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719A -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719A
KR20220107719A KR1020210010715A KR20210010715A KR20220107719A KR 20220107719 A KR20220107719 A KR 20220107719A KR 1020210010715 A KR1020210010715 A KR 1020210010715A KR 20210010715 A KR20210010715 A KR 20210010715A KR 20220107719 A KR20220107719 A KR 2022010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axis
main shaft
magnetic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욱현
Original Assignee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욱현 filed Critical 류욱현
Priority to KR102021001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719A/ko
Publication of KR2022010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1Wave gearings, e.g. harmonic driv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구동원의 동력을 입력받아 출력함에 있어 자석 간에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메인축(100), 제 1자성휠(200-1), 제 2자성휠(200-2), 멀티축(300), 링크로드(400), 직선자석모듈(5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Non-contact speed maintenance system using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원의 동력을 입력받아 출력함에 있어 자석 간에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연 기관, 수력 원동기, 전기모터 등을 포함하는 동력 발생기는 회전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부분 미션(mission)을 이용하여 동력발생기의 회전 속도나 회전력을 바꿔주는 형태로 원하는 출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미션의 특성상 회전속도를 증가시 토크가 저하되고, 토크를 증가시 회전속도가 저하되는 반비례관계를 가짐으로 토크와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2072443호에서, 구동 모터, 시동 요소 및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제어 장치로서, 시동 요소는 하나 이상의 댐핑 질량을 갖는 진동 옵쇼버 토션 댐퍼 장치를 포함하며, 시동 요소가 1차 측에 의해서는 구동 모터에 그리고 2차 측에 의해서는 진동 옵쇼버 토션 댐퍼 장치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커플링 요소는 시동 요소의 1차 측과의 결합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차량 정지시에 서 있는 기준 부품과의 결합에 의해서 2차 측을 제동하도록 형성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의 스위치-오프 상태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때에 커플링 요소는 2차 측을 제동하게끔 커플링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 구동 트레인에서 아이들 속도 시에 관성을 높이려는 것이나, 이는 제어장치에 의해 토크 전달을 해제하거나 줄이기 위한 시동 요소의 작동은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 또는 마찰 콘택의 풀림 또는 약화하도록 구성되므로 구동출력의 항속유지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따랐다.
한편, 회전출력에 대한 항속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축과 동심원 상에 중량휠을 설치하여 관성을 이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만, 중량휠의 자체중량으로 인해 소정의 회전속도에 도달하기 까지 불필요한 동력소모가 증가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동원의 동력을 입력받아 출력함에 있어 자석 간에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원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110)와, 구동원 입력 동력이 출력되는 출력부(120)가 구비되는 메인축(100);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1회전자석(201)이 설치되는 제 1자성휠(200-1);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제 1자성휠(200-1)과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2회전자석(202)이 배치되는 제 2자성휠(200-2);
상기 메인축(100)과 직교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베벨기어모듈(320)에 의해 메인축(100)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 편심위치에 크랭크축(340)이 구비되는 멀티축(3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커넥팅 로드(420)에 의해 크랭크축(340)과 연결되어 가이드레일(440)을 타고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링크로드(400); 및
상기 링크로드(400)에 설치되고, 제 1, 2자성휠(200-1)(200-2)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자성휠(20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직선자석(501)과 제 1, 2회전자석(201)(202) 간에 작용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링크로드(40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직선자석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복수의 링크로드(4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서로 상이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자석모듈(500) 위치가 서로 불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링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동일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 왕복운동 시점이 동일하게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자석(501)이 직선 행정구간 양 끝점(P1)(P2)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직선자석(501)이 불일치되도록 메인축(100)과 멀티축(300) 연계 구동 각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자성휠(200-1)(200-2)과 직선자석모듈(500)은 멀티축(300)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축(300)은 메인축(100) 축선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어느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어느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다른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직선자석모듈(500)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동원의 동력을 입력받아 출력함에 있어 자석 간에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의 제 1, 2자성휠 전개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의 횡형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의 제 1, 2자성휠 전개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의 횡형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구동원의 동력을 입력받아 출력함에 있어 자석 간에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메인축(100), 제 1자성휠(200-1), 제 2자성휠(200-2), 멀티축(300), 링크로드(400), 직선자석모듈(5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다른 메인축(100)은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원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110)와, 구동원 입력 동력이 출력되는 출력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축(100)은 도 1과 같이 종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도 3과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축(100)은 본체(10) 상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후술하는 제 1자성휠(200-1) 및 제 2자성휠(200-2)과 함께 회전운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자성휠(200-1)은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1회전자석(201)이 설치된다.
