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407A -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 Google Patents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407A
KR20220105407A KR1020210008068A KR20210008068A KR20220105407A KR 20220105407 A KR20220105407 A KR 20220105407A KR 1020210008068 A KR1020210008068 A KR 1020210008068A KR 20210008068 A KR20210008068 A KR 20210008068A KR 20220105407 A KR20220105407 A KR 2022010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soccer
drone socce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5759B1 (en
Inventor
이한규
이승현
송명준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759B1/en
Publication of KR2022010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which facilitates the arrangement of charging cables, comprising: a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a handle gripped by a user; wheels for moving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seating units;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soccer batteries.

Description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본 발명은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가 하면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가방에 실장되어 휴대 및/또는 이동이 간편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에 입력되는 전원케이블이 릴 방식으로 내장/배출됨으로써 외관상 충전 케이블들이 정돈되어 있고, 상부에는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를 수납식으로 보관하여 충전할수 있도록 되어있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인접한 후면 프레임에 송풍부가 설치되어,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he wheels are formed on the lower frame,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re mounted in a bag for easy portability and/or movement,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s the power cable input to the field is built-in/discharged in a reel method, the charging cables are neatly arranged, and the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can be stored and charged in the upper part, and a number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re adjacent to the rear. It relates to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that is designed to facilitate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when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charge the battery of a drone soccer ball by installing a blower in the frame.

드론축구(drone soccer)는 탄소 소재의 보호장구에 둘러싸인 드론(drone)을 공으로 삼아 축구처럼 골대에 넣는 신개념 스포츠이다. 2016년 전주시와 협력기관인 캠틱종합기술원이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보급한 레저 스포츠로, 2017년 제1회 전주시장배 드론축구대회 개최를 시작으로, 2018년 11월에는 사단법인 대한드론축구협회가 공식 출범했다. 2020년 현재 전국 16개 지부 및 200여개 선수단이 활동 중이며, 일본·중국·영국·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도 드론 축구팀이 생겨나고 있다. 또 2019년 3월 서울국제레저스포츠산업전(SPOEX) 전국드론축구대회에서는 세계 최초로 일본드론축구팀(JDSA)을 초청하여 한일친선경기를 가진 바 있다.Drone soccer is a new concept sport that uses a drone surrounded by carbon protective gear as a ball and puts it in the goal like soccer. It is a leisure sport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by Jeonju City and Camtic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in 2016. Starting with the first Jeonju Mayor Cup Drone Soccer Tournament in 2017, the Korea Drone Football Association was officially launched in November 2018. . As of 2020, there are 16 branches and 200 teams across the country, and drone soccer teams are also emerging in Japan, China, England, and Malaysia. Also, in March 2019, at the Seoul International Leisure Sports Industry Exhibition (SPOEX) National Drone Soccer Tournament, the Japanese drone soccer team (JDSA) was invi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o have a Korea-Japan friendly match.

드론축구 경기장의 높이는 4∼5m이며, 골의 높이는 골대의 중앙부가 경기장 표면에서 3∼3.5m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또 골대의 형상은 원형이어야하며, 내경의 지름이 60cm, 외경의 지름이 80∼100cm여야 한다. 아울러 드론볼(drone ball)은 둥근 모양의 외골격으로 둘러싸여져 있는데, 그 지름은 40±2cm여야 한다. 볼의 무게는 1kg 이하여야 하며, 외골격의 개방된 단일 면적이 150㎠ 이하여야 한다The height of the drone soccer field is 4~5m, and the height of the goal should be located between 3~3.5m from the surface of the stadium at the center of the goal.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oalpost must be circular, and the inner diameter must be 60cm and the outer diameter must be 80-100cm. In addition, the drone ball is surrounded by a round exoskeleton, and the diameter must be 40±2cm. The weight of the ball should be less than 1kg, and the single open area of the exoskeleton should be less than 150cm2.

이러한 구조의 드론볼을 가지고 경기장 내에서 치뤄지는 드론 축구의 경기운영은 두 팀으로 나눠 양팀 각각 5명 이하 선수와 5개 이하의 드론볼로 구성되어 플레이된다.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는 해당 팀의 드론볼이 다른 팀과 확연히 구분이 될 수 있도록 LED 색상 등으로 구분하여야 하며, 해당 팀의 골잡이 역시 같은 팀과 다른 팀 모두로부터 확연히 구분될 수 있도록 규정에 의한 꼬리표 등을 부착하여야 한다.The game operation of drone soccer, which is played in the stadium with a drone ball having this structure, is divided into two teams and played with less than 5 players and less than 5 drone balls from each team.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must classify the team's drone ball with LED colors so that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teams. back should be attached.

이때 선수는 1인당 1개의 드론볼만 컨트롤해야 하며, 선수의 수와 드론볼의 수는 동일하다. 한 팀은 골잡이 1명과 길잡이 및 길막이 4명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골잡이는 유일하게 골대에 넣어 득점할 수 있는 드론으로, 각 팀에 1기만 둘 수 있다. 길잡이는 공격 활로를 열어주고, 길막이는 상대의 공격 루트를 막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a player must control only one drone ball per person, and the number of players and the number of drone balls are the same. A team consists of one goalkeeper and four guides and keeper. Here, the goalkeeper is the only drone that can score goals by putting it in the goalpost, and each team can have only one. The guide opens an attack path, and the road block serves to block the opponent's attack route.

