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09A -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509A
KR20220107509A KR1020210010223A KR20210010223A KR20220107509A KR 20220107509 A KR20220107509 A KR 20220107509A KR 1020210010223 A KR1020210010223 A KR 1020210010223A KR 20210010223 A KR20210010223 A KR 20210010223A KR 20220107509 A KR20220107509 A KR 2022010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terface
data
bim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섭
Original Assignee
오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섭 filed Critical 오원섭
Priority to KR102021001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509A/ko
Publication of KR2022010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웹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건축물(Entity)을 부재 단위로 등록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등록된 건축물의 부재 단위와 매칭시키는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매칭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수행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BIM-BASED BUILDING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NET SYSTEM USING WEB PLATFORM}
본 발명은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지관리 주체가 사업 및 사후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모든 참여 주체가 이력기반으로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급성장 중인 '스마트건설기술'의 핵심이 되는 3차원 설계와 빅데이터의 융복합 기술이다. 특히, BIM 기술은 기획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활용 및 공유하여, 설계, 시공, 유지관리 상의 오류와 낭비요소를 사전에 검토함으로써 건설공사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실물을 복제한 가상공간의 디지털 쌍둥이를 의미하는 디지털 트윈은 건설 분야에서 BIM기술의 연장선으로 다뤄지고 있다. 관련하여 건설 분야에서는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협업체계 구축 및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정형건축물 구현 시스템에 도입된 사례가 있으며, 시공단계에서는 스마트 현장 관리 시스템, 공정 및 원가분석에 시도된 사례가 있다. 다만, 유지관리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실증 사례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기타 국가 기관을 통해 운영되는 시설물통합관리시스템은 파일관리 및 통계 기능 위주의 기능 제공에 머물러, 해당 위치에 어떤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각 기관 또는 지자체 별로 건축물 이력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무자 친화적이지 않아 개발 완료 후 데이터 축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감독관 외에는 조회 권한이 없고 외부 접속이 차단되어 안전점검업체 및 보수보강업체가 과거 이력 정보를 득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공공기관의 경우 담당 감독관 1인당 관리해야 할 건축물 과다 및 민원처리 등 업무 중첩으로 건축물 유지관리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미비한 실정이며, 기 실시한 안전점검 및 보수보강 사업의 이력현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지관리 업무의 현황과 진행에 대해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안전점검 및 보수보강 사업이 발주-납품으로 끝나는 체계가 아닌, 발주-납품 후 사업관련자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사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의 제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리 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3차원 개별 부재단위로 이미지, 수치, 등급 등 각종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향후 빅데이터 기반 과학적 분석체계를 위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은, 상기 웹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건축물(Entity)을 부재 단위로 등록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등록된 건축물의 부재 단위와 매칭시키는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매칭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수행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건축물을 등록하는 경우, 복수 개의 건축물을 단지(Complex) 단위로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핑된 단지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동(Subentity) 단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단지 단위 또는 동 단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점검활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점검정보 및 상기 점검활동에 따른 점검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보수활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보수정보 및 상기 보수활동에 따른 보수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웹 플랫폼은, 상기 제1 내지 4 인터페이스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권한을 갖도록 복수 개의 계정 타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저(User)에게 상기 기설정된 복수 개의 계정 타입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 건축물에 대해 부재의 위치나 상호 연관관계에 근거한 BIM-유지관리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높은 수준의 작업 인터페이스 제공한다.
