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222B1 - Cup lid - Google Patents

Cup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222B1
KR101785222B1 KR1020160120070A KR20160120070A KR101785222B1 KR 101785222 B1 KR101785222 B1 KR 101785222B1 KR 1020160120070 A KR1020160120070 A KR 1020160120070A KR 20160120070 A KR20160120070 A KR 20160120070A KR 101785222 B1 KR101785222 B1 KR 10178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idge
state
cu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6201A (en
Inventor
박성웅
Original Assignee
박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2183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852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웅 filed Critical 박성웅
Priority to KR102016012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222B1/en
Publication of KR2017006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47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뜨거운 음료를 음용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음용 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폐되는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큰 면적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컵뚜껑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capable of maximizing the ease of use of a disposable cup by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rinking area in drinking hot beverages, and has a lid portion which is opened and closed up and down, Provide an available cup lid.

Description

컵뚜껑{CUP LID}Cup lid {CUP LID}

본 발명은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료를 음용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음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컵뚜껑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lid capable of maximizing convenience of use of a disposable cup by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rinking mode in drinking a beverag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 등에 담아 취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커피의 뜨거운 김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커피를 조금씩 취식할 수 있도록 컵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합성수지류 재질의 컵뚜껑이 널리 사용된다.General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hot coffee is stored in a paper cup or the like in a home or a coffee shop, etc. In this case, a synthetic resin which is assembled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cup, Cup type lid is widely used.

이러한 종래의 컵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용기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음용홀이 형성되어 작은 입구를 통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다.Such a conventional cup li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up for accommodating high-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and a drink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enable drinking through a small inlet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뚜껑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크거나 작은 구멍만 형성되는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이용자가 항상 상기 몸체의 구멍에 직접 입을 맞대고 음용여야 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up lid has a very simple structure in which only a large or small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user must always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body and drink.

따라서, 이용자는 음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로 컵을 기울여서 음용을 시도하다가 고온의 음료가 급격하게 음용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입술이나 입천장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흔히 벌어지기도 한다.Therefore, the user tries to drink by tilting the cup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an not be sensed, and an accident that burns on the lips or the palate due to the sudden release of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into the drinking hole often occurs.

최근에는 이러한 음용홀을 상측으로 연장배치하거나 소정의 유로를 형성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나 이러한 구조로서는 음료의 냉각성능이 아주 미미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원하는 만큼의 유량이 형성되지 않아 음료가 잘 배출되지 않거나 급격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사고의 가능성을 더욱 증대시키기도 한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extending such drinking holes upwardly or forming a predetermined flow path. 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everage is very small and the desired amount of flow is not formed. And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s further increased.

등록실용 제20-0409095호는 종래기술의 음료컵용 컵뚜껑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 배출구의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다.Registration No. 20-0409095 discloses a cup cap for a beverage cup of the prior art, which retains the problem of such a beverage outlet.

이용자들은 이를 감안하여 아예 컵뚜껑을 탈거한 상태로 음료를 음용하는 사례가 많다. 이는 입술이 용기의 외주연에 접한 사태로서 입의 개구를 통하여 음료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음료의 양을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many users drink the beverage while removing the cup lid. This is because the lip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and the amount of the drink can be more easily adjusted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drink through the opening of the mouth.

따라서, 종래의 컵뚜껑의 경우는 실제적으로 음료가 어느 정도 냉각되기 전에는 음용홀로 제대로 음용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를 가지므로 음료를 넘치지 않게 하는 용도 외에는 필요가 없는 구성이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up li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rink properly into the drinking hole before the beverage is cooled to some extent, and there is no need for the use other than the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overflow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음용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음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컵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lid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convenience in use of a disposable cup by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rinking mode have.

