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313A -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 Google Patents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313A
KR20220106313A KR1020210009099A KR20210009099A KR20220106313A KR 20220106313 A KR20220106313 A KR 20220106313A KR 1020210009099 A KR1020210009099 A KR 1020210009099A KR 20210009099 A KR20210009099 A KR 20210009099A KR 20220106313 A KR20220106313 A KR 2022010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autonomous driving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6780B1 (en
Inventor
하유신
우승민
김길우
서형덕
천준호
윤지열
송정훈
최국현
서성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780B1/en
Publication of KR202201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4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movable wheeled structure
    • F05B2240/94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movable wheeled structure which is a land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pest controlling device for tracking a user designated line comprising: a body unit; a driving unit; a pest controlling unit; a path recognizing unit; and a controlling unit. The driving unit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The pest controll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and performs pest controlling work by connecting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and spraying a chemical solution. The path recogniz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and recognizes a line mark installed through a camera. The controll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pest controlling unit depending on a line mark recogniz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th recogniz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utonomous driving and performs pest control by recognizing a line having a color designated by a user; performs the pest control work in a narrow arable land by being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lves a problem of shortage of workers in a rural area by providing the low-cost mass production pest controlling device; solves a poisoning problem caused by spraying pesticides; and increases a penetration rate of an agricultural machine.

Description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본 발명은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제작하여 좁은 경작지에서도 유용하게 방제 작업을 실시하도록 함과 더불어 저비용의 양산 가능한 무인 방제기를 제안하며, 특히 머신러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색상을 학습하도록 하고 농약을 살포하는 동안 지정한 색상을 가진 라인을 카메라로 인식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며 정해진 표식을 따라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defined line-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ade in a small size so that it can be used effectively even in narrow arable land, and a low-cost mass-produced unmanned control system is proposed, in particular, a machine learning camera.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y that allows the user to learn a specific color selected using It's about driving control.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14년에서 2018년 사이 농가 인구수는 275만 명에서 231만 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65세 이상의 기준으로 집계된 고령화율도 39.1%에서 44.7%로 감소되고 있어 농촌의 인력난 심화가 가중되고 있다.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the number of farm households is decreasing from 2.75 million to 2.31 million between 2014 and 2018, and the aging rate calculated based on the age of 65 and older is also decreasing from 39.1% to 44.7%, exacerbating the labor shortage in rural areas. is becoming

이와 더불어, 한국소비자의 2009년 조사 결과, 2003년 290명에서 2007년 415명으로 불의의 농약중독에 의한 사망자수가 69.9%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a 2009 survey of Korean consumers, the number of deaths due to accidental pesticide poisoning increased by 69.9% from 290 in 2003 to 415 in 2007.

또한, 2010년에서 2016년까지 밭 농업기계의 기계화율이 50%대에 머물러 있고, 특히 너무 높은 농업기계 값으로 인해 이를 확보하기 위한 농가에서는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addition, from 2010 to 2016, the mechanization rate of field agricultural machinery remained in the 50% range, and in particular, due to the too high price of agricultural machinery, it is a great burden on farms to secure it.

부연하여, 기존 방제용 농기계 중에서 스피드스프레이어기(SS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대형화된 크기로 인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방제작업용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a speed sprayer (SS machine) is being used among the existing pest control agricultural machinery, which has been difficult to use for pest control work in facility cultivation areas due to its enlarged size.

또한, 기존 방제용 시스템 중에서 승강식 자동방제장치, 즉 겐트리 로봇 형식의 경우 대형화된 시설재배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 자율주행 방제시스템 중에서 GPS/RTK모듈이나 이동통신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범위한 경작지에서만 사용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among the existing control systems, the elevating automatic control system, that is, the gantry robot type, has limitations that can only be used in large-scale plantations. had limitations, such as being used only in extensive arable land.

이에 따라, 농촌의 일손 감소 등 인력난 심화를 해소함은 물론 농약중독 발생 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적은 비용으로 양산이 가능한 농업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machinery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cases of pesticide poisoning, as well as reduce the number of cases of pesticide poisoning, as well as solve the deepening manpower shortage such as a decrease in labor in rural areas.