상기 제 1자성휠(200-1)은 메인축(100)과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은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바, 이때 상기 제 1회전자석(201)은 도 2의 전개도와 같이 60° 등간격으로 6개소에 배치되거나, 도 3과 같이 90°등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1회전자석(201)은 제 1자성휠(200-1)과 함께 회전운동되는 중에 소정의 회전구간에서 후술하는 직선자석모듈(500)의 직선자석(501)과 인력이 작용하고, 또 다른 소정의 구간에서 직선자석(501)과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자성휠(200-2)은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제 1자성휠(200-1)과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2회전자석(202)이 배치된다.
상기 제 2자성휠(200-2)은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동일하게 메인축(100)과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자석(202)은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바, 이때 상기 제 2회전자석(202)은 도 2의 전개도와 같이 60° 등간격으로 6개소에 배치되거나, 도 3과 같이 90°등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 2회전자석(202)은 제 2자성휠(200-2)과 함께 회전운동되는 중에 제 1회전자석(201)과 반대 방향으로 자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바, 즉, 상기 제 1회전자석(201)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회전구간에서는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척력이 작용하고, 반대로 제 1회전자석(201)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회전구간에서는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도 2 (b)의 전개도와 같이, 상기 직선자석(501)이 직선 행정구간 양 끝점(P1)(P2)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직선자석(501)이 불일치되도록 메인축(100)과 멀티축(300) 연계 구동 각도가 설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직선자석(501)이 직선 이동되고, 제 1회전자석(201)이 회전운동되면서 인력에 의해 직선자석(501)이 제 1회전자석(201)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중에 제 1회전자석(201)이 직선자석(501)과 일직선상에 일치하는 구간을 거쳐 통과한 후에 직선자석(501)이 직선 행정구간 끝점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직선자석(501)이 제 1회전자석(201) 간에 인력 구간을 스치듯이 경사각으로 통과한 후, 이어서 다가오는 다른 제 1회전자석(201)과의 척력에 의해 반대방향 직선 이동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므로 자력이 전환되는 구간에서 제 1, 2자성휠(200-1)(200-2)의 회전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축(300)은 상기 메인축(100)과 직교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베벨기어모듈(320)에 의해 메인축(100)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 편심위치에 크랭크축(340)이 구비된다.
상기 멀티측(300)은 베벨기어모듈(320)에 의해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1~4개소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이때 베벨기어모듈(320)의 기어비에 의해 메인축(100)과 멀티측(300) 간에 회전비율이 조절된다.
또, 상기 멀티축(300)은 메인축(100) 축선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멀티축(300)은 베벨기어모듈(320)과의 치합 방향에 따라 메인축(100)과 동일한 방향 또는 메인축(100)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도 1 및 도 3에서 상기 베벨기어모듈(320)은 메인축(100) 축선 방향으로 2개소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각각의 베벨기어모듈(320)에 복수의 멀티축(300)이 방사형으로 배치됨에 따라 단일의 메인축(100) 상에 복수의 멀티축(300)을 비교적 협소한 간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로드(400)는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커넥팅 로드(420)에 의해 크랭크축(340)과 연결되어 가이드레일(440)을 타고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40)은 본체(10) 상에 위치고정된다.
상기 링크로드(400)는 일단이 멀티축(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링크로드(400)에 지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멀티축(300)의 편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후술하는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선자석모듈(500)은 상기 링크로드(400)에 설치되고, 제 1, 2자성휠(200-1)(200-2)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자성휠(20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직선자석(501)과 제 1, 2회전자석(201)(202) 간에 작용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링크로드(40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직선자석(501)은 직선자석모듈(500) 양면으로 동일한 극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반대극으로 배치가능하고, 상기 직선자석(501)의 극에 따라 제 1, 2회전자석(201)(202)의 극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직선자석(501)과 제 1, 2자성휠(200-1)(200-2) 사이 거리가 가까워지는 구간에서는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직선자석(501)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반대로 직선자석(501)과 제 1, 2자성휠(200-1)(200-2) 사이 거리가 멀어지는 구간에서는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직선자석(501)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이 일실시예로서, 도 1과 같이,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복수의 링크로드(4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서로 상이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자석모듈(500) 위치가 서로 불일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각각의 직선자석모듈(500)의 직선자석(501)이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서로 상이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력, 척력이 단계적으로 연속 작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직선자석(501)이 제 1, 2회전자석(201)(202)을 통과하는 시점에 반력이 그외 다른 직선자석(501)과 제 1, 2회전자석(201)(202) 간에 작용하는 인력, 척력에 의해 상쇄되어 회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직선자석모듈(500)의 직선운동력이 가속되고, 이러한 작동이 왕복으로 연속 작용하여 메인축(100)의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링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동일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 왕복운동 시점이 동일하게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 1, 2자성휠(200-1)(200-2)의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링플레이트형 직선자석모듈(500)이 직선 왕복운동되면서 각각의 직선자석(501)과 제 1, 2회전자석(201)(202) 간에 인력과 척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직선자석모듈(500)의 직선운동력이 가속되고, 이러한 작동이 왕복으로 연속 작용하여 메인축(100)의 회전력을 항속으로 출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2자성휠(200-1)(200-2)과 직선자석모듈(500)은 멀티축(300)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멀티축(300)은 메인축(100) 축선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어느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어느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다른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직선자석모듈(500)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이 