경기는 한 세트에 3분씩 3세트로 진행된다. 선수 교체는 세트 시작전에 가능하며 세트가 시작되어 플레이 중일 때는 불가능하다. 경기에서 세트 득실결과 무승부라면 1회 3분의 연장전 또는 승부차기를 실시할 수 있다.The match is played in 3 sets of 3 minutes each. Substitutions may be made before the start of the set, not while the set is in play. If the match results in a draw as a result of a set loss, overtime or penalty shootouts of 3 minutes per inning may be conducted.

위와 같은 드론축구 경기에서 볼 기능을 수행하는 드론볼의 충전된 전력량이 제한적이며. 경기 전에 드론볼의 완충이 필요하며, 드론축구 경기 중뿐만 아니라, 드론 축구 연습경기 중에서도 드론볼의 충전된 전력이 소모될 경우 실시간으로 드론볼의 충전이 필요하다. The amount of charged power of the drone ball, which performs the ball function in the drone soccer game as above,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fully charge the drone ball before the game, and if the charged power of the drone ball is consumed not only during the drone soccer game but also during the drone soccer practice game, the drone ball needs to be recharged in real time.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 규정상 드론볼은 적어도 10개이므로, 10개의 드론볼에 대응하는 드론축구배터리가 10개가 준비되어야 하지만, 10개의 드론축구배터리들을 개별로 운반하고 배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are at least 10 drone balls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10 drone soccer batteries corresponding to 10 drone balls must be prepared, but there is a limit to individually transporting and arranging 10 drone soccer batteries. there is

공개특허 제10-2012-0005292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5292 등록특허 제10-1717129호Registered Patent No. 10-17171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바퀴가 하면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가방에 실장되어 휴대 및/또는 이동이 간편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에 입력되는 전원케이블이 릴 방식으로 내장/배출됨으로써 외관상 충전 케이블들이 정돈되어 있고, 상부에는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를 수납식으로 보관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인접한 하면 프레임에 송풍부가 설치되어,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 충전기들이 드론축구볼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the wheels are formed on the lower frame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re mounted in a bag,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or move and input to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s the power cables that are used are built-in/discharged in a reel method, the charging cables are neatly arranged, and the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can be stored and charged in the upper part, and a number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are adjacent to the lower frame. It has been completed as a technical task with a focus on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which is designed to easily dissipate heat generated when a large number of drone soccer battery chargers charge drone soccer ball batteries with a blower install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면 프레임,an upper fram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상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단변측 단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측면 프레임들으로서, As side frame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each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hort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들은 전면 프레임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홈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 프레임들,Each of the side frames includes a rail groove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front frame to move in a sliding manner;

상기 상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 장변측 단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프레임, a rea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one long side end of the upper frame and disposed at the rear;

상기 상면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면 프레임, 및A lower frame facing the upper frame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the rear frame, and the front frame from a lower portion, and

단변들이 상기 측면 프레임들의 상기 레일 홈에 끼워져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상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하면 프레임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전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Short sides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of the side frames and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ront fram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pace open to the front by the side frames, the upper frame, the rear frame, and the lower fram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각각 상기 상면 프레임의 상기 단변측 단부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a handle each connected to the short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상기 하면 프레임의 모서리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움직일 수 있는 바퀴들; Wheels that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frame to move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to the space desired by the user;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상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하면 프레임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들이 각각 상기 측면 프레임들에 연결되고 고정되고, 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들; The side frames, the upper frame, the rea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located in an open space on the front side and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ends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side frames, respectively, the thickness direction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units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들마다 안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복수의 상기 드론축구충전기; 및a plurality of the drone soccer chargers seated for each of 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part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charge the battery part of the drone soccer ball; and

상기 드론축구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soccer charger,

상기 드론축구충전기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충전부,The drone soccer charger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stores it, and charges the battery unit of the drone soccer ball;

상기 충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원선, 및a power line connecting the charg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드론축구볼에 전달하는 충전케이블을 포함하고,Comprising a charging cable for transferring the power stored in the charging unit to the drone soccer ball,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부는 릴부 내부에 감겨있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다가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릴부 내부에 감겨있던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릴부의 외부로 나오도록 구성된다.A part of the charging cable is wound inside the reel unit and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user arbitrarily pulls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a part of the charging cable wound inside the reel unit is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reel unit. .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후면 프레임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면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상기 후면 통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축구배터리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The rear frame includes a rear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rear frame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is installed in the rear through hole and generated from the drone soccer batteries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or discharging heat to the outside,

상기 송풍부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l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상기 측면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a display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frames;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 the display unit,

상기 충전부, 및 the charging unit, and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퀴가 하면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들이 가방에 실장되어 휴대 및/또는 이동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are mounted in a bag,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or move.

또한,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들 각각의 충전 케이블이 릴 방식으로 내장/배출됨으로써 외관상 충전 케이블들이 정돈될 수 있어, 충전 케이블의 정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cabl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are built-in/discharged in a reel manner, the charging cables can be arranged in appearance, making it easy to organize the charging cables.

