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379A -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 Google Patents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379A
KR20220104379A KR1020210006569A KR20210006569A KR20220104379A KR 20220104379 A KR20220104379 A KR 20220104379A KR 1020210006569 A KR1020210006569 A KR 1020210006569A KR 20210006569 A KR20210006569 A KR 20210006569A KR 20220104379 A KR20220104379 A KR 2022010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rotation
wing
rotating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5966B1 (en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66B1/en
Publication of KR2022010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blad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blade, which allows wind passing through a spoke part to flow in the direction which is helpful for the driving and handling of a vehicle. To this end, the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part in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ad surface; a wheel part including a portion connected to an axle; and a spoke part including a rotatable spoke part arranged between the wheel part and the tread part. The rotatable spoke part may comprise: a rotation axis part which includes the portion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crosses the axle; a first blade part which includes a portion exten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axis part; and a second blade part which includes a part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blade 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axis part.

Description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본 발명은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comprising wings.

보다 자세하게는,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바람이 차량의 주행 및 핸들링(Handling)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wings that allow wind passing through spokes to flow in a direction conducive to driving and handling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장착될 수 있다.In general, tires may be mounted on wheels of various vehicles, from small vehicles to heavy-duty vehicles.

이러한 타이어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uch a tire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vehicle,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and a function of buffering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during vehicle driving.

종래에는 대부분의 차량에 공기입 타이어를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most vehicles have used pneumatic tires.

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내부에 공기압이 구비되어 충돌, 굴신에 대한 완충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pneumatic tire, a pneumatic tire is provided inside,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uffering against collision and flexing.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기 어려워서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tire is damag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which may reduce the handling and braking ability of the vehicle, resulting in safety problem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주입이 필요하지 않은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non-pneumatic tire that does not require internal air injection has been developed.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7166호[문헌 1]에서는 스포크부가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a non-pneumatic tir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47166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spoke portion extends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Document 1,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okes may have a constant pattern.

이에 따라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차량의 회전 및/또는 핸들링에 도움을 주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okes to help rotation and/or handling of the vehicle.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1006호[문헌 2]에서는 스포크부의 가장자리가 타이어 축 방향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nother prior art for a non-pneumatic tir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01006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edge of the spoke por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line of the tire.

이러한 문헌 2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도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이에 따라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차량의 회전 및/또는 핸들링에 도움을 주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Even in the non-pneumatic tire according to Document 2,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okes has a constant pattern,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of air through the spokes does not help the rotation and/or handling of the vehicle.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7166호[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7166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1006호[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1006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의 패턴을 변경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pneumatic tire comprising blades that change a pattern of wind flow passing through the spoke uni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order to utiliz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oke unit of the non-pneumatic tire.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트레드부(Tread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휠부(Wheel Part) 및 상기 휠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스포크부(Rotatable Spoke Part)를 포함하는 스포크부(Spoke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포크부는 상기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회전축부(Rotation Axis Part), 상기 회전축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날개부(First Blade Part) 및 상기 회전축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날개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날개부(Second Blad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art in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road surface, a wheel part including a portion connected to an axle, and disposed between the wheel part and the tread part Containing a spoke part (Spoke Part) including a rotating spoke part (Rotatable Spoke Part) to be, the rotating spoke part rotating shaft part (Rotation Axis Part) including a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le ), a first wing part (First Blade Par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part and a second blade part (Second Blade Par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wing 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part Par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회전 스포크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Rotation Control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control part (Rotation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poke part, the rotation control part ma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part.

또한, 상기 회전 조절부는 모터부(Motor Part),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Driving Axis)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 1 차동기어부(First Differential Gear Part) 및 상기 제 1 차동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차동기어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 2 차동기어부(Second Differential G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구동축과 교차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차동기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차동기어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motor part, a driving shaft of the motor unit and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a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and the first differential and a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engaged with the fisherman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wherein the rotation shaft part intersects the drive shaft, and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part is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It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gear unit and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또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좌회전 시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 패턴과 상기 차량의 우회전 시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the control unit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pattern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when the vehicle turns left and the rotation pattern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can do.

