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897A -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 Google Patents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897A
KR20220108897A KR1020210011939A KR20210011939A KR20220108897A KR 20220108897 A KR20220108897 A KR 20220108897A KR 1020210011939 A KR1020210011939 A KR 1020210011939A KR 20210011939 A KR20210011939 A KR 20210011939A KR 20220108897 A KR20220108897 A KR 2022010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e gold
carat
mirror
magnifying glass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니주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니주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니주얼리
Priority to KR102021001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897A/ko
Publication of KR2022010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주얼리와 확대경을 상호 조립하되 각각의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확대경이 구비된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제공한다.
상기 24캐럿 순금 주얼리는 미러; 상기 미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발광 물질이 도포된 발광 패널; 상기 미러와 상기 발광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24캐럿 순금 링을 포함하고, 상기 24캐럿 순금 링에는 상기 발광 패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미러에 의해 난반사된 다음 외부로 방출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24 CARAT PURE GOLD JEWELERY WITH ENHANCED AESTHETICS BY MANUFACTURING WITH MIRROR ACCESSORIES}
본 발명은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얼리 액세서리(이하, '주얼리'로 통칭함)는 귀금속재를 사용한 귀걸이, 반지, 펜던트, 브로우치, 목걸이 등이 있다. 이러한 주얼리는 다양한 다자인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휴대폰과 같은 기타 물품 등에 부착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 미적 감각 등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통상의 주얼리는 단순히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보석 및 기타 기념품이나 액세서리 등을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래의 목적에만 충실할 뿐 그 외의 기능적인 요소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2]와 같이 확대경(2)을 일체화하여 제작된 주얼리가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사람은 보통 40세를 넘기면 서서히 노안이 오게 되고 눈이 침침해지며, 이에 따라 사물을 상세하게 볼 수 있도록 확대경을 별도로 지참하고 다니는 실정이다.
즉, 이러한 확대경은 노안이나 시력이 나쁜 경우 신문이나 책 등을 보는 데에는 필수품인 것으로서, [도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주얼리에 확대경을 일체화함으로써 확대경을 별도로 구비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의 확대경(2)은 주얼리 본체(1) 내부에 일체화되도록 작은 크기로 조립된 것으로, 단지 주얼리 본체와의 조합에 따른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물을 상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확대경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주얼리의 링체(3)에 적정한 크기의 확대경(5)을 조립하는 기술이 제공되었다.
이에 따르면, 링체(3)는 그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확대경이 안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조립턱(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체의 절개된 부분에는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4)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확대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편(3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주얼리에 확대경을 구비함으로써 확대경을 별도로 지참하지 않을 수 있고, 더불어 확대경 본연의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지만, 확대경을 조립하기 위해 링체 전체에 형성된 조립턱 및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편 등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미적 감각을 부여하기 위한 주얼리 본연의 기능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얼리와 확대경을 상호 조립하되 각각의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확대경이 구비된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는 미러; 상기 미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발광 물질이 도포된 발광 패널; 상기 미러와 상기 발광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24캐럿 순금 링을 포함하고, 상기 24캐럿 순금 링에는 상기 발광 패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미러에 의해 난반사된 다음 외부로 방출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에 의하면, 확대경을 주얼리의 고정테에 조립할 경우 그 조립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감을 저해시키는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확대경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종래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배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Ⅴ-Ⅴ"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Ⅵ"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24캐럿 순금 주얼리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을 상세히 볼 수 있는 확대경(10), 확대경(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테(20) 및 미적 효과를 가중시키기 위한 장식체(30)를 포함한다.