특히, 기계 값에 대한 농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면서 좁은 경작지에 진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계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achine that can be used by entering a narrow arable land while reducing the burden on the farmer for the cost of the machine.

한편, 종래 선행기술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등록특허 제10-1965774호에서는 "경작지 지면에 위치하는 이동선에 적외선을 방출하고 반사되는 적외선의 강도에 따라 경로를 주행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무인주행 농약살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prior art, in Korean Patent No. 10-1965774, "Unmanned driving pesticide spraying that emits infrared rays to a moving line located on the ground of arable land and sprays pesticides while driving a path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infrared rays device" is disclosed.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861778호에서는 "농약살포장치가 이동하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고 분무상태로 비산되는 농약으로부터 작업자 건강을 보호하고 작물에 대한 농약 살포를 리모컨을 통해 반자동화하며 울통불퉁한 지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되는 궤도식 벨트의 장력을 수시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주행 가능한 농약 살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61778, "As the pesticide spraying device moves, it sprays pesticides to crops through the spray nozzle, protects the health of workers from the pesticides scattered in the spray state, Disclosed is a drivable pesticide spraying device that allows easy adjustment of the tension of the tracked belt, which is automated and repeatedly moved along the uneven ground, from time to time.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941187호에서는 "주행장치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원격조정신호를 전달받는 주행장치 제어부와,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원격조정 신호를 전달하는 운전자조정부와,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운전자 조정부로부터 작업구동신호를 통해 구동하는 작업구동부를 포함하는 원격조정을 통한 농약살포 주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10-1941187, "a camera unit that acquires images in the front, rear,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traveling device, a traveling devic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objects in the front, back,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And, pesticide spraying through remote control, including a driver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on the screen so that the driver can understand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a work drive unit that is driven through a work drive signal from the driver control unit Driving device" is disclosed.

하지만,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들은 사용자 정의를 통해 지정하여 라인을 추적함으로써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 및 구동원리에 있어 차이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esticide is sprayed while autonomously driving along a route by tracing a line by specifying it through user definition in technical configuration and driving princip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57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6577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177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6177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11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4118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머신러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색상을 학습하도록 하고 농약을 살포하는 동안 지정한 색상을 가진 라인을 카메라로 인식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며 정해진 표식을 따라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uses a machine learning camera to learn a specific color selected by a user, and recognizes a line having a specified color with a camera while spraying pesticid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r-defined line-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that allows the vehicle to autonomously travel along the path and to carry out the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 set mark.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하여 좁은 경작지에서도 유용하게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tha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 that it can be usefully carried out control work even in narrow arable land.

본 발명은 저비용의 양산 가능한 무인 방제기로 사용하는 등 자율 주행 방제기를 통해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농약 살포에 따른 중독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defined line-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in rural areas through autonomous driving control, such as using it as a low-cost mass-produced unmanned control system, and solve the problem of poisoning caused by pesticide spraying but it has a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약액 분사에 의한 방제작업을 수행하는 방제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통해 설치된 라인 표식을 인지하는 경로인지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경로인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라인 표식 인지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와 방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a traveling part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body part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by spraying a chemical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a path recognition unit installed on the body and recognizing a line mark installed through a camera; It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bu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line mark recogn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th recogni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주행부, 방제부, 경로인지부,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면서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ody part may be formed of a frame structure to enable easy use while stably installing the driving part, the control part, the path recognition part, and the control part.

여기에서, 상기 바디부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소형 경량으로 제작 및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body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manufactured in a small and light weight using an aluminum profile and to be easily replaced and used.

여기에서, 상기 방제부는, 상기 바디부 상에 고정 설치되는 약액저장통; 상기 약액저장통에 저장된 약액을 동력을 이용하여 인출하기 위한 동력분무기; 상기 바디부의 후방(後方)에 설치되고, 동력분무기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방제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분무기에는 카뷰레터를 구비하되, 서보모터에 의해 카뷰레터를 조절하여 동력분무기의 출력 및 방제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the chemical storage tank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a power sprayer for withdrawing the chemical solution stored in the chemical solution reservoir by using power;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part and is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drawn out and supplied from the power sprayer, and one or more control nozzles are installed.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output and control flow rate of the power sprayer by adjusting the carburetor.

