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549A -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549A
KR20220106549A KR1020210009598A KR20210009598A KR20220106549A KR 20220106549 A KR20220106549 A KR 20220106549A KR 1020210009598 A KR1020210009598 A KR 1020210009598A KR 20210009598 A KR20210009598 A KR 20210009598A KR 20220106549 A KR20220106549 A KR 2022010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al
physical development
sports
development factors
fa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준
Original Assignee
박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준 filed Critical 박종준
Priority to KR102021000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6549A/ko
Publication of KR2022010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주요선수들로부터의 심신발달요소를 참조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심신발달요소의 각 항목 마다의 중요도참조하여 심신발달요소들을 선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심신발달요소의 각 항목별 중요도를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 정렬하고, 정렬된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C)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주요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은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분류하여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하는 단계;
(D)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통해 확보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상기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그룹화하고,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연산하여 측정대상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
(F)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를 비교하고 주요기준수치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해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개인별 심신발달에 대한 요소를 측정하여 비교기준이 되는 주요운동선수들의 심신발달요소와 비교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 따라 운동량, 휴식량, 부상확률과 성장 가능성과 적합성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METHOD FOR ANALYSYS OF SPORT SUITABILITY}
본 발명은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신발달에 대한 요소를 측정하여 주요운동선수들의 심신발달요소와 비교한 것을 기초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성장 가능성과 적합성 여부를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종목의 선택은, 신체건강의 유지, 취미생활, 각종 동호회와 같은 사회성 형성을 위한 건전하고 권장되는 분야로 인식되고 있어 생활체육으로 활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하기도 하지만, 진로와 직업으로서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취미생활을 비롯한 생활체육을 위한 목적으로 스포츠 종목을 선택하는 것에 비해 진로 및 직업으로서 스포츠 종목을 선택하는 것은 부담요소가 상당하다. 그 예로, 근래에 들어서는 생활체육에서 두각을 나타낸 선수를 착출하여 프로급 선수로 활동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고, 유소년 시기부터 전문적으로 육성된 선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유소년 시기부터 스포츠를 진로로 결정하고 집중적인 훈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스포츠 종목의 결정이 적절치 않아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게 되는 경우, 시간적 금전적으로 손실이 상당하고, 이 후 선택할 수 있는 진로의 범위는 비스포츠인으로 교육받은 사람들에 대비해 제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운동종목을 변경하고자 할지라도 스포츠 종목의 선택의 적절성을 명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 추후 성장가능성을 고려한 운동종목의 변경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적절한 운동을 추천할 수 있는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포츠 종목에서 성장가능성 및 적합성이 높은 운동 종목과 포지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솔루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측정된 개별적 심신발달요소에 특정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요구되는 심신발달요소들에 기초하여 운동종목 또는 포지션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주요선수들로부터의 심신발달요소를 참조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관련도가 높은 주요 심신발달요소들을 선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선정된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C)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주요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평균하여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하는 단계; (D)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통해 확보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상기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그룹화하고,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평균하여 측정대상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 (F)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를 비교하여 유사도에 따라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F) 단계는, (F-1)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들이 합산된 제1 연산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들이 합산된 제2 연산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연산와 상기 제1 연산의 유사도에 따라 스포츠 적합도와 운동종목에 따라 운동량, 휴식량, 부상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F-2)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의 값에 기초하여 제1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와, (F-3) 상기 측정대상능력치의 값에 기초하여 제2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제1 그래프와 상기 제2 그래프의 형상의 유사도에 따라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거나 기준수치 값과 측정대상 능력치 값의 거리 값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F) 단계는 (F-4)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와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의 관련도에 따라 상기 주요기준수치 및 상기 측정대상능력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F) 단계에는, (F-5) 상기 측정대상능력치의 값과 비교할 주요기준수치를 가지는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이 가지는 상기 주요기준수치들과 측정대상능력치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낮은 측정대상능력치에 대한 보완법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비교기준수치는 성별을 포함한 연령별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에는, (D-1)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신발달요소는, 신체발달에 대한 체격요소와, 운동능력에 대한 체력요소와, 정신능력에 대한 정신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각을 나타낸 주요 운동선수들로부터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에 해당하는 DB를 참조하여 개인별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와 비교하므로 스포츠종목 및 포지션에 적절한 심신발달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요구되는 특정 심신발달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한 것에 기초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을 추천할 수 있으므로 종목 적합성 판단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각 운동종목에 따라 운동량, 휴식량, 부상확률 정보를 제공해 스포츠 엘리트 뿐만 아니라 일반 생활체육에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심신발달요소의 측정을 간편하게 자가측정할 수 있고, 측졍된 결과를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입력하여 분석함으로써, 분석 및 결과 확인에 용이한 접근성을 갖는다.
