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155A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155A
KR20220107155A KR1020227008862A KR20227008862A KR20220107155A KR 20220107155 A KR20220107155 A KR 20220107155A KR 1020227008862 A KR1020227008862 A KR 1020227008862A KR 20227008862 A KR20227008862 A KR 20227008862A KR 20220107155 A KR20220107155 A KR 2022010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thermochromic
blade
raz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브레트
알렉산더 니콜라스 보케
니콜라오스 크리산타코풀루스
Original Assignee
빅 비올렉스 싱글 멤버 에스.아.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비올렉스 싱글 멤버 에스.아.,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빅 비올렉스 싱글 멤버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2010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7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with blades being resiliently mounted in the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81Shaving methods; Usage or wear indication; Testing methods
    • B26B21/4087Usage or wear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면도기용 카트리지(20)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a)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에 부착된 블레이드(33)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측 표면(65)의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74)이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출원 EP19206591.0으로부터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하기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면도기 카트리지,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방법, 면도기 조립체 및 부품들의 관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 카트리지(안전 면도기 카트리지 또는 면도기 카트리지로도 알려짐)들은 사용시 면도 방향으로 배향되는 면도기 핸들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커팅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은 면도 방향에 수직으로 장착된 블레이드를 지지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가드(면도 방향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의 리딩 종방향 측)와 캡(면도 방향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을 구비한다. 사용시, 사용자는 면도기 핸들을 면도 방향으로 잡고 면도기 카트리지를 면도 표면을 규정하는 피부의 일부분과 접촉시킨다.
전형적으로, 면도 평면은, 예를 들어 면도 헤드의 커팅 에지의 제1 및 제2 피부 접촉점을 교차하는 접선에 의해 규정된다. 보다 간단하게, 면도 평면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피부-접촉 표면 상의 최고점들 사이의 복수의 라인을 교차하는 평면 - 예를 들어, 면도 헤드의 캡의 상부와 가드의 상부와의 사이의 평평한 평면으로서 근사화될 수 있다. 면도기 핸들의 이동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들이 면도 방향으로 사용자의 면도 표면(피부)을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야기시켜, 면도 평면이 면도 방향으로 면도 표면을 가로질러 병진되어 블레이드들이 원치 않는 털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를 헹구는데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의 편안함과 면도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도기 카트리지의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면도기용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이다.
효과는, 블레이드 서포트에 열변색부를 포함시키는 것이 블레이드 서포트가 열변색부 및 면도기 블레이드에 직접적인 열 접촉을 갖는 직접적인 가시적 표시자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열변색부가 면도기와 직접 열 접촉하기 때문에, 열변색부는, 더 정확하게 및/또는 더 적은 시간 지연과 함께, 면도기 블레이드의 온도, 또는 면도기 블레이드의 온도 천이점을 보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제2 블레이드 서포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블레이드 서포트는 사용시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제2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2 광학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2 광학 특징부는 제2 열변색부의 제2 온도 응답에 따라 제2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2 열변색부이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상이한 온도에서 각각 색상이 변화하는 하나 이상의 열변색부(열변색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제1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부분보다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다른 부분 상에 배치된 추가의 광학 특징부를 더 포함한다. 추가 광학 특징부는 추가 열변색부의 추가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추가 열변색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은 제2 열변색부의 제2 온도 응답과 상이하고/하거나 추가 열변색부의 추가 온도 응답과 상이하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복수의 수온 또는 수온 범위에 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가 제1 온도를 가질 때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가 제2 온도를 가질 때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블레이드를 헹구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수온 또는 수온 범위, 및/또는 면도기 블레이드 자체의 온도에 관한 상이한 색상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일부의 온도가 섭씨 20 내지 45도, 보다 상세하게는 섭씨 32 내지 42도, 및 가장 상세하게는 섭씨 35 내지 39도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헹굼 물이 사용자가 쾌적한 습식 면도를 위해 선호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 제1 측면에 따른 면도기가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제1 및 제2 서브-부분으로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1 서브-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서브 부분과 상이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면도기 블레이드들의 온도가 다양한 색상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온도에 걸쳐 더 직관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건염 염료, 현상제, 및 제1 반응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변색 잉크 화합물을 포함한다.
효과는 색 천이 온도가 관심 온도들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열변색부는 건염 염료, 현상제, 및 제2 반응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변색 잉크 화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2 반응 매체는 제1 반응 매체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낮은 용융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응 매체는 에틸 팔미테이트, 디메틸 세바케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p-톨루에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3,4-디메틸벤조에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에이코사노에이트, 2-트리데칸올,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2-(4-메톡시페닐)에탄올, 1,2-옥탄디올, 1-테트라데칸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1-펜타데칸올, 운데칸산, 에루크산, 데칸산, 도데칸산, N-옥타데칸, N-노나데칸, N-에코산, N-헤네코산, N-도코산, 2-트리데칸온, 7-펜타데카논, 5-헥사데카논, 7-헥사데카논, 2-펜타데카논, 4-헵타데카논, 3,4-디메틸벤조페논,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2-페닐에틸 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세하게는, 제1 반응 매체는 메틸 팔미테이트, 1,2-옥탄디올, 데카노산, n-옥타데칸, 7-펜타데카논,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n-옥타데칸, 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스테아릴 벤조에이트, 도데카노페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반응 매체는 왁스 또는 왁스 유도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특징은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층은 제1 색상을 포함하고, 제2 층은 제2 색상을 포함하고, 제2 층은 면도기의 사용 동안 점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효과는, 제2 색상을 포함하는 제2 층의 침식이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용 정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블레이드가 얼마나 자주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 서포트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3 부분은 카트리지의 후방 프레임을 통해 가시적이고,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부분, 제2 부분, 또는 제3 부분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들의 온도의 시각적 피드백이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방(면도 표면에 통상적으로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부분)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블레이드들의 온도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이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를 헹굴 때 면도기 카트리지의 오픈-백(open backed) 프레임을 통해 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제1 온도 응답으로서 비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효과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어느 시점에서, 적어도 한번 사용되었다는 것을 면도기 카트리지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열변색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화 온도를 갖는 염료를 포함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대안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는, 어느 시점에서, 면도기 카트리지가 너무 뜨거운 물에 노출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특징부는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에 적용되는 코팅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면도기용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SH)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SH)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 그리고
-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제1 광학 특징부를 제공하는 단계.
제3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 또는 그 실시예들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선회가능 또는 비-선회가능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비-선회가능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선회가능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 또는 그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홀더, 및 선택적으로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가 제공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독자가 이제 참조해야 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다.