본 발명은, 컵에 고정되는 링부(102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0)와, 상부로 돌출되어 개방시 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융기부(2200)와 덮개융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판부(2100)를 구비하는 덮개부(2000)와,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며 덮개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150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판부가 본체부 일측 상면에 형성되는 내주측 모서리를 마주본 상태에서 분리되면 변형이 발생되어 개구부의 내주 모서리보다 하향 배치되어 걸림되어 폐쇄상태를 고정하는 컵뚜껑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part 1000 having a ring part 1020 fixed to a cup, a lid ridge part 2200 protruding upwar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when opened, and a top plate part 2100 And a folding unit 1500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unit and connecting the lid unit to be pivotally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the lid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p plate unit is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The cup lid is provided with a deformation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in a state opposit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is arranged to be low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opening to fix the clos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컵에 고정되는 링부(102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0)와, 상기 본체부 일측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절첩부(150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덮개부(2000)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입술이 닿는 벽체부(1700)와, 본체부 타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되어 덮개부의 개방상태를 고정하는 걸림부(1200)를 구비하는 본체융기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부로 돌출되어 개방시 걸림부에 체결되는 덮개융기부(2200)와 덮개융기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본체부의 개구부 모서리에 걸림되는 상판부로 이루어지는 컵뚜껑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part 1000 having a ring part 1020 fixed to a cup, and a lid part (not shown) which is rotated up and down around the folding part 150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art of the body part. A body ridge 1400 having a lid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id part and a latch part 1200 protruded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to fix the lid part in an opened state, The lid part is provided with a lid protruding part 2200 which protrudes upward and is engaged with the latch part when opened, and a top plate part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protruding part and is hooked on the edge of the opening part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덮개부는, 폐쇄상태에서 벽체부와 덮개융기부 사이에 손가락이 걸림되어 덮개융기부가 들어올려짐으로써 개방상태로 회동되고, 개방상태에서 상판부 모서리에 손가락이 걸림되어 들어올려짐으로써 폐쇄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In the closed state, when the fingers are caught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lid ridge portion, the lid ridge is lifted up to the open state, and when the finger is hooked on the edge of the upper plate portion in the open state, have.

상기 덮개부는, 덮개융기부가 본체융기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판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d part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li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ridge and is fastened.

상기 본체부는, 개구부의 절첩부위에 인접된 부위에서 내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16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판부는, 벽체부와 덮개융기부 사이에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600 protru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ed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guid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may form a space recessed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lid ridge portion .

상기 본체융기부는, 덮개융기부와 체결되는 부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음용홀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ridge portion may include a latching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a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lid ridge portion and having a drinking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링부는, 벽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링부와, 제1링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컵에 대응되도록 제1링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wall portion and a second r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r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up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ing portion.

본 발명의 컵뚜껑은, 이용자가 용이하게 컵의 상면의 넓은 면적을 개방하여 입술을 개구부에 일부 삽입한 상태로 음용이 가능하므로 탈거하지 않고도 뜨거운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easily drink a hot beverage without removing it because the user can easily drink the beverage in a state in which a larg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is opened and the lips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최초 파단부가 접한 상태, 완전 개방고정된 상태, 폐쇄된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통하여 상태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자유롭게 사용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lect the use state because the state is deformed freely through three states,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initial breaking portion is tangent, a fully open fixed state, and a clos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공정으로서 두 가지 이상의 크기의 컵에 대응되는 컵뚜껑의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과 경제성 향상의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ducing a cup lid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sizes of cups as a single process, which is advantageous in productivity and econom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컵뚜껑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컵뚜껑에서 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컵뚜껑에서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컵뚜껑이 컵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컵뚜겅의 측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nlet is closed in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is opened in a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up.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cup lid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뚜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컵뚜껑은 기본적으로, 컵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면의 일부가 개구부를 형성하고 반복적인 폐쇄 동작이 가능한 컵뚜껑을 제공한다.The cup lid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basically provides a cup lid coupled to the top of the cup and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forming an opening and capable of repeated closing operations.

상기 컵뚜껑 상면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면 전체 면적이 1/4 이상의 면적은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덮개부는 컵뚜껑의 소정의 가이드 부위와 다른 부위와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하여 개방 및 폐쇄의 동작시 고정이 가능하다.The lid part is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cup lid, preferably the lid part of which the total area of the top surface is 1/4 or more, And closing during operation.