또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 적합성에 대한 비교결과를 차트로 출력하여 비교의 판단이 용이함에 따라 강점 및 취약부분에 따른 육성안 기획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시스템의 운영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주요기준수치와 주요기준수치에 대응하는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의 측정값의 비교테이블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형 유사도를 비교하고 있는 예시도면이다.
도 8은,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에 따른 운동종목별 적합성의 출력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시스템의 운영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시스템은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와 비교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도록 구성된 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한 심신발달요소를 분석 모듈로 입력할 수 있도록 호환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신발달요소의 측정은 스포츠 전문센터, 병원, 집 등에서 측정할 수 있다. 스포츠 전문센터나 병원에서 심신발달요소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분석모듈로 제공하면, 분석 모듈은 입력된 심신발달요소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심신발달상태에 따른 적합한 운동종목 또는 적합한 포지션을 포함한 적합도 정보와 각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량, 휴식량, 부상확률 정보 제공한다.
여기서, 분석모듈은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등의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이용되며, 스포츠 전문센터나 병원 등의 측정장비에 연결된다. 한편, 분석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 및 결과의 출력에 용이함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모듈은 비교기준이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 가능하게 마련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어 적합도를 분석요청대상에 제공한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은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선정 단계(S110), 주요 심신발달요소 그룹화 단계(S120), 주요기준수치 설정단계(S130),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S200),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S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신발달요소는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 포지션별, 연령별 주요 선수의 심신발달요소로 상기 심신발달요소의 연령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일반 엘리트 선수의 요소로 분류 되어있다.
여기서, 심신발달요소에는 체력요소, 체격요소 및 정신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데, 체력요소의 예로 균형감각, 몸싸움, 민첩성, 순간속도, 점프력, 주력, 지구력, 근력, 유산소능력, 무산소능력 등의 심신발달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격요소의 예로는, 신장, 체중, 체지방률 및 손/발가락 길이, 손/발바닥 길이, 팔/다리의 길이 및 두께 등과 같이 특정 신체부위의 발달정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신요소로는, 위치선정, 대담성, 리더십, 승부욕, 예측력, 적극성, 창조성, 천재성, 침착성, 팀워크, 판단력 등이 될 수 있는데, 상술한 심신발달요소 이외에도 심신발달의 정도를 지표하는 요소가 추가될 수 있고, 심신발달요소가 포함되는 범주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위와 같은 심신발달요소 중,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요구되는 심신발달요소는 상이하다. 모든 심신발달요소의 발달도가 높을 경우 다양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 적합할 수 있지만, 특정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요구되는 심신발달요소들에 대한 발달도만 충족되더라도 해당하는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특정 심신발달요소의 발달 정도에 따라 주요기준수치와 비교하여 스포츠 적합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주요기준수치는 심신발달요소 각각이 될 수도 있지만, 복합적인 심신발달요소를 하나의 대표값이 되는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하여 비교하는 것이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이에, 주요기준수치는 그룹화를 통해 설정될 수 있어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룹화를 위해서는 우선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선정하는 단계(S110)를 갖는다. 주요 심신발달요소는 상술한 심신발달요소 중,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요소이다. 일례로서, 프로축구 선수들의 심신발달요소들을 비교하면 허벅지의 근력, 주력, 스피드 등의 축구와 관련도가 높은 심신발달요소가 다른 운동종목의 선수들에 비해 대체로 발달도가 높은 것을 참고하여, 운동종목 및 포지션별 적합한 요소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주요 심신발달요소가 선정되면,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그룹화 단계(S120)를 갖는다. 도 6은, 주요기준수치와 주요기준수치에 대응하는 측정대상능력치의 비교테이블을 예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운동능력과, 정신능력과, 신체능력으로 그룹화하고 있다. 각각의 그룹에는 심신발달요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운동능력에는 균형감각, 몸싸움, 민첩성, 순간속도, 점프력 등의 심신발달요소로 그룹화 한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의 심신발달요소는 체력적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심신발달요소라는 공통점이 있어, 이처럼 복합적인 심신발달요소를 하나의 대표값이 되는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공통된 범주의 능력으로 그룹화하는 단계이다.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그룹화가 완료되면 주요기준수치 설정 단계(S130)를 갖는다. 각각의 그룹화에 포함된 주요운동선수들의 심신발달요소들을 평균하여 주요기준수치를 산출하고, 대응하는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평균하여 측정대상능력치를 대표값으로 나타내는 과정으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주요선수들로부터의 심신발달요소를 참조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에 관련도가 높은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평균하여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하게 된다. 예로서, 엘리트 등급표는 다수의 엘리트 선수 악력을 측정해 1등급은 평균+1.5×표준편차 이상 비율 상위 7% , 2등급은 평균+0.5×표준편차 이상 평균+1.5×표준편차 미만 비율 24% , 3등급은 평균-0.5×표준편차 이상 평균+0.5×표준편차 미만 비율 38%, 4등급은 평균-1.5×표준편차 이상 평균-0.5×표준편차 미만 비율24% , 5등급은 평균-1.5×표준편차 미만 비율 하위 7%가 주요 기준수치가 된다. 다수의 선수에 대한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평가 방법에 대한 기준값으로 개인적 특성보다는 주요선수들의 표준화된 주요 기준수치의 확보가 가능하다.