확대경(10)은 육안으로는 자세히 볼 수 없는 물체의 미세한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통상의 볼록렌즈로서, 광학적 기능은 눈 바로 가까이에 놓인 물체를 먼 데에 떨어져 있는 상(像:虛像)으로 바꿔 놓음으로써 그 물체를 명시거리(明視距離)에 놓아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도 큰 시각(視角)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렌즈에 대한 눈이나 물체의 위치에 의해서 확대율은 달라지나 눈을 렌즈에 접근시켜, 물체를 렌즈의 초점 약간 안쪽에 놓았을 때 가장 크고 똑똑한 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확대경(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구성되었으나 소비자의 취향 등에 따라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테(20)는 확대경(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테(20)의 재질은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으나, 본 고안의 주얼리 효과를 위해서라면 비교적 고급스러움과 내구성이 내포되어 있어야 하므로 통상 귀금속재로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고정테(20)는 상술한 확대경(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환상의 폐루프를 형성한다. 고정테(20) 및 확대경(10)의 형상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확대경(10)과 고정테(20)의 형상은 원형, 하트, 사각, 세모, 마름모, 기하학적 형상 등을 대칭이나 비대칭되도록 여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테(20)의 내주면 전방(장식체가 부착된 방향) 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지지턱(21)이 형성되고, 후방 측에는 일부분에만 걸림턱(22)이 형성되며, 걸림턱(22)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확대경(10) 측으로 절곡 가능한 조립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확대경(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걸림턱(22)은 가능하면 그 형성 길이를 줄이는 것이 조립 이후 주얼리의 외관 상에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주얼리의 가치가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22)은 고정테(20)의 절반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되, 조립돌기(23)의 대향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확대경(10)을 고정테(20)에 조립한 이후에 그 조립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주얼리의 후방 측에서 보면 조립돌기(23)에 의해 확대경(10)이 고정된 것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조립돌기(23)를 커버링함으로써 조립돌기(23)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정테(20)에는 별도의 장식돌기(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장식돌기(24)에는 고정테(20)에 확대경(10)이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조립돌기(23)와 마찬가지로 확대경(10) 측으로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독특한 문양이나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이니셜 등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심미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25)는 목걸이나 휴대폰 줄 등에 매달 수 있도록 형성된 후크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미러;
    상기 미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발광 물질이 도포된 발광 패널; 및
    상기 미러와 상기 발광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24캐럿 순금 링을 포함하고,
    상기 24캐럿 순금 링에는 상기 발광 패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미러에 의해 난반사된 다음 외부로 방출되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캐럿 순금 주얼리.
KR1020210011939A 2021-01-28 2021-01-28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KR20220108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39A KR20220108897A (ko) 2021-01-28 2021-01-28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39A KR20220108897A (ko) 2021-01-28 2021-01-28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97A true KR20220108897A (ko) 2022-08-04

Family

ID=828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39A KR20220108897A (ko) 2021-01-28 2021-01-28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8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0803A (en) Jewelry article with selectively visible portions
US7914143B2 (en) Interchangeable charm system for glasses
US20080273162A1 (en) Eyeglass hanging charm holder
US20210204661A1 (en) Decorative component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WO2018212191A1 (ja) 身飾品
US4153346A (en) Combined sunglasses and ear pendants
KR102084208B1 (ko) 장식 요소 및 제조 방법
KR20220108897A (ko)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24캐럿 순금 주얼리
KR20220108900A (ko) 미러 액세서리 장착 제조에 의해 심미성이 향상된 18캐럿 금 주얼리
JP2012161564A (ja) 装身具
US20210227940A1 (en) Accessories for which small gemstones can be utiliz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40016484A (ko) 미러의 장착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킨 18캐럿 금 주얼리
JP2007199214A (ja) 装飾具
KR101799259B1 (ko)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WO2019163774A1 (ja) 装身具
JP6335382B1 (ja) 身飾品
KR20100011022U (ko) 확대경이 구비된 주얼리
JP3228953U (ja) コイン内蔵型装身具。
JP2003153711A (ja) 少なくとも一つの共に結合された装飾品を備えた腕輪
KR200277085Y1 (ko) 장식 교체구조를 갖는 장신용구
WO2020046296A1 (en) Accessory for projecting a personalized ima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124341U (ja) メガネフレーム等の装飾体
CN212661284U (zh) 一种反光镶口饰品
KR100667689B1 (ko) 무테 안경용 렌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