여기에서, 상기 방제노즐은, 상기 바디부의 후방(後方)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높이조절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 가이드레일 상에서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nozzl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vertically dispo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and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여기에서, 상기 방제노즐은, 다양한 농작물에 대응하여 분사각을 조절해가면서 사용 가능하도록 각도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기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nozzle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adjusting the spraying angle in response to various crops, and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여기에서, 상기 경로인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되, 상기 카메라 측 촬영에 의한 영상으로 인식되는 라인 표식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을 학습시킨 머신러닝 카메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의 라인 표식을 따라 자율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path recognition unit installs a camera in front of the body unit, and transmits a line mark recognized as an image by the camera-side photographing to the control unit to autonomously travel a predetermined path; The camera can be configured to autonomously drive along a line mark of a specific color specified by the user by providing the camera as a machine learning camera that has learned a specific color specified by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자율주행모드와 수동모드 및 중립모드의 3가지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를 통한 모드 선택시 선택되는 모드 상태를 표시하여 육안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등;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모드 선택시 방제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이스틱; 상기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 상기 주행부의 초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포텐셔미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de change switch for a user to select a mode from among three modes of an autonomous driving mode, a manual mode, and a neutral mode; an LED indicator that enables visual identification by displaying a mode state selected when a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a joystick for adjusting the control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a manual mode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a micro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t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potentiometer for adjusting the initial speed of the traveling unit.

여기에서, 상기 카뷰레터는, 자율주행모드 중 전진 주행시에만 동작하여 약액을 분사함으로써 방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carburet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ly during forward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perform control by injecting a chemical solution.

여기에서, 상기 바디부의 전방(前方)에는 초음파센서를 장착하여 자율 주행시 전방(前方)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장애물 감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방제기를 정지 또는 피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an ultrasonic sensor is mounted in the front of the body to detect an obstacle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transmit an obstacl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stop or move the control unit to avoid it. have.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에 제2포텐셔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포텐셔미터를 조절함에 의해 서보모터 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동력분무기 측 카뷰레터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a second potentiometer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sprayer side carburetor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rvo motor side angle by adjusting the second potentiometer.

본 발명에 따르면, 머신러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색상을 학습하는 방식이고 농약을 살포하는 동안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을 가진 라인을 카메라로 인식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정해진 표식을 따라 자율 주행하면서 방제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ethod of learning a specific color selected by a user using a machine learning camera, and while spraying a pesticide, a line having a color specified by the user is recognized with a camera to autonomously drive a predetermined path, and along with a predetermined mar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defined line-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that can perform control operations while autonomously driving alo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으로 제작하여 좁은 경작지에서도 유용하게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저비용의 양산 가능한 무인 방제기로 활용하는 등 새로운 방제기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농약 살포에 따른 중독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농업기계의 보급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in rural areas by providing a new control device such as a small-sized production and useful control operation even in a narrow arable land, and using it as an unmanned control device that can be mass-produced at low cost, and can be used for pesticide spray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ddiction and achieve usefulness that can increase the penetration rate of agricultural machinery.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주행을 위한 라인 표식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학습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방제기의 사용에 따른 확장성을 넓힐 수 있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농업기계들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표식이 되는 라인을 사용자가 이동하기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directly designate and learn the line mark for autonomous driving,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alabilit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est control device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and it consumes less power compared to the existing agricultural machines and marks the mark. This line can be easily designated by the user to move, and usefulness can be achieved that can implement economic fea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있어 전기적 제어요소를 갖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있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있어 자율주행모드시 구동 알고리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있어 자율주행모드시 진행방향 보정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having an electrical control element in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control unit in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algorithm in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rrecting a moving direction in an autonomous driving mode in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correspond to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첨부도면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는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100), 주행부(200), 방제부(300), 경로인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 a body part 100 , a driving part 200 , a control part 300 , a route recognition part 400 , and a control unit 500 .