또 다른 특징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 설명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의도된다. 서로 다른 도면에서 공통되는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커팅 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실시예들에 따른 커팅 부재의 일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 상의 열변색부의 예시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 상의 열변색부에 대한 대안적인 레이아웃 접근방식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의 후방에서의 열변색부의 예시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면도기 조립체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조립체(1)는 핸들(2)의 근위부(4)와 원위부(6) 사이에서 핸들 방향(H)으로 연장하는 핸들(2)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핸들(2)의 원위부(6)에 장착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면도기 조립체(1)의 이어지는 논의에서 더 상세하게 제시될 것이다.
예시에서 핸들(2)의 원위부(6)에 면도기 카트리지(20)를 장착하는 것은,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를 통해, 핸들(2)의 기준의 프레임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기준의 프레임에 대해 변화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각도가 변화되고 사용 중 변화에 적응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사용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방향 축선(L)을 중심으로 핸들(2)에 대해 선회한다. 선회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체의 윤곽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방향 축선(L)은 핸들(2)을 따른 면도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핸들(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의 다른 예는 WO 2006/027018 A1에서 논의된다. 다른 대안은 축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피봇 축선(로킹 축선)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이다. 실시예들에서,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는 생략(도시되지 않음)될 수 있고 핸들(2)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서포트의 일체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는 핸들(2)로부터의 다 쓴 면도기 카트리지의 신속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기구(5a, 5b)를 더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2) 및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서포트는 플라스틱 스프링 부재와 같은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일체로 형성된다.
핸들에 대한 면도기 카트리지의 연결은 면도기 카트리지가 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수반하는 전술한 예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비-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다. 실시예들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기 핸들과 모놀리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즉 면도기 카트리지는 비-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들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2)은 파지 마찰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 또는 고무-유사 재료로 형성된 핸들 그립(9)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은 사용자에 의해 핸들(2)의 보다 안전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엄지-레스트(thumb-rest)(7)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문구 "블레이드 서포트의 상부"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사용 중일 때 사용자의 면도 표면에 가장 가까운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측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부-장착형 커팅 부재를 갖춘 면도기 카트리지가 사용될 때, 면도 표면이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30)에 의해 배타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공격적인 면도는 증가된 정도의 니크(nicks)와 절단(cuts) 그리고 증가된 자극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피부가 면도 동안 비교적 작은 표면으로 지지되게 하고, 블레이드간 갭 사이의 면도 표면(피부)의 "부풀어 오르는(bulging)" 정도를 증가시킨다.
종래의 면도기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면도에 사용되는 편안한 수온을 측정하기 어렵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면도기용 카트리지(20)가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내부 표면(66)에 부착된 블레이드(33)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74)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부분 분해도(partial exploded view)"는 도면의 명확성을 돕기 위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일부 작은 구성요소가 분해도에서 생략되었음을 의미한다.
면도방향(S)은 화살표(S)를 사용하여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면도 표면(도 2에 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고, 화살표(S)의 방향으로 면도 표면을 가로질러 병진된다.
프레임(21)은 플라스틱, 수지, 또는 탄성중합체와 같은 합성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21)은 면도기 조립체(1)의 핸들(2)에, 일체로, 또는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와 같은 연결 기구에 의해 또는 상호연결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가능한 플랫폼 부재(22)를 포함한다.
가드 부재(23)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실질적으로 종방향인 에지로서 제공된다. 사용시, 가드 부재(23)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제1 부분인 리딩 종방향 측부(leading longitudinal side)(24)에 위치되고, 따라서 절단되지 않은 털과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제1 부분이다.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리딩 종방향 측부에 대향하고 면도 방향에 대향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측부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trailing longitudinal side)(25)이다. 따라서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는 사용시 면도 표면과 접촉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최종 부분이다.
"리딩 종방향 측부(24)" 및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라는 용어는 면도기 카트리지(20) 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특정 특징부의 부재나 존재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드 부재(23)는 일 실시예에서 "리딩 종방향 측부(24)"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트리밍 블레이드는 다른 예에서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들 위치가 그러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가드 부재(23)는,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도 4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는 가드 부재(23)에 평행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면도 방향에 수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핀(fins)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탄성중합체 부재의 하나의 목적은, 예를 들어, 절단 전에 피부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실시예들에서,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에 또는 그 근처에 캡 부재(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부재(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의 존재는 필수적이지 않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프레임(21)의 블레이드 수용부(31)에 수용되는 일 그룹의 커팅 부재(29)들을 더 포함한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은 복수의 커팅 부재(28a 내지 28d)를 포함한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은 프레임(21) 내에 종방향으로 그리고 면도 방향(SH)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시, 면도기 카트리지(20)가 면도 방향(S)으로 면도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됨에 따라 커팅 부재(28a 내지 28d)의 블레이드들은 면도 표면과 접촉하고 면도 표면 상에 존재하는 털을 절단한다. 그룹 커팅 부재(29)들의 특정 설계는 이후에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a)는 열변색부(74a)로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서포트(32a) 상의 열변색부(74a)의 정확한 배치는 이후에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열변색부(74a)가 블레이드 서포트(32a)의 금속과 직접 열 접촉하기 때문에, 그리고 블레이드 서포트(32a)가 블레이드(33)의 금속과 직접 열 접촉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논의된 배열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사용자에게 블레이드(33)의 온도에 관한 정확하고 신속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3개의 커팅 부재들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4개의 커팅 부재(28)들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5개의 커팅 부재(28)들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6개의 커팅 부재(28)들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7개 이상의 커팅 부재(28)들을 구비한다. 커팅 부재(28)들의 모든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가 열변색부(74)를 구비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블레이드간 스팬(inter-blade spans)을 규정한다. 블레이드간 스팬의 개수는 커팅 부재의 개수보다 하나 적다.
프레임(21)은 면도기 카트리지(20) 하우징 내에 면도기 블레이드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21)은 제1 측부(16) 및 제2 측부(18)를 더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측부(16, 18)는 커팅 부재(29)들의 그룹 및 가드 부재(23)의 종방향 단부들을 고정적으로 국한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측부 리테이너(26) 및 제2 측부 리테이너(27)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가 선회가능한 핸들(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는, 선회가능한 베어링에 대한 많은 다른 설계가 채용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핸들(2)의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8)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쉘 베어링을 포함한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에 포함된 커팅 부재들은,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2개의 최전방(면도기 카트리지의 리딩 측부에 가장 가까운) 커팅 부재들에 각각 포함된 2개의 커팅 에지(30)들이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리딩 종방향 측부(24)에 가장 가까운 리딩 블레이드간 스팬을 규정하도록 면도기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간 스팬들은 일정하거나 또는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커팅 부재는 종방향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포함한다. 종방향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서포트(32) 상에 장착된다. 커팅 부재(28a 내지 28d)의 커팅 에지(30)는 면도 방향(S)에 있어서 전방으로 배향된다. 커팅 부재(28a 내지 28d)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기다랗고 구부러진 강성 재료의 조각이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서포트(32)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 내의 각각의 커팅 부재는,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블레이드 수용부(31) 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블레이드 수용부(31)는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종방향 공간을 포함한다.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커팅 부재, 즉 커팅 부재(29)들의 그룹 내의 최대 모든 개수의 커팅 부재들은 블레이드 수용부(31) 내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부는 복수의 유지 슬롯(34)을 포함한다. 횡방향 내측부 상의 각각의 유지 슬롯(34)은,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커팅 부재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블레이드간 스팬을 가지면서 블레이드 수용부(31) 내에 유지되도록,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커팅 부재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하나의 측부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프레임(21)의 각각의 횡방향 내측부에는 블레이드 서포트 부재만큼 많은 유지 슬롯(34)이 제공된다.