또한, 차량의 직진 시 제 1 날개부와 제 2 날개부가 수평방향(DRH)으로 나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moves straight,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또한, 차량의 좌회전 시와 우회전 시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urning left and turning right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좌회전 시에 상기 회전축부를 우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차량의 우회전 시에 상기 회전축부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part may be rotated to the right when the vehicle turns left, and the rotation shaft part may be rotated to the left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또한,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휠부를 향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은 상기 트레드부를 향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faces the wheel par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faces the tread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ng part and the second wing part may include a curved part. can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휠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및 상기 트레드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ke par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wheel part and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tread part including a part wher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is positione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is loc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se part including a (Second Base Part).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이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홀(Second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 2 베이스부와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base part, and a second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s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은 각각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first base por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스포크부(Fixed Spok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ke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poke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base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base part.

또한, 각각의 상기 회전 스포크부는 두 개의 상기 고정 스포크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rotating spoke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xed spoke parts.

또한, 상기 회전 스포크부의 상기 제 1 날개부의 폭과 상기 제 2 날개부의 폭의 합은,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고정 스포크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spoke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xed spok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le.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는 차량의 주행 방향의 변경에 대응하여 스포크부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회전 및/또는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otation and/or handl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by changing the pattern of the wind flow passing through the spokes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회전 스포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고정 스포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회전 조절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ng spoke unit.
11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xed spoke part.
14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control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ocu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gether with a separate software modul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휠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방향(Direction)에 대해 먼저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Before describing the detachable wh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s first summarized as follows.

먼저, 차축과 나란한 방향(혹은 평행한 방향)을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이라고 할 수 있다.First, a direction parallel to (or parallel to) the axle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DRV).

아울러, 차축과 교차하는 방향(혹은 수직한 방향)을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crossing the axle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DRH).

여기서, 수평방향(DRH) 및 수직방향(DRV)은 하나의 방향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방향(DRV)은 차축과 나라한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고, 수평방향(DRH)은 차축과 교차하는 수직면을 따르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nd the vertical direction DRV may not represent only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vertical direction DRV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ion along a horizontal plane parallel to the axl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ion along a vertical plane intersecting the axle.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되는 방향, 즉 방사 방향(Radiation Direction)도 수평방향(DRH)에 포함될 수 있다.A direction rad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tire, that is, a radial direc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아울러, 분리형 휠 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둘레를 따르는 방향을 원주 방향(Circular Direction, DRC)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etachable wheel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lar Direction, DRC).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1A)(이하에서는 '비공기입 타이어'라고 칭할 수 있다.)는 트레드부(Tread Part, 20), 휠부(Wheel Part, 30) 및 스포크부(Spoke Part, 1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non-pneumatic tire 1A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ad part 20 and a wheel part. , 30) and a spoke part (Spoke Part, 10).

트레드부(20)는 노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20 may includ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ad surface.

이러한 트레드부(20)는 노면과의 마찰에 대응하기 위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20 may include a rubber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in order to respond to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아울러, 트레드부(20)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 즉 접지면에는 웨트(Wet)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트레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하나 이상의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read groove (not shown) for imparting wet performance to the outer side surface, that is, the ground plane, of the tread unit 2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pattern shapes.

휠부(30)는 차량의 축, 즉 차축(AX)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part 30 may include a part connect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that is, the axle AX.

자세하게는, 휠부(30)는 차량의 엔진(미도시) 혹은 모터(미도시)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비공기입 타이어(1A)에 전달하기 위한 차축(AX)과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wheel part 30 may be connected to the axle AX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an engine (not shown) or a motor (not shown) of the vehicle to the non-pneumatic tire 1A.

이에 따라, 휠부(30)는 차축(AX)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heel part 3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axle shaft AX.

이러한 휠부(30)는 스틸,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part 3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 aluminum alloy, or a magnesium alloy.

