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919A - 방수 통음 시트 - Google Patents

방수 통음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919A
KR20220104919A KR1020210007334A KR20210007334A KR20220104919A KR 20220104919 A KR20220104919 A KR 20220104919A KR 1020210007334 A KR1020210007334 A KR 1020210007334A KR 20210007334 A KR20210007334 A KR 20210007334A KR 20220104919 A KR20220104919 A KR 2022010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ound
waterproof
adhesive layer
sou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강식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21000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919A/ko
Priority to US18/273,012 priority patent/US20240083135A1/en
Priority to PCT/KR2022/000923 priority patent/WO2022158826A1/ko
Priority to CN202280020152.0A priority patent/CN117042953A/zh
Publication of KR2022010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방수 통음 시트가 개시된다. 방수 통음 시트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음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층, 방수 통음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접착층 및 방수 통음층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부착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제2접착층은, 방수 통음층과 제2접착층으로 에워싸인 방수 통음층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통음 시트{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본 발명은 방수 통음 시트(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환경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복원력이 향상된 방수 통음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하며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므로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 전자기기는 스피커나 마이크 등의 음향 기기를 포함하고, 음향 기기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소리를 통과시키기 위해 구멍(예컨대, 음향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음향 홀을 통해 물이나 먼지가 모바일 전자기기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음향 홀에는 소리는 통과시키고 물이나 먼지를 차단하는 방수 통음 시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수 통음 시트는 방수성 및 음전달 효율을 모두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방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방수 통음 시트는 내압성 또한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한다. 내압성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전자기기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방수 통음 시트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통음 시트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통 홈을 구비함으로써, 방수 통음 시트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연통 홈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 통음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음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층, 방수 통음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접착층 및 방수 통음층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부착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제2접착층은, 방수 통음층과 제2접착층으로 에워싸인 방수 통음층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는, 방수 통음 시트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통 홈을 구비하므로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방수 통음 시트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는, 방수 통음 시트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통 홈을 구비하므로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의 압력이 변화할 때 방수 통음 시트의 복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바라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2접착층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수 통음 시트(200)는 전자기기(110) 내부에 부착되어, 전자기기(1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나 또는 이물질등이 전자기기(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면서, 전자기기(110)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음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수 통음 시트(200)의 제1면은 전자기기(11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고, 방수 통음 시트(200)의 제1면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제2면은 전자기기(110) 내부의 음향 모듈(예컨대, 스피커 모듈 또는 마이크 모듈)(12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음향 모듈은 음향 소자 및 상기 음향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 시트(200)는 방수 또는 방진 기능을 가지며, 음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층(210), 방수 통음층(210)의 제1면에 부착되어 전자기기(1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접착층(220) 및 방수 통음층(210)의 제1면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2면에 부착되어 음향 모듈(1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2접착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통음 시트(200)는 전자기기(1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이 음향 모듈(1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수 통음 시트(200)는 스피커 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음향을 전자기기(110)의 외부(예컨대, 사용자)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음향을 마이크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통음 시트(200)는 전자기기(110)와 음향 모듈(120) 사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기(110)의 외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방수 통음 시트(200)와 음향 모듈(120) 사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 통음층(210), 제2접착층(230) 및 음향 모듈(12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고, 이러한 압력은 방수 통음 시트(200)에 작용하게되어, 방수 통음 시트(200)가 늘어나거나 파손될 수 있다. 특히, 방수 통음 시트(200)가 고압 상황에서 장시간 동안 늘어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방수 통음 시트(200)가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방수 통음 시트(200)의 음향 전달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는, 방수 통음 시트(200)와 음향 모듈(120)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통 홈을 포함하므로,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내부 공간의 공기가 연통 홈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출입할 수 있고, 그 결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는 10 bar 이상의 고압 환경에서도 파손되지 않는 내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압 환경이 제거되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방수 통음 시트(200)는 방수 통음층(210), 제1접착층(220) 및 제2접착층(230)이 접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 통음층(210)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박막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박막 필름일 수 있다.