블레이드 수용부(31)와 핸들(예를 들어, 핸들(2) 연결부에 인접한 부분)과의 사이에는, 실시예들에서,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크로스 부재(35)가 제공된다. 크로스 부재(35)는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부 상의 유지 슬롯(34)과 정렬되는 복수의 돌기로서 제공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 가이드(36)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서포트 가이드(36)는 종방향에 있어서 평행한 블레이드간 스팬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하나의 변형예(도 2 및 3에 도시됨)에서, 블레이드 서포트(32)들의 간격은 면도기(20)의 리딩 종방향 측부(24)와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가변 블레이드 간 스팬(IBS)을 생성한다. 이들 배열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방법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횡방향(y 내지 -y)으로 횡방향 내측부에 제공된 유지 슬롯(34)들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블레이드 서포트 가이드(36)들의 위치 및/또는 폭은, 커팅 부재(28a 내지 28d)들의 커팅 에지(30)들 사이의 블레이드 간 공간(IBS)들의 그룹이 평행하도록, 상응하게 조정된다. 대안적으로, 연이은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은 P-Q 방향에 있어서 동일할 수 있다.
도 4의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에 4개의 탄성 핑거(resilient fingers)(38a, 38b, 38c, 38d)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의 4개의 탄성 핑거(38a, 38b, 38c, 38d)들과 횡방향으로 대응되게 정렬되는 제2 리테이너(27) 아래의 4개의 탄성 핑거들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8개의 탄성 핑거들은,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커팅 부재들이 조립시 휴지 위치에 있도록,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각각의 커팅 부재에 대해 면도 표면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각각 가한다. 휴지 위치에서,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 근처의 블레이드(33)들의 각각의 측방향 단부에서, 블레이드(33)들의 커팅 에지(30)들은 대응하는 정지부(stop portions)들에 대해 지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지부들은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 부재(28a 내지 28d)의 휴지 위치는 양호하게 규정되어, 높은 면도 정밀도가 가능하다. 물론, 예시된 가압 배열은 많은 변형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크로스 부재(35) 상에는 추가로 복수의 탄성 핑거가 제공될 수 있다. (저가의 일회용 면도기와 같은) 단순화된 면도기 카트리지 설계에 있어서, 탄성 핑거들은 생략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공될 탄성 핑거(38)의 개수가 커팅 부재(29)의 그룹 내의 커팅 부재(28a 내지 28d)의 개수와 관련되고, 8개보다 적거나 많은 탄성 핑거(38)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횡방향 축선(P-Q)을 따른, 도 2의 면도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부분 분해도인 도 2에 도시된 특징에 더하여, 도 3은, 일부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지만 필수적이지는 않은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캡 부재)를 추가로 도시한다.
특히, 대안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는, 실시예들에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30)들이 면도 표면 위를 통과한 후에, 면도 표면에 윤활제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을 도포하기 위한 대안적인 종방향 스킨케어 요소(50)(예컨대, 윤활 스트립)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는, 실시예들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 상에 배치된 종방향 트리밍 블레이드(53)를 포함한다. 트리밍 블레이드(53)는, 예를 들어, 외부 비강모(extraneous nasal hairs)와 같은,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블레이드(33)들을 사용하여 도달하기 곤란한 털을 트리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밍 블레이드(53)는 단지, 최대 3/4, 최대 1/2, 또는 최대 1/4와 같은,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의 종방향의 비율에 걸쳐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밍 블레이드(53)는 트리밍 블레이드 서포트(54) 상에 장착된다. 트리밍 블레이드 서포트(54) 상에 장착된 트리밍 블레이드(53)의 조립체는, 일 실시예에서, 부품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에 포함된 블레이드 수용부(31), 블레이드 서포트(32), 및 블레이드(33)의 설계와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트리밍 블레이드(53) 및 트리밍 블레이드 서포트(54)는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에 포함된 블레이드 수용부(31), 블레이드 서포트(32), 및 블레이드(33)의 설계와 상이한 설계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안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는 안전 특징부로서 후퇴가능한 커버(52)를 포함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트리밍 블레이드(53)를 날카롭게 유지한다.
면도기의 프레임(21)과 공통으로, 대안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 및/또는 후퇴가능한 커버(52)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는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는 예를 들어 프레임(21)에 접착되거나 초음파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1)는 면도 방향으로의 프레임(21)의 트레일링 에지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가 되도록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 없이 제공된다.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면도 방향으로의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는 면도 방향으로의 프레임(21)의 트레일링 에지로 간주된다.
도 4는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커팅 부재(28)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블레이드 장착부(71)는, 사용시,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각각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내부 표면(66) 상에 배치된다. 커팅 에지(30)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전방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반대측은, 사용시, 사용자의 면도 표면 즉 피부를 향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로 지칭된다.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열변색부(74)로서 블레이드 서포트의 상측부 상에 제공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열변색부(74)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 상에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시 제1 열변색부(74)는 사용자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전방을 관찰할 때 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광학 특징부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제2 부분(76)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광학 특징부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제3 부분(7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광학 특징부는 전방 단부(72)의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광학 특징부는 특히 블레이드 서포트(32)가 두꺼울 때 사용자에 의해 충분히 보여질 수 있다. 광학 특징부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제2 열변색부(76) 또는 제3 열변색부(78)로서 제공되는 경우, 광학 특징부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전방으로부터 볼 수 없다. 그러나, 많은 면도기 카트리지들은 헹구는 동안 물이 더 쉽게 흐를 수 있도록 개방 프레임(21)을 갖는다. 개방 프레임(21)의 효과는, 사용자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전방이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상태로 면도기 카트리지(20)를 유지할 때, 블레이드 서포트(32)의 후방이 가시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광학 특징부(열변색부(74))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전방으로부터 면도기 카트리지(20)의 블레이드 서포트 부재(32)의 온도에 대한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사용자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헹굴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열변색부(76 또는 78)들이 개방 프레임(21)의 후방을 통해 돌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서포트(32)는 0.12 mm 내지 0.21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5 mm 내지 0.185 mm 범위, 상세하게는 0.155 mm 내지 0.17 mm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 mm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커팅 부재(29)들의 그룹의 각각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동일하고, 같은 두께(T2) 및 같은 경사각(A)을 갖는다. 이 경우에, 블레이드 스팬(43a, 43b, 43c, 및 43d)에 대한 커팅 에지는 동일하다.
