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240A -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240A
KR20220109240A KR1020210012646A KR20210012646A KR20220109240A KR 20220109240 A KR20220109240 A KR 20220109240A KR 1020210012646 A KR1020210012646 A KR 1020210012646A KR 20210012646 A KR20210012646 A KR 20210012646A KR 20220109240 A KR20220109240 A KR 2022010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control signal
wearable device
image displa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압둘라 알 이맘
아시프 산자리
에프테하르 호사인 아푸
엠디 나염 자한 라피
엠에스티 파르하나 카툰
스와프닐 사하
라키불 하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240A/ko
Priority to US17/514,393 priority patent/US20220233142A1/en
Publication of KR2022010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5Worn on the wrist, hand or 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5Finger operated miniaturized m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Abstract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링 타입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제1 베젤 및 제2 베젤,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제1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 또는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웨어러블 장치 중 하나인 스마트 워치가 알려져 있다.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어 알람, 전화 수신 및 발신 등의 편리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간편하게 착용되어,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혈압 수치 등과 관련된 헬스 케어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어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통상, 텔레비젼, 오디오 세트, 에어컨디셔너 등의 전자 장치는 그 본체의 일측에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모콘" 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갖추고 있다. 리모콘은 각각의 전자 장치 전용으로 갖추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리모콘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여러 대의 전자 장치가 갖추어진 경우 그에 맞는 여러 리모콘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KR 10-0739380 B1과 같이, 다양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링 타입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제1 베젤 및 제2 베젤,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제1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 또는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모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임의의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외주면의 면적의 40% 내지 50%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기능을 상호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터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은 상기 화상 표시부 상의 양 측면 영역에서 형성되는 화상으로서 구현되며, 상기 화상으로서 구현되는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터치 센싱 기능을 통해서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제1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2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버튼을 통한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버튼을 통한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제1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2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맥파(photoplethysmogram; PPG)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외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외부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한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링 타입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각가 상기 몸체에 구비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베젤과 제2 베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링 타입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의 양 측면에 마련된 베젤을 포함하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 또는 베젤을 회전시킴으로써 웨어러블 장치에 간편하게 입력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화상 표시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제1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제2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제3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제4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의 스타일 매칭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젤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베젤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ECG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맥파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도 17의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다른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1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은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도 21의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5는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일어나는 웨어러블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6은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7은 도 26의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일어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식별 표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60), 프로세서(170)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웨어러블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 위치정보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통신부(110)는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의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표준 통신 기술을 통해 구촉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Wi-fi, WiBro, LTE, 등의 다양한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웨어러블 장치(10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 사이,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다른 외부 전자 장치(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수신을 위한 것이다.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후술하는 화상 표시부(14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가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 수단 및 터치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식 입력 수단은 후술하는 도 2의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회전량과 회전 방향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입력 신호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터치식 입력 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후술하는 화상 표시부(141)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화상 표시부(141)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30)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모션을 측정하는 센서인 자이로스코프 센서(131, 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132, acceleration sensor), 근접센서(133, proximity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싱부(130)는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화상 표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햅틱 모듈(142, haptic module), 광 출력부(14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웨어러블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웨어러블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2)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생성한다. 