주요 심신발달요소는 복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나,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축구라는 운동종목에서 하나의 악력이라는 하나의 주요기준수치로 설명하면, 측정대상의 측정된 심신발달요소 중, 악력에 대한 심신발달요소 값이 57이라는 엘리트 등급표의 높은 등급에 대등할수록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결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개인별 심신발달에 대한 요소를 측정하여 비교표준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서 부합되는 정도가 큰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요기준수치는 성별을 포함한 연령별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연령별 성별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운동의 시기와 성별에 따른 판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스포츠 적합성 분석시, 주요기준수치는 분석 전문가의 견해에 따라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선택하여 주요기준수치가 되는 항목을 변경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주요기준수치로 적용하는 주요 심신발달요소는 운동종목과 포지션별로 선택되어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것을 참조하여 이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주요기준수치가 설정되면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S200)이 진행된다. 여기에서 심신발달요소의 확보는 스포츠 전문센터나 병원 등에 설치된 측정장비에서 직접 전달받은 측정값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분석모듈과 이격된 장소에서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분석모듈이 위치한 곳으로 전송(S210)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통신망을 이용하여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스포츠 적합성 분석을 요청한 클라이언트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분석모듈이 마련된 분석 시스템에 접속(S211)하게 된다. 여기서 분석 시스템은 서버의 기능으로 동작하며, 회원ID부여 및 이용가능상태 등을 관리할 수 있게 미리 마련된다. 이용가능한 회원에게는 심신발달요소의 측정장비가 없이도 심신발달요소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자가측정 매뉴얼을 제공하는 단계(S212)가 진행된다.
자가측정 매뉴얼을 통해 신장, 체중, 특정 신체의 길이 및 두께 등의 체격요소를 측정하는 단계(S213a)와,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 멀리뛰기, 앉았다 일어서기 등의 체력요소를 측정하는 단계(S213b)와, 설문 응답 방식을 이용한 정신요소를 측정하는 단계(S213c)와 생활 패턴(S213d), 생활 환경(S213e), 부상 이력(S213f)이 포함되는데. 심신발달요소의 자가측정에는 하버드 스텝 테스트(Havard step test), 발판 승강 테스트(step test)등의 측정평가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자가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들에 대한 값은 주요기준수치와 상이한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로, 주요기준수치에서 키와 체중은 동일한 단위를 사용하므로 바로 비교가 가능하지만, 단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직접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측정값을 비교기준수치와 동일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S214)가 선행된다.
예로, 주요기준수치에서 허벅지 근력이 8이라는 값을 갖는다고 했을 때, 8이라는 수치는 측정장비에 마련된 기준에 의해 도출된 값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가측정을 통해 도출한 값을 측정장비의 기준에 의해 변환하는 과정(S214)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측정값을 변환하는 단계(S214)는 자가측정된 항목들의 수치를 주요기준수치와 대응하는 값의 수치로 변환하도록 변환 테이블을 함께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자가 측정에서 다리의 근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인 정해진 시간동안 반복되어 실시된 앉았다 일어나기의 회수가 1분에 40회로 나타났다고 가정하면, 1분에 40회라는 정보를 측정장비의 근력값으로 나타내도록 제공된 변환기준표를 이용하여 측정장비에 해당하는 자가측정 결과의 값을 얻도록 한다.