4개의 블레이드(33a 내지 33d)들을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예시되었지만, 본 명세서는 또한 3개의 블레이드들, 또는 4개보다 많은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서포트(32a 내지 32d)들 각각은, 사용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30)들에 더하여 면도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라운드진 전방 단부(72)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면도 표면과의 각각의 커팅 에지 접촉점에서 압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커팅 에지 접촉점들에서의 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내부 표면(66) 상에서 블레이드(33)의 용접 전에 구부러지는 편평한 시트 금속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커팅 부재(28)는 블레이드(33)(면도기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3)는 그 편평한 부분에서 두께(T1)가 약 0.1 mm(예를 들어, 0.04 내지 0.11 mm, 상세하게는 약 0.074 mm)이다. 블레이드(33)의 커팅 에지(30)와 블레이드(33)의 반대쪽 후방 에지와의 사이의 블레이드(33)의 총 길이(L2)는 약 1 mm(예를 들어, 0.8 mm 내지 1.3 mm)이다. 사용시,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과 접촉하는 블레이드(33)의 부분은 약 0.49 mm +/- 0.1 mm 길이인 길이(L1)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아래쪽(블레이드 서포트(32)의 내부 표면)에 블레이드의 양호한 유지가 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팅 부재(28)의 높이(H)는 2.53 mm 내지 2.63 mm, 바람직하게는 2.58 mm이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서포트의 전방 단부(72)는 커팅 부재의 활주(glideness)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운드지거나 모따기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3)는 면도 표면에 비해 커팅 에지(30)의 노출(E)을 양 또는 음으로 조정하기 위해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내부 표면(6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노출은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30)가 그 블레이드 서포트의 단부(72) 위로 얼마나 현저하게 돌출하였는지 또는 그 아래로 얼마나 현저하게 가라앉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3)는 면도 표면에 대해 -80 ㎛ 내지 +80 ㎛ 범위의 노출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 -65 ㎛, -60 ㎛, -55 ㎛, -50 ㎛, -45 ㎛, -40 ㎛, -35 ㎛, -30 ㎛, -25 ㎛, -20 ㎛, -15 ㎛, -10 ㎛, -5 ㎛, 0 ㎛, 5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50 ㎛, 55 ㎛, 60 ㎛, 65 ㎛, 70 ㎛, 또는 75 ㎛의 노출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커팅 에지(30)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하부의 외부면과의 사이에서, 커팅 부재(28)의 길이(L3)는 약 1.0 mm(예를 들어, 0.9 mm 내지 1.6 mm)이다.
블레이드(33)는 레이저 스폿 용접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33)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종방향 치수를 따라 분포된 복수의 스폿 용접(예를 들어, 10 내지 16개의 스폿 용접)에 의해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 상에 고정된다. 각각의 스폿 용접은 블레이드(33)의 내부면(7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스폿 용접은 블레이드 서포트(68)의 외부 표면 상에서, 또는 이 둘을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32)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한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을 공유한다. 블레이드 서포트 부재의 상측부(65)는 제1 열변색부(74)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변색부(74)는 블레이드 서포트 부재(32)의 상측부(65)에 적용되는 연속 스트립이거나, 또는 서브-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종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 상에 장착되고, 사용시, 블레이드 서포트의 어떠한 부분도 면도 표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특히, 본 측면 및 실시예들에서,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블레이드 장착부(71)는, 사용시,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각각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블레이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장착부(71)에 부착된다.
본 접근방식에 따르면, 블레이드(33)는 각각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 상에 장착되고, 커팅 에지를 규정하는 내부 표면의 아래로부터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30)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단부와의 사이에서 면도 표면을 향해 블레이드 스팬(43)까지 돌출한다. 사용시, 커팅 부재(28)가 면도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블레이드(30)의 커팅 에지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단부 모두는 동시에 면도 표면과 접촉하며, 이는 예를 들어 단일의 커팅 에지에 의해 면도 표면에 가해지는 힘의 감소를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커팅 부재(28a 내지 28d)가 면도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될 때 블레이드 서포트(32) 상에서의 블레이드(33)의 위치는, (사용시, 사용자의 피부와 같은)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블레이드(33)의 표면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접선이 블레이드(33)가 장착되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임의의 지점을 통과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규정된다.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블레이드(33)의 위치의 추가적인 정의는, 커팅 부재(28a 내지 28d)가 면도기 카트리지 내에 장착될 때, 사용시 면도 표면을 향해 지향되는 블레이드 장착부(71)와 접촉하는 블레이드(33)의 부분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접선이 블레이드(33)가 장착되는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통과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효과는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아래"에 매달려 있는 블레이드(33)의 제공이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가 이용가능하게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이는 단순한 인쇄된 로고 또는 색깔 블록일 수 있다.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및 대안적으로 또한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제2 부분(76) 및 제3 부분(78))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금속성 재료와의 열변색부의 직접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실제 온도와 관련된 열 에너지는 열변색부(74)에 직접 전도되고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어,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온도, 나아가서 블레이드 서포트(32) 상에 장착된 블레이드(33)의 온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블레이드(33)를 포함하는 금속과 블레이드 서포트(32) 사이의 전도 손실이 최소라고 가정함). 이러한 접근방식은,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프레임(21) 내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온도의 광학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광학 특징부를 제공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
실시예들에서, 열변색부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금속성 재료와 직접 접촉하고, "매달린 블레이드(hanging blade)" 배열의 사용으로 인해,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 부분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사용자에 의해 쉽게 관찰될 수 있는 열변색부(74)의 부분 또는 스트립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다.
지역 수도 시스템은 종종 안정적인 온도에 도달하는데 최대 10초가 걸리며, 원하는 면도 온도를 지나칠 수 있다. 상이한 온도에 응답하는 복수의 열변색 잉크를 제공하는 것은 물의 온도가 습식 면도 동안에 변화하여, 사용자가 초기에 면도를 시작한 온도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열변색부에 의해 형성된 광학 특징부(광학 표시자)는, 예를 들어, 커팅 부재(28)의 블레이드 서포트(32) 상에 내장된 열변색 잉크에 의해 제공된다. 열변색 잉크의 예는 발색 유기 화합물(화합물 A), 색상 현상제(화합물 B), 및 변색 온도 조절제(화합물 C)의 혼합물이다. 변색 온도 조절제는 화합물 A와 화합물 B 사이의 가역적 전자 교환을 위한 반응 매체로서 작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합물 C는 왁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열변색부에 의해 형성된 광학 특징부(광학 표시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롤 올레에이트/(Z)-옥타데크-9-에노에이트, 또는 4-(2-메틸부틸)페놀의 페닐 에스테르의 페닐 에테르 유도체와 같은 액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색 유기 화합물의 예는 건염 염료(화합물 A)이다. 대안적으로, 건염 염료는 전자-공여 화합물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색상 현상제(화합물 B)는 전자-수용 화합물로서 기능한다.
