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661A - Recap - Google Patents

Re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661A
KR20220107661A KR1020210010547A KR20210010547A KR20220107661A KR 20220107661 A KR20220107661 A KR 20220107661A KR 1020210010547 A KR1020210010547 A KR 1020210010547A KR 20210010547 A KR20210010547 A KR 20210010547A KR 20220107661 A KR20220107661 A KR 2022010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ixing
container
drinking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650B1 (en
Inventor
이헌영
Original Assignee
이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영 filed Critical 이헌영
Priority to KR10202100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650B1/en
Publication of KR2022010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p.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ap is connected to a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beverage inside, to be detachable. The container cap includes: a circumference unit provided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a container, and forming a rim; an extension unit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circumference unit on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ce unit; a protru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unit, and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extension unit; a rotating cover unit formed in order for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unit to be cut and provided to rotate on the protrusion unit; a fold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protrusion unit and the rotating cover unit; and a beverage fixing unit installed in the protrusion unit and the rotating cover unit, and forming a discharge path for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y fixing the rotating cover unit rotating around the folding unit to the protrusion unit. The container cap enables a user to sanitarily drink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y a simple control even when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straw.

Description

용기 뚜껑{RECAP}Container Lid{RECAP}

본 발명은 용기 뚜껑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은 상단부에 별도의 실링 부재가 구비되고,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 및 용기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용기 뚜껑을 통해 용기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빨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음료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용기의 측면에 장착된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빨대가 용기 뚜껑 및 실링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용기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용기로 삽입된 빨대를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In general, commercially available portable beverage products are provided with a separate sealing member at the upper end, and a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beverage therein, a container li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detachable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a straw that is mounted to the container and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container lid. If a user who purchased such a portable beverage product briefly describes how to drink the beverage, first, the user separates the straw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Then, the straw separated by the use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ontainer lid and the sealing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rough the straw inserted into the container in this way may be provided to the user.

하지만, 이 경우, 휴대용 음료 제품의 음용을 위해 빨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빨대를 용기에 삽입하는 별도의 조작이 발생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a straw is essential for drinking of a portable beverage produ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sources are wasted. In addition, there is a hassle that the user separates the straw from the container, and a separat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eparated straw into the container occurs.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 뚜껑에 별도의 음용구를 형성하여 음용구를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용기 뚜껑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 뚜껑의 경우, 사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음용구가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a container lid in which a drink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rinking port by forming a separate drinking port on the container lid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ntainer l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mouth is in contact with the drinking mouth is exposed to the air, so unsanitary.

따라서,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뚜껑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even if the straw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a need for a container lid that allows the user to hygienically drink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even if a straw is not separately provided, a container lid that allows a user to hygienically drink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 상기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커버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동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철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기 회동 커버부를 상기 돌출부에 고정시켜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고정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ainer lid detachably coupled to a container in which a beverage can be accommodated therein, provided to be fitted to the container, a periphery forming a rim; an exten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riphery inside the periphery;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be cut, and a rotating cover par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a fold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part and the rotating cover part; and a drinking fixing part provided in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part, and fixing the rotating cover part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to the protrusion part to form a discharge passag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lid is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nking fix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portio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otating cover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wherein the rotating cover is the center of the foldable portion. When the sub is rotated,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 음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 first drinking hole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drinking ho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inking hole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상기 음용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음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guide for guid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o the drinking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foldable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may be different from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and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주연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 및 상기 제1 커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 부분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ipheral portion, the first cover portion for selectively covering the rim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extends.

또한,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round the first cover part,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제2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round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고정 커버; 및 상기 제2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nking fixing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nking hole, the first fixing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the first drinking hole; and a second fixing cov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nking hole and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drinking hole.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rinking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연통되는 제3 음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3 고정 돌기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4 음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nking fixing unit, a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third drink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A fourth drinking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fixing protrusion selectively passes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고정 돌기는 상기 제4 음용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is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the third fixing protrusion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rough the fourth drinking ho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traw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hygienically drink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뚜껑의 회동 커버부가 돌출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용기 뚜껑의 회동 커버부가 돌출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id is coupled to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iner lid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cover portion of the container lid of FIG. 1 is fixed to the protrus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tainer lid of Figure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cover part of the container lid of FIG. 8 is fixed to the protrus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of FIG. 9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 타측,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pressions of one side, the other side,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it is to be noted in advance that if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s changed,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container li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10 , an extension portion 20 , a protrusion portion 30 , a rotating cover portion 40 , and a folding portion 50 . ), a drinking fixing unit 60 and a beverage guide unit 70 may be included.