그 다음 변환된 심신발달요소의 값들은 입력되는 단계(S215)를 거쳐 분석모듈로 전송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입력한 뒤 분석모듈에서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의 값을 주요기준수치로 나타낸 기준에 따라 변환시키는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측정된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S200)이 후,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스포츠 적합도는 유사도 비교 단계(S310)를 통해 적합도를 산출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유사도는 그래프의 일 출력 방식인 도형 유사도 비교 단계(S310a) 또는, 기준 수치와의 유저의 측정값 간의 거리 측정 단계(S310C)를 통해 산출되는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치 유사도 비교 과정(S300b)을 설명하면,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주요운동선수들의 주요기준수치가 설정(S100)되면,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주요기준수치들이 합산된 제1 연산를 산출(S311b)한다. 그리고,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 중, 운동 종목 및 포지션에 설정된 주요기준수치에 대응하는 심신발달요소를 추출하여 그 값들을 연산한 제2 연산을 산출(S312b)한다.
그 이후, 각각 산출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제1 연산과 제2 연산를 비교하여 수치의 유사도를 산출(S313b)하고, 유사도가 높은 운동종목 또는 포지션을 적합한 스포츠로 추천하도록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수치 유사도의 비교는 제2 연산과 제1 연산의 수치에 이른 정도를 나타낸 것이지, 반드시 비교수치가 일치되는 것을 가장 적합한 스포츠로 추천하는 것은 아니다. 예로, 측정대상의 제1 연산이 제2 연산을 넘어서는 경우, 적합성은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수치가 일치되는 것은 아님을 고려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그래프 유사도 비교 단계(S310a)를 설명하기로 한다. 단 여기에서의 도형은 그래프의 일 출력방식으로 비교의 용이함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반드시 도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식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 유사도 비교 단계(S310a)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의 값을 기초로 제1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S311a)와, 상기 주요기준수치에 대응하는 측정대상능력치를 제2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S312a)가 포함되는데, 그래프는 분석 모듈에 설치된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도형은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한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수에 해당하는 도형으로 표현되는데,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수가 n개일 경우, 도형은 n각형으로 출력된다.
이때, 주요기준수치 보다 측정대상능력치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 수치를 적용한다.
도 5를 참조하여 그래프 값 간격의 거리를 측정 단계(S310c)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래프 값의 간격 거리를 측정 단계(S310c)는 도 5의 각 종목과 연령별 엘리트 측정값 1등급부터 5등급까지의 그래프와 유저의 측정 값에 그래프의 각각 값에 거리를 분석 도 5를 참조하여 엘리트 측정값과 유저의 측정값 차이 분석(G200)과 같이 엘리트의 승부욕 값 0.5와 유저의 승부욕 값 0.9의 거리 값 0.4, 엘리트의 악력 값 2.2와 유저의 승부욕 값 1.5의 거리 값 0.7과 같이 유저와 유사한 조건 나이 성별 등 엘리트 값을 기준 값으로 도 6과 같이 각각의 종목에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의 값과 유저의 측정 값 거리를 각각 측정해 가장 가까운 거리의 값을 찾아 스포츠 적합도를 출력한다.
이때, 주요기준수치 보다 측정대상능력치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 수치를 적용되고 주요기준수치의 중요도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 수치가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종목별 부상확률 분석하는 단계(S310d)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포츠 종목별 부상 관련 표준 기준표 값을 환산하고 유저의 측정 값 중 부상과 관련이 있는 항목을 환산한다. 유저의 측정 값을 연산을 통해 종목별 부상 확률을 출력한다.
