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542A - 수준기 고정발 - Google Patents

수준기 고정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542A
KR20220105542A KR1020210008368A KR20210008368A KR20220105542A KR 20220105542 A KR20220105542 A KR 20220105542A KR 1020210008368 A KR1020210008368 A KR 1020210008368A KR 20210008368 A KR20210008368 A KR 20210008368A KR 20220105542 A KR20220105542 A KR 2022010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ontrol panel
panel
fixed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094B1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코리아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8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combined with inclination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되,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으로,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수준기 고정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전자식 수준기가 결합되는 조절패널; 상기 베이스패널 및 상기 조절패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동수단; 상기 조절패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반의 기울기가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밖일 경우,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상기 수준기 고정발의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준기 고정발{FIXTURE FOR LEVER INSTRUMENTS}
본 발명은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되,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이다.
수준기는 특정 물체의 땅에 대한 각도 및 기울기를 확인하는 기구로서, 토목, 건축, 제조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준기는 아날로그식 수준기와 전자식 수준기로 분류되는데, 전자식 수준기의 경우 정반 상부면 일정 위치에 수준기를 배치시키고 정반을 수평으로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정반의 기울기가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면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값에 따라 정반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나, 정반의 기울기가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외라면 정반의 기울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범위 내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반 자체에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정반을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반의 기울기가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외에 있더라도 최소한의 노동력으로 기울어진 방향 또는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7021호(레이저수준기 받침대) [0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8801호(측정장치용 받침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측정범위 밖으로 기울어진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준기 고정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준기를 고정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정반의 기울기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준기 고정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수준기 고정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 일측에 회동 결합되고, 상부면에 상기 전자식 수준기가 결합되는 조절패널; 상기 조절패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반의 기울기가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밖일 경우,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상기 수준기 고정발의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을 본 발명의 요지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조절패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승강용 나사공; 및 상기 승강용 나사공에 관통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베이스패널을 밀어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용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준기 고정발은, 상기 베이스패널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크; 상기 조절패널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슬라이드링크; 상기 고정링크가 관통 체결되는 링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가 관통 체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공형상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패널;로 구성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회동될 때, 상기 조절패널에 고정된 슬라이드링크가 상기 슬라이드홀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패널의 구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측정범위 밖으로 기울어진 정반의 기울기를 정반의 이동없이 측정하여 측정범위 내로 정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준기 고정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준기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정반의 기울기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준기 고정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에 수준기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부품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부품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본 발명에서 개시한 정반은 평활하게 다듬질된 평면을 가진 금속의 블록 또는 테이블로, 기계 부분품의 조립 및 검사 등에 사용된다.
이때,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수준기 고정발이 형성되며, 수준기 고정발 상부에 수준기가 구비되어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에 수준기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은 베이스패널(100), 조절패널(200), 각도조절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패널(100)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정반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패널(100)의 하부면에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600)이 끼워지거나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홈 또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패널(1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홈 또는 레일은 하부면에서 상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패널(100)의 일측에는 조절패널(2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는 베이스패널(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저면이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패널(200)은 베이스패널(10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결합되고, 상부면에 전자식 수준기(M)가 결합된다.