종래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특히 일회용 컵에서 음용홀로 음료를 음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고, 본 발명의 덮개부의 동작에 따라 이용자는 편리하게 음료의 음용이 가능한데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drinking a beverage in a disposable cup, particularly in a disposable cup,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drink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v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컵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회용 컵뚜껑은 물론 텀블러의 마개나 다양한 유형의 음료나 수프의 덮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up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but may be applied to the caps of the disposable cups as well as to the caps of the tumbler or to covers of various types of drinks or soup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뚜껑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면에서 바라볼 때 덮개부(2000)가 배치되는 부위를 일측으로, 이에 대향되는 부위를 타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in which the lid portion 2000 is disposed is defined as one side and a portion opposed to the lid portion 2000 is defined as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컵에 고정되는 링부(1020)를 구비하고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1000)와, 본체부 일측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덮개부(2000)와, 덮개부의 일측에서 외주연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입술이 닿는 벽체부(1700)와, 본체부 타측에 융기되어 덮개부(2000)의 개방상태를 고정하는 걸림부(1200)를 구비하며 음용홀(1010)을 구비하는 본체융기부(1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art 1000 having a ring part 1020 fixed to a cup and forming an overall appearance, a lid part 2000 rotat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 latching part 1200 which is protruded up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t one side of the lid part to contact the lips and which is rais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to fix the lid part 2000 in an opened state, And a body ridge 1400 having a hole 1010.

이러한 컵뚜겅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로서 사출되는 수지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up lid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material which is injected as one body for convenience of produ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링부(1020)는 용기의 상단측의 두꺼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삽입 과정에서 컵뚜껑 및/또는 용기가 탄성변형되면서 정확한 형태의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링부(1020)는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부(1020)는 다양한 컵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ring portion 102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thick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can be inserted. In the insertion process, the cup lid and / or the container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precise insertion and fixing is performed. As in the prior art, this ring portion 1020 can be detachably arranged in the container. Such a ring portion 1020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zes of the various cup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further embodiment.

본체융기부(1400)는 본체부(1000) 타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호 형태로 융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융기부(1400)의 일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음용홀(10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용홀(1010)을 통하여 이용자는 덮개부(2000)를 개폐하기 전에 음료를 소량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용자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음용이 가능하도록 덮개부(2000)를 구비하므로 이러한 음용홀(10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The body ridge 1400 is raised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0 and may be raised to a substantially arc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drinking hole 1010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body ridge 1400. A user can drink a small amount of drink before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00 through the drinking hole 1010 ha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nking hole 1010 may be omitted because the lid 2000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drink with a wider area.

상기 본체융기부(1400)는 일측으로 덮개부(2000)가 개방된 상태로 걸림될 수 있는 걸림부(1200)를 구비하며, 이러한 걸림부(1200)에는 타측으로 형성된 홈 형상의 체결홈부(121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main body raised portion 1400 includes a latch portion 1200 which can be latched in a state in which the lid portion 2000 is opened at one side. The latch portion 1200 has a groove-shaped coupling groove 1210 ) May be dispos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체융기부(1400)의 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측 상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사항과 같이 대략 절첩부(1500)가 형성되는 중심의 양측에서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ody ridge 1400 may be an arc shape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here the folded portion 150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상기 본체융기부(1400)의 일측 단부가 마주보는 상면에는 덮개부(2000)가 절첩될 수 있는 소정의 절첩부(15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첩부(1500)의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략 직경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첩부(1500)는 본체부(1000) 상면의 직경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으나 후술될 바와 같이 걸림 및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부(1600)의 배치를 위하여 내주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 predetermined folded portion 15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raised portion 1400 facing the one end of the body raised portion 1400. The folded portion 150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But it is preferably formed centr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folded portion 1500 may occupy most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0,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olded portion 1500 is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ce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the guide portion 1600 for engaging and guiding.

