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993A - 압력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993A
KR20220105993A KR1020210009007A KR20210009007A KR20220105993A KR 20220105993 A KR20220105993 A KR 20220105993A KR 1020210009007 A KR1020210009007 A KR 1020210009007A KR 20210009007 A KR20210009007 A KR 20210009007A KR 20220105993 A KR20220105993 A KR 2022010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pressure sensor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049B1 (ko
Inventor
노상수
이응안
김성결
김정주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72Leakage or rupture protec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1Monolithic housings, e.g. molded or one-piece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 센서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 유닛{PRESSURE SENSOR UNIT}
본 발명은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가 적용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압력 센서 유닛은 압력을 감지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센서로서, 가전 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의료기기, 환경 제어와 산업체의 시스템 제어 등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 중 자동차 또는 선박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 유닛은 기계식에서 반도체 및 MEMS형으로 전환되어왔다. MEMS형 압력 센서는 실리콘 멤브레인(membrane) 또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의 얇은 막이 외부 압력에 따라 휘는 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로 변환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또한, 자동차 또는 선박에 적용되는 압력 센서 유닛은 가혹한 환경에서 높은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또는 선박은 주행 경로의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압력을 측정하여 출력해야 하는 높은 수준의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또는 선박의 회로에 연결되는 압력 센서 유닛의 커넥터부는 외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고자 각각의 구성이 결합하는 부위에 오링(O-Ring)과 같은 씰링부재를 이용하여 커넥터부의 수밀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씰링부재가 마모 또는 부식되어 수밀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부에 마련된 회로기판으로 인해 커넥터부의 설계 변경에 제약이 있어, 압력 센서 유닛에 대한 설계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커넥터부의 회로기판으로 인해 조립 공정이 늘어나고 압력 센서 유닛을 제작에 들어가는 부품수도 증가하여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 역시 발생했다.
KR 10-1201465 B1 (2102.11.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씰링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커넥터부와 하우징사이의 수밀을 형성하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넥터부의 회로기판을 제거함으로써 커넥터부의 설계변경 제약을 없애고, 제조 공정상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며 부속 제거로 인한 제작 단가 인하가 가능한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탄성체를 이용하여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적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진동 및 외란에 내성이 있는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한 압력 센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으로,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곡선부 및 상기 외주 일측이 절단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회로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전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 핀은,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전달 탄성체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며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몸체를 관통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부분 하단으로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전달 탄성체와 상기 신호전달 핀의 접촉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센서에 장착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원통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으로,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커넥터부와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씰링부재 없이 커넥터부의 수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의 회로기판을 제거함으로써 커넥터부의 설계변경 제약을 없애고, 제조 공정상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며 부속 제거로 인한 제작 단가를 인하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이용하여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적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진동 및 외란에 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압력 센서 유닛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신호전달 핀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센서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신호전달 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100)은 유체(F)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트부(110), 회로부(120),하우징(130) 및 커넥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센서 유닛(100)은 수소 기체와 같은 유체(F)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포트부(110)는 유체(F)의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트부(110)에는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F)가 인입되는 인입도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도관(111)의 일단은 유체(F)가 인입되도록 개방되며, 인입도관(111)의 타단에는 유체(F)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112)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112)의 일면에는 다이어프램(112)의 변형율을 감지하여 유체(F)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13)가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20)는 압력 센서(113)가 측정한 유체(F)의 압력 신호를 압력 센서(113)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와 연결된 커넥터부(14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회로부(120)는 지지부(121), 커넥터 몰드(122, 123), 회로기판(124), 가이드연장부재(125) 및 신호전달 탄성체(126)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20)는 다이어프램(112)이 위치한 포트부(110)의 일면으로부터 회로부(120) 각각의 구성이 서로 적층되며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24)은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24)의 양단에는 회로기판(124)이 삽입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몰드(122, 123)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몰드(122, 123)는 회로기판(124)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1 커넥터 몰드(122)와 회로기판(124)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 커넥터 몰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몰드(122)는 지지부(121)에 안착되며 지지되고, 지지부(121)는 포트부(110)의 일면에 안착되며 지지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몰드(123)는 회로기판(124)에 삽입되며 지지되고 하우징(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분(123a)이 제1 커넥터 몰드(122)에 안착하며 지지될 수 있다.
신호전달 탄성체(126)는 일례로 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 몰드(123)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구(123b)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에는 회로기판(124)이 삽입되면 회로기판(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접부(123c)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신호전달 탄성체(126)는 접점부(123c)에 안착되며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는 신호전달 탄성체(126)가 좌굴되지 않고 삽입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스프링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해 원통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신호전달 탄성체(126)가 스프링 삽입구(123b) 내부에 접촉되더라도 신호 누설이 되지 않도록 스프링 삽입구(123b) 부분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삽입구(123b)에 삽입된 신호전달 탄성체(126)에는 가이드연장부재(125)가 더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연장부재(125)는 신호전달 탄성체(126)의 길이보다 짧은 스프링 삽입구(123b) 길이로 인해 완전하지 않은 스프링 가이드 효과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삽입구(123b)와 동일한 형상인 가이드 연장구(125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장구(125a)는 제2 커넥터 몰드(123)와 가이드연장부재(125)가 결합되면 스프링 삽입구(123b)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삽입구(123b)의 스프링 가이드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회로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 형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 내부에는 회로부(12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일단은 포트부(110)와, 하우징(130)의 타단은 커넥터부(140)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140)와 결합되는 하우징(130)의 타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절곡부(131)로 인해 커넥터부(140)와 인서트 사출로 형성될 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140)와의 수직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방지하여, 커넥터부(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부(140)는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회로부(120)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커넥터부(140)는 커넥터부 몸체(141), 신호전달 핀(142), 연결홈(143) 및 가이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부 몸체(141)는 하우징(130)과 신호전달 핀(142)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신호전달 핀(142)이 접촉되어도 신호의 누락이 없도록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 몸체(141)의 일단에는 외부기기의 연결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진 연결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신호전달 핀(142)은 커넥터부 몸체(141) 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며, 신호전달 핀(142)의 일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홈(143)에 노출될 수 있다.
신호전달 핀(142)은 회로부(120)와 커넥터부(140)에 접속되는 외부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신호전달 핀(142)은 미리설정된 신호를 회로부(120)로부터 각각 수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전달 핀(142)은 회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전달 탄성체(126)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진 제1 부분(142a) 및 제1 부분(142a)으로부터 절곡되며 연장형성되어 커넥터부 몸체(141)를 관통하는 제2 부분(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42a) 하단에는 신호전달 탄성체(126)와 제1 부분(142a)의 접촉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구(144)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구(144)의 안내에 따라 제1 부분(142a)의 정위치에 접촉된 신호전달 탄성체(126)는 회로기판(124)으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신호전달 핀(14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부(140)는 신호전달 핀(142)의 제1 부분(142a)을 통해 신호전달 탄성체(126)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신호전달 핀(142)의 제2 부분(142b)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을 추가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커넥터부(140)에서 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로기판으로 인해 제약을 받았던 커넥터부(140)의 설계도 용이해질 수 있으며, 부속 제거로 제작 단가도 인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하우징(130)에 회로부(12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신호전달 탄성체(126)가 신호전달 핀(142)에 접촉되어 회로부(120)와 커넥터부(140)의 전기적 연결을 완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상의 제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100)은 체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0)는 체결 상대물과 압력 센서 유닛(10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우징(13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0)는 상기 체결 상대물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0)는 포트부(110)의 일면에 안착되며 포트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부 몸체(14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30)의 절곡부(131)는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132a. 132b, 132c)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은 절곡부(131)가 ‘D컷’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부(132a)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방지부(132a)는 절곡부(131)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곡선부(132a-1) 및 절곡부(131)의 외주 일측이 절단된 직선부(132a-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132a)의 직선부(132a-1) 형상으로 인해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는 상대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은 절곡부(131)의 외주 일측에서 상기 외주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 회전방지부(132b)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132b)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이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은 절곡부(131)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된 회전방지부(132c)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132c)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복수개 형성되어 각각이 하우징(130)과 커넥터부(140)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하우징과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압력 센서 유닛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하우징과 커넥터부의 구조는, 압력 센서가 아닌, 온도 센서나 물리량 계측 센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유닛은 신호전달 매개체로서, 진동에 강한 탄성체를 이용함으로써 진동 및 외란에 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로부 내의 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 및 하우징이 일체형이므로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하락시켜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 제작에 필요한 부속품을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압력 센서 유닛 110: 포트부
120: 회로부 130: 하우징
140: 커넥터부 150: 체결부

