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806A - 고열 방지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고열 방지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806A
KR20220107806A KR1020210010939A KR20210010939A KR20220107806A KR 20220107806 A KR20220107806 A KR 20220107806A KR 1020210010939 A KR1020210010939 A KR 1020210010939A KR 20210010939 A KR20210010939 A KR 20210010939A KR 20220107806 A KR20220107806 A KR 2022010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ler
alarm device
buzze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형
최형원
배무성
서상인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806A/ko
Publication of KR2022010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어린이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신체 온도를 측정하여 체온이 고온일 경우 보호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 빠른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열 방지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열 방지 알람장치 {An alarm device for prevent Malignant hyperthermia}
본 발명은 영유아, 어린이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신체 온도를 측정하고 체온이 고온일 경우 보호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질병과 최근 널리 유행하고 있는 COVID-19 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초기 증상이 발열이다. 따라서 질병의 유무를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체온 측정이다.
나이가 많아 면역력이 약해진 노인 계층과, 의사 소통이 안되는 영유아 및 어린이들은 대부분 보호자 등의 다른 사람이 일일이 체온계로 체온을 재어 열이 나는지를 확인하여야만 한다.
특히 영유아들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미숙하므로 자칫 보호자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실제로 영유아 돌연사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을 비롯하여 태열, 경련, 발작과 감기에 의한 발열 등이 영유아들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 계층과 영유아의 질병, 특히 지속적인 발열에 의해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자가 항상 곁을 지키며 발열을 직업 육안으로 체크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매우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특히 야간에 보호자가 잠을 자지 못하면서 환자의 곁에서 수시로 열을 체크할 수는 없기에 보호자도 잠이 드는 심야 시간의 발열은 빠른 응급조치를 취할 수 없어서 더욱 위험하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767053호,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8686호,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558호, "상태측정을 통한 육아보조장치"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865호, "영유아 케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영유아가 잠든 침대에 설치함으로써,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체온이 오르면 경고등과 함께 알람이 작동하여 보호자에게 이를 알려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는 기구에 설치되어 모니터링 대상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20); 기구에 설치되어 모니터링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30);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에 따라 발광하는 초록색 LED(141) 적색 LED(142);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150); 및 상기 적외선 센서(120), 온도 센서(130), 초록색 LED(141), 적색 LED(142) 및 부저(1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10)는 온도 센서(1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된 온도의 평균 온도와 컨트롤러(110)에 미리 입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LED 및 부저(150)를 가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10)는 온도 센서(1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된 온도 값들에서 특이점에 해당하는 측정온도를 제외한 온도 값들과 컨트롤러(110)에 미리 입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LED 및 부저(150)를 가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10)와 연결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컨트롤러(110)가 부저(150) 또는 적색 LED(142)를 가동시킬 때 통신부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소통이 힘든 영유아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온도보다 체온이 오르면 이를 빛과 소리 등의 수단으로 보호자에게 알려 빠른 의료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고열로 인한 증상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대상의 유,무를 확인하는 적외선 센서(120)와,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130)와,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이 설정 온도보다 높을 때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150)와,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녹색 LED(141) 및 적색 LED(142)와,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0)로 구성된다.
적외선 센서(120)는 본 발명이 설치된 장소에 모니터링 대상이 있는 지를 감지하고 이를 컨트롤러(110)에 송신하는 장치이고, 온도 센서(130)는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을 측정하여 컨트롤러(110)에 송신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부저(150)는 컨트롤러(11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면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고, 녹색 LED(141) 및 적색 LED(142)는 컨트롤러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면서 발광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침대, 의자, 휠체어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에 설치된 것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는 침대의 헤드 부분에 적외선 센서(120), 부저(150), 녹색 LED(141) 및 적색 LED(142)가 설치되고, 노인 또는 영유아가 눕는 부분에는 온도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열 방지 알람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영유아 등의 모니터링 대상이 침대(10)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모니터링 대상이 침대(10)에 없으면 본 발명의 알람장치 작동을 시작하지 않고, 모니터링 대상이 침대(10)에 누우면 침대(10)의 헤드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10)에 송신하여 알람장치 작동이 시작된다.
적외선 센서(120)는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신체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사물의 유무와 형태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외선 센서(120)에서 모니터링 대상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10)는 온도센서(130)를 작동시키고, 온도센서(130)는 모니터링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10)로 측정온도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노이즈 또는 주변 사물에 의한 오차 온도 정보를 거르기 위해 컨트롤러(110)는 온도센서(130)로부터 소정 시간(약 1분 정도) 동안 모니터링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고, 1분간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 또는 1분간 측정된 온도 값에서 특이점을 제거한 온도 정보를 획득한다.
컨트롤러(110)는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와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비교하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정상임으로 판단하여 도 3과 같이 침대에 설치된 초록색 LED(142)를 점등 유지하고, 모니터링 대상의 온도 측정을 지속한다.
반면에, 컨트롤러(110)에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보다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더 높으면,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컨트롤러(110)는 침대(10)에 설치된 적색 LED(142)를 점등하여 보호자에게 응급상황임을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적색 LED(142)를 점등하여 보호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는 것과 함께 부저(150)를 작동시켜 음향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보호자가 응급상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성함으로써, 통신부를 통해 멀리 있는 보호자 또는 병원으로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호자가 다른 방에 있거나, 외출했을 때 모니터링 대상에서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LED와 부저로 알려도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가 있는데, 통신부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보호자에게 응급상황을 알리면 보호자가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공지의 여러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침대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휠체어 등과 같이 다른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소통이 힘든 영유아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온도보다 체온이 오르면 이를 빛과 소리 등의 수단으로 보호자에게 알려 빠른 의료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고열로 인한 증상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침대
110 : 컨트롤러
120 : 적외선 센서
130 : 온도센서
141 : 초록색 LED
142 : 적색 LED
150 : 부저