상기 본체융기부(1400)의 타측 중심에 형성되는 걸림부(1200)는 음용홀(1010)이 배치될 뿐만 아니라 체결홈부(1210)의 배치를 위하여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 모서리에서 덮개부(2000)의 체결을 위한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타측으로 함몰된 호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ing part 1200 formed at the other center of the body ridge 1400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not only the drinking hole 1010 is disposed but also protrudes to one side in order to arrange the fastening groove part 1210, And may have an arc shape depressed substantially toward the other si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portion for fastening the lid part 2000 at the corner.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부(2000)의 상면은 타측에 형성되는 면을 마주보고 밀착 또는 인접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정확한 고정 및 미관상 이점을 고려하여 상기 본체융기부(1400)의 내주측의 상면 즉, 안착부(1300)는 덮개부(200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안착부(1300)의 상면이 덮개부(2000)의 상면, 더욱 정확하게는 덮개융기부(2200)의 형상과 크기가 완전하게 대칭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0 may b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surfac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opened state, That is, the seating portion 13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0.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300 is completely symmetrica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0, more precisely the shape and size of the lid ridge 2200.

한편, 덮개부(2000)는 평면상 컵뚜껑의 상면의 대략 반 정도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는데, 상면은 절첩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의 상면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대략 반원 내지는 원의 일부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d part 2000 may occupy about half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lid on a plane.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art 2000 may exten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folded part, It forms a part of it.

컵뚜껑 전체적으로 볼 때 일측의 대부분의 면적은 덮개부(2000)가 개구부(2020)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파단부(2300)에서 본체부(1000)와 덮개부(2000)가 서로 최초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파단연결부(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용자가 덮개부(200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파단연결부를 파단시켜서 연결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000 and the lid portion 2000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id portion 2000 covers the opening portion 2020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0 and the lid portion 20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When the user wishes to open the cover 2000, the break connection can be broken to release the connection.

상기 파단연결부는 소정의 힘을 가할 때 절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칼선이나 점선 형태의 절개선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파단연결부는 상판부(2100), 가이드부(1600) 또는 본체부(1000)의 부위보다 더욱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힘이 가해지면 쉽게 파단될 수 있다.The fractur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cut line or dotted line so as to be cutable when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reak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the guide portion 1600, or the body portion 1000, and may be easily broken when a force is applied thereto.

덮개부(2000)는 본체부(1000)의 일측 상면 일부와 마주보는 상판부(2100)와 체결돌부(2210)가 구비되는 덮개융기부(2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덮개부(2000)의 개방상태에서의 고정은 덮개융기부(2200)가 수행하고 폐쇄상태에서의 고정은 상판부(2100)가 수행할 수 있다.The lid 2000 may include a cover ridge 2200 having a top plate 2100 and a fastening protrusion 2210 facing a part of on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The top plate portion 2100 can perform the fixing in the closed state.

상판부(2100)는 본체부 일측 상면에 형성되는 내주측 모서리를 마주보면서 소정의 걸림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서로 간에 파단이 이루어지면 어느 정도의 변형이 발생되어 일부분에서는 실제적으로 걸림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폐쇄상태의 고정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덮개부(2000)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는 소정의 굴곡을 가지는 것이 더욱 유리한바 이에 따라 본체부(1000)의 일측 상면에서는 양측에서 내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16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performs a predetermined latching operation whil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me deformation occurs when the plates are broken to each other, .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clamping force in the closed state, it is more advantageous that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id portion 2000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rather than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Accordingly,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0, And a guide portion 1600 protruding therefrom.

상기 가이드부(1600)는 대략 절첩부에 인접된 부위에서 내주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다시 외주방향으로 함몰되어 상측에서 바라볼 때 대략 'S'자 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부(2000) 역시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 1600 may protrud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ed portion and may be recess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one side so as to protrude in an approximately 'S'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portion 2000 can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이에 따라, 덮개부(2000)의 폐쇄상태에서 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양측의 가이드부(1600)의 돌출 부위와, 상판부(2100)의 호 형상의 일측 모서리 부위가 될 수 있으며, 최소한 3점 이상에서는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portion where the cover portion 2000 is mainly engaged can be a protruding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600 on both sides and a side edge portion of the arc shape of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and at least three points So that the jamming is performed.