주연부(10)는 용기 뚜껑(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용기(2)의 테두리(3)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연부(10)는 용기(2)의 테두리(3)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11) 및 제1 커버 부분(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 부분(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riphery 10 is a portion forming the rim of the container lid 1 , and may be selectively fitted to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To this end, the periphery 10 may comprise a first cover part 11 covering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and a second cover part 12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cover part 11 . can

제1 커버 부분(11)은 용기(2)의 테두리(3)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버 부분(11)의 일 단부에는 제2 커버 부분(12)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커버 부분(11)의 타 단부에는 연장부(20)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portion 11 may selectively cover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The second cover part 12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 and the extension part 2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

이때, 제1 커버 부분(11)은 용기(2)의 테두리(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부분(11)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부분(11)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ver portion 11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For example, the first cover portion 11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art 11 may have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rotated by 90 degrees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2 .

한편, 제1 커버 부분(11)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는 제1 커버 부분(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 돌기(111)는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 부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111 may be provided around the first cover portion 11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 . For example,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11 ,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ver part 11 .

이러한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용기(2)의 테두리(3)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와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면,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는 용기(2)의 테두리(3)의 외측면과 접하고, 제1 돌출 돌기(11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후술할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A gap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may b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Accordingly, the edge 3 of the container 2 may be closely fix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 and supported by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 For example, when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is the container 2 .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3, the first protrusion 1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Accordingly, upward movement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may be restricted by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 , and downward movement may be restricted by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 However, if necessary, the edge 3 of the container 2 may be closely fix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 have. This will be discussed later.

제2 커버 부분(12)은 용기(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커버 부분(12)은 제1 커버 부분(11)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해,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장착되거나, 용기(2)에 장착된 용기 뚜껑(1)이 용기(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 커버 부분(12)이 용기(2)의 외측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over portion 12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 . To this end, the second cover part 12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cover part 11 extends. Due to this inclined structure, the second cover portion 12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 when the container lid 1 is mounted on the container 2 or the container lid 1 mounted on the container 2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 .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

이때,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는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돌출 돌기(121)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111)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 돌기(121)는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커버 부분(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121 may be provided around the second cover portion 12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 protrusions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12 . Here,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121 may be disposed to be alternat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111 .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protrusion 12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 ,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ver part 12 .

한편,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의 간격은 용기(2)의 테두리(3)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의 사이에는 오목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122)은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커버 부분(12)의 둘레 중 제2 돌출 돌기(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홈(122)은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위치되어 오목홈(122)에 안착됨으로써, 제2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와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위치되면, 제1 돌출 돌기(11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외측면과 접하고, 제2 돌출 돌기(121)는 용기(2)의 테두리(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용기(2)의 테두리(3)는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may b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and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A concave groove 12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121 . In this case, the concave groove 122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12 ,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am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second cover part 12 . For example, the concave groove 122 may have a groove shape formed by being concavely curv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 . Accordingly, the edge 3 of the container 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and is seated in the concave groove 122 , thereby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11 . can be For example, when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is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the second protrusion 1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As a result, upward movement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may be restricted by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 and downward movement may be restricted by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

상술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 사이에 구비되는 오목홈(122)에 안착되어 제2 돌출 돌기(121)에 의해 지지되지만, 온도가 저하되면, 용기(2)의 상단부를 밀봉하는 실링 부재(4)가 수축되고, 실링 부재(4)가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용기(2)의 테두리(3)가 수축되면서 용기(2)의 테두리(3)의 직경이 감소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기(2)에 장착된 용기 뚜껑(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의 상측과 제1 커버 부분(11)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용기(2)의 테두리(3)가 제1 돌출 돌기(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usually seated in the concave groove 122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to be seated in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 ), but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e sealing member 4 that seals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 is contracted, and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caused by the tensile force generated while the sealing member 4 is contracted. ) is contracted, the diameter of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reduced. In this case, the user presses the container lid 1 mounted on the container 2 downward so that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first cover part 11 . By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s,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protrusion 111 .