수집 데이터 기반 건축물 선제적 관리를 위한 다양한 분석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건축물 등록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매칭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조회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의 각각의 유저에 대한 계정 할당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재 단위의 점검활동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의 화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재 단위의 보수활동 데이터 조회 프로세스의 화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 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을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웹 플랫폼은 빌딩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을 기반으로 2차원 평면이 아닌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원가, 공정, 유지관리 등 건축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웹 플랫폼은 정보화 요원(Staff) 등 하나 이상의 유저(User)가 작업하는 로컬 컴퓨터(20)와 하나 이상의 로컬 컴퓨터(2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도록 각각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10)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웹 플랫폼 상의 서버(10)는 유저의 로컬 컴퓨터(20)와 일부 화면을 공유하고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되, 상기 로컬 컴퓨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등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제1 내지 4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웹 플랫폼 상의 로컬 컴퓨터(2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와 화면을 갖는 단말기로, 단말기는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유저가 할당된 계정 타입에 따른 권한을 갖고 접속하여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건축물(Entity)을 부재 단위로 등록하는 제1 인터페이스(100);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200);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등록된 건축물의 부재 단위와 매칭시키는 제3 인터페이스(300); 및 상기 매칭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수행하는 제4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100)를 통한 건축물 등록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대상 건축물을 로컬 컴퓨터(20)의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3D Modeling)하고, 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여 건축물을 웹 플랫폼상에 등록한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100)는 등록된 텍스트 형식의 건축물을 파싱(parsing)하여 웹 플랫폼 상에 등록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제1 인터페이스(100)는 건축물을 부재 단위(Element)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부재가 구분되어 하나의 건축물을 이루도록 등록하며, 후술하는 제3 인터페이스(300)에 의해 건축물에 대한 복수의 정보 데이터가 부재의 위치나 상호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맵핑되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이루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인터페이스(100)는, 복수 개의 건축물을 등록하는 경우, 복수 개의 건축물을 단지(Complex) 단위로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핑된 단지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동(Subentity) 단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인터페이스(100)는 복수 개의 건축물을 준공연도(예를 들어, 91년 신축, 99년증축 등), 관리주체(예를 들어, 서울시설공단 등) 등의 기설정된 기준(Type)에 따라 동 단위로 분할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00)는 단지 단위 또는 동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에 대한 등록 프로세스를 3차원 환경으로 로컬 컴퓨터(20)의 화면에 제공하며, 유저는 입력장치를 통해 3차원 환경에서 대상 건축물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유저는 등록된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소정의 로컬(local) 원점에 대한 절대 좌표를 부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2 인터페이스(200)를 통한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 4는 도 1의 제3 인터페이스(300)를 통한 데이터 매칭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유저는 제2 인터페이스(2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제3 인터페이스(300)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기등록된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부재 단위로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데이터는 기등록된 대상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물명, 주소, 용도, 연면적, 층수 등 건축물대장에서 확인 가능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유저는 제3 인터페이스(300)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등록된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부재 단위로 매칭시킬 수 있다. 즉, 제3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복수 개의 부재 단위와 각각 대응되도록 맵핑(Mapping)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플랫폼을 이루는 서버는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입력된 각각의 데이터가 부재의 위치나 상호 연관관계를 기반으로 체계를 이루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건축믈을 등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기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제1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단지 단위 또는 동 단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200)는 단지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에 대해 단지명, 주소, 건축물 수, 관리주체, 용도 등의 속성 정보를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동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에 대해 준공 동서, 점검진단보고서, 보수보강도면, 구조해석보고서 등의 자료(dwg, pdf 등) 정보를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유저는 제2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각각의 건축물에 대한 점검활동과 관련된 속성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점검활동과 관련된 속성정보 데이터를 제3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부재 단위에 대응하도록 맵핑시킬 수 있다.
이때, 점검활동은 반기별 또는 매년 실시하는 법정점검(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데이터는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점검정보에 관한 것으로, 점검활동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점검정보 및 상기 점검활동에 따른 점검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점검정보는 점검명칭, 점검회사, 점검등급, 책임기술자 등의 점검활동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제2 점검 정보는 점검종류, 점검값, 값단위, 이미지(결함 사진 등), 중대결합여부 등의 상기 점검활동에 따른 점검결과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건축물에는 복수의 점검활동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점검활동에는 복수의 점검결과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등록된 건축물에는 각각에 대해 복수 개의 제1 점검정보가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점검정보에 대해 복수 개의 제2 점검정보가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건축물은 제1 점검정보와 1:多의 관계를 가지며, 하나의 제1 점검정보는 제2 점검정보와 1:多의 관계를 갖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제2 점검정보는 대상 건축물의 부재 단위에 대응되도록 맵핑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점검정보에 포함되는 건축물에 대한 점검종류는 육안조사와 장비조사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육안조사는 균열, 철근노출, 백태, 박락, 누수 등의 하위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장비조사는 콘크 리트 강도, 기울기, 염화물, 탄산화 조사 등의 하위항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제2 점검정보로서 입력되는 점검종류에 따라, 입력받는 점검 값의 단위가 결정되도록 시스템화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인터페이스(200)는 제2 점검정보로서 입력되는 점검종류가 육안조사인 누수인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입력받는 점검값의 단위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검정보로서 입력되는 점검종류가 장비조사인 콘크리트 강도인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입력받는 점검값의 단위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유저는 제2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각각의 건축물에 대한 보수활동과 관련된 속성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보수활동과 관련된 속성정보 데이터를 제3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부재 단위에 대응하도록 맵핑시킬 수 있다.