벽체부(1700)는 가이드부(1600) 및 상판부(2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방 돌출될 수 있으며, 주로 입술에 닿아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벽체부(1700)가 생략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체부(1000)와 덮개부(2000)의 파단되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직접 입술에 닿아 불쾌한 감촉이나 신체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단부위가 신체에 닿지 않도록 벽체부(1700)가 대략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wall portion 1700 may protrude upwardly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guide portion 160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lips for drinking. In this case, since the sharp edges of the main body part 1000 and the lid part 2000 are directly contacted with the lips, uncomfortable feeling or physical injury may occu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portion 17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body.

도 2는 본 발명의 컵뚜껑에 대한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덮개부(2000)와 벽체부(17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본체부(1000)의 본체융기부(1400)가 배치되어 측면상 양측에서 돌출되고 중심측에서 함몰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The lid portion 2000 and the wall portion 1700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main body ridge portion 1400 of the main body portion 10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and be depressed from the center side Have.

이러한 함몰 부위에는 절첩부(1500)가 배치되며, 타측의 안착부(1300)의 부위에는 상측에 덮개융기부(2200)가 수용될 수 있는 절첩공간(2010)이 형성된다.A folding space 1500 is disposed at the depressed portion and a folding space 2010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other seating portion 1300 so that the cover ridge 2200 can be received on the upper side.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00)의 대부분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벽체부(1700)에 의하여 가려지고 덮개융기부(2200)의 단부에서 체결돌부(2210)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As shown, most of the lid 2000 is obscured by the wall portion 1700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10 at the end of the lid ridge 2200 can be visually identified.

상기 체결돌부(2210)는 본체융기부(1400)의 체결홈부(1210)에 걸림되어 개방상태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fastening protrusion 2210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recess 1210 of the body ridge 1400 to fix the open state. Such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융기부를 가지기 때문에 원활한 개폐동작을 위하여 절첩부(1500)를 중심으로 덮개융기부(2200)와 본체융기부(1400)는 점차적으로 융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벽체부(1700) 또한 단부에서 경사진 모서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d protrusions 2200 and the body ridge 1400 may be gradually protruded about the folded portion 1500 for smoo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s the ridges are formed on both sides as described above, (1700) and also has an inclined edge at the end.

상기 절첩부(1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300)와 덮개부(20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와 같이 양측에 가이드부(16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주 부근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점선 또는 파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olding unit 1500 may have a predetermined line shape to distinguish the seating unit 1300 from the lid unit 200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groove shape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 However, since the guide part 1600 is form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1, the guide part 1600 may not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outer periphery, and may be a dotted line or a broken line.

도 3은 본 발명의 컵뚜껑에서 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컵뚜껑에서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컵뚜껑이 컵에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closed in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let is opened in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up.

기능적인 관점에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컵뚜껑을 설명한다. 제1상태는 덮개부(2000)가 본체부(1000) 및 가이드부(1600)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고, 제2상태는 개방동작시 파단부(2300)로부터 상판부(2100)와 가이드부(1600) 및 본체부(1000)가 상호 이격되면서 절첩부(1500)에서 절첩되어 체결돌부(2210)가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210)에 삽입 및 걸림되어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측에 소정의 면적을 가진 개구부(2020)를 형성하는 상태이며, 제3상태는 폐쇄 동작시 상판부(2100)가 개구부측의 내주 및 가이드부(160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폐쇄 및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a cup li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state means that the lid part 200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00 and the guide part 1600 and the second state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art 2100 and the guide part 1600 and the main body 10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olded at the folded portion 1500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2210 are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fastening recesses 1210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1600 to be closed and fixed in the closing oper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면 상기된 형상의 한정은 당업자에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If the concept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e above-described limitation of the shape can be applied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 modified manner.

정확하게는 도 3은 제1상태 또는 제3상태를, 도 4는 제2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상태의 경우 상판부(2100)가 개구부(2020)의 내주 및 가이드부(1600)의 모서리와 맞닿아 결합된 상태이며, 제3상태는 상판부(2100)가 개구부(2020)의 내주 및 가이드부(1600)의 모서리보다 하향 배치되어 걸림된 상태인 차이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o be precise, FIG. 3 may refer to a first state or a third state, and FIG. 4 may refer to a second state. In the first state,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2020 and the edge of the guide portion 1600. In the third state,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2020,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ortion 1600 is disposed lower than the edge of the guide portion 1600 and is engaged.