상기 바디부(100)는 본 발명의 자율주행 방제기를 구성하는 본체가 되는 구성이다.The body part 100 is a configuration that becomes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주행부(200), 방제부(300), 경로인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면서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easy use while stably installing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driving unit 200, the control unit 300, 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the body unit 100 is It may be formed of a frame structure.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10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소형 경량으로 제작 및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각형체로 제작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ody part 100 is preferably made of an aluminum profile, and can be manufactured to be small and lightweight and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have.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traveling part 2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00 .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하면에 장착되는 구동바퀴(210)와, 상기 바디부(100) 상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바퀴(21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22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wheel 210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 and a driving motor mounted on the body unit 100 and connect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wheel 210 . (220).

여기에서, 상기 구동바퀴(210)는 메인바퀴와 보조바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20)는 구동 효율성을 위해 2개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wheel 210 may include a main wheel and an auxiliary wheel, and two driving motors 220 may be used for driving efficiency.

상기 주행부(200)는 상기 경로인지부(400)에서의 경로 인식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제어부(500)에서의 명령 전달로 주행한다.The driving unit 200 travels by transmitting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path recognition by 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

상기 방제부(300)는 상기 바디부(1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200)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약액 분사에 의한 방제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by spraying a chemical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200 .

상기 방제부(300)는 상기 바디부(1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방제를 위한 농약 등의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저장통(310)과, 상기 약액저장통(310)에 저장된 약액을 동력을 이용하여 인출하기 위한 동력분무기(32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3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100, and a chemical solution reservoir 310 in which a chemical solution such as a pesticide for control is stored, and the chemical solution stored in the chemical solution reservoir 310 using power. and a power sprayer 320 for taking it out.

이와 더불어, 상기 바디부(100)의 후방(後方)에 설치되고, 동력분무기(320)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기 위한 방제노즐(3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rear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and includes a control nozzle 330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drawn out from the power sprayer 320 is supplied.

상기 동력분무기(320)에는 카뷰레터(340)를 구비하되, 서보모터(350)에 의해 카뷰레터(340)를 조절하여 동력분무기(320)의 출력 및 방제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prayer 3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arburetor 340, bu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and control flow rate of the power sprayer 320 by controlling the carburetor 340 by the servomotor 350.

상기 방제노즐(330)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데, 좌우 양측에 위치시켜 2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One or more control nozzles 330 may be installed.

상기 방제노즐(330)은 상기 바디부(100)의 후방(後方)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높이조절 가이드레일(360)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 가이드레일(360) 상에서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 nozzle 330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360 vertically dispo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o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360 . can be configured for use.

이때, 상기 높이조절 가이드레일(36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되는 고정홀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360 may have a configuration for forming fixing hol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에서, 상기 방제노즐(330)은 다양한 농작물에 대응하여 분사각을 조절해가면서 사용 가능하도록 각도조절기구(370)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기구(37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nozzle 330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370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adjusting the spraying angle in response to various crops, and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370 .

상기 각도조절기구(370)에는 상기 높이조절 가이드레일(360)의 고정홀에 끼워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370 may have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so as to be fixed by being fitted into the fixing hole of the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360 .

상기 경로인지부(400)는 상기 바디부(100) 상에 설치되고, 카메라(410)를 이용한 촬영을 통해 설치된 라인 표식을 인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nstalled line mark through 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410 .

상기 경로인지부(4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전방에 카메라(410)를 설치하되, 상기 카메라(410) 측 촬영에 의한 영상으로 라인 표식을 인식하는 구성이고, 이렇게 인식되는 라인 표식을 제어부(500)로 전송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 가능하게 한다.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install a camera 410 in front of the body unit 100, and recognize a line mark as an image by shooting from the camera 410 side, and use the recognized line mark.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to enable autonomous driving of a determined path.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410)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을 학습시킨 머신러닝 카메라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의 라인 표식을 따라 자율 주행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410 is configured to autonomously drive along a line mark of a specific color designated by the user by providing it as a machine learning camera that has learned a specific color designa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410)는 머신러닝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의 라인 표식을 학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410 may be configured to learn a line mark of a specific color designated by the user by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earning button that enables machine learning.