방수 통음층(210)은 적용 기기에서 요구되는 통음 및 방수 성능에 따라 대략 5㎛ 내지 1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두께를 고려하여 5㎛ 이하 또는 100㎛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수 통음층(210)은 고수압에서의 방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고탄성(고 신축성) 및 무기공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방수 통음층(210)은 라텍스,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등과 같이 고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층(210)은 고수압에서의 방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무기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수 통음층(210)은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은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함으로써, 그물(web) 구조를 갖는 고분자 물질층을 형성한 후, 고분자 물질층의 웹 구조를 부분적으로 용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물질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통음층(210)이 무기공층을 포함하는 경우, 방수 통음층(210)의 두께가 얇을수록 한쪽 면에서의 음의 진동을 다른 쪽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방사 공정을 이용할 경우 방수 통음층(210)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구성할 수 있어, 통음성이 더욱 더 증대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은 고수압에서의 방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방사 이외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탄성(고 신축성) 및 무기공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방수 통음층(210)은 라텍스,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과 같이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1 기압 이상의 압력에서 방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무기공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 통음층(210)이 무기공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 방수 통음층(210), 제2접착층(230) 및 음향 모듈(120)로 구성되는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는 외부 공간으로 쉽게 빠져나가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10)의 외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예컨대, 전자기기(110)에 수압이 적용되는 경우), 외부 압력은 방수 통음층(210)을 통해 내부 공간에 작용한다. 그러나,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없으므로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음향 모듈(120)과 방수 통음층(210) 중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방수 통음층(210)에 변형 혹은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제1접착층(220)은 내부(또는 중앙)에 개구을 갖는 소정 형상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접착층(220)은 방수 통음층(2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접착층(220)은 통음을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착층(220)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고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착층(220)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접착층(220)의 제1면(예컨대, 하면)은 전자기기(110)에 부착될 수 있고, 제1접착층(220)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예컨대, 상면)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접착층(220)은 전자기기(110)에 형성된 음향 홀이 형성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제1접착층(220)은 단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박막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를 펠렛(pellet)형이나 필름형으로 형성한 핫 멜트를 접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접착층(220)은 핫 멜트 및 단면 접착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접착층(230)은 내부(또는 중앙)에 개구을 갖는 소정 형상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2접착층(230)은 방수 통음층(2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접착층(230)은 통음을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접착층(230)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고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접착층(230)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2면(예컨대,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접착층(230)의 제1면(예컨대, 하면)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2면(예컨대, 상면)에 접착될 수 있고, 제2접착층(230)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예컨대, 상면)은 음향 모듈(12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접착층(230)은 음향 모듈(120)의 음향이 입출력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접착층(230)은 단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박막 필름과 열가소성 수지를 펠렛형이나 필름형으로 형성한 핫 멜트를 접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접착층(230)은 핫 멜트 및 단면 접착 필름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2접착층(230)은 방수 통음 시트(200)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31)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방출될 수 있고, 반대로,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31)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00)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5은 도 3의 B-B'선을 따라 바라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수 통음층(210)의 양 면에 제1접착층(220) 및 제2접착층(230)이 부착된다.
제1접착층(220)의 제1면(예컨대, 하면)은 전자기기(110)에 부착될 수 있고, 제1접착층(220)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예컨대, 상면)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착층(220)의 제1면은 전자기기(110)에 형성된 음향 홀이 형성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접착층(230)의 제1면(예컨대, 하면)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2면(예컨대, 상면)에 접착될 수 있고, 제2접착층(230)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예컨대, 상면)은 음향 모듈(1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접착층(230)의 제2면은 음향 모듈(120)의 음향이 입출력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접착층(230)은 방수 통음 시트(200)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은 방수 통음층(210), 제2접착층(230) 및 음향 모듈(120)로 에워싸인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결(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의 내주면(즉, 내측면)과 외주면(즉, 외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통 홈(231)의 입구는 제2접착층(23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연통 홈(231)의 출구는 제2접착층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홈(231)은 다양한 형상 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연통 홈(231)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31)의 폭(도 4 및 5에서의 가로 방향)은 연통 홈(231)의 높이(도 4 및 5에서의 세로 방향)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의 폭은 0.1mm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0.25mm 내지 0.4mm 수 있고, 연통 홈(231)의 높이는 0.01mm 내지 0.1mm, 바람직하게는, 0.03mm 내지 0.05mm일 수 있다.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의 수직 방향(예컨대, 마이크 방향 또는 음향 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접착층(230)은 연통 홈(231)에 의해 서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2접착층(230)은 연통 홈(231)에 의해 분리된(또는 이격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나, 상면과 하면은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 홈(231)은 제2접착층(23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홈(231)을 통해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전자기기(110)의 외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는 방수 통음층(210)과 음향 모듈(12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방수 통음층(21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수 통음층(210)의 변형(예컨대, 영구적 변형)으로 인한 통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통 홈(231)을 통해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원할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의 복원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는 종래의 방수 통음 시트에 비해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한 감도 손실을 빠르게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과적으로, 방수 통음 시트(200)의 통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수 통음 시트(20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외부의 압력은 방수 통음층(210)을 통해 내부 공간에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에 따르면,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31)을 통해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예컨대,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31)을 통해 빠져나가 전자기기(100)에 형성된 다른 홈을 통해서도 빠져나갈 수 있다.
