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703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703A
KR20220103703A KR1020227014242A KR20227014242A KR20220103703A KR 20220103703 A KR20220103703 A KR 20220103703A KR 1020227014242 A KR1020227014242 A KR 1020227014242A KR 20227014242 A KR20227014242 A KR 20227014242A KR 20220103703 A KR20220103703 A KR 2022010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heet
liquid
disposable diaper
cover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0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having apertures of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61F2013/15552Ai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5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 A61F2013/4905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being stretchable in transversal direction or cross machi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47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air perm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탄성 신축 부재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웨이스트부의 통기성이 개선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30)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20)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11)로부터 이면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직포(2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커버 부직포의 웨이스트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개공(14)을 잇는 가상선이 모로칸 무늬(D)인 개공(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로칸 무늬(D)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요소(50)의 흡수체(56)와 겹치지 않는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타입 외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허리 주위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스트부 탄성 신축 부재를 마련하는 것을 범용 기술로 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가 착용하는 기저귀에 있어서는, 영유아의 피부는 민감하여, 이른바, 기저귀 발진을 일으키기 쉽다.
그 중에서도, 웨이스트부는 웨이스트부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해 피부와 밀착되고, 흡수체가 존재하지 않아, 습기를 흡수하는 부재가 없이 체류하기 쉽상이어서, 땀이 차서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기 쉽다.
피부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기저귀 내부와 외부의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바, 특허문헌 1에서는, 네트형 탄성 신축 부재를 마련하여 통기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65849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의 것은 네트형 탄성 신축 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범용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탄성 신축 부재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웨이스트부의 통기성이 개선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대표적 양태는 다음에 기술한 대로이다.
<대표적 양태>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로부터 이면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직포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로서,
상기 커버 부직포의 웨이스트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개공을 잇는 가상선이 모로칸 무늬인 개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로칸 무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요소(50)의 흡수체와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신축 부재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웨이스트부의 통기성이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전개 상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5a-5a 단면도, (b)는 도 1의 5b-5b 단면도, 그리고 (c)는 도 1의 5c-5c 단면도이다.
도 6은 탑 시트 또는 커버 부직포의 개공 패턴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탑 시트 또는 커버 부직포의 개공 패턴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탑 시트 측에서의 사진이다.
도 9의 (a)(b)는 비교예 1에 있어서의 등측 끝 테두리 측에서의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 있어서의 탑 시트 측에서의 사진이다.
도 11의 (a)(b)는 비교예 2에 있어서의 등측 끝 테두리 측에서의 사진이다.
도 12의 (a)(b)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탑 시트 측에서의 사진이다.
도 13의 (a)(b)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등측 끝 테두리 측에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면도에 있어서의 점 모양 부분은 그 표측 및 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접착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핫멜트 접착제의 베타, 비드, 커튼, 서밋 혹은 스파이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전사) 등에 의해, 혹은 탄성 신축 부재의 고정 부분은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콤건이나 슈어랩 도포 등, 탄성 신축 부재의 외주면에 대한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 소재 용착에 따른 수단도 이용할 수 있다.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예>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로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 부호 X는 패스닝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있고, 부호 Y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배측부터 등측까지 연장되는 흡수체(56)와, 흡수체(56)의 표측을 덮는 액 투과성 탑 시트(30)와, 흡수체(56)의 이측을 덮는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갖는 것으로서, 흡수체(56)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고, 또한,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부분인 배측 엔드 플랩부(EF) 및 등측 엔드 플랩부(EF)와, 흡수체(56)의 측연보다 옆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SF)를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부(SF)의 전후 방향 중간에는, 다리 둘레를 따라 잘록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잘록 부분보다 등측에 패스닝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면은 커버 부직포(20)로 덮여 있다. 