스포크부(10)는 비공기입 타이어(1A)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oke part 10 may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by dispersing and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non-pneumatic tire 1A, and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이러한 스포크부(10)는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수지 재질,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스포크부(10)는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멜라민계 수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oke part 10 may include a resin material,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and/or a thermosetting resin, in order to effectively absorb an impact and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the spoke par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and/or a melamine resin.

또는, 스포크부(10)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수지 재질, 고무(Rubber),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강철(Steel) 및 스프링강(Spring Stee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 혹은 선택된 2개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aterial of the spoke portion 1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resin material, rubbe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and steel (Steel). And it may includ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spring steel (Spring Steel) or two or more selected materials.

또는, 스포크부(10)의 재질은 충분한 변형에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큰 인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소재가 포함된 복합체로 제작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aterial of the spoke portion 10 may be made of a composite including polyurethane or rubber material having high toughness so that i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even after sufficient deformation.

스포크부(10)는 휠부(30)와 트레드부(20)의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스포크부(Rotatable Spoke Part, 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oke part 10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part 30 and the tread part 2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rotatable rotatable spoke part 100 .

이러한 회전 스포크부(Rotatable Spoke Part, 1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rotating spoke part (Rotatable Spoke Part, 100) may also include a metal material.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스포크부(10)가 4개의 회전 스포크부(10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크부(10)가 포함하는 회전 스포크부(100)의 개수는 2개, 4개, 6개, 8개 등으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1 to 2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spoke unit 10 includes four rotating spoke units 100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rotating spoke parts 100 included in the spoke part 10 may be changed to 2, 4, 6, 8, etc. FIG.

아울러, 스포크부(10)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110) 및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 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ke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ase part (First Base Part, 110) and a second base part (Second Base Part, 120).

제 1 베이스부(110)는 휠부(30) 측에 위치하며, 회전 스포크부(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base part 110 is located on the wheel part 30 side, and may support one side of the rotating spoke part 100 .

제 2 베이스부(120)는 트레드부(20) 측에 위치하며, 회전 스포크부(1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part 120 is positioned on the tread part 20 side and ma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poke part 100 .

이를 고려하면, 회전 스포크부(100)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rotating spoke part 100 can be viewed as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se part 110 and the second base part 120 .

아울러, 회전 스포크부(100)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be rotatable between the first base unit 110 and the second base unit 120 .

이러한 회전 스포크부(1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such a rotating spoke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3 내지 도 10은 회전 스포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3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ng spoke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3을 살펴보면, 회전 스포크부(100)는 회전축부(Rotation Axis Part, 101), 제 1 날개부(First Blade Part, 102) 및 제 2 날개부(Second Blade Part, 1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rotary spoke part 10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part (Rotation Axis Part, 101), a first wing part (First Blade Part, 102) and a second wing part (Second Blade Part, 103). .

회전축부(101)는 차축(AX)과 교차하는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crossing the axle shaft AX.

이러한 회전축부(101)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모터부(Motor Part)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otation shaft 101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motor part (not shown).

제 1 날개부(102)는 회전축부(10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ng portion 102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101).

제 2 날개부(103)는 회전축부(101)의 측면으로부터 제 1 날개부(10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ing portion 103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wing portion 102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101 .

이러한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는 회전축부(101)의 회전에 따라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스포크부(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change the pattern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poke portion 10 of the non-pneumatic tire 1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101 . It is possibl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은 휠부(30)를 향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face the wheel part 30 .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은 제 1 베이스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base part 110 .

이를 위해, 제 1 베이스부(110)에는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이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 H1)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first hole (First Hole, H1)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se part 110 .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은 제 1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Rotation Control Part)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unit 101 may pass through the first base unit 110 and be connected to a rotation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를 살펴보면, 회전 스포크부(100)가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 및 제 2 날개부(103)는 각각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1 간격(G1) 만큼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unit 110 and the second base unit 120 , the first wing unit 102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0 by the first interval G1, respectively.

회전축부(101)의 타측 끝단은 트레드부(20)를 향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face the tread part 20 .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은 제 2 베이스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base part 120 .

이를 위해, 제 2 베이스부(120)에는 회전축부(101)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홀(Second Hole, H2)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second hole (Second Hole, H2)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ase part 120 .