여기에서, 상기 경로인지부(400)는 머신러닝에 의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라인 표식을 인지할 수 있게 하므로 자율 주행을 위한 라인 표식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학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방제기의 사용에 따른 확장성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line mark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learning by machine learning, so the user can directly designate and learn the line mark for autonomous driving, compared to the existing control system. It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scalability according to the use of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바디부(100) 상에 설치되고,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경로인지부(400)로부터 전송되는 라인 표식 인지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200)와 방제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body unit 100,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 unit, but according to the line mark recogn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th recognition unit 400,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 300) is configured to control.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과, 상기 방제기 측 자율주행모드와 수동모드 및 중립모드의 3가지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520)와,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한 모드 선택시 선택되는 모드 상태를 표시하여 육안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등(530)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microcontrol unit 510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 unit, and a mode change switch for the user to select a mode from among three modes: an autonomous driving mode, a manual mode, and a neutral mode. It includes a 520 and an LED indicator 530 that enables visual identification by displaying a mode state selected when a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

이와 더불어,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모드 선택시 방제기를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기 위한 조이스틱(540)과, 상기 주행부(200)의 초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포텐셔미터(550)와, 상기 방제부(300) 측 서보모터(36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포텐셔미터(56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joystick 540 for the user to directly adjust the control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manual mode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 and the first potentiometer 550 for adjusting the initial speed of the driving unit 200 . ) and a second potentiometer 56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rvomotor 360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300 .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에서는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면서 카메라(410) 등의 입력신호에 따라 주행과 동시에 방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microcontrol unit 510 controls the control device to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with driving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such as the camera 410 while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 unit.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자율주행모드 선택시 카뷰레터(340)를 제어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카뷰레터(340)는 자율주행모드 중 전진 주행시에만 동작하여 방제를 수행하도록 구비된다.Whe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the carburetor 340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control, and the carburetor 340 operates only during forward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perform the control.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자율주행모드 선택시, 제어부(500)에서는 자율 주행을 수행함에 있어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를 기준으로 (+)되거나 또는 (-)되는 경우에 따라 조향하고, 이를 루프(loop)로 만들어 주행하며,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조향과는 별개로 방제부(300)를 작동시켜 방제를 수행한다.Whe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the control unit 500 performs autonomous driving (+) or (-) based on an error (DCT) 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centerline position as a reference. If necessary, it steers, makes it a loop, and drives, and when driv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300 is operated separately from steering to perform control.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수동모드 선택시 조이스틱(540)을 조정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모터드라이버(570)를 구동 및 구동모터(220)를 움직여 주행할 수 있다.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 the joystick 540 is adjusted to provid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motor driver 570 can be driven and the driving motor 220 can be moved.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중립모드 선택시 제어부(500)에서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neutral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 the control unit 500 maintains a stopped state.

상기 제2포텐셔미터(560)를 조절함에 의해 서보모터(360) 측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동력분무기(320) 측 카뷰레터(340)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second potentiometer 560, the angle of the servo motor 360 side can be adjusted, and thereby the power sprayer 320 side carburetor 340 can be adjusted.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주행부(200) 측 구동모터(2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드라이버(57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motor driver 570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200 side driving motor 220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디부(100)의 전방(前方)에 초음파센서(600)를 장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ltrasonic sensor 600 is mounted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

상기 초음파센서(600)를 통해 방제기의 자율 주행시 전방(前方)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은 장애물 감지시 제어부(500), 즉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으로 장애물 감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방제기를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때로는 장애물 감지시 장애물을 피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dur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pest control device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600, it functions to detect an obstacle. It can be configured to stop the control device by sending Sometimes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the obstacle when it detects an obstacl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에 있어, 자율주행 모드시 수행되는 주행과 방제를 위한 구동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in the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riving principle for driving and control performed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사용자가 모드 변경 스위치(520)를 통해 자율주행 모드를 선택시,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에서는 초음파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방제기의 전방(前方)에 장애물이 있는지 유무를 감지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520 , the microcontrol unit 51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ultrasonic sensor 600 and detects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control unit.

초음파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를 통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카메라(410) 인식 유무를 체크한다.If an obstacl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ultrasonic sensor 600 , it is checked whether the camera 410 is recognized.