커버 부직포(20)는 기저귀의 주연까지 연장되어 있고,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전후 방향으로는 기저귀의 전후 테두리까지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는 흡수체(56)의 측연과 커버 부직포(20)의 측연의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커버 부직포(20)는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의 일부만으로 하거나, 폭 방향의 일부만으로 하거나, 또는 그 양방으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일부가 개더 부직포 등의 다른 소재로 덮여 있는 경우 등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커버 부직포(20)를 마련하지 않는 형태로도 할 수 있다.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으로서, 흡수 요소(50)보다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있으며, 탑 시트(30)에서, 흡수 요소(50)의 측연으로부터 비어져나온 주연부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에서, 흡수 요소(50)의 측연으로부터 비어져나온 주연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56)는 포장 시트(58)로 포장한 흡수 요소(50)로서,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으며, 탑 시트(30) 및 흡수 요소(50)의 사이에는 중간 시트(40)를 마련할 수 있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 요소(50)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길이 방향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흡수 요소(50)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의 액분과 접촉하여, 변색되는 인디케이터도 마련할 수 있다.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표면의 폭 방향 양측에는 측부 개더(6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측부 개더(60)는, 각 사이드 플랩부(SF)에 마련된 제1 부분(61)(평면 개더 부분)과, 탑 시트(30)의 양 측부 상에 돌출된 제2 부분(69)(입체 개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 전체 길이(Y)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개더 부직포(62)가 제1 부분(61)으로부터 제2 부분(69)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1 부분(61)에서는, 해당 개더 부직포(62)가 커버 부직포(20)에 대해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들 부직포의 사이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개더 탄성 신축 부재(63)가, 1개 또는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신장 상태로 고정되며, 그 수축력에 의해 제1 부분(61)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하여, 다리 둘레에 닿는 평면 개더가 된다.
또한, 개더 부직포(62)는 제1 부분(61)을 허벅다리 부분으로 해서, 그곳으로부터 폭 방향(WD)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갖고 있고, 적어도 이 연장 부분은 선단에서 되접어 꺾여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연장 부분에서, 전후 방향(LD) 양 단부는 탑 시트(30)에 고정된 도복 부분(67)이 되는 한편,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LD) 중간부는 비고정 자유 부분(68)이 된다. 자유 부분(68)에는, 전후 방향(LD)을 따라, 개더 탄성 신축 부재(63)가, 1개 또는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수축력에 의해 제2 부분(69)의 자유 부분(68)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해서, 다리 둘레에 닿는 입체 개더가 된다.
도시한 형태에 있어서의 패스닝 테이프(13)는, 기저귀의 측부에 고정된 테이프 장착부(13C)와, 이 테이프 장착부(13C)로부터 돌출된 테이프 본체부(13B)를 구성하는 시트 기재와, 이 시트 기재에서,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 중간부에 마련된, 등측에 대한 계지부(13A)를 가지며, 이 계지부(13A)로부터 선단 측 부분이 손잡이부가 되는 것이다. 패스닝 테이프(13)의 테이프 장착부(13C)는, 사이드 플랩부에서 내측 층을 구성하는 개더 부직포(62)와, 외측 층을 구성하는 커버 부직포(20)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핫멜트 접착제로 양 부직포(62, 20)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3A)는 테이프 본체부(13B)의 내면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계지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雄材))가 적합하다. 훅재는 그 외면 측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다.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A) レ자형, (B) J형, (C) 버섯형, (D) T자형, (E) 더블 J자형(J자형의 것을 맞대서 결합한 형상의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물론,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로서 점착재층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장착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13B)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저귀 장착 시에는, 등측 사이드 플랩부(SF)를 배측인 사이드 플랩부(SF)의 외측에 겹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13)를 배측 부분(F) 외면의 적소에 계지한다.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의 위치 및 치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에는, 계지를 쉽게 하기 위한 타겟을 갖는 타겟 시트(2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 타겟 시트(24)로서는, 필름층과, 그 외면 전체에 마련된, 계지부(13A)의 훅이 탈착 자유 자재하게 계합하는 계합층을 갖는 필름 타입의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계합층으로서는, 실로 짜여진 망 형상체로서, 루프를 갖는 것이 필름층 상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 외에, 열 가소성 수지의 부직포층이 간헐적 초음파 실링에 의해 필름층 상에 설치되어, 부직포의 섬유가 루프를 구성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지만,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의 부직포에 엠보싱 가공을 한 것으로, 필름층이 없는 필름리스 타입의 타겟 테이프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타겟 테이프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3)의 훅이 루프에 얽히거나 또는 걸림으로써, 패스닝 테이프(13)가 결합된다.