Claims (4)

  1. 기구에 설치되어 모니터링 대상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20);
    기구에 설치되어 모니터링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30);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에 따라 발광하는 초록색 LED(141) 적색 LED(142);
    모니터링 대상의 체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150); 및
    상기 적외선 센서(120), 온도 센서(130), 초록색 LED(141), 적색 LED(142) 및 부저(1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10)는 온도 센서(1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된 온도의 평균 온도와 컨트롤러(110)에 미리 입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LED 및 부저(150)를 가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10)는 온도 센서(1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된 온도 값들에서 특이점에 해당하는 측정온도를 제외한 온도 값들과 컨트롤러(110)에 미리 입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LED 및 부저(150)를 가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10)와 연결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컨트롤러(110)가 부저(150) 또는 적색 LED(142)를 가동시킬 때 통신부를 통해 보호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 방지 알람장치.
KR1020210010939A 2021-01-26 2021-01-26 고열 방지 알람장치 KR20220107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39A KR20220107806A (ko) 2021-01-26 2021-01-26 고열 방지 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39A KR20220107806A (ko) 2021-01-26 2021-01-26 고열 방지 알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806A true KR20220107806A (ko) 2022-08-02

Family

ID=8284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939A KR20220107806A (ko) 2021-01-26 2021-01-26 고열 방지 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80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65B1 (ko) 2015-03-20 2017-02-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 케어 시스템
KR101767053B1 (ko) 2016-01-21 2017-08-10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KR20190088686A (ko) 2018-01-19 2019-07-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8558A (ko) 2018-10-30 2020-05-08 박재영 상태측정을 통한 육아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65B1 (ko) 2015-03-20 2017-02-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 케어 시스템
KR101767053B1 (ko) 2016-01-21 2017-08-10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 체온 자동측정 및 모니터링용 모빌 및 그 방법
KR20190088686A (ko) 2018-01-19 2019-07-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빌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8558A (ko) 2018-10-30 2020-05-08 박재영 상태측정을 통한 육아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032A (en) Crib rail safety annunciator
US10231647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 with position monitoring
US5914660A (en) Position monitor and alarm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CA25564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disabling a patient monitor
US6204767B1 (en) Chair monitor
US4175263A (en) Technique for monitoring whether an individual is moving from a particular area
US6544200B1 (en) Electronic patient monitor with automatically configured alarm parameters
US5479932A (en) Infant health monitoring system
US8810379B2 (en) Bed exit night light
KR102319707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반응하는 광방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KR100986137B1 (ko) 영아 위험경보장치
KR101729988B1 (ko) 수면관리베개를 이용한 응급상황 감지시스템
US20130072763A1 (en) Mobile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US9466204B2 (en) Patient position monitoring device
KR20220107806A (ko) 고열 방지 알람장치
KR101021155B1 (ko) 유아 돌연사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192998A (ja) 報知装置
KR101696770B1 (ko) 환우의 배변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JPH03165000A (ja) 異常確認システム
WO2000021048A1 (es) Dispositivo de deteccion y alerta del estado fisico de bebes y personas impedidas y de su entorno habitual
KR20110008902A (ko) 대소변 감지방법 및 감지장치
KR20070109961A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