이때, 보수활동은 시설물을 보수하거나 보강하는 등 공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3 데이터는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보수정보에 관한 것으로, 보수활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보수정보 및 상기 보수활동에 따른 보수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보수정보는 공사명칭, 시공회사, 공사기간, 책임기술자 등의 보수활동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제2 보수정보는 보수종류, 보수물량, 값단위, 이미지(보수 사진) 등의 보수활동에 따른 보수결과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보수활동에는 복수의 보수결과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 보수정보에는 복수 개의 제2 보수정보가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건축물에는 복수의 보수활동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보수활동에는 복수의 보수결과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등록된 건축물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 보수정보가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보수정보에는 복수 개의 제2 보수정보가 대응되어 입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건축물은 제1 보수정보와 1:多 관계를 가지며, 하나의 제1 보수정보는 제2 보수정보와 1:多 관계를 갖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제2 보수정보는 대상 건축물의 부재 단위에 대응되도록 맵핑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보수정보에 포함되는 건축물에 대한 보수종류는 보수시공과 보강시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보수는 균열보수, 미장, 단면복구 등의 하위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은 철판보강, 탄소보강, 단면 증설 등의 하위항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인터페이스(200)는 제2 보수정보로서 입력되는 보수종류에 따라, 입력받는 보수물량 값의 단위가 결정되도록 시스템화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인터페이스(200)는 제2 보수정보로서 입력되는 보수종류가 보수시공인 단면복구인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입력받는 보수물량 값의 단위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수정보로서 입력되는 보수종류가 보강시공으로 탄소보강인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입력받는 보수물량 값의 단위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4 인터페이스(400)을 통한 데이터 조회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유저는 제4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원하는 정보를 부재 단위로 조회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400)는 통신 접속된 로컬 컴퓨터(20)를 통해 입력된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조회 요청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추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각각의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재 단위로 조회 요청할 수 있으며, 제4 인터페이스(400)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각각의 건축물에 대해 부재 단위로 맵핑된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요청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추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의 각각의 유저에 대한 계정 할당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웹 플랫폼은, 상기 제1 내지 4 인터페이스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권한을 갖도록 복수 개의 계정 타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저(User)에게 상기 기설정된 복수 개의 계정 타입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웹 플랫폼은, admin(최고관리자), manager(관리자), staff(정보화요원), owner(건축주)으로 구분되는 계정 타입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유저에게 어느 하나의 계정 타입을 할당하며, 각각의 계정 타입에 대하여 대상 건축물, 대상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 조회, 입력, 수정 등의 권한이 서로 상이하게 부여된다.
예컨대, owner(건축주) 계정 타입의 유저는 조회 권한을 갖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데이터 조회를 수행할 수 있으며, staff(정보화요원) 계정 타입의 유저는 조회 및 수정 권한을 갖는 건축물에 대해 데이터 조회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을 등록할 수 있으며, 점검활동 또는 보수활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manager(관리자) 계정 타입의 유저는 모든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 조회, 입력, 수정이 가능하고, admin(최고관리자) 계정 타입의 유저는 웹 플랫폼과 관련된 모든 권한을 갖음과 동시에 다른 유저의 계정 타입을 수정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로컬 컴퓨터(20) 상에서 유저에게 나타나는 화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의 사용 태양을 설명한다. 다만, 로컬 컴퓨터(20) 상에서 유저에게 나타내는 화면은 도 7 및 8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재 단위의 점검활동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의 화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재 단위의 보수활동 데이터 조회 프로세스의 화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로컬 컴퓨터(20)를 통해 공유되는 화면의 상부의 A 영역에는 대상 건축물 명칭이 표시된다. 화면의 하부 좌측의 B 영역에는 등록된 단지 단위 또는 동 단위의 복수 개 건축물이 나타나거나, 각각의 건축물이 부재 단위로 나타나는 도면이 표시된다. 특히, B 영역의 도면 상에는 유저의 조절에 따라 선택되는 대상 건축물 또는 대상 부재가 다른 것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A 영역의 하부에는 유저가 B 영역에 표시된 도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고,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하기 위한 모드를 정하기 위한 아이콘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저는 위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여 B 영역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대상 건축물 또는 대상 부재를 선택하거나,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의 2차원 또는 3차원 상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된 대상 건축물 또는 대상 부재는 다른 것들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화면의 하부 우측의 C1 내지 C3 영역에는 유저가 입력 장치를 통해 대상 건축물에 대해 데이터를 부재 단위로 입력 또는 수정하거나, 조회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C1 영역에 있어, 유저는 점검활동 또는 보수활동 중 어느 하나 중의 데이터 등록(입력) 또는 조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C2 영역에 있어, 유저는 대상 건축물에 등록된 복수 개의 부재 단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부재는 B 영역에 있어 다른 부재와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C3 영역에 있어, 유저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점검활동 또는 보수활동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또는 조회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입력 장치를 통해 C1 영역에서 점검활동에 대한 데이터 등록(입력) 모드를 선택한 이후에, C2 영역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선택하고, C3 영역에서 점검명칭, 점검회사, 점검등급, 책임기술자 등의 제1 점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입력장치를 통해 C1 영역에서 보수활동에 대한 데이터 조회 모드를 선택하 이후에, C2 영역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선택하고, C3 영역에서 보수종류, 보수물량, 값단위, 이미지(보수 사진) 등의 제2 보수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은 3D BIM 등록 및 렌더링, 안전점검ㆍ보수보강 상세정보 부재단위 맵핑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3차원 개별 부재 단위로 이미지, 수치, 등급 등 각종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향후 빅데이터 기반 과학적 분석체계를 위한 기초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버