계지부(13A)가 점착재층인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한,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가 부직포로 구성될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형태의 커버 부직포(20)가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우로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에는, 타겟 시트(24)를 생략하고, 훅재를 커버 부직포(20)의 부직포에 얽히게 해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타겟 시트(24)를 커버 부직포(20)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엔드 플랩부(EF)는 흡수 요소(50)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고, 또한,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서, 전측 연장 부분이 배측 엔드 플랩부(EF)이고, 후측 연장 부분이 등측 엔드 플랩부(EF)이다.
등측 엔드 플랩(EF)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전술한 이유로 인해서, 패스닝 테이프(13) 장착 부분의 전후 방향 길이와 같거나 짧은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저귀 등측 단부와 흡수 요소(50)가 너무 근접하면, 흡수 요소(50)의 두께와 탄력에 의해, 기저귀 등측 단부와 신체 표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측 엔드 플랩부(EF) 및 등측 엔드 플랩부(EF)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 전체의 전후 방향 길이(Y)의 5∼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유아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10∼60㎜, 특히, 20∼50㎜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기저귀의 등측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양 패스닝 테이프(13) 사이에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는 탄성 신축 부재, 특히, 띠 형상의 등측 신축 시트(70)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등측 신축 시트(70)의 양 단부는 양 패스닝 테이프(13)의 장착 부분과 겹치는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이간되어 있어도 좋다. 등측 신축 시트(70)의 전후 방향 치수는, 패스닝 테이프(13) 장착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에 대해서 플러스 마이너스 20% 정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등측 신축 시트(70)가 등측 엔드 플랩부(EF)와 흡수 요소(50)의 경계선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흡수 요소(50)의 등측 단부가 제대로 몸에 피트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등측 신축 시트(70)는 고무 시트 등의 시트형 탄성 부재를 사용해도 좋지만, 통기성 관점에서, 부직포나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신축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을 갖는 시트형 탄성 부재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매의 부직포 등의 시트 기재(71)를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첩합하는 동시에, 양 시트 기재(71) 사이에 유공 시트형, 망형, 세장형(실형 또는 끈형 등) 등의 탄성 신축 부재(72)를 폭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고정시킨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에 시트 기재(71)로서는, 커버 부직포(2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신축 부재(72)의 신장율은 150∼2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72)로서 세장형(실형 또는 끈형 등)의 것을 사용할 경우, 굵기 420∼1120dtex인 것을, 3∼10㎜의 간격(72d)으로, 5∼15개 정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신축 부재(72)의 일부가 흡수 요소(50)를 횡단하도록 배치하면, 흡수 요소(50)의 피트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 탄성 신축 부재(72)가 흡수 요소(50)와 겹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단 등의 수단으로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면, 흡수 요소(50)의 등측 단부가 폭 방향으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피트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탄성 신축 부재(72)는 시트의 길이 방향(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시트 기재(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기저귀 본체에 장착 시, 줄어들거나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의 전후 방향(기저귀의 폭 방향) 단부의 5∼20㎜ 정도의 범위에서는,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또는 탄성 신축 부재(72)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탄성 신축 부재(72)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피부에 닿지 않는 프릴을 형성 가능하여, 통기성이 양호해진다.
등측 신축 시트(70)는 도시한 형태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개더 부직포(62)와 커버 부직포(20)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겹치는 부위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흡수 요소(5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있지만,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커버 부직포(20)의 사이에 마련해도 좋고, 커버 부직포(20)의 외면에 마련해도 좋고, 또한, 탑 시트(30)와 흡수 요소(50)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등측 신축 시트(70)는 탑 시트(30) 위에 마련해도 좋고, 이 경우,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개더 부직포(62) 위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커버 부직포(20)를 여러 장의 시트 기재를 겹쳐서 형성할 경우에는, 등측 신축 시트(70) 전체를 커버 부직포(20)의 시트 기재 사이에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설명용 부호를 참조하면,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30)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50)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20)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11)로부터 이면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직포(2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로서,
상기 커버 부직포(20)의 웨이스트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개공(14)을 잇는 가상선이 모로칸 무늬인, 개공(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로칸 무늬(D)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요소(50)의 흡수체(56)와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2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된 유공 부직포이면, 액 불투과성 시트(11)에 형성된 액분을 투과하지 않고, 증기분만을 투과하는 투습성을 보이는, 미소 통기 구멍(미도시)을 통과하는 흡수 요소(50) 측으로부터의 증기를, 개공(14)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기 쉽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직접적으로 증기를 개공(14)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기 쉽다. 따라서, 땀이 차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흡수체(56)를 덮는 포장 시트(58)는 화장지, 특히, 크레이프지로 흡수체(56)를 덮는 경우 외에, SMS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SMS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는 부드럽고, 또한, 굽힘 강성이 낮다.