실시예들에서, 화합물 A, B, 및 C는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다. 이어서 마이크로캡슐은 착색제(예를 들어, 열적으로 안정한 염료)와 블렌딩되어 열변색 잉크를 제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변색 잉크는 시작 온도에서 보이지 않으며, 온도 상승 후에 비가역 천이로 색상을 표시한다. 그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1회용 일회용 면도기의 분야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천이의 비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한번 사용되었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변색 잉크는 시작 온도에서 색을 표시하고, 일단 온도가 제1 임계치를 지나 상승하면 온도 상승 후에는 보이지 않게 된다. 온도가 하강하면, 온도가 제2 임계치(실시예들에서, 이는 제1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지나 떨어질 때 열변색 잉크는 다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변색 잉크는 시작 온도에서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일단 온도가 제1 임계치를 지나 상승하면 온도 상승 후에는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천이한다. 온도가 하강하면, 온도가 제2 임계치(실시예들에서, 이는 제1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지나 떨어질 때 열변색 잉크는 제1 색상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변색 잉크는 시작 온도에서 보이지 않으며, 일단 온도가 제1 임계치를 지나 상승하면 온도 상승 후에는 제1 색상을 표시하도록 천이한다. 온도가 하강하면, 온도가 제2 임계치(실시예들에서, 이는 제1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지나 떨어질 때 열변색 잉크는 다시 보이지 않게 된다.
열변색 잉크의 기능은 화합물 C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화합물 C의 용융점은 열변색 잉크가 색상 천이를 수행하는 온도를 규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변화는 가역적인 착색을 초래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온도 변화는 잉크의 영구적인 변색을 초래한다.
조사 결과, 쾌적한 면도감을 위한 권장 온도는 섭씨 20 내지 45도, 보다 상세하게는 섭씨 32 내지 42도, 가장 상세하게는 섭씨 35 내지 39도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일부의 온도가 섭씨 20 내지 45도, 보다 상세하게는 섭씨 32 내지 42도, 가장 상세하게는 섭씨 35 내지 39도 범위에 있을 때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온도가 감소하면, 열변색부의 시작 색상이 다시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0)는 제1 온도 응답 위에서 비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여기서 제1 광학 특징부는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에 적용되는 코팅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상이한 열변색 염료 또는 잉크가 설계 요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건염 염료(화합물 A)는 N-아실 류코-메틸렌 블루 및 이의 유도체 화합물, 플루오란 염료 화합물, 디아릴프탈라이드 화합물, 디페닐메탄 화합물, 스피로피란 화합물,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합물 A는 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일 수 있다: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블루 63, CAS 번호: 69898-40-4), 2'-(디벤질아미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CAS 번호: 34372-72-0), N,N-디메틸-4-[2-[2-(옥틸옥시)페닐]-6-페닐-4-피리디닐]벤젠아민 (옐로우 CK37, CAS 번호: 144190-25-0), 7-(4-디에틸아미노-2-헥실옥시페닐)-7-(1-에틸-2-메틸-1H-인돌-3-일)-7H-푸로[3,4-b]피리딘-5-온 (블루 203, CAS 번호: 98660-18-5), 2-(2,4-디메틸페닐아미노)-3-메틸-6-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 (블랙 15, CAS 번호: 36431-22-8), 3,3-비스-(1-부틸-2-메틸-인돌-3-일)-3H-이소벤조퓨란-1-온 (레드 40, CAS 번호: 50292-91-6). 화합물 A로 사용가능한 또 다른 화합물도 적용될 수 있다.
화합물 B (색상 현상제)는 비스페놀, 알콕시-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산 및 그 알킬 에스테르 (갈산 에스테르로도 알려짐), 예컨대 도데실 갈레이트, 우레아, 디페닐 우레아 및 관련 화합물, 예컨대 퍼가파스트 201, 1,2,3-트리아졸, 4-하이드록시쿠마린,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 B는 하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비스페놀 C, CAS 번호: 79-97-0), 4-헥실-1,3-디히드록시벤젠 (4-헥실레조르시놀, CAS 번호: 136-77-6), 4,4'-사이클로헥실라이덴비스페놀 (BPZ, CAS 번호: 843-55-0),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비스페놀 AF, CAS 번호: 1478-61-1), 4,4'-(1-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CAS 번호: 1571-75-1), 2,2'-디하이드록시비페닐 (CAS 번호: 1806-29-7), 4,4'-(1,4-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놀 (CAS 번호: 2167-51-3), 1,1-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시클로헥산 (CAS 번호: 2362-14-3),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CAS 번호: 3236-71-3), 4,4'-(1,3-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놀 (CAS 번호: 13595-25-0),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CAS 번호: 27955-94-8), 4,4'-(2-에틸헥실리덴)디페놀 (CAS 번호: 74462-02-5), α,α,α'-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1-에틸-4-이소프로필벤젠 (CAS 번호: 110726-28-8), 및 그 혼합물.