햅틱 모듈(142)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42)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프로세서(17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42)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42)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42)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42)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 출력부(143)는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 출력부(143)가 출력하는 신호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광 출력부(143)에 의한 신호 출력은 웨어러블 장치(100) 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을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프로세서(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화상 표시부(141)에 의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웨어러블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 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8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충전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연결 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 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5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80)는 연결 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180)는 외부의 무선 충전 장치 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H)을 포함하는 링 타입의 몸체(10), 몸체(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화상 표시부(20), 화상 표시부(2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홀(H)을 중심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터치 센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도 1의 출력부(140)에 포함되는 화상 표시부(1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고, 제1 영역(21)과 다른 제2 영역(22)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장치(100)는 화상 표시부(20)에 대한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 또는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17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지는 홀(H)을 포함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0)는 중공의 원기둥 이외의 다양한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둘러싸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는 일체의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화상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장치(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표시부(20)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상은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20)는 몸체(10)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표시부(20)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제1 영역(21)과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2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선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을 통해,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제1 영역(21)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20)의 일부(제1 영역(21))만이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에 대한 터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에 대한 탭(tap), 강한 탭(hard tap), 더블 탭(double tap), 짧은 터치(short touch), 긴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화면 덮기(complete cover) 등의 다양한 형태의 터치에 따라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131, 132, 133)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모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상 표시부(20)의 임의의 영역을 제1 영역(21)이 되도록 하고, 제1 영역(2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2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가 화상 표시부(20)를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으로 나누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몸체(10)의 홀(H)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몸체(1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화상 표시부(20)의 양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몸체(10)의 외주면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화상 표시부(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젤(30), 화상 표시부(20) 및 제2 베젤(31)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하나의 중공의 기둥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회전시키면, 입력 신호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이 회전되면, 특정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프로세서(170)는 이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통신부(1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회전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하고, 다른 한 손으로 화상 표시부(20)의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을 터치하거나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회전시킴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0)에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131, 132, 133)에 의해 측정된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기능을 상호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손가락에 착용할 때, 프로세서(170)는 손가락의 안쪽에 마련되는 베젤은 제1 기능을 가지고, 손가락의 바깥쪽에 마련되는 베젤은 제2 기능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30)이 손가락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제2 베젤(31)이 손가락의 안쪽에 마련되도록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베젤(31)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베젤(31)이 손가락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제1 베젤(30)이 손가락의 안쪽에 마련되도록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2 베젤(31)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 베젤(32)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화상 표시부(20a, 20b)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화상 표시부(20a, 20b)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제1 영역(21a, 21b)과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2 영역(22a, 22b)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a, 20b)는 외주면 전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70)가 화상 표시부(20a, 20b)에 포함된 터치 전극 중의 일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2 영역(22a, 22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a)은 화상 표시부(20a)의 외주면의 면적의 40%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b)은 화상 표시부(20b)의 외주면의 면적의 50%를 차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영역(21a, 21b)은 화상 표시부(20a, 20b)의 외주면의 면적의 40% 내지 50%를 차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1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2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3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4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13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131, 132, 133)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모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상 표시부(20)의 임의의 영역을 제1 영역(21)이 되도록 하고, 제1 영역(2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22)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터치 센싱이 가능한 제1 영역(21)이 사용자의 시선에 들어오는 영역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131)와 가속도 센서(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웨어러블 장치(100)가 장착된 사용자의 손(HD)의 모션이 센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HD)의 손등이 사용자의 시선을 향하는 상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131)와 가속도 센서(13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를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1 사용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1 영역(21)이 사용자의 손(HD)의 손등 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HD)의 손바닥이 사용자의 시선을 향하는 상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131)와 가속도 센서(13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를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2 사용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1 영역(21)이 사용자의 손(HD)의 손바닥 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왼손(LH)의 손가락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131)와 가속도 센서(13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를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3 사용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시선이 미치는 영역에 제1 영역(21)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오른손(RH)의 손가락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가 자이로스코프 센서(131)와 가속도 센서(13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이 경우를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4 사용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시선이 미치는 영역에 제1 영역(21)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스타일 매칭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은 프로세서(170)에 의해서 서로 다른 색, 패턴, 모양 등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21)은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HM)의 상의(A1)에 표현된 색, 패턴, 모양 등을 포함하는 제1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1)은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HM)의 하의(A2)에 표현된 색, 패턴, 모양 등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70)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표시되는 화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HM)의 의상 착의에 따른 스타일과 웨어러블 장치(100)의 외관이 서로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의 스타일 매칭(Style Matching)은 웨어러블 장치(100)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모바일 장치(도 17의 200)에 