SMS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양호하게 변형되고(양호하게 구부러지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탑 시트(30)의 외면에 대해서 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보습제(M)가 도포되어 있으면(적어도 외면부에 보습제(M)를 함유하고 있으면), 보습제(M)가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탑 시트가 피부에 대해서 매끄럽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탑 시트(30)는 다수의 개공(14)을 갖는 유공 부직포이면 적합하다. 엄밀한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다수의 개공(14)으로 인해,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개공을 갖지 않는 부직포에 비해서 작아지는 것을 이유로 하여, 착용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탑 시트가 피부에 대해서 매끄럽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커버 부직포(20)의 개공(14) 외에, 탑 시트(30)에 있어서도 개공(14)의 평면 배치는 도 7에 대표예로서 도시하는, 인접한 개공(14)을 잇는 가상선(14q)이 모로칸 무늬(D)를 형성한 것이 적합하다.
이 모로칸 무늬(D)에 의한 이점을 가져오는 엄밀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개공(14) 군으로 형성되는 가상 연결선(R1, R2)이 비스듬한 격자를 형성하고, 이 가상 연결선(R1, R2)이 변형 기점선으로서 기능하여, 커버 부직포(20) 및 탑 시트(30)의 전후 및 폭 방향의 변형을 쉽게 만든 것이 이유라고 생각된다.
가상 연결선(R1, R2)을 기점선으로 한 커버 부직포(20) 및 탑 시트(30)의 전후 및 폭 방향 변형에 대해, 역변형성 액 불투과성 시트(11)도 동반 변형된다.
상기 웨이스트부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는 탄성 신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웨이스트부 영역으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이 탄성 신축 부재로서, 각종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등측 신축 시트(70)를 사용 가능하다.
이 등측 신축 시트(70)의 탄성 신축에 의해, 커버 부직포(20) 및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가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면, 도 7에 도시되는 모로칸 무늬(D)가 가상 연결선(R1, R2)에서는 변형되기 쉽고, 이에 대해 인접한 개공(14)을 잇는 가상선(14q)으로 둘러싸인 비개공영역(Z)은 변형이 발생되기 어렵다.
그 결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였을 때의 커버 부직포(20) 측에 형성되는 주름은 큰 것이 되는 동시에, 등측 신축 시트(70)로부터 등측 단부에 형성되는 프릴도 커진다.
주름 및 프릴이 커지는 것은 기저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통기성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땀이 차는 것이 억제되어, 피부 발진을 방지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모로칸 무늬(D)가 커버 부직포(20) 및 탑 시트(30)의 전후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모로칸 무늬(D)의 형성을 일회용 기저귀의 단부만, 예를 들면, 등측 단부만으로 할 수도 있지만, 제조 공정상, 커버 부직포 및 탑 시트 재료와 개공 형성 위치와의 위치 제어가 어려움과 동시에, 통기성을 전체 길이에 걸쳐 확보하기 위해서도, 커버 부직포(20) 및 탑 시트(30)의 전후 방향전체 길이에 걸쳐 모로칸 무늬(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정도 강성을 보이는 흡수체(56)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인 배측 엔드 플랩부(EF) 및 등측 엔드 플랩부(EF)에 있어서, 모로칸 무늬(D)가 형성되어 있다.