상호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메인축(100)의 항속 유지 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직선자석모듈(500)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른 방향 전환 시점에 관성충격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저진동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작동 상에 있어서, 상기 멀티축(300)의 회전력은 커넥팅 로드(420)와 크랭크축(34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링크로드(400)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고, 이때 링크로드(400)에 탑재되는 직선자석모듈(500)이 제 1, 2자성휠(200-1)(200-2)의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비접촉 상태로 자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메인축(100)이 소정의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메인축(100)을 통하여 입력되는 구동원 동력과 자성휠(200)을 통하여 입력되는 멀티축(300) 회전력이 상호 보완적으로 공유되어 항속유지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00: 메인축 200-1: 제 1자성휠
200-2: 제 2자성휠 300: 멀티축
400: 링크로드 500: 직선자석모듈

Claims (6)

  1.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원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110)와, 구동원 입력 동력이 출력되는 출력부(120)가 구비되는 메인축(100);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1회전자석(201)이 설치되는 제 1자성휠(200-1);
    상기 메인축(10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되고, 제 1자성휠(200-1)과 대향하게 배치되면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2회전자석(202)이 배치되는 제 2자성휠(200-2);
    상기 메인축(100)과 직교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일단이 베벨기어모듈(320)에 의해 메인축(100)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 편심위치에 크랭크축(340)이 구비되는 멀티축(300);
    상기 메인축(10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커넥팅 로드(420)에 의해 크랭크축(340)과 연결되어 가이드레일(440)을 타고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링크로드(400); 및
    상기 링크로드(400)에 설치되고, 제 1, 2자성휠(200-1)(200-2)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2자석(201)(202)과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도록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자성휠(200)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직선자석(501)과 제 1, 2자석(201)(202) 간에 작용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링크로드(400)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직선자석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복수의 링크로드(4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서로 상이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자석모듈(500) 위치가 서로 불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자석모듈(500)은 링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복수의 직선자석(50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자석(201)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과 제 2회전자석(202)과 직선자석모듈(50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은 상호 역방향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340)은 각 멀티축(300) 마다 동일한 편심각으로 설치되어, 각 멀티축(300) 회전운동에 따른 직선 왕복운동 시점이 동일하게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자석(501)이 직선 행정구간 양 끝점(P1)(P2)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제 1, 2회전자석(201)(202)과 직선자석(501)이 불일치되도록 메인축(100)과 멀티축(300) 연계 구동 각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자성휠(200-1)(200-2)과 직선자석모듈(500)은 멀티축(300)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축(300)은 메인축(100) 축선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어느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어느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베벨기어모듈(320)에 치합되는 멀티축(300)은 다른 일측 직선자석모듈(500)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직선자석모듈(500)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KR1020210010715A 2021-01-25 2021-01-25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KR20220107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15A KR20220107719A (ko) 2021-01-25 2021-01-25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715A KR20220107719A (ko) 2021-01-25 2021-01-25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19A true KR20220107719A (ko) 2022-08-02

Family

ID=8284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15A KR20220107719A (ko) 2021-01-25 2021-01-25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7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096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tilizing oscillating torque and one way drives
US20100308601A1 (en) Permanent Magnet Motion Amplified Motor and Control System
CN100458211C (zh) 具有选择性啮合反转部件的惯性反转力矩控制系统和方法
US7291944B2 (en) Electromagnetic engine
JP4464591B2 (ja) 振動トルクおよび一方向ドライブを使用する連続可変変速機
JPWO2012060196A1 (ja) 駆動システム
US20120255396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EP2424742B1 (en) Power supply systems
EP3327310B1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sembly with engine balancing shafts using electric motors
KR20220098646A (ko) N극, s극 자력을 이용한 항속 유지시스템
KR20220107719A (ko)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항속 유지시스템
NZ542953A (en) Linear into rotatory or rotary into linear motion converter
CN111536199A (zh) 发动机平衡轴模块
KR20240047865A (ko) 자석 커넥팅로드를 이용한 항속 유지시스템
RU2387567C1 (ru) Вибродвижитель с преобразованием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поступательное
CN1112191A (zh) 发动机
WO2023119354A1 (ja) 発電専用のエンジン発電機ユニット
WO2014174566A1 (ja) エンジンバランサ
JP2021042838A (ja) トルク制御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振動低減装置
RU89129U1 (ru) Вибровозбудитель
CN1793625A (zh) 往复惯性力对外完全平衡的偶数气缸发动机
CN106870133B (zh) 槽式两相摆盘凸轮内燃机
CN106208619B (zh) 一种动能永磁发动机
WO2020166098A1 (ja) パワーユニット
JP2021025556A (ja) トルク制御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