제2상태에서 덮개부(2000)가 절첩부(150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어 타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고, 덮개융기부(2200)가 안착부(1300)측에 인접되고 체결돌부(2210)가 체결홈부(1210)에 삽입되어 개방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상태에서 덮개부(2000)가 배치된 부위는 개방되어 개구부(2020)를 노출시킨다.In the second state the lid 2000 is pivoted upward relative to the folded portion 1500 and is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lid ridge 2200 is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1300 sid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1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1210 to be opened and fixed. Accordingly, in the first state, the portion where the lid 2000 is disposed is opened to expose the opening 2020.

도면에서는 대략 상면 전체 면적의 대략 1/3 내지 1/2 정도를 개구부(2020)가 차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개구부(2020)의 면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소한, 본 발명이 본체융기부(1400)에 음용홀(101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2020)의 면적은 음용홀(1010)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figure, the opening 2020 occupies about 1/3 to 1/2 of the total area of the upper surface. The area of the opening 2020 can be optionally selected. At least, when the drinking hole 1010 is disposed in the body ridge 1400, the area of the opening 20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drinking hole 101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2020)가 직접 입에 닿지 않기 때문에 벽체부(1700)의 외주측 길이는 평균적인 성인의 입술이 닿는 길이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 2020 does not directly touch the mouth,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wall portion 1700 may be formed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average adult's lips.

도 3의 폐쇄상태와 도 4의 개방상태는 지속적으로 교체될 수 있는데, 폐쇄상태에서 이용자가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벽체부(1700)와 덮개융기부(2200) 사이의 공간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이를 덮개융기부(2200) 측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들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방상태에서는 덮개융기부(2200)가 본체융기부(1400)의 내주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를 직접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판부(2100)가 유용하게 기능할 수 있다. 즉, 상판부(2100)는 덮개융기부(2200)가 본체융기부(1400)의 안착부(1300) 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 및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삽입상태를 해제하기 용이해지는 것이다.The closed state of FIG. 3 and the open state of FIG. 4 can be continuously replaced. When the user wants to open in the closed state, the user inserts the finger into the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 1700 and the lid ridge 22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raised portion 2200 side to lift it. Further, in the open state, since the lid ridge 220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ody ridge 1400, it may not be easy to directly take it out, so that the upper plate 2100 can function effectively. That is, since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cover ridge portion 2200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and the upper sid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1300 of the body ridge portion 1400, .

상기 덮개융기부(2200)는 덮개부(2000)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된 입체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반복적인 체결돌부(2210)와 체결홈부(1210)의 탈착 과정에서 어느 정도 강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강재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cover ridge portion 2200 h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lid portion 2000, it is possible to ensure rigidity and durability to some extent in the process of detachment of the repetitive fastening protrusion portion 2210 and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1210 It can also function as a reinforcement.

한편, 상기 상판부(2100)는 도 3의 폐쇄상태 즉 제1상태 및 제3상태에서 벽체부(1700)와 덮개융기부(2200) 사이에 소정의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때 덮개부(2000) 및 본체부(1000) 상면에 잔류된 커피와 같은 음료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다시 개구부(2020)를 통하여 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3, that is, in the first state and the third state, the upper plate portion 2100 forms a predetermined depressed space between the wall portion 1700 and the lid ridge portion 2200, And the coffee such as coffee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cup through the opening 2020 without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개구부(2020)는 음용홀(1010) 대비 상당히 큰 면적,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술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구부(2020)의 내주측으로 배치된 상태로서 음용이 가능하므로 편리한 음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종래의 음용홀(1010)의 구조의 경우 음용의 배출시 유동의 제어가 원활하지 못하며 뜨거운 음료의 온도 저감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게 됨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실질적으로 이용자의 이용시 컵뚜껑을 완전히 컵(100)에서 탈거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불편함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opening 2020 has a considerably larger area than the drinking hole 1010, and more specifically, a part or the whole of the lips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y side of the opening 2020, so that drinking can b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rinking hole 1010,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low when discharging the drink, and it is difficult to actually perform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beverage,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advantage that the cup lid is completely used in a state of being detached from the cup 100 is solved.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컵뚜겅의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of a cup lid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벽체부(1700), 본체융기부(1400) 및 덮개융기부(2200)와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portion 1700, the body ridge portion 1400 and the cover ridge portion 2200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커피음료 등의 테이크아웃 매장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컵은 레귤러와 톨 사이즈 등으로 구분되어 용량별로 음료를 담아 판매한다.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지는 컵의 경우 일반적으로 개구부(2020)의 직경을 서로 달리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의 컵뚜껑을 결합하여야 하는데 이는 생산을 위한 금형과 공정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비경제성을 야기한다.In general, disposable cups used in takeout shops such as coffee beverages are divided into regular and tall sizes, and drinks are sold by capacity. In the case of cup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generally, the diameters of the openings 20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cups of different sizes must be coupled to each other. This causes inconvenience of separately providing a mold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링부(1020)가 두 가지 이상의 크기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용량의 컵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a further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ing 1020 can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izes to accommodate cups of different capacities.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링부(1020)가 상측에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제1링부(1021)와 하측에서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지는 제2링부(1022)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상기 직경 및 개수는 선택적일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ing portion 1020 is composed of a first ring portion 1021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ring portion 1022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on the lower side. However, the diameter and the number may be optional.

