될 수 있다. 이는 RNTI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RNTI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면, 제1 통신 장치는 학습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S460).
한편, 특정 RNTI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해당 RNTI와 관련하여 남아 있는 다른 설정값(remaining configuration)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50). 이를테면, 특정 RNTI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해당 RNTI와 관련하여 BWP, CORESET, 및/또는 AL에 대한 다른 설정값들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다른 설정값들이 남아 있을 경우, S410 단계와 같은 선택 절차 내지 S430 단계와 같은 검증 절차 등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CCE를 처리함으로써, RNTI 테이블을 새로운 항목 또는 새로운 엔트리 등으로 채우거나, 또는 RNTI 테이블의 정보를 최신화 또는 갱신(update)할 수 있다.
한편, 만약 다른 설정값들이 남아 있지 않을 경우, 제1 통신 장치는 학습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S460). 이는, RNTI 테이블에 대한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 또는 실패한 상태에서 학습 절차가 종료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셀에는 언제든지 새로운 제1 통신 장치 등이 새롭게 접속을 시도하거나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RNTI 테이블 구축 및 업데이트 절차는, 제어 채널 분석 또는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NTI 검증 절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장치는 RNTI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도 3 및/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통신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RNTI 검증 절차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S430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4의 S430 단계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RNTI 검증 절차는, 이를테면 도 4의 S420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통해 획득된 후보 RNTI를, 도 4의 S440 단계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통해 RNTI 테이블에 추가하는 과정에서의 사전 확인 작업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RNTI 검증 절차는, 획득된 후보 RNTI가 현재 연결된 단말들 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 장치는 획득된 후보 RNTI와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S510).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도 4의 S420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통해 획득된 후보 RNTI와 관련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보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확인된 후보 RNTI 관련 정보들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들에 기초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520). 여기서, S520 단계에서와 같이 후보 RNTI의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이를테면 RNTI의 길이, 해시함수의 출력, 및/또는 코딩된 DCI 비트에 기초한 검증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보 RNTI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따른 검증을 통과할 경우, 해당 RNTI는 유효한(valid)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후보 RNTI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따른 검증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해당 RNTI는 유효하지 않은(invalid)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제1 통신 장치는 획득된 후보 RNTI의 길이에 기초한 검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21). S521 단계에서, 후보 RNTI의 길이는 기 설정된 기준값들, 또는 기 설정된 기준값들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범위 기준과 비교될 수 있다. 후보 RNTI의 길이가 기 설정된 범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해당 RNTI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30). 일 실시예에서, RNTI의 길이(LRNTI)가 0을 초과하고, 제1 설정 길이(LSET1) 이하일 경우(즉, 0<LRNTI≤LSET1) 해당 RNTI는 기 설정된 범위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RNTI의 길이가 0이거나(LRNTI=0) 또는 제1 설정 길이를 초과할 경우(LRNTI>LSET1) 해당 RNTI는 기 설정된 범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한편, RNTI의 길이가 0 이하이거나 (LRNTI≤0) 또는 제1 설정 길이를 초과할 경우(LRNTI>LSET1), 해당 RNTI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30).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정 길이는 65535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65535는 16비트의 정보가 가질 수 있는 최대 길이(216-1)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5535는 0xFFFF 등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CRC 비트는 24 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CRC 비트에 대한 디마스킹이 수행될 경우, 24비트 길이의 RNTI가 생성될 수 있다. 24비트의 길이로 생성된 RNTI는 유효한 후보 RNTI의 기준값으로 설정된 65535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해당 RNTI가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24비트 길이로 생성된 RNTI에서 적어도 8개의 최상위 비트(MSB)가 0의 값을 가질 경우, 해당 RNTI는 S521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후보 RNTI가 S521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해당 RNTI는 잠재적으로(potentially)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단락에서 제안된 수치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통한 검증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23). 