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252A -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252A
KR20220105252A KR1020210007658A KR20210007658A KR20220105252A KR 20220105252 A KR20220105252 A KR 20220105252A KR 1020210007658 A KR1020210007658 A KR 1020210007658A KR 20210007658 A KR20210007658 A KR 20210007658A KR 20220105252 A KR20220105252 A KR 2022010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ning
closing
pow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221B1 (ko
Inventor
조용택
전용한
김유신
Original Assignee
조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택 filed Critical 조용택
Priority to KR102021000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2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ial W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상 작동시 인가된 이용하여 고용량콘덴서에 에너지를 충전하고, 전원 차단시 고용량 콘텐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비상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비상문 자동개폐장치{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실시예들은 건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폐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는 대다수 기존 제품들이 전자석을 이용한 잠금장치를 사용한다. 전자석의 특성상 전기가 투입되면 자석의 성질이 생겨 강한 자기장의 힘으로 비상문을 잡아당겨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잠금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계속 공급이 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전자석의 코일등이 열화현상이 생기고,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전기적 피로가 쌓여 계속 고장이 발생하는 빈도가 크다.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위치 기반의 모터 제어를 함으로서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전기를 투입하고 대기시간에는 소량의 전기로 신호를 기다리는 구조로 변경이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 잠금후 대기, 해제후 대기 등의 전기만이 공급되므로 고장이 거의 없으며 에너지 절약효과도 클 수 있다.
하지만, 화재안전기준의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성능인증기술기준에는 전원이 끊어질 경우 개폐부(잠금장치)의 잠금상태에서 해제되어 비상문이 열리는 구조로 하여야 하기에 많은 기업들이 전자식 방식의 장금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후 고장에 대해서는 간과하였으며, 고장으로 인해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될 수 있지만, 편리성으로 인해 무시되었다. 이를 개선하고 새로운 방식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사항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개폐부의 잠금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모터 제어를 함으로서 잠금과 잠금 해제와 같이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전기를 투입하는 모터 제어 방식의 개폐부를 사용하므로, 전기 소모가 적고, 확실한 동작과 고장이 적은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정상 작동시 인가된 이용하여 고용량콘덴서에 에너지를 충전하고, 전원 차단시 고용량 콘텐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비상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를 개시한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건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정상 작동시 제어부는 개폐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개폐부의 전원을 ON하고, 개폐부는 전원을 이용하여 고용량콘덴서에 에너지를 충전하고, 전원 차단시 개폐부는 고용량 콘텐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비상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내부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제어부와 개폐부를 연결하는 개폐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는, 내부에 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의 걸쇠를 잠금위치, 해제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구동모터부와, 정상 작동시 구동모터부에 정/역회전 신호를 전송하고, 전원 차단시 구동모터부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모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제어부는,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연결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 전원 차단시 개폐부의 잠금해제를 위한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와 개폐부의 연결선은 전원선과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선나 통신선 중 하나가 단선된 경우, 모터제어부는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구동모터부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구동모터부는 잠김 해제 신호에 따라 내부에 모터를 이용하여 걸쇠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는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개폐부의 잠금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는 모터 제어를 함으로서 잠금과 잠금 해제와 같이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전기를 투입하는 모터 제어 방식의 개폐부를 사용하므로, 전기 소모가 적고, 확실한 동작과 고장이 적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개폐장치의 설치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폐부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어부의 개폐부와 연결선 단선 확인 방법 및 단선시 개폐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개폐부의 제어부와 연결선 단선 확인 방법 및 단선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1의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8은 개폐부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설치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모터 제어를 함으로서 잠금과 잠금 해제와 같이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전기를 투입하고 대기시간에는 소량의 전기로 신호를 기다린다.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잠금 후 대기, 잠금 해제 후 대기 등의 전기만이 공급되므로 고장이 거의 없으며 에너지 절약효과도 크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화재 등에 의해 전원이 끊어질 경우 개폐부(120)의 잠금상태에서 잠금 해제되어 비상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제어부(110)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건물이나 시설물(131)에 설치된 비상문(130)을 개폐하는 개폐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화재수신기(132)와 통신 또는 제어신호선으로 연결되어져 있고,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개폐부(12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한다. 제어부(110)는 비상문(130)의 상태(잠금,잠금 해제, 열림, 닫힘, 고장, 비상스위치 작동)를 중앙감시실(134)에 데이터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개폐부(120)는 도어락을 사용하여 비상문(130)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어락은 키패드 및 스마트키등을 사용한 개폐장치일 수 있다.