한편,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는 각각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면 및 제2 커버 부분(12)의 내측면과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돌출 돌기(111) 및 제2 돌출 돌기(121)의 곡면이 용기(2)의 테두리(3)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수월하게 탈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have a curv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 respectively. can have Due to this, the curved surfaces of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1 may be smoothly moved along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Accordingly, the container lid 1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2 .

연장부(20)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주연부(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20)는 주연부(10)의 내측에 주연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0)의 상면은 주연부(10)의 제1 커버 부분(11)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용기(2)의 개방된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20)는 제1 커버 부분(1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20)의 폭은 제1 커버 부분(11)의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정도를 의미한다.The extension 20 may preven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10 . To this end, the extension portion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ripheral portion 10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portion 10 .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2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 of the peripheral portion 10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2 . For example, the extension 20 may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 . Here,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20 means the extent to which it extends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11 .

돌출부(30)는 용기(2)의 개방된 상부 중 나머지를 커버하여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30)는 연장부(20)의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연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후술할 음용 고정부(60)의 제1 고정 돌기(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후술할 음용 고정부(60)의 제2 고정 돌기(6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는 음료 가이드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protrusion 30 may cover the rest of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2 to preven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protrusion 3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2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20 . At this time, a first fixing protrusion 61 of the drinking fixing part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C1 of the protrusion 30 , and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C1 of the projection 30 . A second fixing protrusion 62 of the drinking fixing part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guide portion (70). This will be discussed later.

회동 커버부(40)는 돌출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회동 커버부(40)의 일 단부는 접철부(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동 커버부(40)의 타 단부는 돌출부(30)의 둘레에 대응하는 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tating cover part 40 may be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30 , and may be provid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30 . In this case, one end of the rotating cover pa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folding part 50 ,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cover part 40 may have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part 30 .

접철부(50)는 회동 커버부(40)가 돌출부(3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접철부(50)는 돌출부(30)와 회동 커버부(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철부(50)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The folding part 50 allows the rotation cover part 4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part 30 . To this end, the folding part 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part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 In this case, the foldable portion 50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ral portion C1 of the protruding portion 30 .

한편, 접철부(50)는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회동 커버부(40)에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회동 커버부(40)가 접철부(50)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접철부(5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철부(50)가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철부(50)는 돌출부(30)와 회동 커버부(40)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의 점선이나 칼선 형태의 절개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oldable part 5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part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 Accordingly, the rotating cover unit 40 may be smoothly rotated around the foldable portion 50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ng cover unit 40 . At this time, at least one folding part 50 may be provided, and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part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in which the foldable part 50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part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reb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foldable portion 50 may be provided as a cut line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dotted line or a cut line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30 and the rotating cover portion 40 .

음용 고정부(60)는 회동 커버부(40)를 돌출부(3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켜서 용기(2)에 수용된 음료의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용 고정부(60)는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61) 및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부(30) 및 회동 커버부(40)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Drinking fixing portion 60 may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by selectively fixing the rotating cover portion 40 to the protrusion (30). To this end, the drinking fixing part 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ding part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protrusion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one of the lower surfaces,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one of the protrusions 30 and the rotating cover part 40 A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ay be included.

제1 고정 돌기(61)는 돌출부(3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돌출부(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는 돌출부(3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의 단부에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제1 음용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is a portion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increases. A first drinking hole 611 through which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can be discharge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이때. 제1 고정 돌기(61)는 제1 높이(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a)는 돌출부(30)의 상면과 제1 고정 돌기(61)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로 정의하고, 연장부(20)의 상면과 제1 고정 돌기(61)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를 제2 높이(b)로 정의하면, 제1 높이(a)가 제2 높이(b)의 0.5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비됨에 따라, 용기 뚜껑(1)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정 상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may have a first height a. Here, the first height a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2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If the distance of is defined as the second height (b), as the first height (a)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smaller than 0.5 times the second height (b), it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ainer lid ( 1 ) Possible process problems can be avoided in advance.