화합물 C는 위에서 열거된 온도 범위 내에서 색을 변화시키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화합물 C는 섭씨 25 내지 45도의 용융점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 C는 하기 화합물의 패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1-도데칸올, 2-트리데칸올, 1-테트라데칸올, 1-펜타데칸올, 1-헥사데칸올, 2-(4-메톡시페닐)에탄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1,2-옥탄디올, 1,9-노난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모노- 및 폴리-알코올 패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에틸 팔미테이트, 2-하이드록시테틸 살리실레이트, 디메틸 세바케이트, 2-페닐에틸 페닐아세테이트, 트리에틸 메탄 트리카르복실레이트, 디벤질 카보네이트, 아디프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디메틸 1,10-데칸디카르복실레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p-톨루에이트, 에틸 2-푸로에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벤질 신나메이트, 메틸 3,4-디메틸벤조에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3,5-디메톡시벤조에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에틸 4-(벤질옥시)벤조에이트, 에틸 3,4-디메톡시벤조에이트, 에틸 바닐레이트, 디벤질 숙시네이트, 1-나프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테레프탈레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메틸 2-벤질옥시벤조에이트, 메틸 에이코사노에이트, 메틸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에이트, 4-펜틸페닐 4-메톡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스테아릴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알킬 및 아릴 에스테르 패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4'-메톡시프로피페논, 2-트리데카논, 7-펜타데카논, 5-헥사데카논, 7-헥사데카논, 2-펜타데카논, 4-헵타데카논, 3,4-디메틸벤조페논, 도데카노페논을 포함하는 알킬 및 아릴 케톤 페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N-헵타데칸, N-옥타데칸, N-노나데칸, N-에이코산, N-헤네에이코산, N-도코산을 포함하는 선형 및 분지형 알칸 페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운데카노산, 8-페닐록탄산, 에루크산, 데카노산, 도데카노산을 포함하는 알킬 및 방향족 카르복실산 패밀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 C는 에틸 팔미테이트, 디메틸 세바케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p-톨루에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3,4-디메틸벤조에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에이코사노에이트, 2-트리데칸올,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2-(4-메톡시페닐)에탄올, 1,2-옥탄디올, 1-테트라데칸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1-펜타데칸올, 운데칸산, 에루크산, 데칸산, 도데칸산, N-옥타데칸, N-노나데칸, N-에코산, N-헤네코산, N-도코산, 2-트리데칸온, 7-펜타데카논, 5-헥사데카논, 7-헥사데카논, 2-펜타데카논, 4-헵타데카논, 3,4-디메틸벤조페논,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2-페닐에틸 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합물 C는 메틸 팔미테이트, 1,2-옥탄디올, 데카노산, n-옥타데칸, 7-펜타데카논,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n-옥타데칸, 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스테아릴 벤조에이트, 도데카노페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28 내지 34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메틸 팔미테이트, 1,2-옥탄디올, 데카노산, n-옥타데칸, 7-펜타데카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25 내지 30도 사이, 또는 섭씨 25 내지 28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콜, n-옥타데칸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34도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에틸 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31 내지 35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메틸 팔미테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32도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40도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메틸 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42 내지 46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스테아릴 벤조에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C는 섭씨 44 내지 46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도데카노페논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합물 C는 섭씨 36 내지 38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n-에이코산, 5-헥사데카논, 7-헥사데카논, 2,4-디메틸벤질 알코올, 1-테트라데칸올, 메틸 3,4-디메틸벤조에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한 예들이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또 다른 형태의 열변색 잉크가 여기에서 논의된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제1 광학 특징부의 시각적 온도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면도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열변색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변색 잉크는 화합물 C로서 제1 반응 매체를 포함한다. 제2 열변색 잉크는 제1 열변색 잉크에 포함된 반응 매체와 상이한 화합물 C로서 제2 반응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열변색 잉크는 제1 열변색 잉크의 반응 매체보다 높은 용융점 또는 낮은 용융점을 갖는 반응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반응 매체는 에틸 팔미테이트, 디메틸 세바케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p-톨루에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3,4-디메틸벤조에이트, 디메틸 이타코네이트, 메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에이코사노에이트, 2-트리데칸올,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2-(4-메톡시페닐)에탄올, 1,2-옥탄디올, 1-테트라데칸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1-펜타데칸올, 운데칸산, 에루크산, 데칸산, 도데칸산, N-옥타데칸, N-노나데칸, N-에코산, N-헤네코산, N-도코산, 2-트리데칸온, 7-펜타데카논, 5-헥사데카논, 7-헥사데카논, 2-펜타데카논, 4-헵타데카논, 3,4-디메틸벤조페논,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2-페닐에틸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반응 매체는 메틸 팔미테이트, 1,2-옥탄디올, 데카노산, n-옥타데칸, 7-펜타데카논,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n-옥타데칸, 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스테아릴 벤조에이트, 도데카노페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열변색부는 복수의 온도 응답을 갖는 상이한 열변색 잉크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적의 면도 온도보다 높은 온도 범위에서 용융되는 화합물 C로서의 반응 매체는 섭씨 34도 이상의 온도에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1,2-옥탄디올, 에틸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최적의 면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화합물 C로서의 반응 매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콜, n-옥타데칸(섭씨 25 내지 30도 사이에서 색상 변화) 및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콜, n-옥타데칸(섭씨 25 내지 28도 사이에서 색상 변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열변색 잉크는 섭씨 30 내지 34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블레이드 서포트의 초기 색상과는 상이한 색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물의 온도가 증가하거나, 여전히 차가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다는 제2 신호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제2 시각적 신호는, 상이한 착색제와 조합하여, 섭씨 30 내지 34도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화합물 C로서의 반응 매체를 포함하는 상이한 열변색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제1 색상 변화와 비교되는 상이한 색상 변화에 의해 주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색상 변화는 최적 면도 온도에서의 수용액의 노출시 수 초 이내, 상세하게는 0.01초 내지 10초 이내, 보다 상세하게는 0.1초 내지 5초 이내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면도기 카트리지(20) 내의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제1 열변색부(74)는 최적의 면도 온도 이상에 노출시 2초 이내, 또는 1초 이내, 또는 0.5초 이내에 색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학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이다. 그러므로, 제1 열변색부(74)는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전체 상측부(65)를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열변색부(74)는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를 따라 절반, 1/3, 또는 1/4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들 상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의 예시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면도기 카트리지(20)는 5개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기술이 하나, 둘, 셋, 넷,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레이드들 및 대응하는 블레이드 서포트(32)들을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열변색부(74a 내지 74e)들은 도 6에 도시된 면도기 카트리지에서 블레이드 서포트(32)들의 상측부(65) 상에 제공된다. 블레이드 서포트들의 각각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각각의 블레이드에 의해 제공되는 블레이드 서포트들의 상측부(65) 상의 여분의 공간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방 뷰에서 빈 공간을 제공하여 판독가능한 세트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들 상의 열변색부들에 대한 대안적인 레이아웃 접근방식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각각의 블레이드 서포트(도시되지 않음)의 상측부(65)에 각각 적용된 복수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열변색부(74a 내지 74e)들은 각각 증가하는 천이 온도를 갖는다. 도 7a)의 왼쪽은 낮은 면도 온도에서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들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 7a)의 오른쪽은 허용가능한 면도 온도에서의 열변색부들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열변색부(74a 내지 74e)들의 배열의 색상은 면도기 카트리지(20)의 횡방향으로 막대 그래프의 방식으로 거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는 동일한 색상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열변색부(74a 내지 74e)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색(예를 들어, 저온에서 고온으로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청색에서 적색으로)을 표시한다.
도 7b)는 제1 열변색부(74a) 및 제2 열변색부(74b)를 포함하는 단일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및 제2 열변색부의 색소는 면도기가 정확한 온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토글한다(toggles)".