모로칸 무늬(D)에 있어서의 개개의 개공 형상은 도 6의 (a)(b)와 같은 장공형으로 하는 것 외에, 도 6의 (c)(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원형,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별형, 구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모로칸 무늬(D)에 있어서의 개개의 개공(14)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6을 참조하여 예시하면, 전후 방향(LD)의 최대 치수(14L)는 0.3∼1.8㎜, 특히, 0.4∼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WD)의 최대 치수(14W)는 0.2∼1.5㎜, 특히, 0.3∼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공(14)의 형상이 장공형, 타원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등과 같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한 방향의 전체 길이가,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긴 형상)인 경우, 길이 방향의 최대 치수는,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치수의 1.2∼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14)의 형상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인 경우, 개공(14)의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LD)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방향(WD)이나 경사 방향일 수 있다.
개개의 개공(14)의 면적 및 면적율은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면적은 0.1∼2.7㎟(특히, 0.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면적율은 1.0∼15.0%(특히, 5.0∼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로칸 무늬(D)에 있어서의 개개의 개공 형상은 여러 가지로 선택 가능하며, 직경이 0.5∼1.5㎜의 원형인 것 외에, 해당 직경으로 말하면, 0.5∼1.5㎜인 것이어도 되고, 인접한 개공의 중심간 거리가 1.0∼4.0㎜이고, 모로칸 무늬에서 개공을 잇는 가상선(14q)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비개공영역(Z)의 면적이 1.0∼3.5㎠인 것이, 큰 주름 및 프릴을 형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측 신축 시트(70) 대신, 시트 기재(71)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 부재, 예를 들면, 실고무를 평행하게 배치한 양태 등이어도 된다.
이하에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한다.
<커버 부직포>
커버 부직포에 대해서 추가 설명한다.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대부분은 흡수액이 뒤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기성을 갖는 액 불투과성 시트가 흡수체의 이측에 마련되는 동시에, 이 액 불투과성 시트가 옷감과 같은 외관 및 촉감으로 만들기 위해, 액 불투과성 시트의 이면이 커버 부직포로 덮여 있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실시형태의 커버 부직포(20)도 옷감과 같은 외관 및 촉감으로 만들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 부직포(20)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을 덮고,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덮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품 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기성 액 불투과성 시트에 커버 부직포를 적층하면, 커버 부직포를 갖는 부분만큼 통기성이 저하된다. 이 문제를 해결할 하나의 바람직한 수법으로서, 커버 부직포로서,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을 다수 갖는 유공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커버 부직포(20)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14)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된 유공 부직포로 되어 있다. 커버 부직포(20)의 섬유 종류나 섬유 결합(교락)의 가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평량은 20∼30g/㎡, 두께는 0.3∼1.0㎜이면 바람직하다.
커버 부직포(20)는 통기성 향상 효과를 고려하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커버 부직포(20)에서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개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개개의 개공(14)의 평면 형상(개구 형상)은 도 6의 (a)∼(e)에 도시하는 형상을 포함해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대로이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것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한다면 스펀 본드법, 스펀 레이스법이, 큰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한다면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써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특히, 큰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관점에서, 에어스루법에 따라 제조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1.5∼3.5dtex의 PE/PET를 사용할 수 있다.
탑 시트(30)의 평량은 10∼30g/㎡가 바람직하다. 10g/㎡ 미만이면, 체액의 역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30g/㎡를 초과하면 충분한 부드러움을 얻기 어렵다.
또한, 탑 시트(30)는 1매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를 첩합해서 얻은 적층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탑 시트(30)는 평면 방향에 관해서, 1매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탑 시트(30)의 양 측부는 흡수 요소(50)의 측연에서 이측으로 되접어 꺽어도 좋고, 또한, 되접어 꺽지 않고, 흡수 요소(50)의 측연으로부터 옆쪽으로 비어져나오게 해도 좋다.