설치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타일 설정을 완료하면, 웨어러블 장치(100)의 외관이 사용자(HM)의 스타일과 매칭되도록 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젤(30)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베젤(30)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의 제1 베젤(30)의 구성은 도 2의 제2 베젤(3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에 도시된 몸체(10) 및 화상 표시부(20)의 구성을 참조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베젤(30)은 화상 표시부(20) 상의 양 측면 영역에서 형성되는 화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화상으로서 구현되는 제1 베젤(30)은 화상 표시부(20)의 터치 센싱 기능을 통해서 홀(H)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20)의 양 측면 영역에 제1 베젤(30)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베젤(30)의 화상을 터치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몸체(10) 홀(H)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몸체(10)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베젤(3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 상에는 한 눈금당 10°를 표시하는 원형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 표시부(20)에 화상으로서 구현되는 제1 베젤(30)을 상기 원형 눈금자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로 표시된 지점인 제1 시작점(SP1)부터 60°로 표시된 지점인 제1 끝점(EP1)까지 제1 베젤(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로 표시된 지점인 제2 시작점(SP2)부터 220°로 표시된 지점인 제2 끝점(EP2)까지 제1 베젤(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원형 눈금자에 표시된 다양한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제1 베젤(30)의 회전의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지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다양한 시작점과 끝점을 가지는 제1 베젤(30)의 다양한 회전에 대응하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베젤(30)을 다양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1)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웨어러블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ECG 측정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의 웨어러블 장치(101)는 제1 버튼(40), 제2 버튼(41) 및 카메라(50)를 더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2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1)는 제1 베젤(30) 상에 마련되는 제1 버튼(40)과 제2 베젤(31) 상에 마련되는 제2 버튼(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40) 및 제2 버튼(41)은 기계식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버튼(40) 및 제2 버튼(41)을 독립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서로 다른 제어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40)을 누르면 프로세서(170)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제2 버튼(41)을 누르면 프로세서(170)는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버튼(40)을 통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버튼(41)을 통한 제2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버튼(40)을 통한 제1 제어 신호와 제2 버튼(41)을 통한 제2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모바일 장치(도 17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에 의해서 모바일 장치(200)의 화상 표시부에 홈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버튼(40)은 모바일 장치(200)에 대한 홈 버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에 의해서 모바일 장치(200)의 화상 표시부에 이전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버튼(41)은 모바일 장치(200)에 대한 뒤로 가기 버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버튼(40)과 제2 버튼(41)의 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101)는 카메라(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50)는 화상 표시부(2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2의 카메라(50)는 도 1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카메라(50)의 사용자의 안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01)의 잠금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화상 표시부(141), 메모리(160), 프로세서(170) 및 데이터 처리부(190)로 구성되는 ECG 측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90)는 제1 버튼(40)과 제2 버튼(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40)과 제2 버튼(41)은 각각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왼손(LH)의 손가락)는 제1 버튼(40)과 접촉하고, 다른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오른손(RH)의 손가락)가 제2 버튼(41)과 접촉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버튼(40)과 제2 버튼(41) 사이에 미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90)는 제1 버튼(40) 및 제2 버튼(41)과 접촉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 임피던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데이터 처리부(190)로부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심전도와 관련된 데이터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화상 표시부(141)에 화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141)를 통해 심전도와 관련된 데이터가 그래프 형태의 화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맥파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홀(H)에 의해 형성된 몸체(1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맥파(photoplethysmogram; PPG) 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PG 센서(6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적외선, 가시광선 등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사용자의 혈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PG 센서(60)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PG 센서(60)는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다이오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LED(61)가 십자 형태로 배열되고, 5개의 LED(61) 사이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4개의 포토다이오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61)와 포토다이오드(62)의 개수 및 배열 방법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PPG 센서(6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맥파 정보는 프로세서(170)를 통해 가공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됨과 동시에, 화상 표시부(20) 상에 화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도 17의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의 다른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1은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도 17의 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구성을 참조한다. 나아가, 도 12의 웨어러블 장치(101)도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어러블 장치(100)를 대체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웨어러블 장치(100)가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1),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70)가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 및 프로세서(170)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도 17의 200)로 전송하는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가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1)에서는, 사용자가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입력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링 타입의 몸체(10)와 몸체(10)에 구비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각각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신호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30)을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제1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젤(31)을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제1 입력 신호와 다른 제2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을 조합하여 제1 입력 신호 및 제2 입력 신호와 다른 제3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링 타입의 몸체(10)와 몸체(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프로세서(170)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 이전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화상 표시부(20)에 대한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에 대한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는.