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592A - 기관 내 삽관튜브 - Google Patents
기관 내 삽관튜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9592A KR20220109592A KR1020210012792A KR20210012792A KR20220109592A KR 20220109592 A KR20220109592 A KR 20220109592A KR 1020210012792 A KR1020210012792 A KR 1020210012792A KR 20210012792 A KR20210012792 A KR 20210012792A KR 20220109592 A KR20220109592 A KR 20220109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connector
- main tube
- endotracheal intubation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A61M16/0477—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with incorporated means for delivering or removing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6—Multi-lumen 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6—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에 네블라이저(nebulizer) 치료의 기능이 개선된 기관 내 삽관튜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관 내 삽관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에 네블라이저(nebulizer) 치료의 기능이 개선된 기관 내 삽관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Trachea)이란 후두와 폐를 연결하는 관 모양의 구조물로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관지 속 분비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관의 상부가 막히게 되면 환자는 호흡이 곤란해지고 이는 곧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기관 내지 호흡기 관련 질환자들을 포함하여 입이나 코로 숨을 쉬기 어려운 환자들을 상대로 필요에 따라서는 기관 내에 삽관을 통해 산소 또는 의약품이 환자의 기도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기관 내 삽관 튜브(Endotracheal tube, E-tube)는 외부에서 압력을 폐조직에 전달하기 위해서 기관과 기관 내 튜브 사이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데, 현재까지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tube 외부에 기낭(balloon)을 두고 이를 부풀려서 기관과 기관 내 튜브 사이 공간을 폐쇄하고 있다.
이러한 기관 내 삽관튜브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0815호(이하 문헌 1)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4543호(이하 문헌 2)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문헌 1은 기도확보를 위해 후두마스크의 가이드관을 통해 기관 내로 일측 선단부가 삽입되며, 타측 말단부의 둘레면에는 길이표시부가 형성되고 양측 끝단은 개구되는 튜브 본체; 상기 튜브 본체의 일측 선단부 끝단과 인접한 둘레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및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되는 밀폐 커프; 상기 튜브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밀폐 커프와 연결되어 공기 및 액체를 공급 및 유출시켜 상기 밀폐 커프를 팽창 및 수축시키는 벌룬부재; 및 상기 벌룬부재와 상기 밀폐 커프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기관 삽관용 튜브이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기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도관; 상기 삽입도관의 주위를 둘러싸며 팽창 가능한 주풍선; 상기 주풍선과 동일한 탄성을 갖는 파일럿 풍선; 및 상기 주풍선과 상기 파일럿 풍선 사이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상기 주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튜브관;을 포함하는 기관내 튜브 구조체로서, 상기 주풍선과 상기 파일럿 풍선의 팽창량은 서로 비례하고, 상기 파일럿 풍선은, 상기 파일럿 풍선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쌓고 상기 제1층의 팽창과 함께 팽창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 구조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관 삽관 튜브들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환기와 산소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로, 기관지내로 가습이나 객담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 또는 항생제나 항진균제 같은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본체 튜브 전체를 통과해서 기관내로 연무가 되는 구조로, 튜브의 끝이 가래 등으로 막혀 좁아질 경우 연무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관 내 삽관 튜브와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0815호(명칭 : 기관 삽관용 튜브 ; 출원일 : 2018.02.08.)
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4543호(명칭 : 기관 내 튜브 구조체 및 기관 내 튜브 구조체 압력 측정 방법 ; 출원일 : 2019.05.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에 연무 전용 통로와 기관 내로 연무를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타공부를 통해 개선된 기관 내 삽관 튜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본체(110); 상기 튜브본체(110)의 기관 내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어, 가습부위를 제공하는 환형 공간부(120); 상기 튜브본체(110)의 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공간부(120)로 연장되어, 연무질(수분 입자)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가습유도부(130); 상기 공간부(120) 외경에 마련되어,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유도되는 연무를 기관 내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타공부(14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상기 메인튜브(112)의 선단 부위 외경에 마련되어, 유체 유입 여부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팽창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는 독립적 요소로서,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는 파이프체로서, 외경 중간에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는 메인튜브(112)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이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는 유연성을 갖는 메인튜브(112)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팽창부(113)는 메인튜브(112)에 고정된 벌룬으로서,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10~20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상기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공간부(120)는 메인튜브(112)의 두께면 내에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간부(120)는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5~10mm 위치한 내부에 10~15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b)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b)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 중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 중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 이외에, 상기 가습유도부(130)가 메인튜브(112)의 선단으로 연장 개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튜브본체(110)를 삽입하여, 원할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튜브본체(110)의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환형 공간부(120)로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연무질을 공급하여, 공간부(120)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을 통해 연무질이 기관 내로 배출되면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관 및 폐 등 호흡기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객담이 말라 붙지 않고 수훨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본체(110)를 통해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가습유도부(130)와 공간부(120) 및 타공부(140)를 통해 치료 목적의 약액 네블라이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공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는 동안 추가적인 약액 차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팽창부(113)가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마련됨으로써, 기관 내로 삽입된 튜브본체(110)의 선단부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유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튜브본체(110)의 선단부가 기관 내벽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부(120)가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5~10mm 위치한 내부에 10~15mm의 폭을 가지며 마련 즉, 상기 팽창부(113)의 하단에 인접하여 마련됨으로써, 팽창부(113)의 팽창에 의해 기관 내벽과 간격이 형성된 부분으로 연무질이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기관 내 삽관튜브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기관절개술에 의해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기관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팽창부가 팽창되어 기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습유도부와 공간부 및 타공부를 통해 연무질이 공급되어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튜브를 통해 객담이 배출되는 예를 도시한 작용도.