해시 함수는, 실제 PDCCH가 할당 될 수있는 CORESET 내에서 CCE 인덱스를 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S523 단계에서, 해시 함수의 출력은 후보 RNTI를 얻는 데 사용된 CCE의 CCE 인덱스와 비교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해시 함수는, CORESET ID, AL, 슬롯 번호, 및/또는 검색 공간 유형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파라미터들 중에서, 후보 RNTI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값 중 하나로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해시 함수에 입력된 후보 RNTI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 해시 함수는 일치하지 않는 CCE 인덱스를 반환할 수 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해시 함수에 후보 RNTI를 입력하여 반환된 CCE 인덱스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해당 후보 RNTI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30). 한편, 해시 함수에 후보 RNTI를 입력하여 반환된 CCE 인덱스가 일치할 경우, 해당 RNTI는 S523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후보 RNTI가 S523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해당 RNTI는 잠재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S523 단계에 따른 검증 절차는, 가능한 모든 구성이 시도되거나, 또는 RNTI에 따른 해시 함수 출력이 CCE 인덱스와 일치할 때까지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코딩된 DCI 비트의 비교를 통한 검증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25).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수신된 PDCCH 신호에 대한 복조(demodulation) 및/또는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을 수행한 이후, 향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일련의 소프트 데이터 비트들, 또는 소프트 데이터 비트들의 시퀀스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DCI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 수행된 이후에는, 본래의(original) DCI 비트들이 복원될 수 있다. 이를테면, 레이트 복구(rate recovery), 채널 디코딩, 폴라 디코딩, 및/또는 CRC 디코딩 등의 DCI 디코딩 동작들이 수행되면, 송신단(기지국 등)에서 송신한 본래의 DCI 비트들이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원된 DCI 비트는, 후보 RNTI 마스킹으로 CRC 인코딩될 수 있다. 더불어, 레이트 매칭과 함께 채널 코딩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획득된 비트들은, 앞서 저장된 소프트 데이터 비트들과 비교될 수 있다. 획득된 비트들과 앞서 저장된 소프트 데이터 비트들에 대한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mismatched) 비트들의 수 EMIS가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인된 EMIS 값 에 기초하여, 후보 RNTI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확인된 EMIS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 ETH1보다 클 경우, 해당 RNTI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30). 한편, 확인된 EMIS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 ETH1보다 작을 경우, 해당 RNTI는 S525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EMIS 및 ETH1은, 이를테면 일치하지 않는 비트의 수 또는 총 비트에 대한 일치하지 않는 비트의 비율 등의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특정 후보 RNTI가 S525 단계에 따른 검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해당 RNTI는 잠재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특정 후보 RNTI가 S520 단계, 및/또는 S521 단계 내지 S525 단계 등 일련의 검증 단계들에 따른 검증을 일부 또는 전부 통과하면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RNTI는 최종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30). 이 경우, 해당 RNTI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마크(mark) 또는 기록되며 검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특정 후보 RNTI가 S521 단계 내지 S525 단계 등 일련의 검증 단계들에 따른 검증을 일부 또는 전부 통과하면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RNTI는 최종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40). 또는, 특정 후보 RNTI가 S521 단계 내지 S525 단계 등 일련의 검증 단계들 모두에서 잠재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RNTI는 최종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540). 이 경우, 해당 RNTI가 유효한 것으로 마크 또는 기록되며 검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NTI 테이블 항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장치는 RNTI 테이블의 항목들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하거나, 쿼리(query)하거나, 또는 삭제하는 등의 관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 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도 3, 도 4 및/또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통신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DCI 분석, 또는 RNTI 테이블에 대한 항목 추가, 업데이트, 쿼리 등을 수행하기 위해 RNTI 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RNTI 테이블의 항목들 중 추가 또는 업데이트된 지 오래된(outdated) 항목이 발견되면, 해당 항목을 RNTI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DCI 분석을 수행하는 동안 특정 단말이 셀을 떠나거나 셀 접속을 중단할 경우,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RNTI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RNTI 테이블의 사이즈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래되었거나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항목을 삭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NTI 테이블에 대한 항목 추가, 업데이트, 쿼리 등을 위해 RNTI 테이블에 대한 액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S610). 여기서, 수행된 액세스의 목적이 항목 추가 및/또는 업데이트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목적(이를테면, RNTI 항목에 대한 쿼리 등)을 위한 것인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S615).