나아가,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들이 인접한 후면 프레임에 송풍부가 설치되어,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들이 드론축구볼을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a blower is installed on the rear frame adjacent to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so that it is easy to discharge heat generated when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charge a drone soccer ball.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의 전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드론축구충전기와, 전원공급부, 및 드론볼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축구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후면 프레임, 및 방열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충전부,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공급부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온도센서, 제어부, 모터, 전원공급부, 및 송풍부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2 수납 공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frame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of FIG. 1 .
4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soccer charger of FIG. 3,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rone ball.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one soccer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rame and a heat dissipation member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8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harging unit, a control unit, a display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0 .
1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mperature sensor, a control unit, a motor, a power supply unit, and a blower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2 .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3 .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folded state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of FIG. 15 .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orage space of FIG. 16 .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action and effec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complet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 바퀴들(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 wheels 30 , and a handle 40 . can

도 1에서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되어 있다. 제1 방향(DR1)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상면 프레임(10a)의 연장 방향을 지칭하고,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제3 방향(DR3)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전면 프레임(20)이 이동하는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각각 교차할 수 있다.1 , a first direction DR1 , a second direction DR2 , and a third direction DR3 are defined. The first direction DR1 refers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0a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refers to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third direction DR3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frame 20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moves. The third direction DR3 may intersect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다만,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한 것이며 상대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e definitions of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the third direction DR3 are arbitrarily determ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relative.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상면 프레임(10a),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10a)의 단변측 단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측면 프레임(10b)들으로서,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은 전면 프레임(20)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홈(도 2의 11 참조)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10a)의 일 장변측 단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프레임(10d),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대향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후면 프레임(10d), 상기 전면 프레임(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면 프레임(10c), 및 단변들이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의 상기 레일 홈(11)에 끼워져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전면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parts 10 and 20 are connected to the top frame 10a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the top frame 10a, and from the ends of the short sides of the top frame 1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the side frames 10b respectively extended to the The side frames 10b, a rear frame 10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a an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one long side end of the upper frame 10a and disposed rearward, the upper frame 10a ), the side frames 10b, the rear frame 10d, the lower frame 10c supporting the front frame 20 from the lower side, and the short sides of the rail grooves of the side frames 10b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pace open on the front side by the side frames 10b, the upper frame 10a,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while being inserted in (11) and mov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may include a front frame (20).

상면 프레임(10a)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0a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상면 프레임(10a)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면 프레임(10a)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들이 상면 프레임(10a)의 주연장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면 프레임(10a)은 주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 the upper frame 10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 Here, the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upper frame 10a may be the major extension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10a. Accordingly, the upper frame 10a may have a shape that mainly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측면 프레임(10b)들은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연결될 수 있다.The side frames 10b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a.

측면 프레임(10b)들은 각각 상기 상면 프레임(10a)의 단변측 단부들로부터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The side frames 10b may each exte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DR3 ) from the short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10a .

측면 프레임(10b)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side frames 10b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long sides extending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여기서, 측면 프레임(10b)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들이 측면 프레임(10b)의 주연장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측면 프레임(10b)은 주로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side frame 10b may be the main length of the side frame 10b. Accordingly, the side frame 10b may have a shape that mainly extends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은 전면 프레임(20)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홈(11)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side frames 10b may include a rail groove 11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front frame 20 to move in a sliding manner.

후면 프레임(10d)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를 기준으로 후술할 전면 프레임(20)이 위치하는 공간이고 후방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을 기준으로 후면 프레임(10d)이 위치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은 상대적인 것임에 유념하여야 한다.The rear frame 10d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 Here, the front is a space in which the front frame 2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based on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parts 10 and 20, and the rear is the rear frame 10d based on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parts 10 and 20. It can be defined as a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nterior and posterior are relative.

후면 프레임(10d)은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10a)의 일 장변측 단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ear frame 10d is connected to the side frames 10b and the upper frame 10a and extends from one long side end of the upper frame 1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DR3). can

후면 프레임(10d)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후면 프레임(10d)은 대체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후면 프레임(10d)이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고 한 것은, 후면 프레임(10d) 내부에 후면 통공(도 7에서 후술될 10H)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면 프레임(10d)은 내부에 후면 통공(10H)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4개의 변, 즉 2개의 장변들, 및 2개의 단변들을 가지므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The rear frame 10d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e rear frame 10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 Here, it is said that the rear frame 10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ecause it has a rear through hole (10H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7 ) inside the rear frame 10d. Accordingly, since the rear frame 10d has four sides, that is, two long sides, and two short sides, except that it has a rear through hole 10H therein, i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하면 프레임(10c)은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프레임(10d), 상기 상면 프레임(10a)과 대향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후면 프레임(10d), 상기 전면 프레임(2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frame 10c is opposite to the rear frame 10d and the upper frame 10a disposed at the rear, and the side frames 10b, the rear frame 10d, and the front frame 20 from the lower side. can support

하면 프레임(10c)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프레임(1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하면 프레임(10c)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ower frame 10c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upper frame 10a, as shown in FIG. 1 . That is, the lower frame 10c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