도 2는 기관절개술에 의해 기관절개관이 삽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기관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팽창부가 팽창되어 기관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습유도부와 공간부 및 타공부를 통해 연무질이 공급되어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인튜브를 통해 객담이 배출되는 예를 도시한 작용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기관 내 삽관튜브(10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본체(110); 상기 튜브본체(110)의 기관 내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어, 가습부위를 제공하는 환형 공간부(120); 상기 튜브본체(110)의 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공간부(120)로 연장되어, 연무질(수분 입자)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가습유도부(130); 상기 공간부(120) 외경에 마련되어,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유도되는 연무를 기관 내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타공부(14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상기 메인튜브(112)의 선단 부위 외경에 마련되어, 유체 유입 여부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팽창부(113); 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 요소로서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도 3 내지 도 6), 상기 연결구(111)는 유연성을 갖는 메인튜브(112)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미도시).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팽창부(113)는 메인튜브(112)에 고정된 벌룬으로서,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10~20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공간부(120)는 메인튜브(112)의 두께면 내에 환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b)와 연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b)와 연통된 것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 중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본체(110); 상기 튜브본체(110)의 기관 내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어, 가습부위를 제공하는 환형 공간부(120); 상기 튜브본체(110)의 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공간부(120)로 연장되어, 연무질(수분 입자)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가습유도부(130); 상기 공간부(120) 외경에 마련되어,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유도되는 연무를 기관 내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타공부(140); 를 포함하여서 된 기관 내 삽관튜브(100)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튜브본체(110)를 삽입하여, 원할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튜브본체(110)의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환형 공간부(120)로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연무질을 공급하여, 공간부(120)에 형성된 타공부(140) 즉 다수의 타공을 통해 연무질이 기관 내로 배출되면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관 및 폐 등 호흡기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객담이 말라 붙지 않고 수훨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본체(110)를 통해 인공호흡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가습유도부(130)와 공간부(120) 및 타공부(140)를 통해 치료 목적의 약액 네블라이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공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는 동안 추가적인 약액 차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상기 메인튜브(112)의 선단 부위 외경에 마련되어, 유체 유입 여부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팽창부(113); 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팽창부(113)에 유체를 주입시켜 팽창을 통해 기관 내벽에 대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튜브본체(110)의 선단부가 유동하면서 기관 내벽을 자극 내지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 요소로서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 연결구(111)는 파이프체로서, 외경 중간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튜브(112)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이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구(11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연성을 갖는 메인튜브(112)와 동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팽창부(113)는 메인튜브(112)에 고정된 벌룬으로서,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10~20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팽창부(113)가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마련되어야만, 기관 내로 삽입된 튜브본체(110)의 선단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유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튜브본체(110)의 선단부가 기관 내벽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를 메인튜브(112) 부위에만 마련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112) 이외의 요소와 결합되면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가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기 팽창부(113)로 공급되는 유체의 기밀이 완벽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를 성형이 난해하고 불량률이 높은 메인튜브(112)에만 마련하지 않고 특히, 메인튜브(112)에서 분기하여 형성되는 보조튜브(112a)를 마련하지 않고, 상형이 용이한 연결구(111)에 