제2 고정 돌기(62)는 평소에는 돌출부(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가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에 의해 돌출부(3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 돌기(62)는 회동 커버부(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돌기(62)의 단부에는 제2 음용홀(6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음용홀(621)은 제1 음용홀(6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음용홀(611)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usual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0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0 by a user who wants to drink a beverage. To this e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cover part 40 . A second drinking hole 621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and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drinking hole 611 to form the first drinking hole 621 . It may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drinking hole 611 .

이때, 제2 고정 돌기(62)는 제1 고정 돌기(6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회동 커버부(40)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돌기(62)는 제1 높이(a)보다 큰 제3 높이(c)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for example,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goes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cover part 40 .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ay have a third height c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a.

한편,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는 경우,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은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이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는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입이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은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면을 의미하고,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은 음료를 음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입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면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40 is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50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ay selectively contact the user's mouth to drink a beverage. can In other word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means a surface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for drinking a drink. It means a surface that selective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mouth.

이때, 제2 고정 돌기(62)의 높이(c)가 제1 고정 돌기(61)의 높이(a)보다 높으므로, 제1 고정 돌기(61)가 모두 제2 고정 돌기(6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고정 돌기(61)는 제2 고정 돌기(6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제1 고정 돌기(61)에는 사용자의 입이 접촉될 수 없는 것이고, 이러한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 사용자의 입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c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higher than the height a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all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s 61 are insid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can be located. Accordingly, as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the user's mouth can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and this first fixing protrusion The user's mouth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61 .

한편,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D1)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D1)는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1 고정 돌기(61) 사이의 거리가 돌출부(30)의 중심부(C1)와 제2 고정 돌기(62)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복수의 용기 뚜껑(1)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질 때,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가 서로 간섭되어 복수의 용기 뚜껑(1)의 상하 정렬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고정 돌기(62)가 제1 고정 돌기(61)보다 돌출부(30)의 중심부(C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복수의 용기 뚜껑(1)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용기 뚜껑(1)의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용기 뚜껑(1)의 상하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is the distance D2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and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center C1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 On the contrary,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When the plurality of container lids 1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lids 1 collapses. occur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center C1 of the protrusion 30 rather tha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the plurality of container lids 1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rranged as,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of the two container lids 1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us,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 lids (1) can be maintained.

음료 가이드부(70)는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음용 고정부(60)로 집중될 수 있도록 음료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 가이드부(70)는 돌출부(30)의 상면에 돌출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guide unit 70 may guide the beverage so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is concentrated to the drinking fixing unit 60 . To this end, the beverage guide portion 7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rusion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

구체적으로, 음료 가이드부(70)는 돌출부(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 및 돌출부(30)의 중심부(C1)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와 대칭인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everage guide portion 70 is a first beverage guide based on a virtu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C1) of the first beverage guide structure 71 and the projection 3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jection 30. It may include a second beverage guide structure 72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structure 71 .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음료 가이드 구조(71)의 타 단부는 돌출부(30)의 상면에 가까워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용기(2) 내부의 음료가 이동되어 제1 고정 돌기(61)로 진입될 수 있다.The first beverage guide structure 7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ncreases in wid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verage guide structure 71 may have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s it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2 may be moved along this inclined surface to enter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음료 가이드 구조(72)의 타 단부는 각각 돌출부(30)의 상면에 가까워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을 따라 용기(2) 내부의 음료가 이동되어 제2 고정 돌기(62)로 진입될 수 있다.The second beverage guide structure 72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ncreases in wid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everage guide structure 72 may have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s it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 respectively.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2 may be moved along this inclined surface to enter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 뚜껑(1)이 결합된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coupled to the container lid 1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the user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용기(2)의 테두리(3)에 끼움 결합된 주연부(10)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용기(2)로부터 용기 뚜껑(1)을 분리한다.First, the user separates the container lid 1 from the container 2 by holding the periphery 10 fitted to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and lifting it upward.