다만, 하면 프레임(10c)의 단변들의 길이는 상면 프레임(10a)의 단변들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면 프레임(10c)의 단변들의 길이를 상면 프레임(10a)의 단변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면 프레임(20)이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하면 프레임(10c)의 제2 방향(DR2) 일측부는 상면 프레임(10a)의 제2 방향(DR2) 일측부보다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보다 돌출되게 된다.However, the length of the short sides of the lower frame 10c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s of the upper frame 10a. The reason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ront frame 20 is seated by forming the short sides of the lower frame 10c to be longer than the short sides of the upper frame 10a. Accordingly,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0c in the second direction DR2 protrudes more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an the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0a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2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이동하는데, 전면 프레임(20)이 제3 방향(DR3) 타측(하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폐쇄하고, 전면 프레임(20)이 제3 방향(DR3) 일측(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ont frame 20 moves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and when the front frame 20 moves completely in the other side (downward direction) in the third direction DR3, the side frame 10b) For example, the upper frame 10a,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close the open space on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frame 20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DR3 on one side (upward direction). ),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frames 10b, the upper frame 10a,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may be opened.

전면 프레임(2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이동하는데, 전면 프레임(20)이 제3 방향(DR3) 타측(하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폐쇄하는 경우 전면 프레임(20)의 하측 단변은 상면 프레임(10a)의 제2 방향(DR2) 일측부보다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보다 돌출된 하면 프레임(10c)의 제2 방향(DR2) 일측부에 안착되게 되어, 완전히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The front frame 20 moves along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front frame 20 completely moves to the other side (lower direction) in the third direction DR3, so that the side frames 10b, the upper frame ( 10a), the lower short side of the front frame 20 when closing the open space on the front by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i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of the upper frame 10a It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0c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more protrudes to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an the side, so that the side frames 10b, the upper frame 10a, and the rear surface are completely seated. It is possible to close the open space at the front by the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20)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frame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and extends along the long sid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third direction DR3. 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short sides.

전면 프레임(20)의 단변들은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의 상기 레일 홈(11)에 끼워져 상기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hort sides of the front frame 20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11 of the side frames 10b and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DR3) while moving the side frames 10b and the upper frame 10a. ),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surface frame 10c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space on the front side.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프레임(20)의 단변들은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의 상기 레일 홈(11)에 끼워져 상기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c)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면 프레임(20)의 장변들 및 단변들 중 하나가 인접한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상면 프레임(10a), 측면 프레임(10b), 및 하면 프레임(10c)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고, 장변들 및 단변들 중 하나를 제외한 전면 프레임(20)의 장변들 및 단변들 중 다른 변들이 인접한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의 상면 프레임(10a), 측면 프레임(10b), 및 하면 프레임(10c)들과 전혀 체결되지 않아 여닫이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ort sides of the front frame 20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11 of the side frames 10b and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DR3) to the side frames 10b, th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pace open to the fron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upper frame 10a,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c,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mong the long and short sides of the front frame 20 . One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upper frame 10a, the side frame 10b, and the lower frame 10c of the adjacent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and the front frame except for one of the long sides and the short sides The other sides of the long and short sides of (20) are not fastened at all with the upper frame 10a, the side frame 10b, and the lower frame 10c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adjacent to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in this way.

손잡이(40)는 각각 상기 상면 프레임(10a)의 상기 단변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40 may be connected to the short sides of the upper frame 10a, respectively, and formed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바퀴(30)들은 상기 하면 프레임(10c)의 모서리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heels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frame 10c to move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into a space desired by the user.

도 3은 도 1의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의 전면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frame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of FIG. 1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은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 및 드론축구충전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3 ,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may further include a drone soccer charger seat 12 and a drone soccer charger 50 .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들은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 상기 상면 프레임(10a), 상기 후면 프레임(10d), 및 상기 하면 프레임(10a)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units 12 may be located in a space open to the front by the side frames 10b, the upper frame 10a, the rear frame 10d, and the lower frame 10a. .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는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part 12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드론축구배터리 안착부(120)의 단변들은 각각 상기 측면 프레임(10b)들에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seat 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hort sides of the drone soccer battery mounting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ide frames 10b, respectively.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들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들은 두께 방향(또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part 12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parts 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DR3).

드론축구충전기(5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은 상기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12)들마다 안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may be seated for each of 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units 12 .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은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은 위치에 따라 번호가 정해져 있다(①, ②, ③, ④, ⑤, ⑥...)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are number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 (①, ②, ③, ④, ⑤, ⑥...)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드론축구충전기와, 전원공급부, 및 드론볼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4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soccer charger of FIG. 3,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rone ball.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은 드론축구볼(DB)의 드론축구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4 and 5 , each of the drone soccer chargers 50 may serve to charge the drone soccer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DB.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은 전원공급부(SP)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SP.

상기 드론축구충전기(50)는 상기 전원공급부(SP)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드론축구볼(DB)을 충전시키는 충전부(51), 상기 충전부(51)와 상기 전원공급부(SP)를 연결하는 전원선(53), 및 상기 충전부(51)에 저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드론축구볼(DB)에 전달하는 충전케이블(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5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SP) and stores it, and then charges the drone soccer ball (DB) with a charging unit 51, the charging unit 51 and the power supply unit SP. It may include a power line 53 for connecting, and a charging cable 52 for transferring the power stored in the charging unit 51 to the drone soccer ball DB.