보조연결부재(111a)를 마련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공간부(120)는 메인튜브(112)의 두께면 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간부(120)는 연무질의 유입에도 형체 변형되면서 확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공간부(120)는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5~10mm 위치한 내부에 10~15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부(120)가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5~10mm 위치한 내부에 10~15mm의 폭을 가지며 마련 즉, 상기 팽창부(113)의 하단에 인접하여 마련됨으로써, 팽창부(113)의 팽창에 의해 기관 내벽과 간격이 형성된 부분으로 연무질이 원할하게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부(120)에 형성된 타공부(140) 즉 다수의 타공을 통해 연무질이 기관 내로 배출되면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관 및 폐 등 호흡기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객담이 말라 붙지 않고 수훨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b)와 연통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가습유도부(130)의 연무질 공급 경로를 메인튜브(112) 부위에만 마련함으로써, 상기 메인튜브(112) 이외의 요소와 결합되면서 연무질의 공급 경로가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기 공간부(120)로 공급되는 연무질의 기밀이 완벽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b)와 연통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가습유도부(130)의 연무질 공급 경로를 성형이 난해하고 불량률이 높은 메인튜브(112)에만 마련하지 않고 특히, 메인튜브(112)에서 분기하여 형성되는 보조튜브(112b)를 마련하지 않고, 상형이 용이한 연결구(111)에 보조연결부재(111b)를 마련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 중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 중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 이외에, 상기 가습유도부(130)가 메인튜브(112)의 선단으로 연장 개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타공부(140)가 메인튜브(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인 경우, 기관 내벽에 직접적으로 연무 작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기관 및 폐 등 호흡기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연무가 미세한 물입자로 기관 내벽에 작용하여 객담이 말라 붙지 않고 수훨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을 거쳐 구강 내를 통해, 상기 튜브본체(110) 중 메인튜브(112)를 삽입하여 기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113)로 유체를 주입 팽창시켜, 상기 팽창부(113)의 팽창 가압력에 의해 기관 내벽에 메인튜브(112)가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과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메인튜브(112)가 기관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구(111)에 인공호흡기 또는 네블라이저 또는 석션장치 등이 연결되어, 인공 호흡 또는 약액 공급 또는 객담 배출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연무질이 공간부(120)로 유도되어 타공부(140)를 통해 배출되면서 기관 내에 작용하여 기관 내 습도를 유지시키면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담을 묽게 하여 원할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관 내 삽관튜브 110 : 튜브본체
111 : 연결구 111a,111b : 보조연결부재
112 : 메인튜브 112a,112b : 보조튜브
113 : 팽창부 120 : 공간부
130 : 가습유도부 140 : 타공부
111 : 연결구 111a,111b : 보조연결부재
112 : 메인튜브 112a,112b : 보조튜브
113 : 팽창부 120 : 공간부
130 : 가습유도부 140 : 타공부
Claims (16)
- 기관 내로 삽입되는 튜브본체(110);
상기 튜브본체(110)의 기관 내 삽입선단 부분에 마련되어, 가습부위를 제공하는 환형 공간부(120);
상기 튜브본체(110)의 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공간부(120)로 연장되어, 연무질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가습유도부(130);
상기 공간부(120) 외경에 마련되어, 가습유도부(130)를 통해 유도되는 연무를 기관 내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타공부(14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110)는,
인공호흡기, 석션을 포함한 호흡관련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관통형 연결구(111);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 마련되어 기관 내로 삽입되는 메인튜브(112);
상기 메인튜브(112)의 선단 부위 외경에 마련되어, 유체 유입 여부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팽창부(113);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
독립적 요소로서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1)는,
파이프체로서 외경 중간에 플랜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1)는,
메인튜브(112)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이 의료기기가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11)는,
유연성을 갖는 메인튜브(112)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3)는,
메인튜브(112)에 고정된 벌룬으로서,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15mm~25mm 위치한 외부면에 10~20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13)에 대한 유체의 공급 및 회수 경로는,
상기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팽창부(113)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a)와 연통된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20)는,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로 이루어진 튜브본체(110) 중 메인튜브(112)의 두께면 내에 환형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20)는,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로 이루어진 튜브본체(110) 중 메인튜브(112)의 선단부에서 부터 상방으로 5~10mm 위치한 내부에 10~15mm의 폭을 가지며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로 이루어진 튜브본체(110) 중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메인튜브(112)의 일측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튜브(112b)와 연통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도부(130)는,
