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940A -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940A
KR20220104940A KR1020210007376A KR20210007376A KR20220104940A KR 20220104940 A KR20220104940 A KR 20220104940A KR 1020210007376 A KR1020210007376 A KR 1020210007376A KR 20210007376 A KR20210007376 A KR 20210007376A KR 20220104940 A KR20220104940 A KR 2022010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oad
exercise equipment
present
weight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제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빈테크
Priority to KR102021000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940A/ko
Publication of KR2022010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Weight sel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the weights being lifted by rigid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ic Oven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무게중심을 잡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프레임; 바디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승강작동 또는 좌우이동시 하중을 유발하는 하중부; 하중부의 중량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 하중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반복하여 당김으로 하중부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웨이트운동을 하는 것으로, 하중부는, 다수의 중량스택이 거치되는 중량스택보관부; 중량스택보관부에 거치된 중량스택을 필요에 따라 인출하는 인출유닛과, 인출유닛을 구동시켜 중량스택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with weight adjust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이란, 운동자극에 대한 신체의 적응성을 이용, 의지력을 포함한 인체의 형태·기능 등 스포츠능력을 보다 강화·발달시키는 과정으로, 근대 스포츠의 트레이닝은 모든 스포츠 능력의 모체가 되는 체력조성 트레이닝이 주체가 된다.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의 종류로는 스포츠 활동에 있어 중요한 근력(筋力)강화를 위한 것으로 아이소토닉 트레이닝(바벨·아령·자신의 몸무게 등을 이용한 동적 근력 트레이닝), 아이소메트릭 트레이닝(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움직이려고 온힘을 발휘하는 정적 근력 트레이닝), 아이소키네틱 트레이닝(가동부위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구를 사용해 관절각도의 변화와 함께 항상 최대 근력을 발휘할 수 있다), 플리오메트릭 트레이닝(무거운것을 들고 대(臺) 위에서 뛰어내리는 동작처럼 근육이 수축하기 직전 반사적 신장과 이완을 되풀이해 근육을 강화시킨다) 등이 있다.
현재의 웨이트 트레이닝은 기계적인 머신을 이용하여 프로운동선수의 신체능력향상, 재활의학 분야의 환자 또는 장애인 재활치료, 노인들의 건강증진, 인체의 미를 극대화시키는 보디빌딩 등, 인간의 신체능력 향상은 물론, 저항력 강화, 부상방지 노화예방, 아름다움 추구 등 일상생활에서나 스포츠 현장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웨이트 트레이닝은 장기적 계획 아래 추진되며 트레이닝 효과를 집중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과학적 뒷받침에 의한 구성·전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는 물론 노약자, 환자 및 장애인 등이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을 사용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경우, 전문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거나,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없으면 운동효과의 극대화는 물론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운동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운동중에 적절한 운동자세를 가이드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운동 후 자신의 운동량뿐만 아니라, 운동시간, 운동량, 칼로리 소비량 등에 대한 각종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웨이트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웨이트 머신에는 중량체로 된 스택을 운반하여 자신이 무게를 설정해야 하므로 이러한 중량 스택을 옮기는 과정에 위험성이 있고,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2376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동 머신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과정을 모터 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바벨, 스택 등을 옮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중심을 잡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프레임; 바디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승강작동 또는 좌우이동시 하중을 유발하는 하중부; 하중부의 중량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 하중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반복하여 당김으로 하중부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웨이트운동을 하는 것으로, 하중부는, 다수의 중량스택이 거치되는 중량스택보관부; 중량스택보관부에 거치된 중량스택을 필요에 따라 인출하는 인출유닛과, 인출유닛을 구동시켜 중량스택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능력에 적합하게 안정적으로 웨이트트레이닝을 할 수 있어 보조적인 운동기구의 이송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는
무게중심을 잡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프레임(2);
상기 바디프레임(2) 내부에 장착되며 승강작동 또는 좌우이동시 하중을 유발하는 하중부(4);
상기 하중부(4)의 중량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6);
상기 하중부(4)에 연결된 와이어로프(7);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7)를 반복하여 당김으로 하중부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웨이트운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하중부(4)는 다수의 중량스택(42)이 거치되는 중량스택보관부(40); 상기 중량스택보관부(40)에 거치된 중량스택(42)을 필요에 따라 인출하는 인출유닛(32)과, 상기 인출유닛(32)을 구동시켜 중량스택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34)는 바디프레임(2)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36)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선택하도록 제어부(36)를 조작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구동부(34)의 모터가 구동되어 원하는 중량에 맞도록 중량스택을 이동시켜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바디프레임 4 :하중부
6 : 하중조절부 7 : 와이어로프
32 : 인출유닛 34 : 구동부
40 : 중량스택보관부 42 : 중량스택

Claims (1)

  1. 무게중심을 잡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승강작동 또는 좌우이동시 하중을 유발하는 하중부;
    상기 하중부의 중량을 조절하는 하중조절부;
    상기 하중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반복하여 당김으로 하중부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웨이트운동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중부는
    다수의 중량스택이 거치되는 중량스택보관부;
    상기 중량스택보관부에 거치된 중량스택을 필요에 따라 인출하는 인출유닛과, 상기 인출유닛을 구동시켜 중량스택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KR1020210007376A 2021-01-19 2021-01-19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KR20220104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76A KR20220104940A (ko) 2021-01-19 2021-01-19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76A KR20220104940A (ko) 2021-01-19 2021-01-19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40A true KR20220104940A (ko) 2022-07-26

Family

ID=8260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376A KR20220104940A (ko) 2021-01-19 2021-01-19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4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765A (ko) 2004-03-12 2006-12-04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아몰퍼스 산화물 및 박막 트랜지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765A (ko) 2004-03-12 2006-12-04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아몰퍼스 산화물 및 박막 트랜지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ge et al. Strength band training
US6203474B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8870723B2 (en) Variable resistance pulley for body-weight rotation exercise
US20050107226A1 (en) Encased resistance cabl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Brumitt et al. Incorporating kettlebells into a lower extremity sports rehabilitation program
US9950211B2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US20140274602A1 (en) Portable collaborative exercise device
US20140005015A1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US20110287914A1 (en) Tri-circular exercise device with variable rotation resistance
US9302142B2 (en) Weight training barbell system
US20100227744A1 (en) Asymmetric physical exercise system
US20210016130A1 (en) Foldable Bench
US10406396B2 (en) Double ended exercise device
US20190022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contracting body core
KR20220104940A (ko) 중량 조절 제어장치를 구비한 운동기구
EP2939718A1 (en) Device to prevent injuries
WO2010120378A2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Chawla et al.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strength and fitness of spinal injured patients
Siff The functional mechanics of abdominal exercise
Ivey et al. Strength training for the preparatory phase in collegiate women's rowing
US20240149101A1 (en) Low joint strain fitness system
US20070049471A1 (en) Waist twisting exercise machine
US20110212813A1 (en) Pliable linear devise with ergonomic hand positioning stations to aid in proper stretching of muscles and body parts to increase flexibility
Gidu et al. Body positions, procedures and principles in TRX training: Theoretical considerations
US20200298050A1 (en) Fitness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