드론축구볼(DB)의 드론축구배터리의 외부 접속단자(CNP_D)는 캡부(CAP)에 의해 덮여져 있다가 충전 시에 캡부(CAP)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충전케이블(52)의 접속단자(CNP_M)는 노출된 외부 접속단자(CNP_D)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드론축구볼(DB)의 드론축구배터리는 충전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NP_D of the drone soccer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DB may be covered by the cap part CAP and exposed by the cap part CAP during charging. The connection terminal CNP_M of the charging cable 52 is connected to the expose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NP_D, so that the drone soccer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an be charged.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축구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one soccer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드론축구충전기(50_1)의 충전케이블(52)이 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드론축구충전기(50)와 상이하다.Referring to FIG. 6 , it is different from the drone soccer charger 50 according to FIG. 5 in that the charging cable 52 of the drone soccer charger 50_1 may be provided in a reel manner.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론축구충전기(50_1)의 충전케이블(52)이 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able 52 of the drone soccer charger 50_1 may be provided in a reel manner.

즉, 상기 충전케이블(52)의 일부는 릴부(54) 내부에 감겨있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다가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충전케이블(52)의 단부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릴부(54) 내부에 감겨있던 상기 충전케이블(52)의 일부가 상기 릴부(54)의 외부로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 part of the charging cable 52 is wound inside the reel unit 54 and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but when the user arbitrarily pulls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52 , the reel unit 54 is wound inside the reel unit 54 . A portion of the charging cable 52 may be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reel unit 54 .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_1)들 각각의 충전 케이블(52)이 릴 방식으로 내장/배출됨으로써 외관상 충전케이블(52)들이 정돈될 수 있어, 충전케이블(52)의 정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cables 5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_1 are built-in/discharged in a reel manner, so that the charging cables 52 can be arranged in appearance,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charging cables 52 is eas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다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을 설명한다.Again,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 프레임(10d)은 상기 후면 프레임(10d)을 상기 제2 방향(도 1의 DR2 참조)으로 관통하는 후면 통공(10H)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은 상기 후면 통공(10H) 내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축구충전기(50)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FA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rear frame 10d includes a rear through hole 10H penetrating the rear frame 10d in the second direction (see DR2 in FIG. 1 ), and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The module 1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FAN) installed in the rear through hole 10H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drone soccer chargers 50 to the outside.

상기 송풍부(FAN)는 모터(M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lower FA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MT.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인접한 후면 프레임(10d)에 송풍부(FAN)가 설치되어,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드론축구볼(도 5의 DB)을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blower (FAN) is installed in the rear frame 10d adjacent to 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so that 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use a drone soccer ball (DB in FIG. 5).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is easily dissipated.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or simplified.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후면 프레임, 및 방열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frame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heat dissipation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방열부재(6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과 상이하다.8 and 9, in that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heat dissipation member 60,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different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방열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60 .

방열부재(60)는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드론축구볼(도 5의 DB)을 충전할 때 발생되는 열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serve to more easily dissipate heat generated when 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charge the drone soccer ball (DB of FIG. 5 ).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드론축구볼(도 5의 DB)을 충전할 때 열은 복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상방으로 모두 배출되지만, 송풍부(도 7의 FAN)를 통해 상기 열을 배출하므로, 방열부재(60) 또한,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 중 후면 프레임(10d)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charge the drone soccer ball (DB of FIG. 5), heat is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sides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are located, but the blower (Figure 5) Since the heat is discharged through the FAN of 7),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is also preferabl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frame 10d of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방열부재(60)는 열을 외부에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방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member 60 may be made of a heat dissipating material that can easily dissipate heat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방열부재(60)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include copper (Cu), aluminum (Al), or graphi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방열부재(60)는 후면 프레임(10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방열부재(60)를 부착하기 위해 후면 프레임(10d)과 방열부재(6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열부재(60)를 후면 프레임(10d) 상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frame 10d. Although not shown in FIG. 9 , a separate adhesive memb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rear frame 10d and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to attach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frame 10d by welding or the like.

방열부재(60)는 대체로 후면 프레임(10d)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방열부재(60)는 중앙부에 제2 방향(도 1의 DR2)을 따라 관통되는 방열 통공(60H)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rear frame 10d.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member 6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through hole 60H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of FIG. 1 ).

방열 통공(60H)은 후면 프레임(10d)의 후면 통공(10H)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중첩할 수 있다. 후면 통공(10H)의 면적은 방열 통공(60H)의 면적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통공(60H) 내에는 상술한 송풍부(FAN)가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hole 60H may overlap the rear through hole 10H of the rear frame 10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area of the rear through hole 10H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hole 60H,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described blower FAN may be disposed in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hole 60H.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충전부,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공급부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harging unit, a control unit, a display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0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디스플레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복수개의 드론축구배터리들의 충전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70)는 위치에 따라 번호가 정해진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①, ②, ③, ④, ⑤, ⑥...)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배터리마다의 충전 상태를 개별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10 and 11 ,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70 . The display unit 70 may show the charg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That is, the display unit 70 is each battery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①, ②, ③, ④, ⑤, ⑥...) numbe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You can show the charge status of each individually.