이러한 제 2 홀(H2)은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홀(H2)을 '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hole H2 may have a groove shap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cond hole H2 will be described using the term 'hole'.

도 7을 살펴보면, 회전 스포크부(100)가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 및 제 2 날개부(103)는 각각 제 2 베이스부(120)와 제 2 간격(G2) 만큼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unit 110 and the second base unit 120 , the first wing unit 102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base portion 120 and the second interval G2.

여기서, 제 1 간격(G1)과 제 2 간격(G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간격(G1)은 제 2 간격(G2)보다 더 클 수 있다.Here, the first interval G1 and the second interval G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interval G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interval G2.

도 8을 살펴보면, 회전축부(101)의 타측 끝단은 폭이 서로 다른 제 1 타측 끝단부분(EP1)과 제 2 타측 끝단부분(EP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unit 101 may include a first other end portion EP1 and a second other end portion EP2 having different widths.

여기서, 제 1 타측 끝단부분(EP1)의 폭(W1)은 제 2 타측 끝단부분(EP2)의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Here, the width W1 of the first other end portion EP1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cond other end portion EP2 .

아울러, 제 1 타측 끝단부분(EP1)은 제 2 타측 끝단부분(EP2)보다 더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ther end portion EP1 may be located further at the end than the second other end portion EP2 .

회전축부(101)의 타측 끝단에 대응하여 제 2 베이스부(120)에 형성되는 제 2 홀(H2)의 형태도 변경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econd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base part 120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1 may also be changed.

이러한 경우, 비공기입 타이어(1A)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회전축부(101)의 타측 끝단이 제 2 베이스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an excessive impact is applied to the non-pneumatic tire 1A,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unit 10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base unit 120 .

도 9를 살펴보면,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의 단면과 제 2 날개부(103)의 단면은 유선형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have a curved shape in a streamlined manner.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의 단면의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사이즈 등의 변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ting spoke portion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the size of the non-pneumatic tire 1A.

도 10을 살펴보면,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 및 제 2 날개부(103)의 일측 끝단(E1) 또는 타측 끝단(E2) 중 적어도 하나는 굴곡진 부분(CS1, CS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t least one of the one end E1 or the other end E2 of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ting spoke portion 100 is curved portions CS1 and CS2 ) may be included.

이러한 경우,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 및 제 2 날개부(103)의 양쪽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베이스부(110) 및/또는 제 2 베이스부(120)의 곡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first wing part 102 and the second wing part 103 of the rotating spoke part 100 is the first base part 110 and/or the second base part 120 . It may be possible to correspond to a curved surface.

한편, 스포크부(10)는 회전 스포크부(100) 이외에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의 사이에서 고정되는 고정 스포크부(Fixed Spoke Part)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spoke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poke part fixed between the first base part 110 and the second base part 120 in addition to the rotating spoke part 100 . .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s follows.

도 11 내지 도 13은 고정 스포크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1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xed spoke par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11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스포크부(10)는 고정 스포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1 to 12 , the spoke portion 10 of the non-pneumatic tir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poke portion 130 .

고정 스포크부(130)는 일측 끝단이 제 1 베이스부(110)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제 2 베이스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xed spoke unit 130 may be fixed to the first base unit 110 ,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second base unit 120 .

이러한 고정 스포크부(130)는 회전 스포크부(100)와는 다르게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xed spoke unit 130 may not rotate differently from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스포크부(10)가 회전 스포크부(100)와 함께 고정 스포크부(13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공기입 타이어(1A)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spoke unit 10 includes the fixed spoke unit 130 together with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n-pneumatic tire 1A may be improved.

스포크부(10)에서 각각의 회전 스포크부(100)는 두 개의 고정 스포크부(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spoke unit 10 , each rotating spoke unit 1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xed spoke units 130 .