이때, 조절패널(200)의 일측에 베이스패널(100)에 형성된 힌지부와 대응되는 힌지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패널(200)은 힌지부를 제외한 베이스패널(100)의 너비, 폭과 동일한 너비, 폭으로 형성되어 조절패널(2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패널(200)의 상부면 타측 단부에는 각도조절수단(300)이 형성되는 각도조절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패널(200)의 상부면에는 전자식 수준기(M)가 고정되는 고정수단(5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식 수준기(M)는 하부에 수준기 고정수단(미도시)가 마련되고, 수준기 고정수단에는 조절패널(20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 및 나사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500)에 전자식 수준기(M)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조절패널(200)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전자식 수준기(M)를 조절패널(200)의 상부면에 안착시켜 수준기 고정수단과 조절패널(200)에 형성된 나사체결홈을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수준기 고정수단에 형성된 나사체결홈과 조절패널(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체결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조절수단(300)은 조절패널(200)의 타측에 형성된 각도조절홈에 형성되어 조절패널(2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수단(300)이 구동됨으로써 베이스패널(100)로부터 조절패널(200)을 밀어내는 힘이 발생하고, 일측에 형성된 힌지점을 기준으로 조절패널(200)의 타측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조절패널(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정반의 기울기가 전자식 수준기(M)의 측정 범위 밖일 경우, 전자식 수준기(M)의 측정 범위 내로 수준기 고정발(10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정반의 기울어진 방향 및 정도를 분석할 수 있고, 후에 정반을 임의 조정하여 전자식 수준기(M)의 측정 범위 내로 정반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정반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낸 부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의 각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부품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의 각도조절수단(300)은 승강용 나사공(310)과 승강용 나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용 나사공(310)은 조절패널(200)의 각도조절홈에 고정되고, 내측에 암나사가공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용 나사(320)는 승강용 나사공(310)에 관통 체결되고, 회전시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을 밀어내며 조절패널(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승강용 나사(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승강용 나사(32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은 가이드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수단(400)은 고정링크(410), 슬라이드링크(420), 가이드패널(43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링크(410)는 베이스패널(100)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패널(100)의 타측 전면에는 고정링크(410)가 삽입되는 링크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링크(41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삽입홀에 암나사가공면이 형성되고, 고정링크(410)에 수나사가공면이 형성되어 고정링크(41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링크(420)는 조절패널(200)의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되며, 고정링크(410)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패널(200)의 타측 전면에는 슬라이드링크(420)가 삽입되는 링크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링크(4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삽입홀에 암나사가공면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링크(420)에 수나사가공면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링크(42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430)은 고정링크(410)가 관통 체결되는 링크홀(미도시)과, 슬라이드링크(420)가 관통 체결되는 슬라이드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홀은 조절패널(200)이 회동되면, 슬라이드링크(420)가 슬라이드홀을 따라 조절패널(200)과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링크(420)가 고정된 조절패널(200)이 슬라이드홀과 슬라이드링크(420)에 의해 가이딩되며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은 높이조절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600)은 베이스패널(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 또는 레일에 끼워지거나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준기 고정발(10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600)은 정반 상에 수준기 고정발(10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고무패킹 또는 미끄럼방지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수단(500)은 하부면이 평평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지지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패널(100)과 높이조절수단(600)의 결합 방법에 따라 높이조절수단(60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베이스패널(100)의 하부면에 레일이 형성될 경우 상부면이 단차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레일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패널(100)의 하부면에 높이조절수단(500)이 끼워지기 위한 홈이 마련될 경우, 홈에 인입되는 인입부 또는 인입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베이스패널(100)에 높이조절수단(50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정반 상에 배치한 전자식 수준기(M)의 측정 범위 밖으로 정반이 기울어진 경우,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 상부면에 전자식 수준기(M)를 고정시킨다.
이때, 전자식 수준기(M)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준기 고정수단과, 조절패널(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수단(500)을 정위치시킨 후 체결시킨다.
그리고, 정반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수준기 고정발(1000)을 배치시키고, 각도조절수단(300)의 승강용 나사(320)를 회전시켜 조절패널(2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조절패널(200)이 일정 각도 회동됨에 따라 전자식 수준기(M)가 측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 정반의 기울기를 임의 조정하여 수준기 고정발(1000)의 각도 조절 없이도 전자식 수준기(M)가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수준기 고정발(1000)을 통해 전자식 수준기(M)의 측정 범위는 넘어서되 육안으로 구분이 힘든 정반의 기울기를 파악하여 전자식 수준기(M)가 측정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정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되,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수준기 고정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패널
200 : 조절패널
300 : 각도조절수단
310 : 승강용 나사공
320 : 승강용 나사
400 : 가이드수단
410 : 고정링크
420 : 슬라이드링크
430 : 가이드패널
500 : 고정수단
600 : 높이조절수단
1000 : 수준기 고정발
M : 수준기