본체부(1000)의 하측으로 이어지는 제1링부(1021)는 비교적 작은 용량의 컵에 대응되며, 그 하측에 배치되는 제2링부(1022)는 비교적 큰 용량의 컵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1링부(1021)와 제2링부(1022)는 직경을 달리하여야 하므로 상호 소정의 단차(참조번호 미표시)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차는 컵의 입구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의 단턱 형태 또는 경사면 내지는 원뿔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ring portion 1021 lea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0 corresponds to a cup having a relatively small capacity and the second ring portion 1022 disposed below the first ring portion 1021 can correspond to a cup havin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ing portion 1021 and the second ring portion 1022 have different diameters,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tep (not shown), and such a step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cup. The stepped portion may be a stepwise stepped shape or a sloped surface or a part of a conical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정확하게는 각각의 링부(1020)는 측면상 원호 형태로 이루어져 컵(100)의 입구 테두리에 외주로 돌출된 부위가 내주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링부(1021)가 상단으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다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고 단차에서 직경이 넓어지면서 제2링부(1022)가 시작되고 제2링부(1022) 역시 상단으로부터 점차 직경이 커지다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엠보싱(embossing)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미관적인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Each of the ring portions 1020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the side surface so that a portion projecting to the outer periphery at the entrance edge of the cup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The diameter of the second ring portion 1022 is increased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ring portion 1022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diameter of the stepped portion. Thus, embossing can be achieved as a whole have. This shape can also contribute to aesthetic enhance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0...본체부 1010...음용홀
1020...링부 1021...제1링부
1022...제2링부 1200...걸림부
1210...체결홀부 1300...안착부
1400...본체융기부 1410...내벽부
1500...절첩부 1600...가이드부
1700...벽체부 2000...덮개부
2010...절첩공간 2020...개구부
2100...상판부 2200...덮개융기부
2210...체결돌부 2300...파단부
1000 ... body portion 1010 ... drinking hole
1020 ... ring portion 1021 ... first ring portion
1022 ... second ring portion 1200 ... engaging portion
1210 ... fastening hole portion 1300 ... seat portion
1400 ... body ridge 1410 ... inner wall portion
1500 ... folded attaching portion 1600 ... guide portion
1700 ... wall portion 2000 ... lid portion
2010 ... folding space 2020 ... opening
2100 ... top plate portion 2200 ... cover ridge portion
2210 ... fastening protrusion 2300 ... rupture portion

Claims (6)