Claims (8)

  1.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마련된 포트부;
    상기 포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으로,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곡선부 및 상기 외주 일측이 절단된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회로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전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 핀은,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전달 탄성체와 접촉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며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의 몸체를 관통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부분 하단으로 상기 신호전달 탄성체와 상기 제1 부분의 접촉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 센서 유닛.
  7. 센서에 장착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원통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부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다란 원통형 형상으로,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유닛.
KR1020210009007A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KR10247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07A KR102471049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07A KR102471049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93A true KR20220105993A (ko) 2022-07-28
KR102471049B1 KR102471049B1 (ko) 2022-11-25

Family

ID=8260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07A KR102471049B1 (ko) 2021-01-21 2021-01-21 압력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81A (ko) * 2003-07-18 2005-01-25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압력센서
KR101201465B1 (ko) 2010-11-30 2012-11-14 세종공업 주식회사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및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용 지그장치
KR20150139173A (ko) * 2014-06-03 2015-12-11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 센서
KR20170078919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온도압력진동 복합센서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81A (ko) * 2003-07-18 2005-01-25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압력센서
KR101201465B1 (ko) 2010-11-30 2012-11-14 세종공업 주식회사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및 플러시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용 지그장치
KR20150139173A (ko) * 2014-06-03 2015-12-11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 센서
KR20170078919A (ko) * 2015-12-29 2017-07-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온도압력진동 복합센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49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2359B2 (ja) コネクタ
JP4278549B2 (ja) 圧力センサ
CN107014557B (zh) 物理量测定装置
US20230104418A1 (en) Cable Protection Cover for Increasing Pull-Out Resistance
CN111247697B (zh) 扁平电连接器
KR20220105993A (ko) 압력 센서 유닛
US9435678B2 (e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KR102485905B1 (ko) 압력 센서 유닛
JP2016005893A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CN111751046A (zh) 物理量测量装置和物理量测量装置的制造方法
KR102678706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408569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434356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564528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압력 센서 유닛
JP2019102212A (ja) コネクタ支持体
KR102623221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2434354B1 (ko) 압력 센서 유닛
KR101919498B1 (ko) 차량용 압력센서 하우징 구조
EP3514517B1 (en) Pressure sensor media interface with integrated seal and diaphragm
US10520382B2 (en) Pressure sensor module with spring-loaded electrical contact pins
KR102447939B1 (ko) 신호전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센서 유닛
TWI854752B (zh) 傳輸結構
KR20230057644A (ko) 압력 센서 유닛
TW202437622A (zh) 傳輸結構
CN116793404A (zh) 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