도 7를 참조하여 은 도형 유사도를 비교하고 있는 예시도면(G100)이다. 여기에서, 주요 심신발달요소는 공격능력, 정신능력, 기술능력, 신체능력, 수비능력, 스피드를 갖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형의 모서리는 외곽을 향할수록 높은 수치를 가지게 되며, 모서리는 주요기준수치에 해당하는 값에 대응하여 위치하는데, 각각의 모서리를 직선으로 연결하면 비교기준이 되는 도형으로 출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 중,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선택된 주요 기준수치에 대응하는 심신발달요소를 추출하여 측정대상능력치를 구하고, 그 값을 대응하는 모서리의 위치에 나타내면, 측정대상능력치가 도형방식 출력된다. 주요선수들의 심신발달요소에 기초하여 출력한 도형과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에 기초하여 출력한 도형을 겹쳐서 표현하고, 도형의 형상의 유사도를 비교(S313a)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 각각 비교하여 형상과 크기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유사도가 높은 운동종목 또는 포지션을 적합한 스포츠로 추천하도록 출력하게 된다. 도형을 통해 비교하여 나타내므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상태를 확인 및 비교에 용이함이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과정(S300)에 주요 심신발달요소에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의 관련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320)가 더 포함될 수 할 수 있다. 일례로, 운동종목 축구와 농구에서 심신발달요소 중, 허벅지 근력과, 주력, 점프력을 주요 심신발달요소로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축구에는 관련도가 높은 순서의 기준으로 허벅지 근력에 3이라는 가중치가, 주력에 2라는 가중치가, 점프력에 1이라는 가중치가 부여되고, 농구에서는 점프력에 3이라는 가중치가, 주력에 2라는 가중치가, 허벅지 근력에 1이라는 가중치가 부여되었다고 하고, 유저 A의 측정된 주요 심신발달요소 중, 허벅지 근력이 8, 주력이 7, 점프력이 6이고, 유저 B의 측정된 주요 심신발달요소 중, 허벅지 근력이 6, 주력이 7, 점프력이 8이라고 했을 때, 유저 A와 B는 측정된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합계가 21로 동일하나, 그 가중치에 따라 유저 A는 축구에 적합한 것으로, 유저 B는 농구에 적합한 종목으로 추천된다. 위의 예시에서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합계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주요 심신발달요소에 대한 합계가 다른 종목보다 낮을지라도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적합성이 높은 종목이 추천될 수 있고, 가중치가 부여되는 경우에는, 유사도 비교 단계(S310)보다 이전에 실시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중치의 설정 단계(S320)는 전술한 주요 심신발달요소의 그룹에 포함된 주요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평균하여 대표값을 산출하여 대표값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축구선수와 허벅지 근육의 발달도를 예시로 설명한 것처럼 특정 심신발달요소와 밀접한 관련도를 갖는 종목을 추천할 수 있도록 가중치가 설정되어 유저에게 적합한 운동종목을 추천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이에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스포츠 팀을 지도하는 코치나 감독에게 제공되어 활용될 수 있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코치나 감독은 운동능력, 정신능력, 신체능력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를 높게 둔 능력에 부합되는 선수를 선발할 수 있다. 일례로, 감독이 운동능력에 50%의 가중치를 설정하였다고 하고, A 유저의 대표값으로 운동능력 8, 정신능력 5, 신체능력 5가 측정되었고, 유저 B의 대표값으로 운동능력 5, 정신능력 7, 신체능력 7이 측정되었다고 할 경우, 산술적으로 합계는 A 유저는 18점이고 B 유저는 19점이지만, 신체능력에 50%의 가중치를 부여했을 때, A유저는 22점이고, B유저는 21.5점이 되어 A 유저가 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치나 감독은 주요 기준수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자신의 스타일에 부합되는 선수를 선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스포츠 적합도 산출 단계(S300)에는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의 값과 비교할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 대한 주요기준수치를 비교대상으로 설정하도록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팀플레이가 요구되는 종목의 배제, 구기종목 중에서 적합도 높은 종목, 수비수 포지션에 적합한 운동종목 등을 선택하여 비교대상을 제한하고, 제한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에 유사도를 산출하여 적합도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유저의 여건과 선호도 등을 고려한 맞춤형 추천이 가능하다.
