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332A -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332A
KR20220105332A KR1020210007900A KR20210007900A KR20220105332A KR 20220105332 A KR20220105332 A KR 20220105332A KR 1020210007900 A KR1020210007900 A KR 1020210007900A KR 20210007900 A KR20210007900 A KR 20210007900A KR 20220105332 A KR20220105332 A KR 2022010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surance
dental
information
hospit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협
박성호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332A/ko
Publication of KR2022010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dental patien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환자 진단 시 보험청구 프로그램, 교정진단 프로그램, 영상진단 프로그램 등 다양한 치과용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한편 환자가 자신의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치아에 대하여 진료 이후 자신의 치아상태에 대하여 이상징후가 발생하거나 불만이 있을 때에도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와 대면 상담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1차 치과 치료를 받고 2차 치과 치료를 예약한 상태에서 예약된 치료 날짜 이전에 치아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 현재는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진료후 치과병원에서 검강보험심사평가원에 보험급여를 청구할 때 전문가가 환자상태를 파악한 후 해당 진단 결과를 진료차트에 기록하면, 그 기록을 기초로 담당 직원이 보험금여 청구를 위해 보험코드를 수기로 기록하는 방법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경우 담당 직원이 보험청구코드를 잘못 선택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문제된다.
한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2579호(2020.11.18.)로서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에서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을 뿐, 환자가 직접 자신의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제공하거나 또는 병원서버가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내용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2579호(2020.11.18.)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사용자단말 및 병원서버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은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 입력단계; 사용자단말이 입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정보 전송단계;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단계;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입력하는 검진결과 입력단계; 및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200) 및 병원서버(300)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3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및 컴퓨터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병원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200)에는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구성된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를 입력하여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에 로그인할 수 있으며, 로그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치아의 이상징후에 대한 문자(텍스트) 설명 또는 이에 대한 치아 사진 및 동영상, 또는 환자의 요청사항 및 불만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치과를 방문하여 1차 치과 치료를 받고 2차 치과 치료를 예약한 상태에서 예약된 치료 날짜 이전에 치아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에 로그인한 후 이러한 이상징후에 대하여 문자(텍스트) 설명을 입력하거나 또는 치아 사진 및 동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식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예컨대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단말(200)은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를 병원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는 환자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최초 설치할 때 입력될 수 있으며, 최초 설치 후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사용자 개인식별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과 병원서버(300)는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병원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병원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가 병원서버(300)에 수집되어 저장되면, 치과전문의 등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병원서버(3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의료전문가가 검진하여 검진결과가 병원서버(300)에 입력되면, 병원서버(300)는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병원서버(300)는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주치의 또는 담당직원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 직접 해당 검진결과에 대한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원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에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의전문가의 검진결과를 사용자단말(2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검진결과에는 예컨대 2차 치과 치료 예약 날짜 이전에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지 여부, 2차 치과 치료 예약 날짜까지 치아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원서버(300)는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원서버(300)는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주치의 또는 담당직원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 직접 해당 검진결과에 대한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원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험청구정보는 보험청구를 위한 심사청구서, 명세서일반내역, 상병내역,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원서버(300)는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서버(300)는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의료전문가의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진료에 알맞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병원서버(300)는 의료전문가의 검진결과에 기록된 진단에 따른 병명을 예컨대 유사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해당 병명에 알맞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거나 또는 해당 병명에 가장 적합한 보험청구코드를 추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 입력단계(S100), 사용자단말이 입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정보 전송단계(S200),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단계(S300),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입력하는 검진결과 입력단계(S400), 및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0)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사용자단말 입력단계; S100).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단말(200)은 입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사용자정보 전송단계; S200). 사용자단말(200)과 병원서버(300)는 인터넷 등을 통한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가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병원서버(300)에 전송되면 병원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사용자정보 저장단계; S300).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가 병원서버(300)에 저장되면,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검진결과 입력단계; S400).
의료전문가가가 검진결과를 병원서버(300)에 입력하면, 병원서버(300)는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 S5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검진결과 입력단계(S400)이후 또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S500) 이후에, 병원서버(300)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병원서버(300)가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S60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병원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보험청구정보에 대하여 의료전문가가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오류확인단계(S5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은, 병원서버(300)가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S60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기술한다.
(1) 사용자단말 및 병원서버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은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2) 병원서버는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3) 병원서버는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4)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5) 병원서버는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6)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 입력단계; 사용자단말이 입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정보 전송단계;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단계;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입력하는 검진결과 입력단계; 및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7) 검진결과 입력단계 이후 또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8) 병원서버가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9) 병원서버에 의해 생성된 보험청구정보에 대하여 의료전문가가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오류확인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10)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11)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100: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200: 사용자단말
300: 병원서버

Claims (11)

  1. 사용자단말 및 병원서버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은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병원서버는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병원서버는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병원서버는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6.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에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단말 입력단계;
    사용자단말이 입렵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병원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정보 전송단계;
    병원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치아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단계;
    의료전문가가 병원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하여 검진하고 검진결과를 입력하는 검진결과 입력단계; 및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분석하여 보험청구정보를 생성하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검진결과 입력단계 이후 또는 보험청구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병원서버가 생성된 보험청구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병원서버에 의해 생성된 보험청구정보에 대하여 의료전문가가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오류확인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보험청구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도록,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를 병원서버가 분석하여 도출한 진료내역, 진료비내역, 및 보험청구코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병원서버가 의료전문가가 수행한 사용자 치아상태에 대한 검진결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보험청구를 할 수 있는 보험청구코드를 선별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에 제공하는 보험청구정보 제공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KR1020210007900A 2021-01-20 2021-01-20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KR2022010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00A KR20220105332A (ko) 2021-01-20 2021-01-20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00A KR20220105332A (ko) 2021-01-20 2021-01-20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32A true KR20220105332A (ko) 2022-07-27

Family

ID=8270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00A KR20220105332A (ko) 2021-01-20 2021-01-20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3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579B1 (ko) 2018-11-08 2020-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579B1 (ko) 2018-11-08 2020-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8385A1 (en) Efficient diagnosis confirmation of a suspect condition for certification and/or re-certification by a clinician
Whited et al. Patient and clinician satisfaction with a store-and-forward teledermatology consult system
US20060173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US11531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iagnostic software tool
US20040249672A1 (en) Preventive care health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US20110301976A1 (en) Medical histor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WO2001095065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hysician-patient consultation
US20100021027A1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s
US2010020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US20080040160A1 (en) Medical Treatment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KR102367418B1 (ko) 정량적 지표 기반 의료서비스 추천 시스템
US200700277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and evaluating medical data
US200501718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tient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KR20210083478A (ko)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Machado et al. Ambient intelligence in medicine
US20070162312A1 (en) Physician Treatment Ordering System
US200701800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hysician-patient consultation
US2020021959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Patient Notes with Inherited Preferences
KR20220105332A (ko) 치과용 환자관리시스템 및 치과용 환자관리방법
JP7313603B1 (ja) 歯科情報処理装置、歯科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歯科情報処理方法
US20050004817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record comprising therapeutic advice items in the course of medical treatment
Szekeres et al. Physician decision-making in the management of work related upper extremity injuries
WO20201154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iant data acquisition and automated matching based on complex rule sets
US202004018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riving quantitative deep learning best value index data
KR20230126144A (ko) 임상진단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