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20)에 대해 탭(tap), 강한 탭(hard tap), 더블 탭(double tap), 짧은 터치(short touch), 긴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화면 덮기(complete cover) 등의 다양한 형태의 터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70)가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에서는, 프로세서(170)가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각각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 제2 베젤(31)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제2 입력 신호에 대응되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을 조합에 따라 발생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제어 신호와 다른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화상 표시부(20)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터치에 따라 발생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S103)에서는, 프로세서(170)가,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제1 베젤(30), 제2 베젤(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를 터치함으로서 발생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20)와 화상 표시부(20)의 양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포함하며, 화상 표시부(20),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링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전자 장치(HAs)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외부 전자 장치(HAs)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장치(200)는 외부 전자 장치(HAs)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20)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1),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70)가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2), 프로세서(170)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S113) 및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HAs)에 전달되어 전자 장치(HAs)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20)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1),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70)가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2), 프로세서(170)가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S113)는 각각 도 16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2) 및 제어 신호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S103)와 실질적을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을 설명함에 있어, 도 16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8의 전자 장치(HAs)의 동작 제어 방법은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HAs)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HAs)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20)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1)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베젤(30), 제2 베젤(31) 및 화상 표시부(2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인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HAs)의 동작이 제어되는 단계(S104)에서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HAs)로 제어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이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전자 장치(HAs)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에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장치(20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장치(200)가 수신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HAs)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HAs)는 수신한 다양한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신호에 의한 전자 장치(HAs)의 제1 동작 상태와 제2 제어 신호에 따른 전자 장치(HAs)의 제2 동작 상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로 화상 표시부(20)에 의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HAs) 중에서 제어 대상을 텔레비전(TV)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회전시키는 경우 텔레비전(TV)의 볼륨 조절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텔레비전(TV)의 볼륨을 높이는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텔레비전(TV)에 전달되어 텔레비전(TV)의 볼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텔레비전(TV)의 볼륨을 낮추는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텔레비전(TV)에 전달되어 텔레비전(TV)의 볼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대상이 텔레비전(TV)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베젤(31)을 회전시키면, 텔레비전(TV) 프로그램 채널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로 화상 표시부(20)에 의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HAs) 중에서 제어 대상을 에어컨(AC)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회전시키는 경우 에어컨(AC)의 온도 조절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에어컨(AC)의 온도을 높이는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에어컨(AC)에 전달되어 에어컨(AC)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베젤(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에어컨(AC)의 온도을 낮추는 제어 신호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에어컨(AC)에 전달되어 에어컨(AC)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대상이 에어컨(AC)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베젤(31)을 회전시키면, 에어컨(AC)의 풍속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로 화상 표시부(20)에 의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HAs) 중에서 제어 대상을 랩탑(laptop)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랩탑(laptop)을 이용하여 파워포인트(PPT)를 이용한 문서 작성, 인터넷 서핑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랩탑(laptop)을 이용하여 파워포인트 문서를 열고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제1 베젤(30)을 회전시키면, 이전 파워포인트 문서로 넘어가고, 제2 베젤(31)을 회전시키면 다음 파워포인트 문서로 넘어가도록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파워포인트 문서에 대해 제1 베젤(30)은 뒤로 가기 버튼(PB)의 기능을 가지고, 제2 베젤(31)은 다음으로 가기 버튼(NP)의 기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기능은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설정에 따라,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기능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회전의 조합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HAs)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텔레비전(TV)의 볼륨이 높아지고, 에어컨(AC)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텔레비전(TV)의 볼륨이 낮아지고, 에어컨(AC)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장치(200)에 대한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모바일 장치(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을 n등분하여 구분하고,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을 1/n만큼 회전시키는 경우를 1단위만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베젤(30)과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을 적절히 조합하여 모바일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200)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은, 제1 베젤(30)을 3단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S201), 제2 베젤(31)을 4단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S202), 제1 베젤(30)을 2단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S203), 제2 베젤(31)을 1단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S204), 잠금 해제 단계(S2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장치(2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베젤(30) 및 제2 베젤(31)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은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도 23의 모바일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에 장착된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인 마우스(300)에는 무선 충전 장치인 충전 패드(301)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우스(300)를 잡고 이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와 충전 패드(301)는 무선 충전이 일어날 만큼 충분히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 상에 웨어러블 장치(100)의 충전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인 모바일 장치(310)에 내장 무선 충전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310)를 잡고 이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310)는 무선 충전이 일어날 만큼 충분히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 상에 웨어러블 장치(100)의 충전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310)에 의해서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웨어러블 장치(100)의 충전 상태가 모바일 장치(310)에 포함된 화상 표시부 상에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100) 또는 모바일 장치(310)에 표시된 화상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의 충전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310)의 거리가 멀어져서 무선 충전이 일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10)에 포함된 화상 표시부 상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3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무선 충전이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310) 상에는 두 장치의 거리를 좁히라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경고 메시지의 내용은 모바일 장치(31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5는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일어나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320)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320)와 연결되어 있는 마우스(300)를 사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마우스(300)에 포함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서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자 장치(320)는 랩탑(laptop)일 수 있다.