개폐부(120)와 제어부(110)는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전원선 및 통신선(136) 등이 연결되어 상호 통신등을 함으로 각종 제어신호와 센서 신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120)와 제어부(110)은 유선의 전원선 및 통신선 등의 선들(136)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등을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폐부(120)와 제어부(110)는 무선으로 상호 통신하고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만일, 연결된 연결선들(136) 중 적어도 하나가 단선이 될 경우 제어부(110)는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제어부(110)에서 통신 유무등을 판단하여 개폐부(120)의 전원을 제어하므로, 연결된 연결선들(136) 중 어떠한 선이 단선되어도 제어부(110)에서 감지할 수 있어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선과 통신선 등의 연결선들(136)이 포함된 상호 기기간 선로의 고장 또는 단선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은 중앙감시실(134)과 연결된 외부통신부(112)와, 화재수신기(132)와 연결되고 전원(예를 들어, DC 12V)을 입력하는 전원부(114), 내부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110)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16), 제어부(110)와 개폐부(120)를 연결하는 개폐부 연결부(118)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개폐부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120)는 구동모터부(122) 및 제어장치(124), 모터제어부(12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부(122)는 내부에 소형 모터(예를 들어 DC 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의 걸쇠를 잠금위치, 해제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장치이다.
제어장치(124)는 구동모터부(122)를 제어하는 도어락 회로기판으로, 키패드와 스마트키를 사용하여 문을 열고 닫게 하는 기능이 있다.
모터제어부(126)는 정상 작동시 구동모터부(122)에 정/역회전 신호를 전송한다. 모터제어부(126)는 전원 차단시 구동모터부(122)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모터제어부(126)는 제어장치(124)의 신호를 구동모터부(122)에 전달하고 제어부(110)와 통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부(122)를 제어한다. 또한 모터제어부(126)는 전원 차단시 개폐부(120)의 잠금해제를 위한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구동모터부(122)를 잠금해제 시켜 성능인증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기능한다.
모터제어부(126)는 제어부(110)와 통신하는 제어부 연결부(126a)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26b), 전원 차단시 개폐부(120)의 잠금해제를 위한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충전부(1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와 개폐부(120) 분리형 비상문자동개폐장치(100)는 제어부(110)와 개폐부(120) 사이의 선로 단선시 자동으로 개폐부(120)의 잠김상태에서 잠김해제되어야 한다. 연결된 전원선이 단선된 경우와 통신선이 단선된 경우 모두의 상황을 만족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개폐부(120)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잠김해제가 될수 있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석 방식의 개폐부는 전원 차단 시 자동으로 잠금해제가 되지만, 모터를 사용한 모터 제어 방식등은 전원이 투입되어야 잠김해제 상태가 되므로 그동안 적용을 하지 못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개폐부(120)의 잠금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모터 제어를 함으로서 잠금과 잠금 해제와 같이 모터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전기를 투입하는 모터 제어 방식의 개폐부(120)를 사용하므로, 전기 소모가 적고, 확실한 동작과 고장이 적을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를 설명하였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의 제어부의 개폐부와 연결선 단선 확인 방법 및 단선시 개폐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제어부의 개폐부와 연결선 단선 확인 방법 및 단선시 개폐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개폐부의 제어부와 연결선 단선 확인 방법 및 단선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통신선로 단선 또는 고장 시에도 개폐부(120)의 모터부를 구동(잠김해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통신선로 단선시 제어부(110)에서 개폐부(12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중앙처리부(116)는 개폐부(120)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개폐부(120)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개폐부(120)와 제어부(120)의 단선을 확인한다.