만약 항목 추가 및/또는 업데이트를 위한 액세스가 아니라 다른 목적(이를테면, RNTI 항목에 대한 쿼리 등)을 위한 액세스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액세스 목적에 따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RNTI 항목에 대한 쿼리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NTI 항목들에 대하여 기록된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의 값들이 확인될 수 있다(S630). 이어서,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은, 해당 항목에 대한 추가 또는 업데이트가 마지막으로 수행된 시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만약 항목 추가 및/또는 업데이트를 위한 액세스가 수행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RNTI 테이블에 대한 항목 추가 및/또는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RNTI 테이블에 대한 항목 추가 및/또는 업데이트 동작은, 이를테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NTI 테이블을 구축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의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추가 또는 업데이트가 수행된 항목에 대하여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이 기록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S620). S620 단계에서 기록 또는 업데이트되는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은, 이를테면 해당 항목에 대하여 추가 또는 업데이트가 수행된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NTI 항목들에 대하여 기록된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의 값들이 확인될 수 있다(S630).
S630 단계에 따른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 값의 확인 동작은, 추가, 업데이트, 및/또는 쿼리가 요청 또는 수행된 RNTI 항목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630 단계에 따른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 값의 확인 동작은 RNTI 테이블 내의 모든 RNTI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S630 단계에서 확인된 제1 기록 시간 정보 TR1 값과 현재의 시스템 시간 정보 TC를 비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S640). 보다 구체적으로는, S630 단계에서 확인된 TR1 값들과 TC 값의 차이값(TC-TR1)이 확인될 수 있다. 만약, TC-TR1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시간값 TTH1보다 큰(TC-TR1>TTH1) RNTI 항목이 확인될 경우, 해당 RNTI 항목은 추가 또는 업데이트된 이후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 '오래된 항목'(outdated entry)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어떤 항목에 대한 추가 또는 업데이트가 마지막으로 수행된 이후로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였을 경우, 해당 항목은 '오래된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래된 항목으로 판단된 RNTI 항목은, 이를테면 셀 접속을 종료한 단말에 대응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등의 사유로, RNTI 테이블에서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640 단계에서 '오래된 항목'으로 판단된 항목은 RNTI 테이블에서 삭제될 수 있다(S650). 만약 S640 단계에서 '오래된 항목'으로 판단된 RNTI 항목들이 복수 개일 경우, S650 단계에서는 해당 복수 개의 RNTI 항목들에 대한 삭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오래된 항목으로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NTI 테이블들에 대한 삭제 동작이 수행된 이후, 본 발명에 따른 RNTI 테이블 항목 관리 절차는 종료될 수 있다(S660). S660 단계에서는, 경우에 따라 S615 단계 등에서 확인된 목적에 대응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S615 단계에서 확인된 엑세스의 목적이 하나 또는 복수의 RNTI 항목들에 대한 쿼리(query)라면, 해당 RNTI 항목들에 대한 쿼리 결과 또는 검색 결과를 반환하는 동작이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TC-TR1 값이 기 설정된 제1 임계시간값 TTH1보다 큰(TC-TR1>TTH1) RNTI 항목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오래된 항목'에 해당하는 RNTI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삭제 절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RNTI 테이블 항목 관리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S660). S660 단계에서는, 경우에 따라 S615 단계 등에서 확인된 목적에 대응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통신 장치(700), 진단 모니터 도구(78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7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이를테면 단말, UE, 또는 그밖의 모바일 장치 등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통신 장치는 도 3, 도 4, 도 5 및/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통신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7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200)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700)를 구성하는 각 부들(710 내지 77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노드(200)를 구성하는 각 부들(210 내지 27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장치(700)는, 일례로 기지국 또는 단말에 부착 또는 포함되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통신 장치(700)는, 일례로 기지국 또는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테면,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진단 모니터링 동작을 위하여 구비되는 컴퓨터, 프로세서, 회로, 머신, 또는 그 밖의 물리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컴퓨터, 프로세서, 회로, 머신, 또는 그 밖의 물리적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1 통신 장치(700)와 유선, 무선,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1 통신 장치(7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2 통신 장치(790)와 유선, 무선,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79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200)의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790)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노드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2 통신 장치(790)는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단말(모바일 장치, U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장치(790)는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연결된 제2 통신 장치(790)와의 신호 송수신 및/또는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2 통신 장치(790)로부터 제2 통신 장치(790)와 관련된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2 통신 장치(790)로부터 획득한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정보를 제1 통신 장치(700)로 전달할 수 있다.