여기에서, 초음파센서(600)로부터 장애물이 감지되면, 바로 정지시킴으로써 방제기의 파손을 방지한다.Her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600, it is stopped immediately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rol device.

카메라(410)가 인식되면, 통신프로토콜을 1차 확인한 후 통신프로토콜 일치여부를 체크하는 2차 확인과정을 수행한다.When the camera 410 is recognized, a secondary confirmation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protocol matches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performed after first check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에서는 카메라(410) 측 라인 표식에 대한 학습 유무 판단한 후, 학습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의 라인 표식을 학습시키고, 학습이 수행되었으면 주행부(200)와 방제부(300)를 동시에 제어하여 주행과 방제의 멀티스레딩을 진행한다.In the microcontrol unit 510,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learning about the line mark on the camera 410 side is performed, if learning is not performed, the microcontrol unit 510 learns the line mark of a specific color specified by the user, and if learning is performed, the driving unit 200 and control By controlling the unit 300 at the same time, multi-threading of driving and control is performed.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에서는 방제부(300)를 통한 방제 작업시, 제2포텐셔미터(56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제2포텐셔미터(560)의 작동시 서보모터(350)를 작동시켜 동력분무기(320)의 카뷰레터(340)를 조절함으로써 약액 분무를 실시하되 방제노즐(330)을 통해 분사한다.The microcontroller unit 51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otentiometer 560 is operated during the control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 and operates the servo motor 350 when the second potentiometer 560 is operated to operate the power sprayer. By controlling the carburetor 340 of the 320, the chemical spray is performed but sprayed through the control nozzle 330.

또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510)에서는 주행부(200)를 통한 자율 주행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를 기준으로 (+)되거나 또는 (-)되는 경우에 따라 조향한다.In addition, in the microcontrol unit 510, when autonomous driving through the driving unit 200, as shown in FIG. 7, based on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enterline as a reference (+) or (-) Steer as needed.

즉,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에 대한 보정값의 (+) 또는 (-)를 판단한다.That is, (+) or (-) of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enter line is determined.

이때,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에 대한 보정값이 (+)이면 우회전으로 조향하고,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에 대한 보정값이 (-)이면 좌회전으로 조향하며,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에 대한 보정값이 "0"인 경우 라인 표식이 차량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직진을 수행토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vehicle centerline position is (+), the steering is turned right, and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vehicle centerline position is (-) If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enter line is "0", it is determined that the line mark coincides with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and proceeds straight ahead.

또한, 차량중심선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하는 오차(DCT)에 대한 보정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라인 표식이 차량의 중심선과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 단계로 피드백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error DCT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enter line is not "0", it is determined that the line mark does not match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and feedback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initial stage.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 및 자율주행에 의한 구동원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을 가진 라인을 인식하여 자율 주행하면서 방제를 실시할 수 있고, 소형으로 제작하여 좁은 경작지에서도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저비용의 양산 가능한 방제기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약 살포에 따른 중독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농업기계의 보급률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자율 주행을 위한 라인 표식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학습시킬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방제기의 사용에 따른 확장성을 넓힐 수 있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농업기계들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표식이 되는 라인을 사용자가 이동하기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rough the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driving principle by autonomous driving,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line with a color specified by the user and perform control while autonomously driving,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pest control work even in narrow arable land by manufacturing this with a low-cost pesticide that can be mass-produced to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in rural areas, as well as solve the problem of poisoning caused by spraying pesticides and increase the penetration rate of agricultural machinery. It can be increased, and the user can directly designate and learn the line markers for autonomous driving, so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alability according to the use of pesticide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It can provide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designate the line to be mov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publish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echnical matter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바디부 200: 주행부
210: 구동바퀴 220: 구동모터
300: 방제부 310: 약액저장통
320: 동력분무기 330: 방제노즐
340: 카뷰레터 350: 서보모터
360: 높이조절 가이드레일 370: 각도조절기구
400: 경로인지부 410: 카메라
500: 제어부 510: 마이크로컨트롤유닛
520: 모드변경 스위치 530: LED 표시등
540: 조이스틱 550: 제1포텐셔미터
560: 제2포텐셔미터 570: 모터드라이버
600: 초음파센서
100: body part 200: driving part
210: drive wheel 220: drive motor
300: control unit 310: chemical storage tank
320: power sprayer 330: control nozzle
340: carburetor 350: servo motor
360: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370: angle adjustment mechanism
400: path recognition unit 410: camera
500: control unit 510: micro control unit
520: mode change switch 530: LED indicator
540: joystick 550: first potentiometer
560: second potentiometer 570: motor driver
600: ultrasonic sensor