마우스(300)에 포함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한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웨어러블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도 1의 11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3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NFC 기능을 가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도 1의 111)과 마우스(300)가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에 포함된 제1 영역(21) 상에 표시되는 제1 알림 화상(NF1)에 관한 데이터가 외부 전자 장치(3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320)의 화상 표시부에는 제1 알림 화상(NF1)에 대응되는 제2 알림 화상(NF2)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웨어러블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도 26은 도 17의 웨어러블 장치(100)의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7은 도 26의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일어나는 동안 일어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HD)에 웨어러블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핸들(BH)을 붙잡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핸들(BH)에 포함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서 무선 충전될 수 있다. 핸들(BH)에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 구조의 무선 충전 장치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BH)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 충전 장치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핸들(BH)의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 상에 웨어러블 장치(100)의 충전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핸들(BH)에 포함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한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웨어러블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도 1의 110)를 통해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에 장착된 외부 전자 장치(HIB)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HIB)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심박수, 산소포화도, 사용자의 이동 속도와 이동 거리 등)를 측정하고, 이 헬스 정보 관련 데이터를 화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헬스 정보 전자 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에 포함된 NFC 기능을 가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도 1의 111)과 핸들(BH)이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HIB)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HIB)에 표시된 다양한 헬스 정보 관련 데이터가 웨어러블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상 표시부(20)의 제1 영역(21)에는 헬스 정보 관련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화상 표시부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30: 제1 베젤
31: 제2 베젤
40: 제1 버튼
41: 제2 버튼
50: 카메라
60: PPG 센서
100, 101: 웨어러블 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출력부
170: 프로세서
200, 310: 모바일 장치
300: 마우스
301: 충전 패드
320: 전자 장치

Claims (20)

  1.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홀을 포함하는 링 타입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홀을 중심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 타입의 제1 베젤 및 제2 베젤;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제1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은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 또는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모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임의의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이 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외주면의 면적의 40% 내지 50%를 차지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의 기능을 상호 변경시키는, 웨어러블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터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은 상기 화상 표시부 상의 양 측면 영역에서 형성되는 화상으로서 구현되며, 상기 화상으로서 구현되는 상기 제1 베젤 및 상기 제2 베젤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터치 센싱 기능을 통해서 상기 홀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1 버튼과 상기 제2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2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버튼을 통한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버튼을 통한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2 베젤 상에 마련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산출하는, 웨어러블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맥파(photoplethysmogram; PPG)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한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15.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외부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링 타입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각각 상기 몸체에 구비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베젤과 제2 베젤이며,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다른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베젤과 상기 제2 베젤의 회전 순서와 회전량의 조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링 타입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터치 센싱 기능을 가지는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화상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1020210012646A 2021-01-28 2021-01-28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20220109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46A KR20220109240A (ko) 2021-01-28 2021-01-28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US17/514,393 US20220233142A1 (en) 2021-01-28 2021-10-29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46A KR20220109240A (ko) 2021-01-28 2021-01-28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40A true KR20220109240A (ko) 2022-08-04

Family

ID=8249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46A KR20220109240A (ko) 2021-01-28 2021-01-28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동작 제어 신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33142A1 (ko)
KR (1) KR202201092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8020B2 (ja) * 2021-03-24 2022-11-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着脱式装置、着脱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41944A1 (en) * 2022-04-26 2023-10-26 Oura Health Oy Ring-inputted comman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066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444834B2 (en) * 2014-04-01 2019-10-1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a wearable electronic ring computing device
US9348322B2 (en) * 2014-06-05 2016-05-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mart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JP2017078675A (ja) * 2015-10-22 2017-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
KR20210063120A (ko) * 2019-11-22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획득을 위한 생체 센서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K181103B1 (en) *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3142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2951B2 (ja) 指輪型移動端末機
KR102204553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462633B2 (en) Mobile terminal operation controlled by proximity sensors and heart rate monitor
EP2986023B1 (en) Electronic device
US1003392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273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6497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306372A1 (en) Head mounted display
KR201701309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3314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US10579260B2 (en) 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scree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for unlock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eration pattern
KR20180028211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53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10974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0458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201600012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0801B1 (ko) 손목 스탭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1079550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682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7246B1 (ko) 스마트 시계
KR20160109281A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68357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180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6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064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