20: 로컬 컴퓨터
100: 제1 인터페이스
200: 제2 인터페이스
300: 제3 인터페이스
400: 제4 인터페이스

Claims (9)

  1.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 플랫폼은,
    하나 이상의 건축물(Entity)을 부재 단위로 등록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등록된 건축물의 부재 단위와 매칭시키는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매칭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수행하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건축물을 등록하는 경우, 복수 개의 건축물을 단지(Complex) 단위로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핑된 단지 단위의 복수 개의 건축물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동(Subentity) 단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단지 단위 또는 동 단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점검활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점검정보 및 상기 점검활동에 따른 점검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점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등록된 건축물에 대한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더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보수활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보수정보 및 상기 보수활동에 따른 보수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제2 보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플랫폼은, 상기 제1 내지 4 인터페이스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권한을 갖도록 복수 개의 계정 타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저(User)에게 상기 기설정된 복수 개의 계정 타입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KR1020210010223A 2021-01-25 2021-01-25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KR20220107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23A KR20220107509A (ko) 2021-01-25 2021-01-25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23A KR20220107509A (ko) 2021-01-25 2021-01-25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09A true KR20220107509A (ko) 2022-08-02

Family

ID=8284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23A KR20220107509A (ko) 2021-01-25 2021-01-25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5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0150A (zh) * 2023-05-25 2023-06-23 广东省建设工程质量安全检测总站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地基基础在线检测方法及系统
KR102591283B1 (ko) 2023-05-24 2023-10-19 박철수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83B1 (ko) 2023-05-24 2023-10-19 박철수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KR102591731B1 (ko) 2023-05-24 2023-10-23 박철수 비아이엠과 아이오티를 이용한 건축물의 유지보수 방법
CN116290150A (zh) * 2023-05-25 2023-06-23 广东省建设工程质量安全检测总站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地基基础在线检测方法及系统
CN116290150B (zh) * 2023-05-25 2023-07-21 广东省建设工程质量安全检测总站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地基基础在线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Effect of BIM on rework in construction projects in Singapore: Status quo, magnitude, impact, and strategies
Kelly et al. BIM for facility management: a review and a case study investigating the value and challenges
L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on-site assembly services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Wu et al. BIM execution planning in green building projects: LEED as a use case
Seyis Pros and cons of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the AEC industry
Lavy et al. A case study of using BIM and COBie for facility management
CN109785436B (zh) 一种基于bim技术的钢筋信息全生命周期的管理方法
Martins et al. Evaluation of 4D BIM tools applicability in construction planning efficiency
Codinhoto et al. BIM for FM: a case support for business life cycle
US20130066789A1 (en) Project management tool
Arain et al. Contractors’ views of the potential causes of inconsistencies between design and construction in Saudi Arabia
KR101422352B1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Zolfagharian et al. Current trends in construction site layout planning
Guo et al. Civil integrated management: An emerging paradigm for civil infrastructure project delivery and management
KR20220107509A (ko) 웹 플랫폼을 이용하는 bim 기반의 건축물유지정보 관리시스템
Wang et al. A deployment framework for BIM localization
Muzafar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o mitigate the health and safety risks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industry: a review
Wang et al. Adopting BIM to facilitate dispute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onceptual framework development
Oldfield et al. 3D cadastral lifecycle: An information delivery manual ISO 29481 for 3D data extraction from the building permit application process
Liu et al. Quality control for offsite construction: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Nguyen et al. A theoretical BIM-based framework for quantity take-off to facilitate progress payments: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 projects in Vietnam
Guo et al. Implementation of CIM-related technologies within transportation projects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Jawadekar A case study of the use of BIM and 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for facilit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