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를 통해 획득 및/또는 전달되는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정보는, RRC 메시지들(이를테면 RRC 재설정 요청/응답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를 통해 획득 및/또는 전달되는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정보는,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구성 정보, 제어 채널 구성 정보, 공유 채널 구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790)가 단말에 해당할 경우, 제2 통신 장치(790)는 접속 또는 연결된 셀, 또는 접속 또는 연결을 시도하는 셀 등의 정보를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700)는, 제2 통신 장치(790)가 접속 또는 연결되었거나 접속 또는 연결을 시도하는 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2 통신 장치(790)가 수직 또는 수평 핸드오버를 수행하거나, 또는 어떤 종류의 이중접속(dual connectivity)이나 다중접속(multi connectivity)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할 경우,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는 제2 통신 장치(790)로부터 복수의 셀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1 통신 장치(7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장치(700)는 복수의 셀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통신 장치(700)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78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700)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동작은, 이를테면 도 3 내지 6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PDCCH 신호 수신 동작, RNTI 검증 동작, DCI 디코딩 및/또는 DCI 처리 동작 등을 위해 소요되는 소요시간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양한 요소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테면, DCI 처리 등의 동작들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활성 단말(또는 UE)의 수, 반송파 대역폭, 셀 구성(configuration), 및/또는 자원 스케줄링 전략(resource scheduling strategy) 등의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관한 정보들은, 제어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고, 제어채널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5G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관한 정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 등의 장치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진단 모니터링 도구는 연결된 단말이 수신한 RRC 메시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각 단말로부터 획득한 RRC 메시지는 해당 단말을 위하여 특정적으로 부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한편 현재 접속된 셀의 일반적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각 단말로부터 획득한 RRC 메시지는 셀의 일반적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추정 또는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진단 모니터링 도구를 통하여 각 단말로부터 획득한 RRC 메시지를 통하여, 셀 관리 전략(cell management strategy) 및 설정 파라미터(configuration parameter)와 관련된 정보들, 이를테면 BWP의 정보, CORESET의 정보, 검색 공간의 정보, 시간 영역 할당 설정의 정보, 자원 할당 타입의 정보,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설정의 정보 등을 확인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RC 메시지 등을 통해 사전에 획득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DCI 처리 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에서 모바일 트래픽의 양(amount) 및 스펙트럼 활용을 분석하는 등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셀 또는 기지국 등에 실제로 연결되지 않고도 PDCCH에서 DCI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 활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치는 DCI가 포함 또는 지시하는 정보들(이를테면, 셀 및 사용자 관점에서 UL, DL 등에 대한 스펙트럼 사용률, 효율성,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양, 리소스 예약 세부 정보, 또는 데이터 재전송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획득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채널 신호에 대하여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위치 확인을 수행하여, 제1 제어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와 관련된 RNTI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RNTI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제1 제어신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13673A 2021-01-29 2021-01-29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20109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73A KR20220109993A (ko) 2021-01-29 2021-01-29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73A KR20220109993A (ko) 2021-01-29 2021-01-29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93A true KR20220109993A (ko) 2022-08-05

Family

ID=8282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673A KR20220109993A (ko) 2021-01-29 2021-01-29 무선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9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55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system
US10075263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5698390B2 (ja) 多重ノード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制御情報検索方法及び装置
EP28439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e-pdcch transmission and blind detection
JP616355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16224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089530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076735B1 (en) Terminal device, base-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178645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3812602A (zh) 盲检公共搜索空间和ue特定搜索空间的方法及设备
KR20140138723A (ko)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KR102117572B1 (ko)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WO2019192345A1 (zh) 一种时域资源分配方法及装置
WO2014169694A1 (zh) 授权信令发送、获取方法及装置
US20160380742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8166421A1 (zh) 传输控制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CN111052665A (zh) 用于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系统信息的方法
EP3376810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7503362A (ja) Mtc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7211219A1 (zh) 信号传输方法、信号解码方法、基站以及用户终端
JPWO201616346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4019194A1 (zh) 导频配置方法、发送方法及装置
EP3720213B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155315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実装方法
US20230057016A1 (en)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Type De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