디스플레이부(70)는 복수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배터리부의 충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70) 및 충전부(51)와 연동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The display unit 70 is a control unit interworking with the display unit 70 and the charging unit 51 as shown in FIG. 11 in order to show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 (80) should be further included.

제어부(80)는 디스플레이부(70) 및 충전부(5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70 and the charging unit 51 .

즉, 제어부(80)는 충전부(51)로부터 개별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충전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충전 상태에 관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에 전송하여 개별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8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individual drone soccer chargers 50 from the charging unit 51 , the control unit 80 sends a signal regarding the charging state to the display unit 70 .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individual drone soccer chargers 50 by transmission.

한편, 제어부(80)는 전원공급부(SP)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80 may als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SP.

즉, 충전부(51)로부터 개별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충전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고,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들 중 충전이 완료된 드론축구볼(DB)과 연결된 드론축구충전기(50)에는 전원공급부(SP)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That is, a signal regard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individual drone soccer chargers 50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unit 51, and among the drone soccer balls DB connected to the drone soccer charger 50 To the drone soccer charger 50 connected to the drone soccer ball DB that has been charged, the power supply unit SP may be controlled to stop the power supply.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80)는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경기 종류에 따라 경기 시간이 짧은 경기도 있으므로 전원공급부(SP)를 통해 드론축구볼(DB)의 충전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경기 가능"에 대한 별도의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축구의 경기 시간은 규정에 따라 정해져 있지만(경기는 한 세트에 3분씩 3세트로 진행), 연습 경기나, 아니면 3세트를 진행하지 않고 1세트나 2세트, 또는 한 세트에 1~2분씩만 진행하는 경우, 달라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80 even if the charging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drone soccer chargers 50 is not completed, the game time is short depending on the game type, so the dron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SP Charging of the soccer ball DB may be stopped, and a separate signal for “playabl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0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game time of drone socc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matches are played in 3 sets of 3 minutes each), but without practice matches or 3 sets, 1 set, 2 sets, or 1 set. If you're only doing 1-2 minutes per set, it can make a difference.

이 경우, 빠른 경기 진행을 위해서는 드론축구볼(DB)의 완충보다는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충전이 필요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speed up the game, it may be necessary to charge the drone soccer ball (DB) at a minimum to allow the game to proceed rather than to fully charge it.

따라서, 제어부(80)는 미리 세팅된 경기 시간을 고려하여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된 드론축구볼(DB)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최소한의 충전이 된 경우 전원공급부(SP)를 통해 드론축구볼(DB)의 충전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경기 가능"에 대한 별도의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80 takes into account the preset game time, even if the charging of the drone soccer ball DB connected to the drone soccer chargers 50 is not completed, when the minimum charge is achieved, the power supply unit SP through the Charging of the drone soccer ball DB may be stopped, and a separate signal for “playabl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0 .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온도센서, 제어부, 모터, 전원공급부, 및 송풍부의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mperature sensor, a control unit, a motor, a power supply unit, and a blower unit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2 .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13 .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온도 센서(TD)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티충전모듈과 상이하다.12 to 14 ,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FIG. 7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D).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온도 센서(TD)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D).

온도 센서(TD)는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0, 20) 내의 내부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TD may sense the internal temperature in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0 and 20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제어부(80), 온도 센서(TD), 모터(MT), 전원공급부(SP)를 포함한다.13,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includes a control unit 80, a temperature sensor (TD), a motor (MT), and a power supply unit (SP).

제어부(80)는 온도 센서(TD)로부터 일정 온도 이상이 감지된 겨우, 모터(MT)의 출력을 높여 송풍부(FAN)를 더 세게 회전시켜 내부의 온도를 낮추며, 전원공급부(SP)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When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is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D, the controller 80 increases the output of the motor MT, rotates the blower FAN more strongly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turns off the power supply SP. (OFF) can be done.

한편, 제어부(80)는 감지되는 온도 구간에 따라 위와 다른 모터(MT) 및 전원공급부(SP)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80 may control the motor MT and the power supply unit SP different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section.

예를 들어, 제1 온도 구간을 경고 온도 구간(예컨대, 50~70도)으로 정의하고, 제2 온도 구간을 위험 온도 구간(예컨대, 71도 이상)으로 정의한다면, 제1 온도 구간에서 제어부(80)는 모터(MT)의 출력을 높이되, 전원공급부(SP)는 그대로 온(ON)시키고, 제2 온도 구간에서 제어부(80)는 모터(MT)의 출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원공급부(SP)를 오프(OFF)시킬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temperature section is defined as a warning temperature section (eg, 50 to 70 degrees)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ction is defined as a dangerous temperature section (for example, 71 degrees or more), the control unit ( 80) increases the output of the motor MT, the power supply unit SP is turned on as it is, and in the second temperature section, the control unit 80 increases the output of the motor MT,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supply unit SP ) can also be turned OFF.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디스플레이부(70_1)는 경고알림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display unit 70_1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notification unit 73 .