제어부(110)와 개폐부(120)의 연결선(도 2의 136)은, 예를 들어, 전원선(DC +5V), 전원 공통선, 통신A선, 통신B선을 포함할 수 있다.
① 전원선(DC+5V) 단선 확인 방법(통신 에러 체크)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처리부(116)는 개폐부 연결부(118)에서 개폐부(120)와 통신 에러를 체크한다. 만일 전원선이 단선될 경우 개폐부 연결부(118)의 전원 차단으로 통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통신 불량시 중앙처리부(116)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부(120)의 전원 차단으로 개폐부(120)의 전원충전부(126c) 및 모터제어부(126)에 의해 모터부(122)를 구동한다. 모터제어부(126)는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구동모터부(122)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구동모터부(122)는 잠김 해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의 걸쇠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② 전원 공통선 단선 확인 방법(통신 에러 체크)
만일 전원 공통선이 단선될 경우 개폐부 연결부(118)의 전원 차단으로 통신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한 방식으로, 개폐부(120)의 전원 차단으로 개폐부(120)의 전원충전부(126c) 및 모터제어부(126(에 의해 모터부(122)를 구동한다.
③ 통신A선 또는 통신B선 단선 확인 방법(통신 에러 체크)
만일 통신선이 단선될 경우 통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10)에서 개폐부(120)의 전원 차단, 개폐부(120)의 전원충전부(126c) 및 모터제어부(126(에 의해 모터부(122)를 구동한다. 통신 불량시 열림신호 전송이 될 수 없으므로 전원 유무에 따른 모터구동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정상 작동시 개폐부(120)로 전원을 인가하여 개폐부(120)의 전원을 ON하고 고용량콘덴서를 포함하는 전원충전부(126c)에 에너지를 충전을 하게 하며, 개폐부(120)와의 통신상태에 따라 개폐부(120)의 전원을 ON/OFF하여 연결선(도 2의 136)의 단선에 의한 조치를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 제1트랜지스터(Q1)은 제어부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제4저항(R4)를 통해 인가된 디지털신호에 따라 개폐부(120)의 전원을 ON/OFF한다.
제1커넥터(JP1)에 연결된 개폐부(120)의 전원 및 통신선이 단선될 경우, 제어부(110)의 중앙처리부(116)의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제4저항(R4)과 제어부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디지털신호 "0"로 만들고, 제1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전원(VCC)이 제3저항(R3)을 통해 인가되면 결국 제어부 제1트랜지스터(Q1)은 OFF되어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VCC)이 제1저항(R1)과 제2저항(R2)를 통해 제어부(110)의 중앙처리부(116)에 공급한다.
도 8은 개폐부의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상작동 시에 제2커넥터(LINK J1)을 통해 인가된 전원과 통신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제2커넥터(LINK J1)의 1번핀은 DC 5V 단자로, 제1다이오드(D1)과 제1저항(R1)을 통해 제1컨덴서(EC1)와 제2컨덴서(EC2)를 충전하고,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모터제어용 칩(U1)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컨덴서(EC1)와 제2컨덴서(EC2)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원충전부(126c)를 구성하게 된다.