이러한 경우, 비공기입 타이어(1A)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n-pneumatic tire 1A.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을 고려하면, 회전 스포크부(100)의 전체 폭은 고정 스포크부(13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Conside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the overall width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xed spoke unit 130 .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DRV)으로 고정 스포크부(130)의 폭(L1)은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의 폭(L2)과 제 2 날개부(103)의 폭(L3)의 합보다 더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width L1 of the fixed spoke par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DRV is the width L2 of the first wing part 102 of the rotating spoke part 100 and It may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width L3 of the second wing portion 103 .

이러한 경우, 스포크부(10)를 통과하는 바람의 흐름의 패턴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hange the pattern of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spoke portion (10).

이상에서 설명한 회전 스포크부(100)는 회전 조절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rotation spoke unit 100 described above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ontrol uni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s follows.

도 14 내지 도 19는 회전 조절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4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control uni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14 내지 도 15를 살펴보면, 스포크부(10)의 회전 스포크부(100)는 회전 조절부(40)와 연결될 수 있다.14 to 15 , the rotation spoke unit 100 of the spoke unit 1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trol unit 40 .

회전 조절부(40)는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 조절부(40)는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otation adjusting unit 40 may adjus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In detail, the rotation control unit 40 ma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unit 101 of the rotation spoke unit 100 .

이러한 회전 조절부(40)는 모터부(Motor Part, 400), 제 1 차동기어부(First Differential Gear Part, 420) 및 제 2 차동기어부(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motor part 400 , a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420 , and a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430 .

아울러, 회전 조절부(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control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40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400 .

모터부(40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부(10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tor unit 400 may provide power (rotation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unit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40 .

제 1 차동기어부(420)는 모터부(400)의 구동축(Driving Axis, 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차동기어부(420)는 구동축(4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410 of the motor unit 400 . Accordingly, 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410 .

제 2 차동기어부(430)는 제 1 차동기어부(420)에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차동기어부(430)는 제 1 차동기어부(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 Accordingly,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의 일측 끝단(E1)은 제 2 차동기어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는 제 2 차동기어부(4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One end E1 of the rotating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 Accordingly, the rotating shaft portion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

여기서,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는 모터부(400)의 구동축(410)과 교차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intersect the driving shaft 410 of the motor unit 400 .

제 1 차동기어부(420)와 제 2 차동기어부(430)는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이거나 플라네터리 기어(Planetary Gear) 타입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and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may be a bevel gear type or a planetary gear typ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부(400)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 스포크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be rotated using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unit 400 .

제어부(440)는 차량의 주행에 대응하여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회전 스포크부(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40)는 차량의 회전에 대응하여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회전 스포크부(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440 may control the motor unit 400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rotate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Preferably, the control unit 440 may control the motor unit 400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vehicle to rotate the rotating spoke unit 100 .

예를 들면, 도 1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터부(400)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 1 차동기어부(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A , when the motor unit 400 provides a clockwise rotational force, 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may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에 대응하여 제 2 차동기어부(4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반면에, 도 1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터부(400)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 1 차동기어부(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B , when the motor unit 400 provides a counterclockwise rotational force, the first differential gear unit 420 may rotate counterclockwise.

이에 대응하여 제 2 차동기어부(4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unit 43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부(4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중 회전 등의 상황에 대응하여 회전 스포크부(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40 may control the motor unit 400 to rotate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n response to a situation such as rotation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자세하게는, 제어부(4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차량의 좌회전 시의 회전 스포크부(10)의 회전축부(101)의 회전 패턴과 차량의 우회전 시의 회전 스포크부(10)의 회전축부(101)의 회전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motor unit 400 to determine the rotation pattern of the rotation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 when the vehicle rotates left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 when the vehicle rotates right. It is possible to make the rotation pattern of the part 101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4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차량의 좌회전 시와 우회전 시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440 may control the motor unit 400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n different directions during left and right turns of the vehicle.

예를 들면,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차량(2A)이 직진 주행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7A ,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2A travels in a straight line.

이러한 경우에는, 도 1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가 수평방향(DRH)으로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17 , the first wing part 102 and the second wing part 103 of the rotary spoke part 10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can do.