내부 공간의 공기가 연통 홈(231)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방수 통음층(2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공간의 공기가 연통 홈(231)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방수 통음층(210)의 복원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방수 통음 시트(200)의 통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5와 동일한 방향으로 바라본 방수 통음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연통 홈(231)은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예컨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면을 갖는 연통 홈(231)은 기계적 커팅기와 같은 도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면을 갖는 연통 홈(231)은 레이저 커팅기와 같은 도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31)의 최대 폭(도 7에서의 가로 방향)은 연통 홈(231)의 깊이(도 7에서의 세로 방향)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의 폭은 0.1mm 내지 0.3mm, 바람직하게는 0.15mm 내지 0.25mm 수 있고, 연통 홈(231)의 깊이는 0.05mm 내지 0.15mm, 바람직하게는, 0.07mm 내지 0.1mm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방수 통음 시트(200)는 지지층(240) 및 제3접착층(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240)은 제2접착층(230)과 부착될 수 있고, 제3접착층(250)은 지지층(240)과 부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접착층(230)의 제1면(예컨대, 하면)은 방수 통음층(210)의 제2면(예컨대, 상면)에 접착될 수 있고, 제2접착층(230)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예컨대, 상면)은 지지층(24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층(240)의 제2면(예컨대, 상면)은 제3접착층(250)의 제1면(예컨대, 하면)에 접착될 수 있고, 제3접착층(250)의 제2면(예컨대, 상면)은 음향 모듈(120)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층(240)은 소정 형상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지층(240)은 전자기기(110)의 음향 홀, 내부 결합 구조 등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지층(240)은 적용 기기에서 요구되는 통음 및 방수 성능에 따라 대략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이상 20㎛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막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층(240)이 부직포 재질의 박막 필름으로 구성되는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대략 1㎛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대략 5㎛ 일 수 있다.
지지층(240)은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이 일정 이상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통음층(2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40)은 제2접착층(230)의 두께를 통해 방수 통음층(210)과의 이격 간격을 형성한다.
제3접착층(250)은 내부(또는 중앙)에 개구을 갖는 소정 형상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3접착층(250)은 방수 통음층(2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3접착층(250)은 통음을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접착층(250)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고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지지층(240)은 음향 모듈(120)의 통음을 위한 기공 또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지층(240)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기공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나일론(Nylon) 등의 재질로 형성된 부직포와 같이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기공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40)은 대략 2㎛ 내지 20㎛ 정도의 크기(직경)을 갖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층(240)은 100 cfm 이상의 공기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는 만큼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지층(240)은 무기공성 재질로 형성되되, 음향 모듈(120)과의 음전달을 위한 배출 홀이 지지층(240)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 홀은 지지층(24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지지층(240)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기공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무기공성 재질로 형성되되 공기가 연통 가능한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외부의 압력은 방수 통음층(210)을 통해 내부 공간에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 통음 시트(200)에 따르면,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31)을 통해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40)과 음향 모듈(120) 사이의 공간의 공기는 지지층(240)을 통해 지지층(240) 및 방수 통음층(2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연통 홈(231)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기기(110)의 외부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방수 통음층(2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방수 통음층(210)의 복원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방수 통음 시트(200)의 통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지지층(240)은 무기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3접착층(250)은 방수 통음 시트(200)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251)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홈(251)은 지지층(240), 제3접착층(250) 및 음향 모듈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결(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의 내주면(즉, 내측면)과 외주면(즉, 외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층(240), 제3접착층(250) 및 음향 모듈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공기는 연통 홈(251)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9의 연통 홈(251)의 형상 및 모양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연통 홈(231)의 형상 및 모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의 수직 방향(예컨대, 마이크 방향 또는 음향 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접착층(250)은 연통 홈(251)에 의해 서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3접착층(250)은 연통 홈(251)에 의해 분리된(또는 이격된)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라,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나, 상면과 하면은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 홈(251)은 제3접착층(25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홈(251)을 통해 지지층(240) 및 제3접착층(250)으로 