탑 시트(30)는 이측 부재에 대한 위치 차이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따른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로 이측에 인접한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3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중간 시트(40)의 표면 및 포장 시트(58) 중 흡수체(56)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탑 시트의 개공 평면 배열>
한편, 체액을 흡수 요소(50)에 신속하게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는 개공(14)을 갖는 유공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개공(14)의 평면 배열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방 격자형이나,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육각 격자형(이것들은 지그재그형이라고도 함),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방 격자형,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격자형, 도 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평행체 격자향(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의 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마련되는 형태) 등(이것들이 전후 방향(LD)에 대해서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함)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외에, 개공(14)의 군(군 단위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해도 좋고, 모양이나 문자형 등이어도 좋음)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탑 시트의 개공(14)의 전후 방향 간격(14y) 및 폭 방향 간격(14x)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기성을 고려하면, 각각 14y는 0.9∼8.0㎜, 14x는 2.0∼10㎜, 특히, 14y는 1.0∼3.0㎜, 14x는 3.0∼5.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공(14)의 전후 방향 치수(14L)보다 좁은 전후 방향 간격(14y)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개공(14)의 열이, 폭 방향(WD)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고, 또한, 그 폭 방향 간격(14x)은 개공(14)의 전후 방향 치수(14L)보다 넓으면(또한, 개공(14)의 폭 방향 치수(14W)의 3배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함), 통기성 향상을 현저한 것으로 만들면서, 부드러움이나 큰 부피성도 해치지 않고, 또한, 제조 시에 중요한 전후 방향 시트의 인장 강도 저하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이 경우, 개공(14)의 형상을 전후 방향(LD)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탑 시트(30)와 중간 시트(40)의 첩합에 있어서는, 열 접착, 초음파 접착 등도 이용 가능하지만, 핫멜트 접착에 의한 것이 부드러움을 담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부름)(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여, 탑 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탑 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펀 레이스, 스펀 본드, SMS,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로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지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여도 좋지만, 강성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20∼80g/㎡가 바람직하고, 25∼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가 크게 만들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 해서, 심지가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이면서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길이 방향 길이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흡수 요소(50)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이측 부재에 대한 위치 차이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따른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로 이측에 인접한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중간 시트(4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포장 시트(58) 중 흡수체(56)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의 표면에 플라스틱 필름을 마련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에 부직포 등을 겹쳐서 접합한 적층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에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액 불투과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진제를 혼련시켜서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해서 얻어진 미다공성 플라스틱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따른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으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액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커버 부직포(20)와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착 시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요소(50)의 이측에 들어가는 폭으로 하는 것 외에, 방루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 요소(50)의 양측을 돌아들어가게 해서, 흡수 요소(50)의 탑 시트(30) 측면의 양 측부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 연장부의 폭은 좌우 각각 5∼20㎜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내측, 특히, 흡수체(56) 측면에 액분의 흡수에 의해 색이 변하는 배설 인디케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
(측부 개더)
측부 개더(60)는 전후 방향(LD)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장착자의 다리 둘레에 닿아서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입체 개더(69)라 부르는 것이나, 평면 개더(61)라 부르는 것이 여기에 포함된다.
개더 부직포(62)로서는, 스펀 본드 부직포(SS, SSS 등)나 SMS 부직포(SMS, SSMMS 등),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의 유연하고 균일성·은폐성이 뛰어난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 실리콘 등으로 발수 처리를 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섬유 평량은 10∼3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판덱스 실고무를 사용할 경우, 굵기는 470∼1240dtex가 바람직하고, 620∼940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정 시의 신장율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어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겹쳐서 포갠 개더 부직포(62)의 사이에 방수 필름을 개재시킬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의 존재 부분에서 개더 부직포(62)를 부분적으로 생략할 수도 있지만, 제품의 외관 및 촉감을 옷감처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한 형태와 같이, 적어도 측부 개더(60)의 기단부터 선단까지의 외면이 개더 부직포(6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측부 개더(60)의 자유 부분에 마련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개수는 2∼6개가 바람직하고, 3∼5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요소)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 전체를 싸는 포장 시트(58)를 갖는다.
(흡수체)
흡수체(56)는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의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해서 얻을 수 있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 가능하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고,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여도 되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흡수체(56) 속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56)는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지만, 전단부, 후단부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고, 전단부 및 후단부에 비해서 폭이 좁은 잘록 부분을 갖는 모래시계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흡수체(56)의 치수는 배뇨구 위치의 전후 좌우에 걸치는 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이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로,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되돌아나와버리는, 소위 역행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한다.
필요하다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에서 산포 밀도 혹은 살포량을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살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할 경우, 남자용은 전측 산포 밀도(양)를 높이고, 여자용은 중앙부의 산포 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팟형)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도 마련할 수 있다.
(포장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흡수체(56)의 형상 유지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56)를 포장 시트(58)로 덮는다.