정상작동 시 제3다이오드(D3)를 통해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고 통신용 칩(IC)에도 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정상작동 시 개폐부 제2트랜지스터(Q2)는 제4저항(R4)을 통해 ON되고, 개폐부 제1트랜지스터(Q1)은 OFF 되어 정상적인 모터 제어신호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제어부(110)로부터 전원이 차단될 경우, 개폐부 제1트랜지스터(Q1)은 ON이 되어 모터제어용 칩(U1)이 작동되어 구동모터에 해제신호를 전달하게 되므로, 개폐부(120)는 전원 차단시 제1컨덴서(EC1)와 제2컨덴서(EC2)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구동 모터가 가동되고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상 설명 바와 같이, 비상문자동개폐장치(100)는 정상 작동시는 제어부 제1트랜지스터(Q1)의 ON상태에서 DC5V 전원이 제1커넥터(JP1)를 통해 개폐부(120)로 전원을 인가하여 개폐부(120)의 전원을 ON하고 제1컨덴서(EC1)와 제2컨덴서(EC2)와 같은 고용량콘덴서에 충전을 하게 하며, 개폐부(120)와의 통신상태에 따라 개폐부(120)의 전원을 ON/OFF하여 연결선(도 2의 136)의 단선에 의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일반도어락을 이용하여 개폐부(120)를 구성할 경우에도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성능인증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하고 도어락 사용으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보다 안전하고 확실한 동작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개폐장치(100)는, 기존 개폐기 전자석을 일반도어락으로 대처하고 환경을 위해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개폐부(120)의 고장 빈도를 낮추어 재산상 손실도 줄이면서, 중앙감시실에서 비상문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관리 및 고장에 즉각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110: 제어부
120: 개폐부

Claims (5)

  1.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건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정상 작동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개폐부의 전원을 ON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고용량콘덴서에 에너지를 충전하고,
    전원 차단시 상기 개폐부는 고용량 콘텐서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문을 자동으로 잠금해제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 상기 제어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는 개폐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내부에 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의 걸쇠를 잠금위치, 해제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구동모터부와,
    상기 정상 작동시 상기 구동모터부에 정/역회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구동모터부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모터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연결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 전원 차단시 상기 개폐부의 잠금해제를 위한 상기 고용량 콘덴서를 내장하여 전원이 차단될 경우 상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충전부를 포함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개폐부의 연결선은 전원선과 통신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나 상기 통신선 중 하나가 단선된 경우,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고용량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므로 상기 구동모터부에 잠김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모터부는 상기 잠김 해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상기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걸쇠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KR1020210007658A 2021-01-19 2021-01-19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KR10260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658A KR102600221B1 (ko) 2021-01-19 2021-01-19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658A KR102600221B1 (ko) 2021-01-19 2021-01-19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52A true KR20220105252A (ko) 2022-07-27
KR102600221B1 KR102600221B1 (ko) 2023-11-13

Family

ID=8270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658A KR102600221B1 (ko) 2021-01-19 2021-01-19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2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902A (ko) * 2004-01-16 2005-07-25 박준홍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JP2012031624A (ja) * 2010-07-30 2012-02-16 Nabtesco Corp 自動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902A (ko) * 2004-01-16 2005-07-25 박준홍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JP2012031624A (ja) * 2010-07-30 2012-02-16 Nabtesco Corp 自動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221B1 (ko) 202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2998B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CN102377586B (zh) 一种网络旁路装置及其处理网络旁路的方法
CN205502775U (zh) 一种通过智能手机供电的无源电子锁
CN105846539A (zh) 电子锁系统
CN205397807U (zh) 电梯门机的控制装置
CN110962602A (zh) 应用于电池管理系统的负载保持电路
CN203905651U (zh) 一种智能电子锁
CA2866157C (en) Wireless field device having a reconfigurable discrete input/output channel
CN104992486A (zh) 具有身份和密码智能钥匙的物联网锁和开锁方法
KR20220105252A (ko)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CN205069418U (zh) 遥控安全隔离开关
CN105133947A (zh) 一种电机锁
CN207264529U (zh) 一种内置门禁系统的通信柜
CN101942945A (zh) 一种高安全性易维护性的屏蔽门控制逻辑电路
CN110987496A (zh) 一种用于监测拍打门运行情况的检测装置
CN210460244U (zh) 一种用于机柜的门锁装置
CN103422733A (zh) 一种电子锁系统及其控制方法和供电控制方法
KR101281091B1 (ko) 도난 감시 및 원격 동작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중계기 보안 관리 장치
US8544742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ad/write device
CN206921165U (zh) 智能路由联网嵌入式单门门禁主机装置
CN201754576U (zh) 一种高安全性易维护性的屏蔽门控制逻辑电路
CN102409906B (zh) 电锁断电自动开锁装置及带有该装置的电锁
CN201584660U (zh) 一种地线锁定装置
CN202917396U (zh) 高可靠性的单片机控制继电器装置
CN112653321A (zh) 交叉过压比较电路及eps电源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