다음으로, 사용자는 용기(2)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실링 부재(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용기(2)의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용기(2)의 테두리(3)에 주연부(10)를 끼움 결합시켜서 용기(2)에 용기 뚜껑(1)을 장착한다.Next, the user removes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4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 is opened. Thereafter, the user attaches the container lid 1 to the container 2 by fitting the periphery 10 to the rim 3 of the container 2 .

용기 뚜껑(1)이 용기(2)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동 커버부(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 커버부(40)의 회동 동작은 회동 커버부(40)에 구비되는 제2 고정 돌기(62)가 돌출부(30)에 구비된 제1 고정 돌기(61)에 완전히 계합될 때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제2 고정 돌기(62)가 제1 고정 돌기(61)에 완전히 계합되는 것은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이 모두 제2 고정 돌기(62)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id 1 is mounted on the container 2 , the user lifts the rotation cover part 40 upward so that the rotation cover part 40 rotates upward around the foldable part 50 . At this time,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rotating cover part 40 is performed until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provided on the rotating cover part 40 is fully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provided on the protruding part 30 . do. Her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is fully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means that bo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

한편, 제1 고정 돌기(61)와 제2 고정 돌기(62)가 완전히 계합되면, 제1 고정 돌기(61)에 형성된 제1 음용홀(611)과 제2 고정 돌기(62)에 형성된 제2 음용홀(621)이 서로 연통되어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음료의 배출 통로가 형성되면, 사용자는 용기(2)를 손으로 잡고 제2 고정 돌기(62)의 외측면에 자신의 입을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2)를 자신의 입 쪽으로 기울임에 따라,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서로 연통된 제1 음용홀(611) 및 제2 음용홀(62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are fully engaged, the first drinking hole 611 formed i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formed i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The drinking hole 621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can be discharged. When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beverage is formed in this way, the user holds the container 2 by hand and brings his or her mouth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 In this state, as the user tilts the container 2 toward his/her mouth,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drinking hole 611 and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 뚜껑(1)은 별도의 빨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기(2) 내부의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container lid 1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hygienically drink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2 through a simple operation, even if a separate straw is not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a)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a)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용기 뚜껑(1a)은 음용 고정부(60a)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기 뚜껑(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음용 고정부(60a)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ainer lid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riphery 10 , an extension 20 , a protrusion 30 , a rotating cover part 40 , a folding part 50 , and drinking. It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60a) and a beverage guide portion (70). Since the container lid 1a shown in FIG. 7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tainer lid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except for the drinking fixing part 60a, hereinafter, drinking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60a)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음용 고정부(60a)는 제1 고정 돌기(61), 제2 고정 돌기(62), 제1 고정 커버(63) 및 제2 고정 커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고정 커버(63) 및 제2 고정 커버(64)에 대하여 설명하겠다.The drinking fixing part 60a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trusion 61 , a second fixing projection 62 , a first fixing cover 63 , and a second fixing cover 64 . However, sin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hereinafter, the first fixing cover 63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e fixed cover 64 will be described.

제1 고정 커버(63)는 제1 음용홀(61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 커버(63)는 제1 음용홀(6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음용홀(611)의 둘레면과 제1 고정 커버(6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613)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 부재(613)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제1 음용홀(611)의 둘레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cover 63 may selectively open the first drinking hole 611 .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cover 63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nking hole 611 . At this time. At least one first connecting member 61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inking hole 611 and the first fixing cover 63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3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inking hole 611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제2 고정 커버(64)는 제2 음용홀(62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 커버(64)는 제2 음용홀(62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음용홀(621)의 둘레면과 제2 고정 커버(6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부재(623)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 부재(623)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제2 음용홀(621)의 둘레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cover 64 may selectively open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 To this end, the second fixing cover 64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 At this time. At least one second connecting member 62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and the second fixing cover 64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3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inking hole 621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b)에 대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container lid 1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b)은 주연부(10), 연장부(20), 돌출부(30), 회동 커버부(40), 접철부(50), 음용 고정부(60b) 및 음료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용기 뚜껑(1b)은 음용 고정부(60b)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기 뚜껑(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음용 고정부(60b)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8 to 10 , the container lid 1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riphery 10 , an extension 20 , a protrusion 30 , a rotating cover part 40 , and a folding part ( 50), and may include a drinking fixing part (60b) and a beverage guide part (70). Since the container lid 1b shown in FIGS. 8 to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tainer lid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except for the drinking fixing part 60b, hereinafter, th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The drinking fixing part 60b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음용 고정부(60b)는 제1 고정 돌기(61), 제2 고정 돌기(62b) 및 제3 고정 돌기(6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 돌기(61)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2 고정 돌기(62b) 및 제3 고정 돌기(65)에 대하여 설명하겠다.The drinking fixing part 60b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jection 61 , a second fixing projection 62b and a third fixing projection 65 . However, sin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and hereinafter,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b and 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will be described. would.