포장 시트(58)를 사용할 경우, 그 소재로서는, 화장지,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SMS 부직포(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적층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적층 부직포)를 사용한다.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면, 그 펄프 섬유가 전후 방향(MD 방향)을 따라, 그리고, 치밀한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전후 방향의 강성이 높다(부드러움이 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SMS 부직포 또는 SMMS 부직포를 사용하면, 특히, 전후 방향의 강성이 낮고(부드러움이 우수하다.), 이후의 캔틸레버 시험 결과로써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MD 방향) 및 기울기 45도의 굽힘 강성이, 크레이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낮은 값을 보이게 된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양호하게 변형되고(양호하게 구부러지고),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담보되어, 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SMS 부직포, SMMS 부직포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재 등을 사용 가능하다. 특히, 체액의 흡수 특성을 높이기 위해, 친수화 처리가 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58)의 포장 형태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제조 용이성이나 전후 끝 테두리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흡수체(56)의 표리면 및 양 측면을 둘러싸도록 통 형상으로 감고, 또한, 그 전후 테두리부를 흡수체(56)의 전후로부터 비어져나오게 하여, 포개서 감은 부분 및 전후 비어져나온 부분의 중복 부분을 핫멜트 접착제, 소재 용착 등의 접합 수단으로 접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흡수체(56)의 양 측면을 덮지 않고, 2매의 부직포로 표리면만을 덮는 것이어도 된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전후(세로) 방향」이란, 배측(전측)과 등측(후측)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표측」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이측」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표면」이란, 부재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의 면을 의미하고, 「이면」이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을 의미한다.
·「면적율」이란, 단위면적에서 차지하는 대상 부분의 비율을 의미하며, 대상 영역(예를 들면, 커버 부직포)에서, 대상 부분(예를 들면, 구멍)의 총합 면적을 해당 대상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대상 부분이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는 형태에서는, 대상 부분이 10개 이상 포함되는 크기로 대상 영역을 설정해서, 면적율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멍의 면적율은 예를 들면, KEYENCE사의 상품명 VHX-1000을 사용하여, 측정 조건을 20배로 해서, 이하의 순서로 측정할 수 있다.
(1) 20배의 렌즈에 세팅해서, 핀트를 조절한다. 구멍이 4×6 들어가도록 부직포의 위치를 조정한다.
(2) 구멍 영역의 밝기를 지정하여, 구멍의 면적을 계측한다.
(3) 「계측·코멘트」의 「면적 계측」의 색 추출을 클릭한다. 구멍 부분을 클릭한다.
(4) 「일괄 계측」을 클릭하고, 「계측 결과 윈도우를 표시」에 체크하여, CSV 데이터로 보존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2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해,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 RH의 항온 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 제조: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시킨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0±5℃, 상대 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해서,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상대 습도 10∼25%, 온도 50℃를 넘지 않는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미터평량판(200㎜×250㎜,±2㎜)을 사용하여, 200㎜×250㎜(±2㎜)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20배하여, 1평방미터당의 무게를 산출해서,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하중: 10gf/㎠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측정에 있어서의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0±5℃, 상대 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효과를 분명하게 한다.
<시작(試作)>
(실시예)
도 1∼도 5에 도시하는 구조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20)로서, 도 7에 도시하는 치수가, 다음과 같은 모로칸 무늬를 갖는 개공을 형성한, 평량이 20g/㎡인 에어스루법에 따라 제조한, 2.5dtex에서 PE/PET=50/50을 섬유 소재로 한,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원형 개공(14) 직경=1.0㎜
14px, 14py=2.5㎜
14X=16㎜
14Y=18㎜
얻어진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등측 부분의 커버 시트 측은, 도 12와 같이, 커다란 주름이 형성되고, 도 13과 같이, 커다란 프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도 12의 (b) 및 도 13의 (b)는 도 12의 (a) 및 도 13의 (a)의 사진에 있어서의 주름 및 프릴 부분을 명시하기 위해, 출원인이 일부 가공한 사진이다.
(비교예 1)
개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형성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등측 부분의 커버 시트 측은 도 8과 같이, 커다란 주름은 형성되지 않고, 도 9와 같이 커다란 프릴도 형성되지 않은 것이었다.