도 8은,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에 따른 운동종목별 적합성의 출력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측정된 심신발달요소에 따른 포지션별 적합성의 출력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S300)가 완료되면 운동종목 적합성 또는 포지션 적합성 또는 운동종목과 포지션 적합성을 측정대상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 주요기준치 설정단계(S130)를 통해 설정된 주요기준치가 운동종목에 따라 설정되었을 경우 적합한 운동종목에서 스포츠 적합도를 제공하고, 포지션에 따라 설정되었을 경우, 포지션 적합도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에 기초하여 1차로 적합한 운동종목에서의 적합도를 제공하고, 적접하다고 추천한 운동종목이 포지션을 가지는 팀 스포츠일 경우, 2차로 적합한 포지션을 제공하는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발명에 따른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에는 스포츠 적합성 산출 단계(S300)에서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이 가지는 주요기준수치들과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낮은 심신발달요소에 대한 보완법을 제공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 비교 단계(S310)의 결과에서, 주요기준수치에 미치지 못하는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표시하고, 보완이 요구되는 심신발달요소를 발달시킬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맞춤별 스포츠 적합성 분석이 가능해진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1 : 스포츠 센터 12 : 측정 병원
13 : 자가측정 20 : 분석모듈
21 :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A)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연령별 주요선수들로부터의 심신발달요소를 참조하여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로 각 항목 마다의 중요도에 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범위를 설정하고 각 단계 별로 심신발달요소들을 정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통해 정렬된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된 상기 주요 심신발달요소를 단계 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C)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주요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정렬하여 주요기준수치로 설정하고 주요선수의 심신발달요소를 등급 별로 분류하는 단계;
    (D)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확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통해 확보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를 상기 분류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중요도에 따라 범위를 설정해 그룹화하고,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측정대상의 심신발달요소들의 값을 정렬하여 측정대상능력치를 등급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능력에 따른 등급을 분류해 해당 등급의 심신발달요소와 측정대상능력의 거리를 측정)
    (F) 연령별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를 비교하고 주요 기준수치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의 거리에 따라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들이 합산된 제1 연산와 상기 측정대상능력치들이 합산된 제2 연산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연산와 상기 제1 연산의 유사도와 주요기준수치와 측정대상능력치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주요기준수치 보다 측정대상능력치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 수치를 적용되고 주요기준수치의 중요도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수치를 적용하여,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2)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별 상기 주요기준수치의 값에 기초하여 제1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와,
    (F-3) 상기 측정대상능력치의 값에 기초하여 제2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제1 그래프와 상기 제2 그래프의 형상의 유사도와 겹치는 부분의 면적과 상기 제2 그래프가 상기 제1 그래프 보다 범위가 크고 작음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 하고, 주요기준수치의 중요도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가중 수치를 적용해 스포츠 적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G) 운동종목 또는 운동종목포지션이 가지는 상기 주요기준수치들과 측정대상능력치를 분석하여 종목과 포지션에 따라, 운동량, 휴식량, 부상확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비교기준수치는 성별과 연령별 포함해 비교기준수치의 상기 분류 기준에 따라 범위의 등급을 분류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신발달요소는,
    신체발달에 대한 체격요소와, 운동능력와, 생활 패턴, 생활 환경, 부상이력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KR1020210009598A 2021-01-22 2021-01-22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KR20220106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98A KR20220106549A (ko) 2021-01-22 2021-01-22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98A KR20220106549A (ko) 2021-01-22 2021-01-22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49A true KR20220106549A (ko) 2022-07-29

Family

ID=8260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98A KR20220106549A (ko) 2021-01-22 2021-01-22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65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uzada et al. iSports: A web-oriented expert system for talent identification in soccer
US20100129780A1 (en) Athletic performance rating system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US7192359B1 (e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analyzing performance data
Magnusen Differences in strength and conditioning coach self-perception of leadership style behaviors at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Division IA, and Division II levels
US8996446B2 (en) Sensory testing data analysis by categories
CN102333574A (zh) 一种运动能力评级系统
Baena-Raya et al. Delineating the potential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orce-velocity profile for optimizing sport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McCormack et al. Coaches’ assessment of players physical performance: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are needed when profiling players
KR101532644B1 (ko)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Zhao et al.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for exergame player modeling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Chiwaridzo et al.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investigating tests for physical or physiological qualities and game-specific skills commonly used in rugby and related sports and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US20140080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able sports workouts
Kite et al. British soccer academy personnel perceive psychological and technical/tactical attributes 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s to development
Augste et al. Athletes’ performance in different boulder types at international bouldering competitions
KR20220106549A (ko)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Alcântara et al. What factors discriminate young soccer players perceived as promising and less promising by their coaches?
CN113808704A (zh) 运动处方获取系统及方法
KR101570984B1 (ko) 온라인 운동치료정보 시스템
US10758808B2 (en) Athleticism rating and performance measuring systems
Więckowski et al. MCDA Based Swimmers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Zháněl et al. Comparison of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Preconditions in Tennis with the Use of Equal and Expertly Judged Criteria Weights
Fahey-Gilmour et al. Can Elite Australian Football Player’s Game Performance Be Predicted?
Chen et al. Influence of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on Taekwondo Athletes’ Competitive Ability
J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Betting Propensity as Perceived by Golfers and Exercise Addiction: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