제어부(80)가 온도 센서(TD)를 통해 일정 온도 이상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80)는 경고알림부(73)에 신호를 전달하여 경고알림부(73)는 일정 온도 이상임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80 detects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D, the controller 80 transmits a signal to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73 so that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73 sends a signal notifying th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above. can be printe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제1 및 제2 온도 구간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경고알림부(73)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알림부(73)는 제1 온도 구간 및 제2 온도 구간에서 서로 다른 경고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80 may transmit different signals to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73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ctions. In this case,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73 may display different warning notifications in the first temperature sect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ction.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2 수납 공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folded state of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of FIG. 15 .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orage space of FIG. 16 .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2)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1)과 상이하다.15 to 17 ,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 according to FIGS. .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2)은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10, 120)는 통상의 캐리어(Carrier)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10, 120)는 상면 및/또는 측면에 운반하기 편하게 손잡이(40)들이 위치하고, 하면에 바퀴(30)가 설치되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상술한 송풍부(FAN)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10 and 1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a normal carrier. More specifically,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10 and 120 have handles 40 on the upper surface and/or the side for easy carrying, and wheels 30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above-mentioned on any one of the sides. A fan is installed.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10, 120)는 상술한 손잡이(40), 송풍부(FAN), 및 바퀴(30)가 설치된 제1 실장부(110)와 제2 실장부(120)로 구분된다. 제1 실장부(110)와 제2 실장부(120)는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10, 120)를 개방하면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110, 120)를 폐쇄할 경우에는, 서로를 대면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지만, 개방할 경우에는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10 and 120 are divided into a first mounting unit 110 and a second mounting unit 120 in which the aforementioned handle 40 , a blower fan, and a wheel 30 are installed. The first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may be separated into separate spaces when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10 and 120 are opened. In other words, when th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s 110 and 120 are closed, they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ut when opened, they can be arranged in a manner that faces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전원공급부(SP), 및 다수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이 배치된 공간을 제1 실장부(110)로 정의하고, 다수의 드론축구배터리(200)(도 4의 도론볼(DB)의 배터리부)들이 배치된 공간을 제2 실장부(120)라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pac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unit SP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chargers 50 are disposed is defined as the first mounting unit 110 , and a plurality of drone soccer batteries 200 (Doron ball in FIG. 4 ) A space in which (the battery unit of DB) are disposed is defined as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

도 16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부(SP)는 4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되고, 전원공급선(SPL)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선(SPL)은 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power supply unit SP is connected to the four drone soccer chargers 50 and may receive external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SPL. The power supply line SPL may be provided in a reel typ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공급선(SPL)이 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line SPL may be provided in a reel manner.

즉, 상기 전원공급선(SPL)의 일부는 릴부(AR) 내부에 감겨있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다가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전원공급선(SPL)의 단부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릴부(AR) 내부에 감겨있던 상기 전원공급선(SPL)의 일부가 상기 릴부(AR)의 외부로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 part of the power supply line SPL is wound inside the reel unit AR and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user arbitrarily pulls the end of the power supply line SPL, the reel unit AR wound inside the A part of the power supply line SPL may be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reel unit AR.

하나의 드론축구충전기(50)는 4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드론축구충전기(50)는 5개 이상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드론축구충전기(50)의 충전 케이블(52)은 4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One drone soccer charger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s 200 of four drone soccer bal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drone soccer charger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s 200 of five or more drone soccer balls. The charging cable 52 of the drone soccer charger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s 200 of the four drone soccer balls.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드론축구충전기(50)는 4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과 연결되고, 전원공급부(SP)는 4개의 드론축구충전기(50)들과 연결되므로, 하나의 전원공급부(SP)는 16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one drone soccer charger 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s 200 of four drone soccer balls, and the power supply unit SP is connected to four drone soccer chargers 50 . Therefore, one power supply unit SP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s 200 of 16 drone soccer balls.

16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은 제2 실장부(120) 내에 행렬 방향(가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배터리부(200)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고, 상기 행은 두께 방향으로 4개가 마련되어 4개의 열을 이룰 수 있다. 즉, 16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은 총 4행, 4열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행을 이루는 4개의 드론축구볼은 동일한 안착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4열에 대응되도록 4개씩 마련될 수 있다. The battery units 200 of the 16 drone soccer balls are arranged in a matrix directio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the second mounting unit 120 . For example, four battery units 20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one row, and four rows may be provided in a thickness direction to form four columns. That is, the battery units 200 of the 16 drone soccer balls may be arranged to have a total of 4 rows and 4 columns. Four drone soccer balls constituting one row may be arranged on the same seating part. Four of the seating units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four rows.

한편, 상기 안착부에는 그 상면에 배치된 배터리부(200)의 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16개의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200)들의 충전 상태를 각각 보여주기 위해 16개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70 show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nit 2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may be disposed. That is, 16 display units 70 may be provided to respectively show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s 200 of the 16 drone soccer bal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made clear.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10 :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
30 : 바퀴 40 : 손잡이
1: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10: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30: wheel 40: handle