제2 고정 돌기(62b)의 단부에는 제4 음용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음용홀(622)은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었을 때, 제3 고정 돌기(65)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A fourth drinking hole 62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b. At this time,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passes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40 is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3 고정 돌기(65)는 제1 고정 돌기(61)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고정 돌기(65)는 하단부와 상단부의 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t least a portion of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the same width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이때, 제3 고정 돌기(65)의 단부에는 제3 음용홀(6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음용홀(651)은 제1 고정 돌기(61)의 제1 음용홀(611)과 연통될 수 있다.In this case, a third drinking hole 651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 The third drinking hole 651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drinking hole 611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

한편, 접철부(50)를 중심으로 회동 커버부(40)가 회동되는 경우, 제1 고정 돌기(61)의 외측면과 제2 고정 돌기(62b)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3 고정 돌기(65)가 제4 음용홀(622)을 통해 제2 고정 돌기(62b)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고정 돌기(65)가 제2 고정 돌기(62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서로 연통된 제1 음용홀(611)과 제3 음용홀(6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용기(2)에 수용된 음료가 제1 고정 돌기(61) 및 제2 고정 돌기(62b) 사이로 유출될 염려가 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40 is rotated around the foldable part 50, the third fixing part is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62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 65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b through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fixing protrusion 65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b,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drinking hole 611 and the third drinking hole 651. can be discharged outside. Accordingly,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 flows out betwe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62b.

다만,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가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에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커버가 구비되어 평소에는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이 고정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로부터 각각 고정 커버가 제거됨으로써, 제3 음용홀(651) 및 제4 음용홀(622)가 개방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third drinking hole 651 and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have an open stat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u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is not For example, the third drinking hole 651 and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are provided with fixed covers that are detachably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the third drinking hole 651 and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are usually fixed. Although closed by the cover, the third drinking hole 651 and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are opened by removing the fixed cover from the third drinking hole 651 and the fourth drinking hole 622, respectively, if necessary. it might b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specifi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1a, 1b: 용기 뚜껑 2: 용기
3: 테두리 4: 실링 부재
10: 주연부 11: 제1 커버 부분
12: 제2 커버 부분 20: 연장부
30: 돌출부 40: 회동 커버부
50: 접철부 60, 60a, 60b: 음용 고정부
61: 제1 고정 돌기 62: 제2 고정 돌기
63: 제1 고정 커버 64: 제2 고정 커버
65: 제3 고정 돌기 70: 음료 가이드부
71: 제1 음료 가이드 구조 72: 제2 음료 가이드 구조
111: 제1 돌출 돌기 121: 제2 돌출 돌기
122: 오목홈 611: 제1 음용홀
613: 제1 연결 부재 621: 제2 음용홀
622: 제4 음용홀 623: 제2 연결 부재
651: 제3 음용홀
1, 1a, 1b: container lid 2: container
3: Edge 4: Sealing member
10: periphery 11: first cover portion
12: second cover portion 20: extension
30: protrusion 40: rotating cover part
50: folding parts 60, 60a, 60b: drinking fixing part
61: first fixing projection 62: second fixing projection
63: first fixing cover 64: second fixing cover
65: third fixing protrusion 70: beverage guide part
71: first beverage guide structure 72: second beverage guide structure
111: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21: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22: concave groove 611: first drinking hall
613: first connecting member 621: second drinking hole
622: fourth drinking hole 623: second connecting member
651: third drinking hall

Claims (13)