컵에 고정되는 링부(102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0);
상부로 돌출되어 개방시 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융기부(2200)와 덮개융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판부(2100)를 구비하는 덮개부(2000);
상기 본체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며 덮개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연결하는 절첩부(1500); 및
상기 상판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방 돌출되고 덮개부의 모서리가 입술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부(170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부와 덮개융기부는, 그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어 덮개융기부측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판부가 변형에 의하여 개구부의 내주 모서리보다 하향 배치되어 걸림되어 폐쇄상태를 고정하는 컵뚜껑.
A body portion 1000 having a ring portion 1020 fixed to the cup;
A lid unit 2000 having a cover ridge 2200 protruding upwar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when opened and an upper plate 21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d ridge;
A folding part 1500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lid part and connecting the lid part so as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wall portion (1700) projecting upwardly in a manner surrounding the top plate portion and preventing the edge of the lid portion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lips,
The wall portion and the lid protruding portion form a space in which fingers are inserted therebetween to provide frictional force to the lid ridge portion side so as to be lifted,
Wherein the lid part fixes the closed state by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upper plate part by being deformed downwardly from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본체부의 내주측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와 덮개부를 구분하는 홈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컵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ed-
And a groove-like line separating the sea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ody portion from the l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덮개융기부가 본체융기부의 안착부 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 및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모서리에 손가락이 걸립되어 삽입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컵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late portion,
Wherein the cover lid is dispos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ther side and the upp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of the body ridge, and the finger is placed on the corner to release the inser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개구부의 절첩부위에 인접된 부위에서 내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폐쇄상태에서 상판부가 가이드부의 모서리보다 하향 배치되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는 컵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guide portion protru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ed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The lid portion
Wherein the upper plate portion is disposed lower than the edge of the guide portion in the closed state and maintains the engaged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융기부는,
덮개융기부와 체결되는 부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음용홀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ridge-
And a latching part protruding to one side from a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lid ridge and having a drink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벽체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1링부와, 제1링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컵에 대응되도록 제1링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portion
And a second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up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ing portion.
KR1020160120070A 2016-09-20 2016-09-20 Cup lid KR101785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70A KR101785222B1 (en) 2016-09-20 2016-09-20 Cup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70A KR101785222B1 (en) 2016-09-20 2016-09-20 Cup li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222 Division 2015-12-04 2015-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201A KR20170066201A (en) 2017-06-14
KR101785222B1 true KR101785222B1 (en) 2017-10-16

Family

ID=5921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070A KR101785222B1 (en) 2016-09-20 2016-09-20 Cup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2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22U (en)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The cup lid comprising the fragrance outlet
KR102488194B1 (en) 2022-06-23 2023-01-18 박예은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ype sanitary cup using the center of grav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49Y1 (en) * 2000-03-25 2000-08-16 윤기문 Drink vessel adhesive type straw
KR101518667B1 (en)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Recloseable cup l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49Y1 (en) * 2000-03-25 2000-08-16 윤기문 Drink vessel adhesive type straw
KR101518667B1 (en)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Recloseable cup l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22U (en)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The cup lid comprising the fragrance outlet
KR102488194B1 (en) 2022-06-23 2023-01-18 박예은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ype sanitary cup using the center of gr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201A (en)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667B1 (en) Recloseable cup lid
US20030192890A1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EP1321374B1 (en) Lid for disposable drinks container
AU2002357706B2 (en) Recloseable lid with closure plug
US20180065333A1 (en) Spill resistant disposable travel cup lid
US5699927A (en) Beverage cup lid having perpheral locking means for drinking opening closure member
JP5212800B2 (en) Overcap
US6070755A (en) Lid with folding side tabs for hot beverage cup
US5799814A (en) Drink-through lid for container
US20060096983A1 (en) Recloseable drink cup lid
TWI374838B (en)
GB2375531A (en) Container lid
WO2006083606A2 (en) Easy open container closure
KR20080031724A (en) Plastic cap for unsealing
KR101785222B1 (en) Cup lid
CN109923044A (en) Plastics closure with completeness guarantee's element
KR20170066204A (en) Cup lid
JP5094228B2 (en) Plastic bottle
WO2003084824A1 (en) Can opening device
US20130240546A1 (en) Disposable cup lid
JP5702076B2 (en) Plastic cap
EP2639180A1 (en) Disposable cup lid
JP4279578B2 (en) Cap for beverage can and beverage can with cap
CN210708650U (en) Cup cover for beverage cup
KR200386475Y1 (en) can lid capable of twist-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8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628

Effective date: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