예를 들면, 회전 스포크부(100)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s not rotated.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2A)의 주행방향과 제 1 날개부(102) 및 제 2 날개부(103)의 방향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에 의한 양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충분히 작은 수준의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2A and the directions of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 may not be generated or a sufficiently small level of lift may occur.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가 차량(2A)의 직진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ng spoke portion 10 may not interfere with the straight travel of the vehicle 2A.

도 18의 (A)의 경우와 같이, 차량(2A)이 좌회전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공기입 타이어(1A)가 왼쪽으로 방향을 틀 수 있다.As in the case of FIG. 18A ,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2A makes a left turn. In this case, at least one non-pneumatic tire 1A of the vehicle may turn left.

이러한 경우에는, 도 1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4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를 수평방향(DRH)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가 수평방향(DRH)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18 , the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motor unit 400 to move the rotating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s a reference. can be rotated to the right. Accordingly,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rotat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2A)의 회전방향인 좌측방향과 반대방향인 우측방향으로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ft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right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direction, which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vehicle 2A.

자세하게는,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의 회전에 따라, 차량(2A)의 좌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대항하는 바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2A)의 좌회전 시에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슬립(Slip)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ry spoke portion 100, a wind against the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leftward rotation of the vehicle 2A may be generated.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of the non-pneumatic tire 1A when the vehicle 2A turns left.

다른 관점에서 보면, 차량(2A)의 좌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구심력(Centripetal Force)을 양력으로 강화시킴으로써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슬립 발생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of the non-pneumatic tire 1A by strengthening the centripetal force according to the leftward rotation of the vehicle 2A to the lift force.

반면에, 도 19의 (A)의 경우와 같이, 차량(2A)이 우회전을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비공기입 타이어(1A)가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 19A ,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2A makes a right turn. In this case, at least one non-pneumatic tire 1A of the vehicle may turn to the right.

이러한 경우에는, 도 1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440)는 모터부(400)를 제어하여 회전 스포크부(100)의 회전축부(101)를 수평방향(DRH)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가 수평방향(DRH)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19 , the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motor unit 400 to move the rotating shaft unit 101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as a reference. It can be rotated to the left. Accordingly,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ting spoke unit 100 may rotate to the le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RH.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2A)의 회전방향인 우측방향과 반대방향인 좌측방향으로 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lift may be generated in the left direction opposite to the right direction, which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vehicle 2A.

이에 따라, 차량(2A)의 우회전 시에도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슬립(Slip)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of the non-pneumatic tire 1A even when the vehicle 2A turns right.

앞선 도 18 내지 도 19의 내용을 비교하면, 차량(2A)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회전 스포크부(100)의 제 1 날개부(102)와 제 2 날개부(103)는 차량(2A)의 차체와 대략 나란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18 to 19 , the first wing portion 102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03 of the rotary spoke portion 100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vehicle 2A are of the vehicle 2A.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orientation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vehicle body.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노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트레드부(Tread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휠부(Wheel Part); 및
상기 휠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스포크부(Rotatable Spoke Part)를 포함하는 스포크부(Spoke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포크부는
상기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회전축부(Rotation Axis Part);
상기 회전축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날개부(First Blade Part); 및
상기 회전축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날개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날개부(Second Blade Par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a tread part includ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road surface;
A wheel portion includ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axle (Wheel Part); and
a spoke part including a rotating spoke part disposed between the wheel part and the tread part;
including,
The rotating spoke part
Rotation Axis Par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axle (Rotation Axis Part);
A first wing portion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First Blade Part); and
a second wing part (Second Blade Par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wing 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part;
A non-pneumatic tire comprising a wing,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포크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Rotation Control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control part (Rotation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poke part,
The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control unit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모터부(Motor Part);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Driving Axis)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 1 차동기어부(First Differential Gear Part); 및
상기 제 1 차동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차동기어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 2 차동기어부(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구동축과 교차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2 차동기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차동기어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control unit,
Motor part (Motor Part);
a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of the motor unit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a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engaged with the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including,
The rotating shaft part intersects the driving shaf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and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좌회전 시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 패턴과 상기 차량의 우회전 시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on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The control unit is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pattern of the rotation shaft part when the vehicle turns left and the rotation pattern of the rotation shaft part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휠부를 향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은 상기 트레드부를 향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faces the wheel par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faces the tread part,
At least one of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휠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베이스부(First Base Part); 및
상기 트레드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부(Second Base Par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poke part,
a first base part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heel part and including a part on which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is positioned; and
a second base part positioned on the tread part and including a part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part is positioned;
Non-pneumatic tire comprising a 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끝단이 관통하는 제 1 홀(Firs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제 2 홀(Second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 날개부 및 상기 제 2 날개부는 각각 상기 제 2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7.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base part,
A second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base portion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is inserted,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he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respective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스포크부(Fixed Spoke Pa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oke part,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ed spoke par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base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base part.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회전 스포크부는 두 개의 상기 고정 스포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rotating spoke parts is a non-pneumatic tire including a wing,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two fixed spoke par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포크부의 상기 제 1 날개부의 폭과 상기 제 2 날개부의 폭의 합은,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고정 스포크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um of the width of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spoke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xed spok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le. .
KR1020210006569A 2021-01-18 2021-01-18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KR102495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69A KR102495966B1 (en) 2021-01-18 2021-01-18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69A KR102495966B1 (en) 2021-01-18 2021-01-18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79A true KR20220104379A (en) 2022-07-26
KR102495966B1 KR102495966B1 (en) 2023-02-06