Claims (11)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부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약액 분사에 의한 방제작업을 수행하는 방제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통해 설치된 라인 표식을 인지하는 경로인지부;
상기 바디부 상에 설치되고,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경로인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라인 표식 인지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부와 방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body part;
a traveling part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body part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by spraying a chemical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a path recognition unit installed on the body and recognizing a line mark installed through a camera;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body unit,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pest control unit, bu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pest control unit according to a line mark recogn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th recognition unit;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주행부, 방제부, 경로인지부,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면서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rame structure to enable easy use while stably installing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the path recogni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소형 경량으로 제작 및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part,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small and lightweight using an aluminum profile and configured to be easily replaced and u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제부는,
상기 바디부 상에 고정 설치되는 약액저장통;
상기 약액저장통에 저장된 약액을 동력을 이용하여 인출하기 위한 동력분무기;
상기 바디부의 후방(後方)에 설치되고, 동력분무기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방제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분무기에는 카뷰레터를 구비하되, 서보모터에 의해 카뷰레터를 조절하여 동력분무기의 출력 및 방제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hemical storage containe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a power sprayer for withdrawing the chemical solution stored in the chemical solution reservoir by using power;
a control nozz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part and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drawn out from the power sprayer and supplied, at least one control nozzle is installed; includes,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prayer includes a carburetor,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utput and control flow rate of the power sprayer by controlling the carburetor by a servo mo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제노즐은,
상기 바디부의 후방(後方)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높이조절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 가이드레일 상에서 설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nozzle is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vertically arran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of the body part, and is configured to be used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n the height adjustment guide rai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제노즐은,
다양한 농작물에 대응하여 분사각을 조절해가면서 사용 가능하도록 각도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기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nozzle is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ment mechanism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adjusting the spray angle in response to various crops, and is mounted o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u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인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되,
상기 카메라 측 촬영에 의한 영상으로 인식되는 라인 표식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정해진 경로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을 학습시킨 머신러닝 카메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색상의 라인 표식을 따라 자율 주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h recognition unit,
A camera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part,
transmitting a line mark recognized as an image by the camera-side photographing to the control unit to autonomously drive a predetermined path;
The camera is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achine learning camera that has learned a specific color specified by the user and configured to autonomously drive along the line mark of the specific color specified by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율주행모드와 수동모드 및 중립모드의 3가지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를 통한 모드 선택시 선택되는 모드 상태를 표시하여 육안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LED 표시등;
상기 모드 변경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모드 선택시 방제기를 조정하기 위한 조이스틱;
상기 방제기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
상기 주행부의 초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포텐셔미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mode change switch for the user to select a mode from among three modes: an autonomous driving mode, a manual mode, and a neutral mode;
an LED indicator that enables visual identification by displaying a mode state selected when a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a joystick for adjusting the control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a manual mode through the mode change switch;
a micro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first potentiometer for adjusting the initial speed of the driving unit;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뷰레터는,
자율주행모드 중 전진 주행시에만 동작하여 약액을 분사함으로써 방제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arburetor is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only during forward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perform control by spraying a chemical solu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전방(前方)에는 초음파센서를 장착하여 자율 주행시 전방(前方)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장애물 감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방제기를 정지 또는 피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ltrasonic sensor is mounted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to detect an obstacle in the case of an obstacle in the front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transmit an obstacl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stop or move the control unit to avoid it. A custom line-tracking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2포텐셔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포텐셔미터를 조절함에 의해 서보모터 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동력분무기 측 카뷰레터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라인 추적 자율주행 방제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user-defined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econd potentiometer in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power sprayer side carburetor by adjusting the servomotor side angle by adjusting the second potentiometer.
KR1020210009099A 2021-01-22 2021-01-22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KR102506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99A KR102506780B1 (en) 2021-01-22 2021-01-22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99A KR102506780B1 (en) 2021-01-22 2021-01-22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13A true KR20220106313A (en) 2022-07-29
KR102506780B1 KR102506780B1 (en) 2023-03-07