내부에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연부;
상기 주연부의 내측에 상기 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동 커버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동 커버부 사이에 구비되는 접철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기 회동 커버부를 상기 돌출부에 고정시켜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음료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고정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
In the container li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in which the beverage can be accommodated,
a periphery provided to be fitted to the container and forming a rim;
an exten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riphery inside the periphery;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cutable, and a rotating cover par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a fold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part and the rotating cover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part, and comprises a drinking fixing part for fixing the rotating cover part rotated around the fold to the protrusion to form a discharge passag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ontainer l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회동 커버부 중 다른 하나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2 고정 돌기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nking fixing part,
a first fix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with an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and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 and the rotating cover,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is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felled,
container li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 음용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drinking ho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container l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상기 음용 고정부로 가이드하는 음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further comprising a beverage guide for guid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o the drinking fixing portion,
container l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folds are arranged to be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container li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용기 뚜껑.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jection is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jection,
container l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는,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커버 부분; 및
상기 제1 커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 부분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meter is
a first cover portion selectively covering the rim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The second cover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extends,
container li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와 상기 제1 커버 부분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한,
용기 뚜껑.
8.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round the first cover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portion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container,
container li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부분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2 돌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돌출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용기의 상기 테두리의 두께와 동일한,
용기 뚜껑.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re provided around the second cover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container,
container li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고정 커버; 및
상기 제2 음용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음용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nking fixing part,
a first fixing cov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rinking hole and selectively opening the first drinking hol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cov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nking hole and selectively opening the second drinking hole,
container li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용기 뚜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nking fix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first fixing projection
container li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제1 음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음용홀과 연통되는 제3 음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제3 고정 돌기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4 음용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inking fixing part,
A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 third drink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drink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 A fourth drink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selectively penetrated is formed,
container li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 커버부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고정 돌기는 상기 제4 음용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용기 뚜껑.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rotating cover part is rotated around the folding part, the third fixing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rough the fourth drinking hole,
container lid.
KR1020210010547A 2021-01-26 2021-01-26 Recap KR102476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en) 2021-01-26 2021-01-26 Re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en) 2021-01-26 2021-01-26 Rec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61A true KR20220107661A (en) 2022-08-02
KR102476650B1 KR102476650B1 (en) 2022-12-12

Family

ID=828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47A KR102476650B1 (en) 2021-01-26 2021-01-26 Re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6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01A (en) * 1996-12-18 1998-11-24 Amhil Enterprises Disposable dome lid for drinking cups
JP2001097419A (en) * 1999-09-30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with cover
US20030192890A1 (en) * 2001-09-14 2003-10-16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20110011863A1 (en) * 2005-05-16 2011-01-20 Prairie Packaging, Inc. Disposable cup l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01A (en) * 1996-12-18 1998-11-24 Amhil Enterprises Disposable dome lid for drinking cups
JP2001097419A (en) * 1999-09-30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with cover
US20030192890A1 (en) * 2001-09-14 2003-10-16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20110011863A1 (en) * 2005-05-16 2011-01-20 Prairie Packaging, Inc. Disposable cup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650B1 (en)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8405C2 (en) Resealable container lid
EP2346742B1 (en) Recloseable lid for a container, in particular for a paper cup
US20060096983A1 (en) Recloseable drink cup lid
US7909212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AU2006276269B2 (e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CZ20033228A3 (en) Single axis dual dispensing closure
KR20200000153U (en) Straw cup for baby
KR20220107661A (en) Recap
JP2010168059A (en) Plug for beverage vessel
KR102177422B1 (en) can lid
KR101785222B1 (en) Cup lid
JP2020183237A (en) cap
JP3737398B2 (en) Spout member and container
KR200253694Y1 (en) Powder vessel for makeup
JP7076336B2 (en) Weighing cap
KR101977571B1 (en) Dual-layered container and a cap combion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JP3164032U (en) cap
KR101810960B1 (en) One-touch cap for rotary opening type
KR100577727B1 (en) Three piece cap combined a single body
KR200365969Y1 (en) Receptacle with hinge cover
JP6531048B2 (en) Swing cap
JP5498665B2 (en) Swing container
JP2024059019A (en) Hinge Cap
KR20230000327U (en) Cover integral paper cup
KR200189559Y1 (en) A stopple of a milk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