Family

ID=8260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69A KR102495966B1 (en) 2021-01-18 2021-01-18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6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52B1 (en) * 2013-07-05 2014-05-16 윤주학 An aerogenerator
KR20160083120A (en) * 2014-05-12 2016-07-11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60101006A (en) 2013-12-24 2016-08-2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less tire
KR20170047166A (en) 2015-10-22 2017-05-0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less tire
JP2017222204A (en) * 2016-06-13 2017-12-2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wheel
JP2019111966A (en) * 2017-12-25 2019-07-11 株式会社Subaru Flow straighte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52B1 (en) * 2013-07-05 2014-05-16 윤주학 An aerogenerator
KR20160101006A (en) 2013-12-24 2016-08-2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less tire
KR20160083120A (en) * 2014-05-12 2016-07-11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70047166A (en) 2015-10-22 2017-05-0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irless tire
JP2017222204A (en) * 2016-06-13 2017-12-2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wheel
JP2019111966A (en) * 2017-12-25 2019-07-11 株式会社Subaru Flow straigh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966B1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7201B (en) Side-turning resistant elastic wheel
JP2016505448A (en) Design of rims, airless tires and hub caps configured to carry air in one direction and methods of using them
CN106143643B (en) Device for improv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WO2015098656A1 (en) Airless tire
EP3650243B1 (en) Wheel rim for a vehicle
CN104884270A (en) Tire/wheel assembly and tread ring
KR20190032053A (en) Airless Tire
KR200419629Y1 (en) The airplane a tire have air pocket
KR101601470B1 (en) Spoke wheel having improved air force
KR20220104379A (en) Non-pneumatic tire including the blade
US20180051712A1 (en) Aerodynamically and acoustically improved car fan
CN103253076A (en) Lightweight cooling wheel hub of automobile
CN103552425B (en) A kind of automotive wheel reducing air resistance coefficient
CN203580498U (en) Automobile hub provided with internal reinforcing ribs
JP2021031014A (en) Down-force generator and vehicle
JPH03169713A (en) Tire for motorcycle
CN207594653U (en) A kind of automobile flat tire assists direction stabilising arrangement
KR102412865B1 (en) Non-pneumatic tire
KR102122504B1 (en) Patch module for tire install and patch system for tire install
CN212386231U (en) Spiral hub
KR102644378B1 (en) spoiler of muffler with smart dual flap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KR20220060968A (en) Spoke structure of non-pneumatic tire
KR102546832B1 (en) Non-pneumatic tire
CN209159289U (en) It is a kind of for pure electric vehicle or the drive axle of hybrid vehicle
JP2022039738A (en) Non-pneumatic pressure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