Family

ID=8260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99A KR102506780B1 (en) 2021-01-22 2021-01-22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780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08A (en) * 2014-02-20 2015-08-28 김기형 Automatic guided vehicle
KR101737741B1 (en) * 2016-11-16 2017-05-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Agricultural control equipment
KR101771643B1 (en) * 2015-07-15 2017-08-25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Autonomously traveling robot and navigation method thereof
KR20170127745A (en) * 2016-05-12 2017-11-22 이병찬 Manless moving and spraying apparatus
KR101861778B1 (en) 2016-08-31 2018-05-28 주식회사 케이보배 a agricultural pesticides crop duster
KR20180125371A (en) * 2017-12-07 2018-11-23 (주)솔로몬시스템 Smart pest control robot
KR101965774B1 (en) 2018-01-23 2019-04-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Travelling Pesticide Spraying
KR101941187B1 (en) 2016-12-09 2019-04-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remote control vehicle with spraying agricultural medicines device
KR20190080208A (en) * 2017-12-28 2019-07-08 김지환 Crop planting system
KR20200140953A (en) * 2019-06-07 2020-12-17 이학률 Spraying device of autonomous driving type unmanned control vehic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08A (en) * 2014-02-20 2015-08-28 김기형 Automatic guided vehicle
KR101771643B1 (en) * 2015-07-15 2017-08-25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Autonomously traveling robot and navigation method thereof
KR20170127745A (en) * 2016-05-12 2017-11-22 이병찬 Manless moving and spraying apparatus
KR101861778B1 (en) 2016-08-31 2018-05-28 주식회사 케이보배 a agricultural pesticides crop duster
KR101737741B1 (en) * 2016-11-16 2017-05-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한무인항공서비스 Agricultural control equipment
KR101941187B1 (en) 2016-12-09 2019-04-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remote control vehicle with spraying agricultural medicines device
KR20180125371A (en) * 2017-12-07 2018-11-23 (주)솔로몬시스템 Smart pest control robot
KR20190080208A (en) * 2017-12-28 2019-07-08 김지환 Crop planting system
KR101965774B1 (en) 2018-01-23 2019-04-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Travelling Pesticide Spraying
KR20200140953A (en) * 2019-06-07 2020-12-17 이학률 Spraying device of autonomous driving type unmanned contro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780B1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1488B2 (en) Autonomous vehicle with improv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US107019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nwanted organisms on a field
KR101981196B1 (en) Smart pest control robot
Stentz et al. A system for semi-autonomous tractor operations
US20200042009A1 (en) Unmanned lawn mower with autonomous driving
CN104186450A (en) Orchard variable range combined spraying method and device
EP3762544B1 (en) Automatic road marking system
KR102315678B1 (en)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220039646A (en) Automated driving systems for work vehicles
US20220248599A1 (en) Lawn mowe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36604A1 (en) Autonomous machine navigation using reflections from subsurface objects
JP6626668B2 (en) Agricultural work machine guidance system
JP2016187305A (en) Mobile agricultural machine
JP5461494B2 (en) Automated travel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ed traveling vehicle
KR102506780B1 (en) User Designating Line Tracking Autonomous Driving Sprayer
US11582903B1 (en) Vision based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lawn mowing devices
CN209862068U (en) Autonomous navigation pesticide spraying robot for orchard operation
WO2021132355A1 (en) Work vehicle
CN114355934A (en) Obstacle avoidance method and automatic walking equipment
JP6916544B2 (en) Guidance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machines
WO2019176842A1 (en) Work vehicle and deviation amount calculation program
KR102667303B1 (en) Moving agrochemical spraying apparatus with wheel driving motors emerged in one side of wheels
EP4082331A1 (en) Garden care vehicle, water supply station and system comprising a garden care vehicle and a water supply station
WO2022145410A1 (en) Agriculture assistance system and unmanned aircraft
US20240166047A1 (en) Vehicle spotter dr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