에워싸인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과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므로, 전자기기(110)의 외부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방수 통음 시트(20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방수 통음 시트(200)의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 통음층(210)에 미치는 압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2접착층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조 과정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3접착층(250)의 제조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접착층들(230)에 대한 단일 공정으로 연통 홈(231)을 포함하는 제2접착층(230)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연통 홈(231)이 형성되기 전의 제2접착층(230)이 복수 개 나열된 경우, 복수의 제2접착층들(230)을 한 번에 커팅함으로써 제2접착층들(230) 각각에 대한 연통 홈(231)을 형성함으로써, 단일 공정으로 연통 홈(231)을 포함하는 제2접착층(230)이 손쉽게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10: 전자기기 120: 음향 모듈
200: 방수 통음 시트 210: 방수 통음층
220: 제1접착층 230: 제2접착층

Claims (11)

  1. 방수 통음 시트에 있어서,
    방수 기능을 가지며 음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층;
    상기 방수 통음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접착층; 및
    상기 방수 통음층의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부착되는 제2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층은,
    상기 방수 통음층과 상기 제2접착층으로 에워싸인 상기 방수 통음층의 내부 공간과 상기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 홈을 포함하는,
    방수 통음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통음층은 무기공성의 필름 재질로 구성되는,
    방수 통음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는 상기 연통 홈을 통해 상기 외부 공간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방수 통음층에 적용되는 압력이 분산되는,
    방수 통음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은 중앙에 개구를 갖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통 홈은 상기 제2접착층의 상기 개구와 맞닿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홈은 상기 제2접착층의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은 상기 연통 홈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방수 통음 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홈은 상기 제2접착층의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접착층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구성되는,
    방수 통음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홈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방수 통음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통음 시트는,
    상기 제2접착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면들 중 상기 제2접착층과 부착된 면과 대향하는 반대 면에 부착된 제3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방수 통음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지지층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들을 포함하는,
    방수 통음 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무기공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3접착층은,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제3접착층으로 에워싸인 공간과 상기 방수 통음 시트의 외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추가 연통 홈을 포함하는,
    방수 통음 시트.


KR1020210007334A 2021-01-19 2021-01-19 방수 통음 시트 KR20220104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34A KR20220104919A (ko) 2021-01-19 2021-01-19 방수 통음 시트
US18/273,012 US20240083135A1 (en) 2021-01-19 2022-01-18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PCT/KR2022/000923 WO2022158826A1 (ko) 2021-01-19 2022-01-18 방수 통음 시트
CN202280020152.0A CN117042953A (zh) 2021-01-19 2022-01-18 防水传声片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334A KR20220104919A (ko) 2021-01-19 2021-01-19 방수 통음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19A true KR20220104919A (ko) 2022-07-26

Family

ID=8254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334A KR20220104919A (ko) 2021-01-19 2021-01-19 방수 통음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3135A1 (ko)
KR (1) KR20220104919A (ko)
CN (1) CN117042953A (ko)
WO (1) WO20221588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3039B2 (ja) * 2007-12-07 2013-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気フィルタ
KR102074048B1 (ko) * 2010-06-16 2020-02-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수 통기 필터 및 그의 용도
KR101896366B1 (ko) * 2016-07-08 2018-09-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음 시트
KR101896367B1 (ko) * 2016-07-08 2018-10-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기 시트
US11395057B2 (en) * 2017-11-09 2022-07-19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826A1 (ko) 2022-07-28
US20240083135A1 (en) 2024-03-14
CN117042953A (zh)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66B1 (ko) 방수 통음 시트
US11754457B2 (en) Breathable waterproof sheet
US10694287B2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US11202134B2 (en) Speaker module
KR101490868B1 (ko) 방수통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6107B1 (ko) 음향 장치
KR102327115B1 (ko)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CN212231677U (zh) 一种带有防水透声膜组件的电子部件
CN107187119B (zh) 一种防水透声膜及手机
KR20220104919A (ko) 방수 통음 시트
KR102519268B1 (ko) 방수통음시트
KR20220107818A (ko) 방수 통기 시트
KR20140017425A (ko) 전자기기용 통기성 방수막 및 전자기기
US11270679B2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US20240116262A1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JPH11127498A (ja) 静電容量型マイクロホン
KR20180044691A (ko)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 제조 방법
JP2022135019A (ja) スピーカーグリルアッセンブリ及び携帯型無線通信機器
KR20220005034A (ko) 변환 소자 부재와 이것을 구비하는 변환 소자 모듈 및 전자 기기
JPH0825737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