가습을 위한 연무질을 공급하는 경로로서, 연결구(111)와 메인튜브(112)로 이루어진 튜브본체(110) 중 연결구(111)가 끼워져 결합되는 메인튜브(112)의 일측 단에서부터 공간부(120)로 연통되도록 중앙관과 나란히 마련된 연통경로의 타측 단이 상기 연결구(111)의 일측 단에서 분기 연장된 보조연결부재(111b)와 연통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140)는,
공간부(12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타공 이외에, 상기 가습유도부(130)가 튜브본체(110)를 이루는 메인튜브(112)의 선단으로 연장 개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내 삽관튜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792A KR102563113B1 (ko) | 2021-01-29 | 2021-01-29 | 기관 내 삽관튜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792A KR102563113B1 (ko) | 2021-01-29 | 2021-01-29 | 기관 내 삽관튜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9592A true KR20220109592A (ko) | 2022-08-05 |
KR102563113B1 KR102563113B1 (ko) | 2023-08-02 |
Family
ID=8282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2792A KR102563113B1 (ko) | 2021-01-29 | 2021-01-29 | 기관 내 삽관튜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311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8607A (ja) * | 1994-06-17 | 1996-02-13 | Trudell Medical Ltd | 噴霧カテーテル装置及びその使用・製造方法 |
JP2005270319A (ja) * | 2004-03-24 | 2005-10-06 | Osaka Prefecture | 気管切開チューブ |
WO2009036135A1 (en) * | 2007-09-12 | 2009-03-19 | Cook Incorporated | Balloon catheter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
KR101089348B1 (ko) * | 2010-04-26 | 2011-12-02 | (주)이화바이오메딕스 | 약물주입용 풍선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
KR102150487B1 (ko) * | 2018-04-03 | 2020-09-0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도 협착 억제장치 |
KR102162317B1 (ko) * | 2018-08-24 | 2020-10-06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도 유지장치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2792A patent/KR102563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8607A (ja) * | 1994-06-17 | 1996-02-13 | Trudell Medical Ltd | 噴霧カテーテル装置及びその使用・製造方法 |
JP2005270319A (ja) * | 2004-03-24 | 2005-10-06 | Osaka Prefecture | 気管切開チューブ |
WO2009036135A1 (en) * | 2007-09-12 | 2009-03-19 | Cook Incorporated | Balloon catheter for delivering a therapeutic agent |
KR101089348B1 (ko) * | 2010-04-26 | 2011-12-02 | (주)이화바이오메딕스 | 약물주입용 풍선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
KR102150487B1 (ko) * | 2018-04-03 | 2020-09-0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도 협착 억제장치 |
KR102162317B1 (ko) * | 2018-08-24 | 2020-10-06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도 유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3113B1 (ko) | 2023-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86949A1 (en) | Secretion clearing patient airway management system | |
US9907920B2 (en) | Endotracheal tube with dedicated evacuation port | |
US5291882A (en) | Multi-lumen ITPV endotracheal tube | |
US20170197048A1 (en) | Subglottic aspiration device | |
JP2008520290A (ja) | 分泌物を除去する換気用カテーテルおよび気道確保システム | |
JPH03505174A (ja) | 呼吸補助装置 | |
EP2964299B1 (en) | Tracheal cannula and speaking-respiration system for mechanical respiration | |
US20200030557A1 (en) | Medical tubes for selective mechanical ventilation of the lungs | |
CN107362428B (zh) | 一种通气导管 | |
CN210785828U (zh) | 一种用于呼吸机的雾化吸入装置 | |
CN106880897A (zh) | 一种麻醉导管 | |
KR102563113B1 (ko) | 기관 내 삽관튜브 | |
KR20200053856A (ko) |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 | |
WO2017086939A1 (en) | Tracheal or endotracheal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ystem for removing infectious secretions | |
JP2000237314A (ja) | 気管内チューブ | |
CN217489473U (zh) | 一种可兼容经鼻高流量辅助通气的喉罩 | |
CN215135195U (zh) | 一种可通氧的通气道 | |
CN219983627U (zh) | 用于防治喉部水肿的咽喉部雾气器 | |
CN208989961U (zh) | 一种选择性透光气管导管 | |
US20220288335A1 (en) | Pharyngeal tube for establishing a patient airway | |
JP7078957B2 (ja) | 側孔が開閉自由な気管切開チューブ | |
BR102020024049B1 (pt) | Sistema fechado de instilação e aerocâmara para aerossóis com porta para sistema fechado de aspiração para pacientes submetidos à ventilação artificial | |
JP2023553536A (ja) | かん流管腔内吸引インナーカニューレシステム | |
WO2018205675A1 (zh) | 一种通气导管 | |
CN110327523A (zh) | 一种具有引导无自主意识病人使用的气管导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