Claims (3)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면 프레임,
상기 상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단변측 단부들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측면 프레임들으로서,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들은 전면 프레임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홈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상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의 일 장변측 단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에 배치된 후면 프레임,
상기 상면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면 프레임, 및
단변들이 상기 측면 프레임들의 상기 레일 홈에 끼워져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상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하면 프레임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전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론축구충전기 실장부;
각각 상기 상면 프레임의 상기 단변측 단부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상기 하면 프레임의 모서리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을 움직일 수 있는 바퀴들;
상기 측면 프레임들, 상기 상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하면 프레임에 의해 전면에 개방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들이 각각 상기 측면 프레임들에 연결되고 고정되고, 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들;
상기 드론축구충전기 안착부들마다 안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복수의 상기 드론축구충전기; 및
상기 드론축구충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축구충전기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드론축구볼의 배터리부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전원선, 및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드론축구볼에 전달하는 충전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부는 릴부 내부에 감겨있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다가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릴부 내부에 감겨있던 상기 충전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릴부의 외부로 나오도록 구성된 상기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an upper frame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s side frame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each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hort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Each of the side frames includes a rail groove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front frame to move in a sliding manner;
A rea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one long side end of the upper frame and disposed at the rear;
A lower frame facing the upper frame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the rear frame, and the front frame from a lower portion, and
Short sides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of the side frames and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ront fram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pace open to the front by the side frames, the upper frame, the rear frame, and the lower frame. Drone soccer charger mounting unit;
a handle each connected to the short side ends of the upper frame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Wheel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frame to move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to the space desired by the user;
The side frames, the upper frame, the rea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located in the open space on the front side and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ends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side frames, respectively, the thickness direction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units provided in plurality;
a plurality of the drone soccer chargers seated for each of the drone soccer charger seating part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charge the battery part of the drone soccer ball;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soccer charger,
The drone soccer charger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stores it, and charges the battery unit of the drone soccer ball;
a power line connecting the charg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Comprising a charging cable for transferring the power stored in the charging unit to the drone soccer ball,
A part of the charging cable is wound inside the reel unit and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but when the user arbitrarily pulls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a part of the charging cable wound inside the reel unit comes out of the reel unit.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후면 프레임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면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은 상기 후면 통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축구배터리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frame includes a rear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rear frame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is installed in the rear through hole and generated from the drone soccer batteries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or discharging heat to the outside,
The blower is the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드론축구배터리 멀티충전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frames; and
the display unit,
the charging unit, and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charg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KR1020210008068A 2021-01-20 2021-01-20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KR102555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68A KR102555759B1 (en) 2021-01-20 2021-01-20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68A KR102555759B1 (en) 2021-01-20 2021-01-20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407A true KR20220105407A (en) 2022-07-27
KR102555759B1 KR102555759B1 (en) 2023-07-13

Family

ID=8270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68A KR102555759B1 (en) 2021-01-20 2021-01-20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75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92A (en) 2010-07-08 2012-01-16 양준혁 Multi charger
KR20120036046A (en)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차후 Apparatus of charging a battery for a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79138A (en) * 2012-12-18 2014-06-26 신학민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9896B1 (en) * 2015-05-13 2016-06-13 (주)스마트엑세스 containing member for tablet PC charging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1717129B1 (en) 2015-06-24 2017-03-27 김종만 Portable liquid charging apparatus
KR200486212Y1 (en) *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Laptop charging station
KR102133155B1 (en) * 2020-05-11 2020-07-13 주식회사 에스알솔루션 Mobile terminal charging box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92A (en) 2010-07-08 2012-01-16 양준혁 Multi charger
KR20120036046A (en)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차후 Apparatus of charging a battery for a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79138A (en) * 2012-12-18 2014-06-26 신학민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9896B1 (en) * 2015-05-13 2016-06-13 (주)스마트엑세스 containing member for tablet PC charging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1717129B1 (en) 2015-06-24 2017-03-27 김종만 Portable liquid charging apparatus
KR200486212Y1 (en) *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Laptop charging station
KR102133155B1 (en) * 2020-05-11 2020-07-13 주식회사 에스알솔루션 Mobile terminal charging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759B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918B1 (en) Illuminated game projectile with cradled light source
US20090005196A1 (en) Court-based game played by players riding vehicles
US8894490B2 (en) Interactive sports gaming device
US20100090407A1 (en) Ball gam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6215400B (en) A kind of football training pass device
CN107591716A (en) One kind rotation heat radiating type high voltage power distributing cabinet
KR102555759B1 (en) Portable drone soccer battery multi charging module
CN206417211U (en) It is a kind of can ground omnidirectional rolling air-ground amphibious rotor craft
CN107982928A (en) Panzer, panzer group and transmitter
WO2006124207A2 (en) Race track game system
CN202171833U (en) Lottery device
CN211963017U (en) Ball game training equipment
CN203379570U (en) Automatic ping-pong delivering table tennis table
CN107281723A (en) A kind of portable parent-offspring's basketball stands
CN207856232U (en) A kind of football training obstacle bar
CN212651332U (en) Badminton racket
CN201154193Y (en) Basketball-shooting practice device with multi-playing mode
CN205031872U (en) Marble table
WO2009005491A1 (en) Court-based game played by players riding vehicles
CN201727905U (en) Racket Frame with counterweight bodies
CN212369516U (en) Luminous basketball
CN219517752U (en) Single-head baseball service robot
CN218923679U (en) Skipping rope and handle used by same
US20230256305A1 (en) A multiple smart sports equipment charging system
CN218187784U (en) Multifunctional badmin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