Claims (3)

  1.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전자식 수준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수준기 고정발에 있어서,
    상기 정반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 일측에 회동 결합되고, 상부면에 상기 전자식 수준기가 결합되는 조절패널;
    상기 조절패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반의 기울기가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밖일 경우, 상기 전자식 수준기의 측정 범위 내로 상기 수준기 고정발의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정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조절패널의 타측에 형성되는 승강용 나사공; 및 상기 승강용 나사공에 관통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베이스패널을 밀어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용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기 고정발은,
    상기 베이스패널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크;
    상기 조절패널 타측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슬라이드링크;
    상기 고정링크가 관통 체결되는 링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가 관통 체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공형상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패널;로 구성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절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회동될 때, 상기 조절패널에 고정된 슬라이드링크가 상기 슬라이드홀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패널의 구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고정발.
KR1020210008368A 2021-01-20 2021-01-20 수준기 고정발 KR10249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68A KR102494094B1 (ko) 2021-01-20 2021-01-20 수준기 고정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68A KR102494094B1 (ko) 2021-01-20 2021-01-20 수준기 고정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542A true KR20220105542A (ko) 2022-07-27
KR102494094B1 KR102494094B1 (ko) 2023-01-31

Family

ID=8270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68A KR102494094B1 (ko) 2021-01-20 2021-01-20 수준기 고정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317U (ko) * 1993-12-16 1995-07-26 이봉상 각도측정기
EP0778957A2 (en) * 1994-08-31 1997-06-18 Litt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d attaching optical fibers to optical waveguid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H11272196A (ja) * 1998-03-19 1999-10-08 Fujitsu General Ltd 平面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
KR101368801B1 (ko) 2012-12-13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정장치용 받침대
KR101747021B1 (ko) 2016-01-15 2017-06-13 주식회사 동양에프에이 레이저수준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317U (ko) * 1993-12-16 1995-07-26 이봉상 각도측정기
EP0778957A2 (en) * 1994-08-31 1997-06-18 Litt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d attaching optical fibers to optical waveguid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H11272196A (ja) * 1998-03-19 1999-10-08 Fujitsu General Ltd 平面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
KR101368801B1 (ko) 2012-12-13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정장치용 받침대
KR101747021B1 (ko) 2016-01-15 2017-06-13 주식회사 동양에프에이 레이저수준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94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23369A3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surface profile
KR101025390B1 (ko) 수평레벨장치
CN101078621A (zh) 光线产生组件
CN206931563U (zh) 晶圆测试装置
TW200909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heel alignment
KR101747021B1 (ko) 레이저수준기 받침대
JP2008120595A (ja) 車両の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レベリング・ベンチ装置
KR101938407B1 (ko) 정확한 표고 데이터 획득을 위한 수준측량용 측량장치
KR20220105542A (ko) 수준기 고정발
KR20160070475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진자 운동 실험 장치
KR101938404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기구
KR101574723B1 (ko) 더블 사이드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스테이션
JP2004317406A (ja) 光波測定器用受光治具
KR20130091390A (ko) 평판형 광도파로의 각도검사장치
CN106152889B (zh) 一种大型外径千分尺固定式校检装置
US2002009450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elongated foodstuff
KR100422424B1 (ko) 정적 관성곱 모멘트의 측정이 가능한 질량특성 시험장치
KR20080062229A (ko) 경도 측정 장치용 지그
KR102040979B1 (ko) 3d 계측장비의 캘리브레이션 자동화 장치
CN106197188A (zh) 一种双调节外径千分尺校检装置
CN220453293U (zh) 一种裂缝观测仪
CN217765465U (zh) 一种光学测准用光路校准装置
CN215261492U (zh) 一种测量立尺装置
KR200382033Y1 (ko) 인디케이터용 스탠드
CN217585704U (zh) 一种平行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