도 7c)는 3개의 열변색부(74a 내지 74c)들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방향 막대 그래프로서 기능하는, 도 7a)의 배열의 종방향 버전을 나타낸다. 물론, 이는 블레이드 서포트(32)의 균일한 가열을 가정한다. 물론, 블레이드 서포트의 불균일한 가열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온수 수도꼭지 아래에서 헹굴 때 면도기를 너무 가만히 유지하는 경우), 복수의 열변색부의 그러한 종방향 배열은 사용자가 전체 종방향 치수를 따라 블레이드들의 전체 세트의 온도를 균등화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제1 및 제2 서브-부분으로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1 서브-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서브-부분과 상이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부분은 도 7b) 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변색부(74a, 74b, 및/또는 74c)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열변색부의 서브-부분은 열변색부로부터 분할된 세그먼트이다.
도 7d)는 크로스 로고의 형태로 5세트의 블레이드 서포트들의 상측부(65)에 걸쳐 분포되는 제1 열변색부(74a)를 도시한다(열변색부들은 임의의 로고 또는 그래픽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안전하지 않은 온도에 도달할 때 경고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면도기 카트리지(20)가 안전 온도에 도달하면 제조사 로고가 표시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열변색부(74)들의 많은 다른 변형 및 배열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고, 전술한 논의는 예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층은 제1 색상을 포함하고, 제2 층은 제2 색상을 포함하며, 제2 층은 면도기의 사용 동안에 점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2 층은 사용시 점진적으로 침식될 수 있는 재료 또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제2 층은 따뜻한 헹굼 물의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용융되고 제거되어, 제1 층의 색상을 드러내는 왁스 등의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제2 층은 면도 시에 마찰의 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부재들의 후방에서의 열변색부들의 예시적인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와 관련된 상기 섹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열변색부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상측부(65) 상에 전체적으로 분포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제2 열변색부(76) 및/또는 제3 열변색부(78)가 블레이드 서포트(32)의 하나 이상의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 구조" 프레임(21)을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서포트들의 후방에 대한 양호한 가시성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 부재(32)의 측부에 제2 및/또는 제3 열변색부들을 제공하는 것은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정보의 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열변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종방향을 따라 색상 구배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이 색상 구배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종방향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열변색부에 적용된 잉크의 염료와 반응 매체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블레이드 서포트의 상부 표면(65)에 잉크가 적용됨에 따라 종방향으로 변화한다. 효과는, 블레이드 서포트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면, 상기 블레이드 서포트의 종방향으로 변화하는 제1 및 제2 색상 사이에서 변화하는 색상 구배가 표시된다는 것이다.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상 구배는 블레이드 서포트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특징부는 블레이드에 제공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특징부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 중 제1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제공되고, 제2 광학 특징부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 중 제2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광학 특징부들은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 중 동일한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블레이드 서포트는 제1 및 제2 광학 특징부들 사이에 침식성 중첩 부분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면도기용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제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획득하는 단계(80)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에 부착된 블레이드(33)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68)의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 그리고
-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7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제1 광학 특징부를 제공하는 단계(82).
실시예들에서, 열변색 잉크는 통상의 공기 스프레이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브러시, 롤러에 의한 도포와 같이 코팅 또는 도료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표준 방법에 따라 블레이드 서포트 상의 코팅으로서 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열변색 잉크의 조성물이 고화되기 위해 경화될 필요가 있다면, 코팅으로서 열 변색 잉크의 도포 후에, 경화는 또한 추가 단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코팅의 증착은 서포트에 대한 블레이드의 부착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팅으로서 형성되는 열변색 잉크는 블레이드 서포트에 대한 블레이드의 부착 전에 도포될 수 있다. 열변색 잉크는 평-와이어 형태로(즉, 블랭크일 때)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코팅으로서 도포된다. 이어서, 열변색 잉크를 지지하는 블랭크 블레이드 서포트는 스탬핑, 벤딩, 용접 및 크로핑을 포함하는 추가 제조 단계를 거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는,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구체적인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특정 상세가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기 위해 채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본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재료들 또는 방법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상기 명세서 전체에서 "하나의 실시형태", "일 실시형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하나의 측면" 또는 "일 측면"에 대한 언급은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일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하나의 측면" 또는 "일 측면"이라는 문구들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를 모두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 및/또는 서브-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
S: 면도 방향
SH: 면도 평면
L: 종방향
IBS: 블레이드간 스팬
RO: 내부 곡률 반경
T1: 면도기 블레이드 두께
T2: 블레이드 서포트 두께
1: 면도기 조립체
2: 면도기 핸들
4: 근위부
5a, 5b: 해제 기구
6: 원위부
8: 선회가능한 베어링 부재
9: 핸들 그립
16: 제1 측부
18: 제2 측부
20: 면도기 카트리지
21: 프레임
22: 플랫폼 부재
23: 가드 부재
24: 리딩 종방향 측부
25: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
26: 제1 리테이너
27: 제2 리테이너
28a 내지 28d: 커팅 부재
29: 커팅 부재들의 그룹
30a 내지 30d: 커팅 에지
31a 내지 31d: 블레이드 수용부
32: 블레이드 서포트
33a 내지 33d: 블레이드
34a 내지 34d: 유지 슬롯
35: 크로스 멤버
36: 블레이드 서포트 가이드
38a 내지 38d: 탄성 핑거
49: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
50: 종방향 스킨케어 요소
52: 후퇴가능한 커버
53: 트리밍 블레이드
54: 트리밍 블레이드 서포트
60: 블레이드 서포트의 하부
62: 반경 벤드
64: 라운드진 오목부
65: 블레이드 서포트 부재의 상측부
66: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
68: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
70: 블레이드의 내부면
71: 블레이드 장착부
72: 블레이드 서포트의 라운드진 전방 단부
74: 제1 열변색부
76: 제2 열변색부
78: 제3 열변색부
80: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획득하는 단계
82: ...제1 광학 특징부를 제공하는 단계

Claims (15)

  1. 면도기용 카트리지(20)로서,
    -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a)는 사용시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66)에 부착된 블레이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사용시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65)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광학 특징부는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74)인, 카트리지(20).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제2 블레이드 서포트(3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 서포트는 사용시 면도 표면을 향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 상에 배치된 제2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 특징부는 제2 열변색부의 제2 온도 응답에 따라 제2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2 열변색부인, 카트리지(2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상기 제1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부분보다 사용시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65)의 상이한 부분 상에 배치된 추가의 광학 특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광학 특징부는 추가 열변색부의 추가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추가 열변색부인, 카트리지(2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변색부의 상기 제1 온도 응답은 제2 열변색부의 제2 온도 응답과 상이하고/하거나 추가 열변색부의 추가 온도 응답과 상이한, 카트리지(2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가 제1 온도를 가질 때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가 제2 온도를 가질 때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2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일부의 온도가 섭씨 20 내지 45도, 보다 상세하게는 섭씨 32 내지 42도, 및 가장 상세하게는 섭씨 35 내지 39도의 범위에 있을 때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2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열변색부는 적어도 제1 서브-부분(74a) 및 제2 서브-부분(74b)으로 종방향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서브-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브-부분과 상이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2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변색부는 건염 염료, 현상제, 및 제1 반응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변색 잉크 화합물을 포함하는, 카트리지(20).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변색부는 건염 염료, 현상제, 및 제2 반응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변색 잉크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응 매체는 제1 반응 매체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낮은 용융점을 갖는, 카트리지(2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매체는 -메틸 팔미테이트, 1,2-옥탄디올, 데칸산, n-옥타데칸, 7-펜타데칸온, 디메틸 세바케이트, 1-도데칸올, 4-이소프로필벤질 알코올, n-옥타데칸, 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타데실 3,3-디페닐프로파노에이트, 스테아릴 벤조에이트, 도데카노페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카트리지(2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특징부(74)는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제1 색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제2 색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카트리지의 사용 동안에 점진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2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32)는 제1 부분(74), 제2 부분(76), 및 제3 부분(78)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카트리지의 프레임(21)의 후방을 통해 볼 수 있고, 상기 제1 광학 특징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또는 상기 제3 부분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되는, 카트리지(2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으로서,
    -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획득하는 단계(80)로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블레이드 서포트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는 면도 표면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에 배치된 제1 광학 특징부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서포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제1 열변색부의 제1 온도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1 열변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포트 상에 상기 제1 광학 특징부를 제공하는 단계(82)
    를 포함하는, 면도기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14. 면도기 조립체(1)로서,
    - 면도기 핸들(9);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
    를 포함하되,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는, 선회가능한 또는 비-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비-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선회가능한 연결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면도기 조립체.