(비교예 2)
개공을 도 6의 (e)의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형성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등측 부분의 커버 시트 측은 도 10과 같이, 커다란 주름은 형성되지 않고, 도 11과 같이, 커다란 프릴도 형성되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원형 개공(14) 직경은 1.0㎜이다.
비교예 1, 2에 대해서 실시예에 따르면, 큰 주름 및 큰 프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착용 시, 통기성이 뛰어난 것이 되어, 피부 발진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패드 타입 일회용 기저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전반에 이용 가능한 것이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20 커버 부직포
20H 핫멜트 접착제
14 개공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측부 개더
62 개더 부직포
LD 전후 방향
WD 폭 방향

Claims (4)

  1. 사용 측 표면을 구성하는 탑 시트와, 이면 측에 마련된 액 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커버 부직포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로부터 이면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직포는, 표리로 관통되는 개공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유공 부직포이며,
    상기 커버 부직포의 웨이스트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개공을 잇는 가상선이 모로칸 무늬인 개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로칸 무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 요소의 흡수체와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부 영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탄성 신축하는 탄성 신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은, 직경이 0.5∼1.5㎜인 원형이고, 인접한 상기 개공의 중심간 거리가 1.0∼4.0㎜이며, 상기 모로칸 무늬에서, 상기 개공을 잇는 가상선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비개공영역의 면적이 1.0∼3.5㎠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직포의 평량은 10∼30g/㎡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227014242A 2019-11-20 2020-11-18 일회용 기저귀 KR20220103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9787 2019-11-20
JP2019209787A JP7345365B2 (ja) 2019-11-20 2019-11-20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20/043055 WO2021100776A1 (ja) 2019-11-20 2020-11-18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703A true KR20220103703A (ko) 2022-07-22

Family

ID=7596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242A KR20220103703A (ko) 2019-11-20 2020-11-1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401270A1 (ko)
EP (1) EP4062883A4 (ko)
JP (1) JP7345365B2 (ko)
KR (1) KR20220103703A (ko)
CN (1) CN114599323B (ko)
TW (1) TW202123910A (ko)
WO (1) WO20211007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5849A (ja) 2010-09-24 2012-04-05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6029A1 (en) * 2002-02-14 2004-06-17 Kelly William G.F. Two layer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JP5270204B2 (ja) 2008-03-21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744083B2 (en) * 2013-10-04 2017-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outer cover for absorbent articles
CN204428283U (zh) * 2013-12-04 2015-07-01 花王株式会社 短裤型吸收性物品
US20150297419A1 (en) * 2014-04-21 2015-10-22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EP3215084B1 (en) * 2014-11-06 202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trained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215085B1 (en) * 2014-11-06 2019-10-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rimped fiber spunbond nonwoven webs / laminates
CN114099153A (zh) * 2016-05-02 2022-03-01 飞特适薄膜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制造成型膜的设备
JP6144805B1 (ja) * 2016-06-09 2017-06-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93448B1 (ja) * 2016-06-09 2017-09-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190024B1 (ja) * 2016-09-30 2017-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有孔不織布の貼り付け方法
JP6207785B1 (ja) 2017-03-29 2017-10-04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5849A (ja) 2010-09-24 2012-04-05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2883A4 (en) 2023-11-01
US20220401270A1 (en) 2022-12-22
TW202123910A (zh) 2021-07-01
JP7345365B2 (ja) 2023-09-15
JP2021078871A (ja) 2021-05-27
EP4062883A1 (en) 2022-09-28
WO2021100776A1 (ja) 2021-05-27
CN114599323B (zh) 2024-05-07
CN114599323A (zh)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502B1 (ko) 흡수성 물품
JP5918795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5984156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CN107874914B (zh) 一次性穿着物品和有孔无纺布的粘贴方法
JP6247728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有孔不織布の貼り付け方法
JP6207785B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6067501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20220101614A (ko) 일회용 기저귀
KR20220103703A (ko) 일회용 기저귀
JP2021078872A5 (ko)
JP736244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42487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21078871A5 (ko)
JP7129179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2021142241A5 (ko)
JP2021078868A5 (ko)
JP2019150404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9150404A5 (ko)
JP2019051244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