  15. 부품 키트로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면도기 카트리지(20)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홀더, 및 선택적으로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
KR1020227008862A 2019-10-31 2020-10-30 면도기 카트리지 KR202201071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6591.0A EP3815861B1 (en) 2019-10-31 2019-10-31 Razor cartridge
EP19206591.0 2019-10-31
PCT/EP2020/080512 WO2021084069A1 (en) 2019-10-31 2020-10-30 Razor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155A true KR20220107155A (ko) 2022-08-02

Family

ID=684261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17A KR20210095860A (ko) 2018-11-30 2019-11-29 면도기 카트리지
KR1020227008862A KR20220107155A (ko) 2019-10-31 2020-10-30 면도기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17A KR20210095860A (ko) 2018-11-30 2019-11-29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919183B2 (ko)
EP (2) EP3815861B1 (ko)
KR (2) KR20210095860A (ko)
IL (1) IL291279A (ko)
WO (1) WO2021084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5861B1 (en) * 2019-10-31 2022-08-10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artridge
EP4357088A1 (en) * 2022-10-18 2024-04-24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artridge comprising mechanochromic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0041A1 (en) * 1994-01-28 2002-01-03 Siamak Doroodian-Shoja Disposable razor wear indicator
US6295733B1 (en) 1994-08-03 2001-10-02 Warner-Lambert Company Changeable color shaving aid
US5603161A (en) 1995-06-07 1997-02-18 Welsh; Christopher A. Wear indicating shaving strip and blade assembly for a shaver
US7673541B2 (en) 2004-06-03 2010-03-09 The Gillette Company Colored razor blades
EP1789238B1 (en) 2004-09-07 2008-03-19 BIC Violex S.A. Razor handle and shaver including such a handle
AU2009296283A1 (en) * 2008-09-29 2010-04-01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s with perforated blade assemblies
US20100122463A1 (en) 2008-11-14 2010-05-20 Thilivhali Tshikovhi Ndou Skin Engaging Member for Razor Cartridge
US20110126413A1 (en) * 2009-12-02 2011-06-02 Andrew Anthony Szczepanowski Razor cartridge components with indicia
EP2707180B1 (en) * 2011-05-13 2016-12-14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blade supports
JP5719755B2 (ja) 2011-11-09 2015-05-20 フェザー安全剃刀株式会社 安全剃刀
US11148309B2 (en) * 2013-06-05 2021-10-19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components with novel coating
EP3357653B1 (en) * 2017-02-03 2021-11-10 BIC-Violex S.A. Blade support, cutting member comprising such a blade support, razor head comprising such a cutting member and mechanical shaving razor comprising such a razor head
US20180264669A1 (en) 2017-03-17 2018-09-20 Bob Barker Company, Inc. Safety Razor with Visually Identifiable Blade
EP3530424B1 (en) 2018-02-22 2024-03-27 BIC Violex Single Member S.A. Blade assembly with lubricating elements
EP3815861B1 (en) * 2019-10-31 2022-08-10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1279A (en) 2022-05-01
KR20210095860A (ko) 2021-08-03
EP3887102A2 (en) 2021-10-06
WO2021084069A1 (en) 2021-05-06
US20240009874A1 (en) 2024-01-11
EP3815861A1 (en) 2021-05-05
EP3815861B1 (en) 2022-08-10
US20220009114A1 (en) 2022-01-13
US11919183B2 (en)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7155A (ko) 면도기 카트리지
US7739797B2 (en) Shaving razor
JP6526199B2 (ja) ブレードユニット及び皮膚接触部材を備える剃毛ブレード組立体並びに剃刀ハンドル及びこのような剃毛ブレード組立体を備える剃刀
RU2286245C2 (ru) Бритва и бритвенные кассеты
RU2462345C1 (ru) Картридж бритвенного прибора с контактирующим с кожей компонентом
BR112013002413B1 (pt) cartucho de barbear ou depilar com geometria de lâmina suprimida
EP0773855B1 (en) Changeable color shaving aid
CN105339142B (zh) 剃须刀片组件
US5603161A (en) Wear indicating shaving strip and blade assembly for a shaver
BR112014023925B1 (pt) Aparelhos de barbear ou depilar compreendendo áreas de marcação
CA2902219A1 (en) Razor with two glide members pivoting about a single axis
UA61878C2 (en) Shaving unit
KR20110077082A (ko) 감온성 캡슐을 포함하는 면도기
PL183085B1 (pl) Zespół golący
RU2630739C2 (ru) Компонент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скользяще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бритвенном приборе
US20230035264A1 (en) Razor heads, kits, razors & methods comprising the same
WO2021257437A1 (en) Shaving razor system
EP4168218A1 (en) Blade carrier assembly
AU2021293025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WO2020109543A2 (en) Razor cartridge
WO1999019123A1 (en) Shaving system with temperature indicator
GB2266486A (en) Razor blade unit for a wet razor
RU2021108364A (ru) Кассета для бритвы
KR20090120624A (ko) 데모 페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0164043B1 (ko) 감열기록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